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삼척공립직업학교의 운영과 졸업생의 활동

        장경호 강원사학회 2023 江原史學 Vol.- No.41

        본 연구에서는 현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의 전신인 삼척공립직업학교의 개교 배경과 운영, 교사의 이력, 학생들의 활동, 졸업생들의 향후 행보 등을 살펴봄으로써당시 직업학교 개교 및 운영과 관련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39년5월 27일 설립인가를 받은 삼척공립직업학교는 일제강점기 설치된 11개의 실업학교 중 7번째 인가를 받은 학교이자 강원도에서는 최초로 개교한 직업학교였다. 당시학교 유치 비용 조달에는 지역민 지원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이 학교의 유치를두고 북삼면(현재 동해시)과 삼척읍에서는 서로 경쟁을 하게 되었고, 진정 운동을펼치는 등 유치운동을 벌인 끝에, 부지는 삼척읍 남양리로 결정되었다. 삼척공립직업학교 발기인 명단을 보면 대부분이 삼척의 유지·면장·기업인들이었다. 원래 삼척공립직업학교는 광산과와 토목과로 각기 40명을 모집하기로 되어 있었으며, 강원도회에서는 삼척공립직업학교 내 수산과 설치도 논의하였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최종 입학 인원은 양과 합 88명이었다. 입학 자격은 공립심상소학교를졸업하거나, 그에 준하는 학력을 가진 이들이었다. 1942년부터 1944년까지 3회에 걸친 졸업생들의 명단과 입학생 수를 비교하여대조하여 보면, 도중에 이탈한 학생들도 많이 발생했다는 점이 확인된다. 이들의학적부에 의하면, 입학한 이들 중에서는 평균 60점을 넘지 않으면 낙제하였고, 입학생 대비 졸업생들의 비율을 보면, 졸업예정자 중 25%나 졸업하지 못한 해도 있었다. 토목과와 광산과 학생들은 공통과목 이외에 각 과별로 특화된 과목을 수강하였으며, 실습을 나갔다. 이들을 가르쳤던 교원들은 강원도 내 학교에서 근무하였던 인물들이대부분이었고, 산림과 기수 출신도 있었다. 교장은 일본 아키타 광산전문학교를졸업하고, 나남지역에서 근무하던 인물이었다. 졸업생들이 취직한 회사들은 대부분 삼척철도회사, 삼척개발주식회사, 삼척탄광, 오노다 시멘트 삼척지부 등이었다. 이북 지역의 탄광회사로 파견되는 사례도 보인다. 당시 삼척지역의 공업화를 이끌었던 회사들에 삼척공립직업학교 졸업생들이취직하는 것은 당시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일제의 공업화 정책과도 맞물리는것이었다. 1942년∼1944년 졸업생의 취직 회사는 확인되지 않으나, 삼척지역 회사에 다수 취직한 것으로 보이고, 1950년대에 가서 교원으로 전직되었던 이들이 많았다는 점이 확인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background and operation of Samcheok Business School(三陟公立職業學校)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history of its teachers, the activities of its students, and the future of its graduates. Samcheok Business School, was the seventh of 11 business schools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first business school to open in Kangwon Province. At the time, local support was essential to finance the school's construction, so Buksamyeon (now Donghae City) and Samcheok-eup competed with each other to attract the school, and campaigned for it by conducting a calming campaign, and the site was decided to be Namyang-ri, Samcheok-eup. At the list of the promoters of Samcheok Business School, most of them were Samcheok's opinion leader. Originally, Samcheok Business School was supposed to recruit 40 students each for the mining and civil engineering departments, and the Kangwon Province also discussed establishing a fisheries department at Samcheok Business School, but this was not realized. The final enrollment was around 88 students(mining and civil engineering). Students had to have graduated from a public normal school or have an equivalent education. A comparison of the graduating class of the three classes of 1942 through 1944 with the number of enrollees shows that many students dropped out along the way. According to the registrar's office, those who were admitted failed with an average of no more than 60 points, and the ratio of graduates to enrollees showed that in some years as many as 25 percent did not graduate. In addition to common courses, the civil engineering and mining students took specialized courses and went on practical training. The teachers who taught them were mostly from schools in Kangwon Province, with some from forestry and horsemanship. The principal was a graduate of Akita Mining College in Japan and had worked in the Nanam area. Graduates have been employed by companies such as Samcheok Railway Company, Samcheok Development Corporation, Samcheok Coal Mine, and Onoda Cement Samcheok Branch. Some graduates were also sent to coal mining compani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The employment of Samcheok Business School graduates in the companies that led the industrialization of Samcheok at that time was in line with the Japanese industrialization policy to train technicians.

