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해방지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어승섭,안홍수,김태혁,강세영,정동원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8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master plan for mine reclamation and is proceeding with a mine reclamation project to repair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protect public health from the risks posed by mining. However, mine reclamation presents risks of secondary pollution and recontamination, and if not properly managed, could have huge impacts on public health and natural ecosystems, and thus incur high additional external costs.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derived three master plans for mine reclamation from 2007 to promote efficient mine reclamation projects, and recently established a fourth master plan. In this study, we used input-output (I-O)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is fourth mine reclamation project on the national economy. The production-inducing, value-added inducing,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s of the project on the national economy effect were explored using a demand-driven model. In this paper, the industry was treated as an exogenous entity when we investigate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mine reclamation project.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production-inducing and value-added creation effects of unit investments in the mine reclamation project sector are 1.7796 and 0.7141, respectively. The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one billion of investment in the mine reclamation project sector was computed to be 10.9610 persons. In addition, the mine reclamation project was shown to provide a means of preventing environmental damage and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정부는 가행광산 및 휴폐광산에서 발생하는 광해로 인한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원하고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2007년부터 광해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광해방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광해는 제2차 오염 및 재오염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관리하지 못할 경우, 국민건강 및 자연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여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외부비용을 발생시킨다. 이에 정부는 효율적인 광해방지사업 추진을 위해 2007년 이후 총 3차례의 광해방지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최근에는 제4차 광해방지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하여 광해방지사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되,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광해방지사업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함으로써 타 산업에 미치는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광해방지사업에 1원 투자하게 되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에 각각 1.7796원, 0.7141원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광해방지사업에 10억원을 투자하게 되면 10.9610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광해방지사업은 산업 영향 측면에서 환경피해방지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산업으로 나타났다.

      • 새만금 간척지구의 농업용지 토지이용계획을 고려한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

        장정렬,이성학,조영권,최진용,Jang, JeongRyeol,Lee, SungHack,Cho, Youngkweon,Choi, JinYong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4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agricultural water demand as considering landuse plan of the farm land on the Saemangeum tidal land reclamation project. This study based on the farm landuse plan(2012) and considered some items which did not included previous work like prevention water for resalinization for paddy and upland and muli-purpose water for upla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estimated $145.123Mm^3/yr$, which is needed as much $14.792Mm^3/yr$ as more water than previous work. The difference comes from the change of unit water demand. Water demand is possible to be changed if guidelines are improved and detailed design work is completed through further study. Especially, the more studies for prevention water for resalinization in a tidal reclaimed farmland and water demand for a horticulture are needed.

      • KCI등재

        시계열 분석을 통한 공유수면 매립 수요 예측

        신철오,최은철,윤성순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7

        정부는 공유수면 매립사업의 계획적인 관리를 위해, 10년 주기의 공유수면 매립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수시변경을 통한 매립사업을 추진하는 경우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본계획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 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장기 매립 수요 추세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연간 매립 실적 자료를 활용하여 매립 수요 추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공유수면 매립 수요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 히 매립기본계획 체제로 전환된 1990년대 이후에는 그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1-2030년까지 총 매립 수요는 최대 13.8 km2에서 최소 1.7 km2 수준으로 산정되었다. The Korean government is developing a 10-year master plan pertaining to the Public Waters Management and Reclamation Act.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implementation of the reclamation project through frequent changes would occupy a significant proportion. Thus,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master plan. In view of this, the need for a trend analysis on long-term reclamation demand is growing. Accordingly, in this study, a trend analysis of reclamation demand was carried out using the annual reclamation performance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demand for reclamation of public waters continued to decline, and the trend has been particularly evident since the 1990s, when it was converted into a reclamation master plan. In addition, the total demand for reclamation during 2021-2030 was calculated to be at a maximum of 13.8 km2 and minimum of 1.7 km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