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통가>에 나타난 역대 인물 서술의 양상과 그 의미 - <역대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손대현 ( Son Dae-hyun ) 한국시가학회 2022 韓國 詩歌硏究 Vol.55 No.-

        본고는 <분통가>에서 드러나는 역대 인물에 대한 서술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가를 해명하고자 <역대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분통가>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당대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역사에서 영웅적 활약을 펼친 인물들이 언급되고 있으며, 이들은 거의 절대적 다수가 외적에 대항하거나 그 과정에서 업적을 이루었다. 이에 비해 <역대가>에서는 고조선의 건국에서부터 고려시대까지 우리의 역사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고르게 언급되고 있으며, 각 국가의 발전 과정과 주요 문물 등도 서술되어 있다. 이를 보면 <분통가>는 외적을 격퇴하거나 거부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어 당대의 현실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또한 현실주의를 기반으로 하되 미래 세대인 청년학도를 대상으로 창작되었다. 이에 비해 <역대가>는 역대의 전개와 발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드러내고자 한 작품이며, 조선후기까지의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소중화주의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역사를 알지 못하는 일반인들 및 학습 과정에 있는 초심자를 대상으로 창작되었다.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 Buntongga >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 Yeugdaega > and explains how historical figures’ descriptions are made and their significance. People who played a heroic role in Korean histor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ir lifetime are mentioned in < Buntongga >, and most of them have either resisted the external enemies or accomplished achievements in that process.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our history from the founding of Gojoseon to the Goryeo period are mentioned in < Yeugaega >,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each state and their major cultures are also described in it. This explains that < Buntongga > is described as centering on those who repel or reject external enemies, and the reality of the time is strongly reflected in this work. In addition, this was composed based on realism style, however, for the future generations of you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 Yeugdaega > is a work that aims to comprehensively reveal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process of many generations, reflecting reality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Moreover, this work was created based on Joseon-Chinese and was created for the general public who do not know the history and very beginners in their lear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