      • KCI등재

        줄다리기의 원형 ㆍ 전형 ㆍ 변형

        이창식 ( Lee Chang-sik ) 남도민속학회 2017 남도민속연구 Vol.34 No.-

        이 글에서는 350여 년의 삼척기줄다리기의 원형고증에 대해 그 동안 논의를 짚어 보았다. 전형 위주의 전승맥락에서 향후 정월대보름제 행사부터 복원된 기줄을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삼척정월대보름제에 전통적인 기줄다리기가 복원되지 않았다. 복원의 원형성―앞머리 초가지붕 높이와 게형 선제사 후놀이―을 확정하기는 어렵지만 일제강점기 단절 이전에 가장 전통적으로 행하였던 형태로나마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삼척기줄다리기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변화하는` 요인의 미래지향적 처방과 검증이 필요하다. 공동체 대동유희 이상의 가치 탓으로 삼척 사람들의 과거 기줄다리기에 매달렸다. 문화재청과 유네스코에서 최근 중요시하는 무형문화유산의 전형 고증과 전승단체의 기반은 중요하다. 우선 강조해야 할 것은 정통 삼척기줄다리기의 줄 복원에 집중해야 한다. 음양상생의 대동놀이 확정 작업과 아울러 삼척 사람들의 의지와 지혜가 집약되어야 한다. 삼척기줄다리기의 전형적 가치는 게형(문어발형) 암숫줄 큰줄에 있다. 삼척기줄다리기는 정월대보름날 주민들의 대동단결과 풍년, 풍어를 비는 세시풍속으로 이어져 내려오다 일제강점기에 중단되었다가 1973년 재개되어 1976년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원형복원의 상한선은 우선 1930년대로 봐야 한다. 삼척기줄다리기의 문화구도, 곧 보존회와 축제위원회위상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 원형 복원의 학술적 고증 작업을 통한 보존회의 조직과 전승기반을 튼실히 해야 한다. 특히 술비통놀이 정립과 기줄 트기 부문은 전문성과 계보성을 확보해야 한다. 삼척기줄다리기의 통시적인 시각에서 원형과 창조의 이분법을 고려해야 한다. 삼척정월대보름제의 지속도 이 점 매우 중요하게 적용해야 한다. 삼척정월대보름제의 핵심은 전통문화의 복원 또는 보존과 더불어 기줄다리기 등 전통문화자원의 재해석과 재창조라고 할 수 있다. 삼척기줄다리기는 고을형 쌍줄로서 주로 `선제사 후놀이형 대동놀이`이다. 서낭당 동제, 선농제 등을 지낸 후 마을 사람들끼리 즐기는 가운데 줄다리기가 행해졌는데 기줄다리기에 참여하기 전에 구성원 공동선 비손행위 후 기줄다리기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기줄다리기는 1936년 일제에 의해 중단된 이후 1973년 `삼척민속놀이위원회`가 구성되어 정월 대보름에`기줄다리기`를 주축으로 삼척읍 사대 광장에서 삼척민속대제전이 거행되면서 재현되었으며, 삼척정월대보름제로 거듭 태어났으나 본질적인 유기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삼척기줄다리기의 원형, 전형, 변형 전반에 대한 전문학술백서로 집약하고 복원전승을 맥락화해야 한다. 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부응하는 측면과 그간 지정 논란과 복원의 문제도 매듭짓는 방안이다. 삼척기줄다리기 가치의 재인식은 경기용 기줄다리기 선입감에서 벗어나 민선적(民選的) 운용과 대동적 전통을 동시에 살려야 한다. 세계무형문화유산적 보편성과 삼척문화적 특수성을 정립시켜 지속 매뉴얼을 구체적으로 확정해야 할 책무가 있다. 향후 타지역 문화권 비교, 공동 등재 국가, 일본, 중국 등과 국제학술회의도 개최하여 삼척기줄다리기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향후 복원형 삼척기줄다리기는 정월대보름제 행사 후 영구보관을 통해 유산적 상징성과 문화관광자원의 소통성을 살려야 한다. 이러한 검증과 가치 부여를 통해 기줄의 원형 모습 확정, 기줄 제작 보유자 확대, 기줄 자원화 관련 활성화 정책도 확정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discussions on the historic research on the original form of Samcheok Gijuldaligi (Tug-of-War) on its 350 years of history were verified. In the archetype-oriented context of transmission, the Jeongwol Daeboreum Festival event must use the restored Gijul in the future, because the traditional Gijuldaligi of the Samcheok Jeongwol Daeboreum Festival was not restored. It`s difficult to confirm the original form of the restoration on the height of the thatched roof in the front and crab-type pre-memorial ceremony & post-play, but it is appropriate to restore to the most traditional form before it was discontinu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le protecting the identity of the Samcheok Gijuldaligi, future-oriented prescription and verification are required on the `changing` factors. Due to the value higher than just play within the community, the people of Samcheok persisted on Gijuldaligi in the past. The historic research on the archetype and foundation of the transmission group recently emphasiz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UNESCO are very important. First of all, the focus must be made on restoring the traditional Samcheok Gijuldaligi. Confirmation on the coexistence of Yin-Yang in the group play and the will & wisdom of the people of Samcheok must be gathered. The typical value of the Samcheok Gijuldaligi is the crab-type (tentacle-type) Amsutjul & Keunjul. The Samcheok Gijuldaligi was a seasonal custom of wishing for unity, good harvest and a good catch by the people on the 15th day of the New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and this custom was discontinu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ustom was then resumed in 1973 and was designed as Gangwon-do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2 in 1976. The limit of restoring the original form is 1930s, and the cultural structure of the Samcheok Gijuldaligi, in other words, the status of the conservation association and the festival committee must be reconsidered. The organization of the conservation association and the foundation for transmission must be solidified through the academic & historic research on restoring its original form. Especially, expertise and genealogy must be secured on establishing the Sulbitongnori and on the Gijulteugi. Also, the dichotomy of the original form and creativity must be considered through the diachronic perspective on the Samcheok Gijuldaligi, and this part must be applied very importantly also on continuing the Samcheok Jeongwol Daeboreum Festival. The key to Samcheok Jeongwol Daeboreum Festival is not only restoration or conserv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re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al asset such as Gijuldaligi. Samcheok Gijuldaligi is a village-type Ssangjul, and it is mainly `pre-memorial ceremony & post-play` type group play. After having the memorial ceremonies such as the Seonangdang, Dongjae and Sunongje, the juldaligi (tug-of-war) was enjoyed by the people in the village, and before participating in the Gijuldaligi, the members would rub hands prayerfully to participate in the Gijuldaligi. Gijuldaligi was discontinued by the Japanese in 1936, and in 1973, `Samcheok Folk Game Committee` was organized, and centrally of the `Gijuldaligi` in the 15th day of the New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the Samcheok Folklore Festival was hel in the Samcheok-eup Square to be recreated. The event was newly established as the Samcheok Jeongwol Daeboreum Festival, but there are limits in the fundamental originality. Therefore, the original form, archetype and transformation of the Samcheok Gijuldaligi must be integrated into a professional academic book. Also, satisfying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issues regarding the dispute on the designation and restoration are matters that must be solved. In terms of having new understanding on the value of Samcheok Gijuldaligi, it must breake free from the preconception of a Gijuldaligi for competition, and revive the tradition as a play between the village people and as a group play. Also, the universality as a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distinctiveness of the Samcheok culture must be established to have the responsibility to prepare a sustainable manual in detail. Moreover, comparison with the cultures of other regions, joint registratio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with Japan and China must be held to enhance the status of the Samcheok Gijuldaligi. In the future, the restoration-type Samcheok Gijuldaligi Prototype must be revived of its symbolic heritage and the communication as a cultural & touristic resource through permanent storage during the Jeongwol Daeboreum Festival. Through these verifications and granting value, the original form of the Gijul must be confirmed, the possessor of the Gijul production technique must be expanded, and policies on activating the resource on Gijul must be arranged.

