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한부모의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강경란 ( Kang Gyeong-ran ),함경애 ( Ham Gyeong-ae ),천성문 ( Cheon Seong-moon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지역과 세계 Vol.40 No.3

        본연구의 목적은 여성 한부모의 행복 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본 프로그램 취지에 동의한 P시의 한부모 여성 20명 중 실험, 통제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무선배정 하여, 총 8회기, 회기당 240분의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사전-사후 검사가 두 집단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종결 후 실험집단 참여자 각각 120분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만족도를 살펴보았을 때 프로그램의 내용뿐만 아니라 진행방법, 후속 프로그램 참여 여부 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해 전체적으로 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여성의 행복증진에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 on the Happiness of the Woman Single Pare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were 20 woman single parent in Busa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led group. The group cinematherapy program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240 minutes one times a week (total 8 times). Each group was measured two times, a pre-test and a post-test. Participants were given scales measuring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depression and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ased on the reports on changing experiences from participants along with observations on behaviors in each session, a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a content analysis was don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level of happiness while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depression after this cinema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rogram was found generally high regarding the way to conduct this program and request on involvement in a follow up program as well as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rated positively. Consequently,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 program could be a proper alternative for the happiness of woman single parent.

      • KCI등재

        여성 한부모의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천성문,강경란,함경애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지역과 세계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 on the Happiness of the Woman Single Pare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were 20 woman single parent in Busa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led group. The group cinematherapy program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240 minutes one times a week (total 8 times). Each group was measured two times, a pre-test and a post-test. Participants were given scales measuring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depression and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ased on the reports on changing experiences from participants along with observations on behaviors in each session, a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a content analysis was don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level of happiness while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depression after this cinema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rogram was found generally high regarding the way to conduct this program and request on involvement in a follow up program as well as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rated positively. Consequently,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 program could be a proper alternative for the happiness of woman single parent. 본연구의 목적은 여성 한부모의 행복 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본 프로그램 취지에 동의한 P시의 한부모 여성 20명 중 실험, 통제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무선배정 하여, 총 8회기, 회기당 240분의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사전-사후 검사가 두 집단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종결 후 실험집단 참여자 각각 120분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만족도를 살펴보았을 때 프로그램의 내용뿐만 아니라 진행방법, 후속 프로그램 참여 여부 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해 전체적으로 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여성의 행복증진에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선옥 ( Ko Sun Ok ),강연정 ( Kang Yeon Jeo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0 복음과 상담 Vol.28 No.1

        본 연구는 영화치료를 통하여 기독교 가정의 자녀를 성경적 가치관을 가진 기독교인으로 양육할 수 있도록 기독교인 부모들을 교육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인 부모를 대상으로 Horace Bushnell(2004)의 기독교적 양육 이론과 Birgit Woltz(2006)의 영화치료 이론 그리고 John Gottman(2007)의 감정코칭 이론을 기틀로 영화 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시에 소재한 C/D교회에 출석 중인 9-12세 학령기 자녀가 있는 기독교인 부모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씩을 무선 배치하여 주 2회, 각 120분, 총 12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기독교인 부 모의 양육행동, 부모 자녀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영적 안녕감에 있어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기독교 부모의 양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중심으로 자녀와 의사소통을 통한 영적 안녕감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회 내 활용 가능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 therapy based on Birgit Wolfz (2006)’s Cinema Therapy theory, Horace Bushnell (2004)’s Christian Nurture theory and John Gottman (2007)’s Emotional Coaching theor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his program were conducted expert validity investig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Christian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9 to 12 at the C/D church in C c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of 15 people each that were alloted randomly. One is a test group and the other is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ere conducted two sessions a week, 120 minutes per session and total 12 sess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program, In conclusion,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therapy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arenting behavior,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 parents. Therefore,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therapy suggests that it is an in-church viable program that can help improve spiritual well-be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children based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parenting of Christian parents.

      • KCI등재후보

        영화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자아존중감, 자기조절학습, 학교생활적응을 중심으로

        류승원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삶의 질을 판단하는 주요지표로서 자살률과 행복지수를 서론에서 살피며, 현 대 한민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영화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의도를 갖고 그 이론 적인 측면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다루 고 있다. 첫째, 영화코칭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 를 위해 고려해야할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이를 위한 영화코칭 프로그램은 무엇으로 구성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결론은 첫째, 영화코칭 프로그램은 영화치료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코칭영역으로 확대되어 통합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청소년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자아존중감, 자기조절학습, 학교생활적응이 영화치료, 코칭과 상호 밀접하다. 셋째,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 소를 위한 영화코칭 프로그램은 GROW모델을 기반으로 한 영화코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화라는 매개를 통해 치료와 코칭의 개념을 상호보완하며 각각의 한계점을 극복한 영화코칭 프로그램 개발의 시작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후 본격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대상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y is intented to deliver a theoretical dimension to developing a Cinema Coaching Program (CCP) for reducing adolescent stress in Korea, with suicide rates and the happiness index as main indicator by which to judge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deals with 3 subjects of inquiry. First, what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CP? Second, what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reduce adolescent stress? Third, what could CCP consist of for th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CCP is based on Cinematherapy which can be expanded and integrated into the coaching area. Second, regarding adolescent stress, self∼esteem,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Cinematherapy and Cinema Coaching. Third, CCP for reducing adolescent stress could consist of Cinema Coaching based on the GROW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beginning to develope CCP which complements a contrary concept between therapy and coaching and makes them overcome their respective limitations. The implication emphasizes necessity of active program development and depth in research on topics related to CCP.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인권의식 증진을 위한 영화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임혜선,한상미,신나라,신지영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19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권의식 증진을 위해 영화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영화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현장 전문가의 의견과 학생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인권의식 향상을 증진시키기 위한 6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자원한 참여자들을 실험집단과 대기자 통제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어 주당 1회기에 3시간씩 총 6회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영화집단과 대기자 통제집단의 인권의식, 사회적 거리감의 인지, 정서, 행동,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전, 사후에 따른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개인별 면담자료를 통해 양적 분석결과를 보완하였다. 개별면담은 근거이론적 방법(Strauss & Corbin)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주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 검정(Wilcoxon rank-sum 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화집단 프로그램은 인권의식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