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옥녀봉의 형국 유형별 풍수적 특성 연구

        서춘석,천인호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5 No.-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geomancy and terrain for forty mountains named of Oknyeobong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is conducted to examine the geomantic meaning in a modern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pandect of place names, shape type of Oknyeobong is categorized as Sanbal, Danjang, Danjwa, Tangeum, Jikgeum, and Geumban. As terrain analysis results, types of Sanbal, Danjang and Danjwa showed high elevation and large scale which are related to the shape of dressing up whereas types of Tangeum, Jikgeum, and Geumban showed low elevation and small scale which are related to the shape of everyday life. After analyze the shapes based on the four animal theory, the principle points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Oknyeobongs and mountains facing to them have smaller scale than the principle peaks which means that the existing geomancy theory has numerically significant. Mountains in position of right and left side of principle point which are called as blue dragon and white tiger points in the four animal theory showed shape of protecting the principle point from winds with slightly higher elevation than the principle point. Oknyeobong’s peaks showed slightly steep and bilaterally symmetric shape. As results of average elevation angle, Oknyeobong showed visually stable shape. 본 논문에서는 전국에 산재하고 있는 40개의 옥녀봉을 대상으로 하여 GIS 지형분석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풍수적, 지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옥녀봉의 형국 구분이 가지는 풍수적 의미를 현대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명총람 등의 자료에 의하면 옥녀봉의 형국은 크게 옥녀산발형, 옥녀단장형, 옥녀단좌형, 옥녀탄금형, 옥녀직금형, 옥녀금반형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지형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옥녀가 자신을 가꾸는 모습인 옥녀산발형, 옥녀단장형, 옥녀단좌형의 옥녀봉은 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규모 또한 큰 데 반해,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옥녀탄금형, 옥녀직금형, 옥녀금반형의 옥녀봉은 고도가 낮고 규모도 작았다. 사신사 이론에 근거하여 형국을 분석해본 결과, 옥녀봉의 중간 높이에 주로 혈이 위치하고 안산이 주산에 비해 규모가 작아 주산을 압도할 수 없다는 풍수이론이 수치상으로 유의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에 비해 청룡과 백호가 약간 높은 고도에서 바람을 잘 막아주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옥녀봉의 봉우리는 약간 가파른 형태로 좌우가 대칭인 안정적인 산 형태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

        BIM프로그램을 이용한 초고층건축물의 유형별 에너지 효율성분석

        노준석,박상민,권종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4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구조시스템에 더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최적화된 초고층건축물의 형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층건축물이 건립된 주요도시의 기후대별로 BIM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에너지 효율이 최적화된 형태유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2016년 현재 완공된 300m 이상 101개 건축물을 지역별, 기후대별로 분류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준층 평면형상과 입면형상을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대표적인 초고층건축물의 도시이면서 상이한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는 두바이, 뉴욕, 광저우, 시카고를 대상으로 유형별 에너지 성능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형의 기준층 평면형상을 가진 초고층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이 가장 우수하며 입면형상의 측면에서는 셋백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addition to the study on the efficient structural systems, more studies on the forms of high-rise buildings which are optimized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r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ypology on the form of high-rise building with optimized energy efficiency through climatic conditions of major high-rise cities. First of all, 101 cases of high-rise buildings that are higher than 300m are chosen and classified by location and their climatic zones. The typology of high-rise buildings are separated into the type of typical floor plan shape of and that of elevation shape. shape. From the energy performance analysis of 4 major cities like Dubai, New York, Guangzhou, and Chicago that belong to different climatic zone, typical floor plan of circle shape and elevation of set-back shape are proved to be the most efficient for energy perform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