      • 근대 삼척의 해상 이동 고찰

        박미현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10 No.-

        강원도 삼척은 해양과 육지가 만나는 해안가 지역이다. 해양은 육지와 함께 삼척 역사를 형성해온 어엿한 활동 공간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시기 삼척에서의 해상 이동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지역 정체성 형성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근대시기 삼척지역은 2등도로를 중심으로 도로가 수선 정비되었으나 험로여서 자동차 수송이 원활치 않았다. 철도는 1940년대 들어 광물수송 간선 구축 방침에 따라 부설된 탓에 생활 교통과는 거리가 멀어 상대적으로 해상 교통과 해양 이용이 삼척지역에 요긴하였다. 근대시기 신문에 실린 해상 이동 관련 신문기사와 구술자료, 자전적인 글 등을 자료로 삼아 해상을 통한 삼척지역의 인적 교류와 물류 이동 양상을 나누어 살펴 보았다. 해양 활동 공간과 그에 연계된 항포구가 근대 삼척의 정체성 형성에 아래 와 같은 특징이 있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근대 시기 삼척에 있어서 해양은 일회적 단순한 교류를 넘어 연속적으로 동해안의 연안 도시 및 일본, 중국, 러시아 등과 긴밀하게 접촉이 이루어진 활동 공간이었다. 부산~원산 해로 기항지로서 인적 및 물류는 분명한 목적 아래 이동 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신흥 삼척’ ‘물화의 집산지 삼척’ ‘공도 삼척’으로 요약되는 일제 말기 삼척의 이미지가 형성된 데는 활발한 해상 이동과 군수물자 집결처로서 정라항1)을 중심으로 한 여러 항포구 기능에서 파급되는 영향이 컸다. 셋째, 근대 시기 삼척의 항포구와 해양은 지역민 생업과 관련된 중요한 터전이었으며, 무동력선 운영과 원근해 어업, 해조류 채취 경험을 축적하였다. 넷째, 삼척의 해상 국방 요충지적 성격은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항을 통한 군수물자 반출, 식량 공급 등 강화되었으며 이 같은 군사적 성격은 해방 직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미군정청 국방국은 동해안 최북방 해군기지로 삼척을 설정하였다. 다섯째, 항포구 어촌이 확장해가는 과정에서 삼척포진성 유적 파괴와 오십천 수로 변경, 집단 이주로 인한 거주 불안, 헐값의 토지판매, 외지인과 노동자 유입으 로 인한 사건사고, 공장 안전사고, 축항설비 미비 해상 사고 등의 문제를 표출하였다. 여섯째, 삼척의 각 항포구는 육로교통이 제대로 연계되지 않아 물산의 집산지는 되었으나 배급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거점도시로 확대되지 못하였다. 도시 형성에 필요한 각종 기반시설을 지역민에게 전가시킨 일제의 식민 통치 결과 삼척읍내~정라항간 도로조차 완비되지 못할 정도로 한계를 노정하였다. 삼척을 해항도시로 규정하지 않더라도 해양은 근대 삼척의 역사 경제 교통 항구 군사 등에 영향을 끼쳤으며, 정라항은 시대성을 대변하는 역사적 현장으로 이해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Samcheok, Gangwon-do is coast area where sea and land meet. Sea together with land was honorable space which has formed history of Samcheok.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maritime movement status of modern Samcheok in order to find out meaning of regional identity formation. Through newspaper articles, oral data, and autobiographical writing related to maritime movement carried on modern newspaper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both personal exchanges and flow of goods in Samcheok area through sea. Maritime activity space and harbor linked thereto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formation of modern Samcheock identity and the summary is shown as follows. First, as for Samcheock in modern times, sea was activities space of close and continuous contacts with east coastal cities, Japan, China and Russia beyond simple single exchange. As a port of call between Busan ~ Wonsan, personal and logistic flow shows change of movement under the definite objective. Second, the image formed dur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ism period and summarized as ‘Emergent Samcheok’ ‘Goods Distributing Center Samcheok’, and ‘Industrial City Samcheok’ was much due to the active sea movement and the function of harbor or port with Jeongrahang as center of military supplies. Third, harbor or port and sea of Samcheok in modern times were important base related to living of local people and they accumulated experience of operating non-powered vessel, deep-sea and offshore fisheries, and collecting sea algae Fourth, feature of Samcheok as sea important spot for national defense was strengthened by carrying out of military supplies and food supply due to break-out of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such military feature continued just after the liberation so that the Defense Division of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established Samcheok as the northernmost naval base on the east coast. Fifth, in the expansion process of harbor fishing village, many problems appeared such as relics destruction of Samcheok Pojinseong, Osipcheon channel diversions, unstable residence due to mass migration, cheap sale of land, accidents or incidents arising from inflow of strangers and labor, factory safety accidents, marine accident due to improper port facilities. Sixth, because land traffic was not properly connected, respective ports and harbors of Samcheok acted as a collection center of goods but it did not play as a distributing center and therefore, it could not become a hub city. Owing to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which transferred construction of all the infra necessary for city formation to local people, such limitation happened as road between Samcheok-eup and Jeongrahang was not completed. Even though Samcheok is not defined as a seaport town, sea has influence on history, economy, traffic, harbor and military affairs of modern Samcheok, an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and preserve Jeongrahang as a historical site representing trend of times.

      • 고대 동해안의 교통과 삼척

        張日圭 한국이사부학회 2016 이사부와 동해 Vol.11 No.-

        이 글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삼척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의 동해안 교통로를 살펴본 것이다. 동해안 교통로는 선사시대에 이미 개설되었다. 선사인은 동해안을 따라 백두산 일대의 흑요석을 동해안 중부 지역인 지금의 고성, 양양, 양구 등지로 운반하였다. 그 뒤 신라는 1세기 초반부터 2세기 후반까지 포항과 삼척 일대에 자리한 소국을 점령하면서 동해안 남부의 교통로를 중부까지 개설하였다. 또한 고구려가 지방 지배를 위해서 운용하였던 동해안 북부의 교통로를 장악하면서 동해안 북부 지역의 진출을 꾀하였다. 그 결과 6~7세기에 신라는 전국을 효율적으로 지배하려고 하면서 점차 동해안 교통로의 효율적인 운용을 도모하였다. 신라의 동해안 교통로는 수도 왕경에서 지금의 포항-영덕-울진-삼척-강릉-양 양-고성-안변-이원으로 연결되는 北路였다. 다만 초기에 동해안을 따라 영역을 확대하면서 특별히 삼척을 주목하였기에, 북로의 중심지로 삼척을 고려하였다. 삼척이 속한 명주는 곡성군, 야성군, 유린군, 울진군, 나성군, 삼척군, 수성군, 고성군, 금양군 등으로 편제되었는데, 동해안과 바로 접해 있는 백두대간의 큰 산줄기를 고려할 때, 백두대간의 서쪽에 자리한 곡성군, 나성군 등까지도 명주 관내에 포함하였다. 이것은 신라가 지금의 강원과 경북 내륙 지방을 남북으로 이으면서 삭정군과 정천군에 이르는 관도인 ‘삭주로’와 동해안 교통로를 잇고자 하였기 때문 이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태백과 정선으로 진출할 수 있는 삼척은 주목되었다. 삼척은 양양, 강릉, 흥해, 영일 등지와 함께 동해안 일대에서 비교적 넓은 평지가 분포한 곳이다. 특히 바닷가에 연접하였으면서도 오십천 유역의 들판과 함께 오십천을 통해서 낙동강 상류는 물론 남한강 상류로 진출할 수 있었다. 신라 말에 궁예는 원주에서 주천, 영월, 평창을 거쳐 울진으로 나아가 영역을 확대하였다. 당시 원주에서 울진으로 나아가는 교통로는 자연지리적 조건을 고려할 때, 정선으로 나아가 백복령을 넘은 뒤, 삼척을 거쳐 울진에 이르는 길이었다. 궁예가 삼척을 거쳐 울진에 이른 것은 당시 동해안의 가장 중요한 군사기지였던 북진이 삼척에 자리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삼척을 아우른 뒤 강릉을 점령하고서 세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신라의 동해안 교통로에서 삼척은 동해안 교통로를 제어하면서 한편으로는 낙동강과 남한강 상류를 통해서 여러 지역으로 인적 ․ 물적 자원을 유통할 수 있는 중심지였다. This writing looked into a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n Ancient age mainly with Samcheok on the basis of existing research result. The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was established already in prehistoric times. Along the eastern coast, people in prehistoric times transported obsidian of Baekdusan region to Goseong, Yangyang, and Yanggu area, the central area of the eastern coast. Later, from the early 1st century to the late 2nd century, Silla occupied a small kingdom situated in present Pohang and Samcheok region and then, it extended the southern traffic route to the central area in the eastern coast. While Silla seized the traffic route which Goguryeo operated for district control, it also seized a traffic route to advance to northern part of the eastern coast. In the 6th - 7th century, Silla gradually sought efficient operation of a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the whole country. Silla's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was a northern road connecting from the capital Wanggyeong to the existing Pohang-Yeongdeok-Uljin-Samcheok-Gangneung–Yangyang -Goseong-Anbyeon-Yiwon. However, expanding its realm along the eastern coast in the beginning stage, it specially paid attention to Samcheok and therefore, it considered Samcheok as a center of the northern road. Myeongju to which Samcheok belongs was organized as Gokseong-gun, Yaseong-gun, Yurin-gun, Uljin-gun, Naseong-gun, Samcheok-gun, Suseonggun, Goseong-gun, Geumyang-gun but Gokseong-gun and Naseong-gun located in the west of Baekdudaegan were also included considering the big range of Baekdudaegan immediately adjacent to the eastern coast. This was because Silla attempted to connect 'Sakjuro' which was a road between Sakjeong-gun and Jeoncheon-gun, and a traffic route in the eastern coast while it connected inland areas of existing Gangwon and Gyeongbuk from north to south. In such process, Samcheok also got attention because Silla could advance to Taebaek and Jeongseon. Samcheok is a place with a relatively vast flatland in the eastern coast along with Yangyang, Gangneung, Heunghae, and Yeongil. Especially, it connected to seashore and could advance not only to Nakdong River upstream but also to Namhangang River upstream through Oshipchen and basin of Oshipchen field. At the end of Silla age, Gyungye stayed at Wonju and expanded its realm to Uljin through Jucheon, Yeongwol, and Pyeongchang. Considering geographical condition from Wonju to Uljin at that time, the traffic route was to going to Jeonseon, crossing Baekbok-ryeong, passing Samcheok, and to reach Uljin. Reason why Gyungye reached Uljin by way of Samcheok was because Bukjin, the most important military base in the eastern coast, was situated in Samcheok. Having embraced Samcheok, he could occupy Gangneung to expand his power. Samcheok was the center to distribute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to many other areas through Nakdong River upstream and Namhangang River upstream controlling the Silla's traffic route of the eastern coast.

      • KCI등재

        줄다리기의 원형복원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이창식(Lee Chang-sik)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8

        삼척 기줄다리기는 한국 줄다리기 중 전통사회에서 전승된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 민속놀이다. 삼척정월대보름제어는 이와 관련된 기줄다리기 세시풍속을 계승하고 한마당잔치를 통해 지역 사람들에게 자긍심과 화합정신을 도모하고 참여형 문화관광축제 곧 지역경제를 활성하고자 하는 취지가 보인다. 관련 문헌 탐색과 타지역 비교시각에서 삼척시 기줄다리기의 정체성과 지역문화 활성화 측면을 드러내야 한다. 전국 분포권과 동아시아와 세계 줄다리기의 분포양상 등을 비교하여 삼척시 기줄다리기의 성격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제는 한국 줄다리기의 일반적 존재양상 속에서 조망해 삼척 기줄다리기의 특수성을 발견해야 한다. 기줄다리기가 농경 생업과 어로생업의 관계양상, 민속신앙과 향토오락 등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대동놀이의 전승형태는 지역민의 연중행사인 축제와 결부되어 왔다. 민속놀이가 그 지역의 다양한 풍속도 함유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기에 지역민의 인성(人性)을 고려해야 한다. 전통사회의 기줄다리기와 오늘날 정보화 시대의 기줄다리기는 다르다. 기줄다리기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변화하는’ 요인의 창조적 처방이 필요하다. 공동체 오락 이상의 가치로 삼척 사람들의 과거 기줄다리기에 매달렸다. 오늘날 이를 강조해도 소용없다. 오히려 과거의 근간으로 하여 해방구의 즐거움을 주면 기줄다리기에 정신적 물러섬과 뺏김과 섬김의 미학적 창출이 가능하다. 기줄다리기의 놀이적 신명 영역을 새롭게 설계해야 한다. 삼척시, 삼척 사람들의 고민이 여기에 있다. 기줄다리기의 축제성을 이 대목에서 다시 따져야 한다. 기줄다리기의 문화구도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무형문화재 세계문화유산 등재화 과정이 실천되어야 한다. 기줄다리기에는 놀이의 기본적 요소, 겨루기의 축제적 다층성, 공동체집단의 속신적 세계관 등의 국면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시적인 집적 속에 지속과 변화를 보여준 흔적을 읽을 수 있었고, 최근 행사 속의 기줄다리기 역시 편의 위주로 변질된 측면도 있다. 문화적 가치를 원형이라는 이름으로 따지되 창조적 요인을 중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원형과 창조의 이분법이 아닌 원형 연출과 전통 창조의 상생법이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 기반에 삼척정월대보름제 주도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삼척정월대보름제는 건강한 축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줄다리기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해야 한다. 원형 복원의 학술적 고증 작업을 통한 세계문화유산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정립시켜야 한다. 아울러 세계화 전략을 위하여 기줄다리기의 가치의 재인식, 스토리텔링 문화콘텐츠 개발, 기록화를 통한 상징박물관 보강과 연구, 비교 홍보의 우위성 확보 등을 주문하고 싶다. 기줄다리기가 유네스코 무형유산대표목록으로 등재되도록 위원회 조직이 절실하다. 경남 영산, 충남 당진, 충북 목계 등의 줄다리기 전승지역과 연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강릉단오제에 대한 국제학술회의가 수차례 열려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처럼 줄다리기 주요 전승지역의 연계활동을 통한 학술프로젝트가 필요하다. 정월대보름 민속자원에 대한 지적 재산권 확보를 위해 서둘러야 한다. 기줄다리기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전반적 재검토와 아울러 과거 전통적인 원형 연구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 Juldaligi(tug-of-war) was embodies the group result cohesive force of the area and is solidarity playing. The area discussion which is reflected to the Juldaligi is a side of creative variation and tradition from existing data. It is a tribute to topology of Juldaligi, also Samcheok January 15th of January system and relationship of Samcheok-Gijuldaligi has to be paiol attention. Samcheok-Gijuldaligi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Samcheok-Gijuldaligi of today are different. It defends the identity of Samcheok-Gijuldaligi and 'changes' the creative prescription of the necessary. It most plan the play new life territory oc Samcheok-Gijuldaligi newly, most question the festival characteristic of Samcheok-Gijuldaligi. It has to think the cultural composition of Samcheok-Gijuldaligi again.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world-wide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process must be practiced from this senior line. World-wide cultural heritage universality and the peculiarity which lead the scientific historical investigation work of Samcheok-Gijuldaligi Circular restore must take a triangular position. For a globalization strategy together new understanding and story of value of Samcheok-Gijuldaligi [they1] orders high position characteristic security etc. Symbol museum reinforcement which leads a ring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nd a record and research and comparative public information meed to be emphasized, in order to be registered in UNESCO as an intangible miscarriage representative tring. Samcheok-Gijuldaligi should be the the commission organization must work earnestly. For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ecurity of Samcheok-Gijuldaligi must make haste. In conclusion, Samcheok-Gijuldaligi has to be thought do making a world wide culture from a local folk fesival.

      • 조선후기 三陟營將 연구

        서태원 한국이사부학회 2017 이사부와 동해 Vol.13 No.-

        조선후기 강원도 삼척영장(三陟營將)은 1672년(현종 13) 신설되어 1895년까지 (고종 32) 존속하였다. 삼척영장은 강원도에서 유일하게 파견된 영장으로, 토포사 (討捕使)와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를 겸임하였다. 삼척영장 약 221인의 왕대 별 수는 재위기간이 가장 길었던 영조대가 60인으로 가장 많았고, 고종대가 42인으로 두 번째였다. 삼척영장의 재임기간은 15개월 이상 및 10개월 이상 15개월 미만이 각각 65인이었고, 10개월 미만이 56인이었다. 아울러 8명은 재임 기간을 알 수 없었고, 삼척영장에 임명된 후 부임하지 않은 경우도 27인이나 되었다. 영장은 정조 대 『대전통편』에 의하면 정3품 절충(折衝) 이상의 자급을 이미 받은 상태에서 영장이 된 경우는 10삭 후에, 영장이 되면서 새로 절충을 받은 경우에는 15삭 후에 직책을 옮길 수 있었다. 삼척영장 221인 중 160인은 교체사유를 알 수 있었는데, 부임하지 않고 교체된 27인의 사유는 ‘11인은 부모가 75세 이상, 9인은 부모나 본인의 병이 중함, 7인은 상환(相換)·내천(內遷)·유임 등’이었다. 부임한 삼척영장 133인의 교체사유는 ‘94인(내천 86인, 외천 8인)은 벼슬자리 옮김, 38인은 직무수행 잘못, 1인은 본인의 병’ 등이었다. 삼척영장은 영동 9개 읍의 군병 조련과 점검 등을 전담하였다. 아울러 강원도 영동에 도적이 매우 많으나 토포사인 춘천부사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삼척영장은 1673년 토포사를 겸임했었는데, 치도(治盜)와 관련하여 영장의 상벌(賞罰)이 결정되었으므로 양민(良民)을 도적으로 몰아버리는 폐단 등이 발생하였다. 삼척영장은 수군첨절제사도 겸임하면서 바다 방어도 담당하였는데, 이러한 삼척영장의 해방(海防) 기능은 다른 영장과 구별되는 특징이었다. 특히 삼척영장은 1694년(숙종 20)부터 월송만 호와 교대로 울릉도 수토관(搜討官)이 되어, 울릉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일본인에게 확실히 알리면서 그들의 불법적인 어로행위나 벌목 등을 차단한 점이 주목된다. The Samcheok-youngjang(삼척영장) of Kangwon-do(강원도),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newly established at 1672(Hyeonjong 현종 13) and existed until 1895(Gojong 32). The Samcheokyoungjang was the only dispatched commander in Kangwon-do and held two positions of Topo-sa(토포사) and SuguncheomJeoljesa( 수군첨절제사). For the number of 221 of Samcheok-youngjang, the period of King Yeongjo(영조), who had longest ruling years, had 60 which marked highest number and the period of Gojong(고종) has 42 which marked second highest. For the terms of holding their office, more than 15 months were 65 Samcheok-youngjang, and more than 10 months and less than 15 months were 65 also, and less than 10 months were 56. And for 8 Samcheokyoungjang, the terms of holding their office were not known, and the persons being appointed to the Samcheok-youngjang but not taking the office were 27. According to the 『Daejeontongpyeon (대전통편)』 in Jeongjo(정조) period, in case that a person who was already in a position higher than Jeong-sampum(정삼품) Jeolchung (절충) and received a appointment for Young-jang, the person could move his office after 10 months, and in case that the person became a Jeolchung newly, then he could 15 months later. Among 221 Samcheok-youngjang, the reasons of the office replacement were known for 160 persons, and the reasons of 27 cases of replacement before taking the office were, '11 cases due to the age of their parents' old age over than 75, 9 cases due to the serious illness of their parents or themselves, and 7 cases due to the office exchange, by taking the office in central region, and staying at the existing office etc.' The reasons of replacement of 133 Samcheok-youngjang who took the office are '94 persons due to taking other office(86 were appointed to the offices in central region, 8 were appointed to local area offices), 38 due to misbehavior in performing duty, and 1 due to illness' etc. The Samcheok-youngjang exclusively charged the military training and inspection etc. of 9 towns in Yeongdong(영동) area. Along with these, the Samcheok-youngjang had another position of Topo-sa at 1673 to correct the problem that there were a lot of thieves in Yeong-dong, Kangwon-do area, though the Chuncheon-busa(춘천부사), who was Topo-sa at that time, was in long distance, but because the reward and punishment was decided according to how he could handle thieve matter, the negative effect that Young-jang falsely charged good citizens as thieves occurred. The Samcheok-youngjang held the position of Sugun-cheomJeoljesa, this function of the naval defence of the Samcheok-youngjang was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at of other Young-jang. Particularly it is noticeable that the Samcheok-youngjang became a Uleung-do(울릉도) Sutogoan(수토 관) by turn with Wolsong-manho(월송만호) from 1694(Sukjong 숙 종 20) and blocked Japanese's illegal fishing and logging while clearly letting them know that Uleung-do was Joseon's territory.

      • KCI등재

        삼척(三陟) 봉황산(鳳凰山) 미륵불(彌勒佛)의 특징(特徵)과 조성(造成) 배경(背景)

        진정환 ( Jin Joung-hwan ) 강원사학회 2021 江原史學 Vol.- No.37

        이 논문은 三陟 鳳凰山 彌勒佛과 불상과의 조형적 상관성, 불교 조형물로서 삼척봉황산 미륵불의 조성 배경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특히 삼척지역 불교조각 양상을 검토하여, 봉황산 미륵불의 조형적 원류가 같은 시기 같은 지역 불교조각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조성 배경 관련, ‘殺氣’의 정체가 무엇이며, 왜 불교미술품으로 그 살기를 막으려고 했던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삼척 봉황산 석상은 삼척지역의 여러 불상, 예를 들면 삼화사, 천은사, 신흥사, 영은사 불상 등을 모방·변형한 것이다. 그러나 모방의 한계와 불상 조각에 능숙하지 않은 집단이 조성을 주도하면서 유기적 조화를 살펴볼 수 없고 조각 수법이 뒤떨어진다. 능묘 석인상의 얼굴과 봉황산 미륵불의 얼굴 표현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삼척 및 關東 일대에서 활동하며 유교조각을 담당했던 장인들이 봉황산 미륵불 조성을 주도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규헌이 봉황산 정상에 석상을 조성한 배경과 이유는 고려시대 확립된 ‘비보사탑설’의 영향이 크며 당시 빈번했던 화재를 예방하고 삼척부민들의 삶을 위협했던 災異를 물리치기 위해서였다. 20여 년 후 삼척부민들은 彌勒下生의 염원과 함께 토착 신앙인 미르(용)신앙의 영향으로 현재의 위치로 옮기고 미륵불로 지칭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삼척 봉황산 미륵불은 비록 19세기 조성된 것이고 예술성이 뚜렷하지는 않으나, 지역사·미술사·불교사·민속학적으로 차별화되는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 구체적으로 봉황산 미륵불은 적극적으로 고을의 안녕을 염원하고 빈번했던 재이를 대처하기 위한 지방관의 적극적인 통치행위의 한 사례로써 조선 후기 지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미술사적으로도 조성 시기와 이유가 밝혀져 있다는 점에서 19세기 조각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가치를 지닌다. 이뿐만 아니라, 불교조각과 유교조각의 특징과 요소가 융합된 조각상이라는 점에서 조선 말 造像 활동 관련 장인 수급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불교사적으로도 조선 후기 불교가 삼척지역의 주민들에 끼친 영향은 물론 彌勒下生信仰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와 의의가 있다. 또한 ‘풍수지리설’이 지방통치에 영향을 끼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 건국 후 확립된 ‘비보사탑설’이 조선 말까지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관련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토착 신앙인 미르신앙과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어, 민속학적으로도 매우 큰 가치와 의의가 있다. The main discussion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origins of the Maitreya Buddha Statues of Bonghwangsan Mountain in Samcheok and the aesth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es and other works of mainstream Buddhist sculpture in Korea. The discussion concludes that the origin of the statues is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Buddhist sculptures made in and around Samcheok during the same period. The discussion also deals with the meaning of "the murderous energy" which led to the origin of the statues, and the reason why the creators of the statues decided to ward off evil energy with Buddhist images. The main conclusion of the discussion is that the stone statues of Bonghwangsan Mountain in Samcheok were inspired by the Buddhist images enshrined in local Buddhist temples such as Samhwasa, Cheoneunsa, Sinheungsa and Yeongeunsa. Unfortunately, the carvers of these statues were unable to copy the originals faithfully and achieve their organic harmony due to a lack of carving skills and experience as well as knowledge of Buddhist sculpture. Considering the remarkable similarity between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stone guardians standing at the royal tombs of Joseon and those of the Maitreya statues of Bonghwangsan Mountain, the latter could have been made by artisans of Samcheok and Gwandong(the East Coast of Gangwon-do Province) area. As for the background to the stone image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Yi Gyu-heon, influenced by the Pungsu (or Feng Shui) principles relating to "guardian temples and pagodas" established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placed them on the summit of Bonghwangsan Mountain in the belief that they would help prevent fire and expel the evil forces that were threatening the lives of the inhabitants of Samcheok-bu. The statues were moved to their current location some twenty years later according to the aspirations of the people of Samcheok to reach the utopian world ruled by Maitreya Buddha and the traditional folk belief in the dragon as a supreme power. Although they were created relatively recently,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lack aesthetic merit, the Maitreya Statues of Bonghwangsan Mountain in Samcheok hold significant value in terms of the history of the local community, art, Buddhism and folklore. Specifically, the statues a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efforts of a local administrative head to protect his town against disasters caused by evil forces, and thus provide important clues for studies on the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atues are also regarded as an important tangible source for research on Korean Buddhist sculpture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 features of Buddhist and Confucian sculptures also makes the statues a useful resource for studies on the supply and demand of artisans who created stone sculptural work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atues are also regarded as a valuable source of knowledge regarding the influence of Buddhism on the lives of the inhabitants of Samcheok during late Joseon, and the tradition of Maitreya worship that they preserved in particular. They also constitute tangible evidence to support the theory that the principles of Pungsu were exploited by the ruling class of Joseon in order to govern the regions more effectively and that the principle of using a guardian temple or pagoda to ward off evil forces remained influential from its emergence in the Goryeo period to the late Joseon period. Finally, the statues are also important sources for folklore studies, particularly the tradition of dragon worship among the common people of Samcheok.

      • 신라의 동해안과 삼척

        장일규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10 No.-

        이 글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신라가 동해안을 따라 영역을 확대한 과정을 지리적 조건이나 육로 ․ 해로와 관련하여 살펴본 것이다. 특히 동해안 해로의 중심으로 삼척의 역사적 위상을 주목하였다. 신라는 소지마립간 9년(487)에 왕경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친 官道를 수리하였 다. 이미 1세기 중반∼2세기 초반에 탈해이사금이 등장하고 음즙벌국을 정복하면서 동로와 북로가 개설되었다. 신라는 당시에 실직곡국을 정복하면서 북로를 신라의 영역을 확대하는 주요 통로로 중시하였다. 지증마립간 6년(505)에 수로와 해로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운송과 교역, 군사 활동의 이점을 높이려는 방안으로 ‘舟楫之利’가 제정되었다. 동시에 삼척과 흥해, 영 천 등지에 12곳의 성을 쌓은 뒤에 실직을 주로 삼고 군주를 두었다. 신라는 6세기에 해로의 정비와 관련하여 삼척을 강조하였다. 동해의 해안선은 육로로 통행하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灣이 잘 형성되지 않 았기에 큰 항구가 발달하기도 어려웠다. 다만 양양, 강릉, 삼척, 흥해, 영일, 포항 등지에는 하천 유역에 제법 넓은 평지에 형성되었다. 삼척은 바닷가에 연접하였으면서도 오십천을 통해 낙동강 상류는 물론 남한강 상류로 가는 육상교통로를 갖추었으며, 넓지는 않지만 오십천의 하구를 군항이나 수군 양성 기지로 쓸 수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 조건에 따라 지증마립간은 삼척에 주를 두고 이사부를 주둔시 켰다. 지증마립간 13년(512)에 이사부는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그는 지도로왕 때 沿 邊의 관리를 맡아 내륙수로는 물론 해로에도 익숙하였고, 연안 해로는 물론 원양 해로에도 익숙하였다. 그는 왕경과 가까워 기밀을 유지하기에 편리하면서 선박 제 작에 필요한 수림이 울창하였던 흥해 일대에 주목하여 선박의 제조와 수군의 양성을 주도하였다. 나아가 연안 해로를 따라 선박과 수군 등 인적․물적 자원을 운송하여 삼척을 동해안 최대 군항으로 활용하였다. 그런 다음에 원양 해로를 이용 하여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은 신라의 동해안 인식을 확고하게 하였다. 신라 왕실은 삼척을 중심으로 한 동해안 인식을 꾸준히 유지하였다. 삼국통일 전후에 왕실과 緣故된 의상과 원효, 진표 등은 낙산사와 고성군을 찾았다. 그들은 무열왕 5년에 삼척에 설치한 北鎭에서 연안 해로를 따라 북상하였다. 신라 말에 헌강왕은 일본의 사신 파견과 관련하여 울산 일대의 항구와 포구에 관심을 가졌다. 더불어 신라 北邊의 상황과 관련하여 삼척에도 적지 않은 관심을 가졌다. 그 것은 삼화사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당시 왕실과 결연한 해인사 승려 決言은 860년 쯤에 삼척 삼화사 철불 조성에 깊이 관여하였다. 당시의 해인사 승려들은 헌강 왕은 물론 정강왕이 주관한 선왕의 명복을 기원하는 佛事를 주도하였다. 자연히 신라 왕실은 삼화사를 통해서 삼척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삼척은 동해안 일대의 여러 군현 가운데 신라의 영역 확대는 물론 신라 국가의 안녕과 관련하여 오랫동안 끊임없이 주목되었던 곳이었다. This article is studying the East Sea Coast route and historical position of Samcheok. Among the public road of Silla, The east road and north road ware placed in the mid and 2nd century a century. At the time, Silla was conquered Siljik. For expanding the area, The northern roads was major route. ‘How to use the ship in good shape(舟楫之利)’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6th century. Looking up the sea route, this time stressed Samcheok. It was the center of a traffic route was Samcheok. Also, a naval port and naval forces bases were installed. Because of Silla set up a ju(州) in Samcheok. Isabu was Minister of Siljikju. General Isabu was invaded Usan(Ulleungdo). He knew their way around the sea. Heunghae and Samcheok is important to him. East Sea Coast of the most important naval port was Samcheok. Because of this Kingdom occupied was able to. Samcheok was constantly emphasized in The Silla royal family. Uisang, Wonhyo, such as jinpyo, the monks went north along the East Sea coast. King Heongang was focused on Samcheok. Temple Samhwasa was interested and involved it. The most important place on the East Sea coast was Samcheok.

      • 삼척영장과 울릉도 수토제

        신태훈 한국이사부학회 2019 이사부와 동해 Vol.15 No.-

        울릉도 수토에서 삼척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크게 두 가지를 검토하였다. 첫째는 삼척영장의 신설과 그 변천과정에 대해서 기존의 논문 성과와 승정원일기를 추가하여 고찰하였다. 1673년(현종 12)에 삼척영 장은 전임영장이 아닌 겸임영장으로 신설되었고, 삼척첨사가 영장을 겸직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 후 1673년(현종 14)부터 삼척영장은 토포사를 겸임하였고, 1694 년(숙종 20)부터는 월송만호와 함께 울릉도 수토를 겸하였다. 하지만 영장은 정3품이고, 첨사는 종3품이기 때문에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사이에는 삼척영장이 삼척포진 主將의 本職이 되고, 삼척첨사는 겸직으로 바뀌었다. 이로써 삼척영장은 삼척첨사가 겸임하던 겸영장에서 전담 무신이 파견되는 전 임영장으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1799년(정조 23)에 삼척포진 주장의 공식적인 직함은 三陟營將 兼三陟鎭右營將 討捕使 三陟浦鎭水軍僉節制使로 정해졌다. 두 번째로는 삼척영장 중에 울릉도에 직접 다녀온 인원을 선별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장한상이 1694년 삼척첨사로써 울릉도를 수토한 것이 수토의 시초라고 한 것과 달리 필자는 1613년 김연성이 삼척영장으로써 처음 수토를 시행하였음을 밝혔다. 즉, 삼척영장의 울릉도 수토는 1613년 김연성부터 1881년 남준희까지 약 260년간 지속되었다. 삼척은 1882년 이규원이 검찰사로 울릉도에 가기 전까지 울릉도 수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삼척영장은 총 25회의 울릉도 수토 를 하였고, 그 중 10회에 대해서는 수토의 날짜와 출항지 및 도착지까지 알 수 있는 기록이 현전한다. 그동안 수토에 관한 연구는 주기와 횟수에 대해서 집중되어 있었다. 수토의 주기는 3년에 한 번씩에서 2년에 한번으로 변화하다 나중에는 매년 수토를 하는 것으로 그 변화한다. 하지만 살펴본 3년, 2년, 매년 수토의 주기성 또한 수토가 흉년으로 인해서 정지된 점이 많고, 채삼군으로 인해서 시기도 4~5월에서 6~7월로 달라지기도 했 기 때문에 주기가 변동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19세기 말의 수토의 경우 간년 수토가 지켜지지 않을뿐더러 월송만호와 평해군수가 가는 것으로 기존의 삼척영장과 월송만호가 윤회입송하는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주기에 대해서 집중하는 것보다 수토자료를 확보하여 입체감이 있는 수토사의 복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Samcheok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to of Ulleungdo. Therefore, two things were greatly reviewed in this paper. First, the new Samcheok warrant and its transformation process were reviewed by adding exitiong paper and Seungjeongwon diary. Yeongjang of Samcheok was established in 1672. at the time of the fountation Yeongjang of Smacheok was Yeongjang not sole charge but concurrently held by Cheomsa of Samcheok. Later, Yeongjang of Smacheok held Toposa of the Yeongdong area in 1673. However betwee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Yeongjang of Smacheok became the main position of Smacheok Pojin Commander and Cheomsa of Samcheok became an additional position. by this Yeongjang of Smacheok became Yeongjang in sole charge to which a militaty official was dispatched. and in 1799, the official title of Smacheokpojin was Smacheok Second, we selected the number of peple who visited Ulleungdo among the Yeongjang of Samcheok.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which stated that the first time was when Jang Han-Sang made a confession on ulleung island in 1694 as the first time, I found out that Kim Yeon-seong was the first to vomit as a Yeongjang of Samcheok in 1613. In other words, the Sutto of Ulleungdo under the Yeongjang of Samcheok lasted for about 260 years from Kim Yeon-seongin 1613 to Nam Jun-Hee in 1881. In total, Yeongjang of Samcheok vomited 25times, 10 of them are known to date and place of departure and arrival. until now, the study on Suto has focused on the number of cycles and frequency. The Suto cycle changes from once every three years to once every two years, and later to vomiting every year. However, the periodicity of Suto was also cancelled due to poor harvest and the cycle was change due to ginseng harvesting. in addition, the existing Yeongjang of Smacheok and wolsong manho took turns in the late 19th century as Pyeonghaegunsu wen to the suto. therefore, I think it is more necessary to restore the suto system to secure more data than to concentrate on the cycle.

      • 유적을 통해서 본 이사부 출항지 검토

        이상수 한국이사부학회 2010 이사부와 동해 Vol.2 No.-

        최근에 신라장군 이사부의 동해안 출항지가 새로운 논점으로 제기되면서, 지금 까지 ‘강릉출항설’과 ‘삼척출항설’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산국을 복속한 이 사부의 동해안 출항지에 대한 실체적 규명의 필요성이 시급히 요구됨에 따라, 이 에 대한 해결을 모색하는 방안의 일환으로서 강원 영동지방의 강릉․동해․삼척지역 으로 공간적 범위를 제한하여 역사고고유적을 바탕으로 접근해 보았다. ‘강릉출항설’에 대한 검토 결과, 안목항(지금의 강릉항)은 남대천 하구의 바깥쪽 에 위치하고 암석해안으로 구성된 규모가 매우 작은 포구이기 때문에 대규모 兵 船의 출입에는 매우 부적합한 장소로 판단된다. 또한 남대천 하류역의 일대는 주 변이 모두 사구지대와 저습지로 형성된 관계로 당시 하천의 정확한 고환경을 알 수 없으나 그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삼척출항설’에 대한 검토 결과, 오 십천 하구와 하구 남쪽에 접한 오화리산성의 구조와 지리적 입지, 산성내 출토유 물을 고려하면 그 가능성에 설득력이 있다고 여겨진다. 대체로 삼국시대 5C ~ 7C대의 신라고분들이 군집을 이루고, 據點城 내지 治所 城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 지역은 영동지방에서 비교적 큰 하천에 속하는 강릉 연 곡천ㆍ남대천ㆍ군선천ㆍ주수천 일대, 동해 전천 일대, 삼척 오십천ㆍ마읍천ㆍ가곡천 (호산천 포함) 일대로 파악된다. 신라가 동해안 지역 중에서 가장 먼저 삼척에 군 사적 전진기기의 성격을 띠는 州를 설치한 것은 이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에 주 목하여, 동해 연안해로(해상교통로)를 독점적으로 확보 ․ 지배하여 동해안 영동지방 의 진출과 북방교역의 전진기지로서 最適地가 바로 삼척이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실직지원에서의 말갈세력 격파, 실직원에서의 고구려변장 살해, 실직성의 습격, 니하성 축성 등 일련의 기사를 통해서 泥河가 고구려와 말 갈세력의 주요한 삼척 침입루트로 파악되며, 실직성 습격에 따른 니하성의 축조는 실직성(삼척)의 지정학적 중요성, 즉 해상루트와 관련된 핵심적인 전진기지로서 신 라나 고구려 입장에서 모두 중요한 지역이었다고 이해된다. 이사부 출항지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필수적인 요건으로서 대규모의 신라군선이 정박할 수 있는 넓은 자연항포구와 그에 수반되는 군시시설로서 성곽의 존재성으 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수군 기능과 관련하여 신라군사가 주둔했던 신라성 곽들을 제시해 보았다. 그 가운데서 하천의 하구에 가장 가까이에 소재하는 오화 리산성이 입지와 규모면에서 볼 때 예국고성을 제외한 다른 산성보다도 훨씬 뛰 어나고 압도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산성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단정을 내릴 수는 없지만, 삼척 오십천 하구 그리고 그에 접해 있는 오화리산성이 이사부가 우산국 정복을 위해 출항했던 당시 출항지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항포구와 유적지인 것으로 추정된다. Recently, as the EastSeaoutportofIsabu,a general of the Silla period, is being issued as a new point, ‘A View of Departure from Gangneung’ and ‘A View of Departure from Samcheok’ have come to the fore till now. Since the need for the substantive investigation into the East Sea outport of Isabu who submitted Usan-guk (Island) is urgently required, as a part of seeking the solution for this, this study approaches based on the historical archaeological sites by limiting the spatial extent to Gangneung, East Sea and the Samcheok area of Yeong-dong in Gangwon Province. As a result of the review on ‘A View of Departure from Gangneung’, it is concluded as an inappropriate place for the entrance of warships on a large scale because Anmok Port (now Gangneung Port) was located outside of the mouth of Namdaecheon River and it was a very small port in scale that was composed of rocky shore. In addition, because the lower Namdaecheon were formed of a sand dune and a swampy place, it is not able to find out the exact paleoenvironment of the river in those days but is considered as the possibility of departure is low. As a result of the review on ‘A View of Departure from Samcheok’, it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is persuasive by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Ohwarisanseong (Ohwari castle on a hill) which was bounded by the mouth of Ohsipcheon River and the south of the mouth and excavated remains in the Castle. The areas where the Silla tombs from the 5th century to 7th century in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were generally congregated and base castle or Chisoseong(castle for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were existing are identified as Gangneung Yeongokcheon, Namdaecheon, Gunseoncheon, the whole Jusucheon region, the whole Donghae Jeoncheon region, Samcheok Osipcheon, Maeupcheon and Gagokcheon (including Hosancheon). The reason why Silla placed an administrative local district characterized as an advance military base first in Samcheok among East Sea area is that Samcheok was the best place for entering to Yongdong province of East Sea and an advance base for northern trade by keeping an eye on the importance of geopolitical location and securing and controlling the East Sea Coast (sea lane) exclusively. Niha River was identified as a main invasion route of Goguryeo and Malgal power into Samcheok through a series of articles such as defeating Malgal (Mohe) power in Siljikjiwon, the murder of Gogu and Ryeobyeonjang in Siljikwon, the attack of Siljik Castle and the construction of Niha Castle that are written in『Samguksagi (History of Three Kingdoms)』and the construction of Niha Castle due to the attack to Siljik Castle was the key advance base related to the geopolitical importance of Siljik Castle (Samcheok), in other word a sea route, and it is understood as an important area for both Silla and Goguryeo. The existence of a wide natural harbor port where a large scale of Silla warships can be anchored and the castle as accompanying military facilities for essential requirement with regard to problem solving of Isabu’s outport is identified. Based on this, the Silla castles where the Silla military were stationed regarding the naval capability were suggested. In the aspects of location and size, Ohwarisanseong Castle which is located nearest to the mouth of river is more outstanding and overwhelming than others except Yegukgoseong Castle. Wecannot conclude carelessly in the condition of no excavation process for castle remains but the Osipcheon estruary of Samcheok and Ohwarisanseong Castle that adjoins the estuary are assumed as the port and the historic sit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outport that Isabu departed for the conquest of Usanguk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