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통가>에 나타난 역대 인물 서술의 양상과 그 의미 - <역대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Aspects of Historical Figure Descriptions in < Buntongga > and its Significance - Focused on comparison with < Yeugdaega >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345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분통가>에서 드러나는 역대 인물에 대한 서술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가를 해명하고자 <역대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분통가>에서...

      본고는 <분통가>에서 드러나는 역대 인물에 대한 서술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가를 해명하고자 <역대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분통가>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당대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역사에서 영웅적 활약을 펼친 인물들이 언급되고 있으며, 이들은 거의 절대적 다수가 외적에 대항하거나 그 과정에서 업적을 이루었다. 이에 비해 <역대가>에서는 고조선의 건국에서부터 고려시대까지 우리의 역사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고르게 언급되고 있으며, 각 국가의 발전 과정과 주요 문물 등도 서술되어 있다.
      이를 보면 <분통가>는 외적을 격퇴하거나 거부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어 당대의 현실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또한 현실주의를 기반으로 하되 미래 세대인 청년학도를 대상으로 창작되었다. 이에 비해 <역대가>는 역대의 전개와 발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드러내고자 한 작품이며, 조선후기까지의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소중화주의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역사를 알지 못하는 일반인들 및 학습 과정에 있는 초심자를 대상으로 창작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 Buntongga >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 Yeugdaega > and explains how historical figures’ descriptions are made and their significance. People who played a heroic role in Korean history from the...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 Buntongga >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 Yeugdaega > and explains how historical figures’ descriptions are made and their significance.
      People who played a heroic role in Korean histor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ir lifetime are mentioned in < Buntongga >, and most of them have either resisted the external enemies or accomplished achievements in that process.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our history from the founding of Gojoseon to the Goryeo period are mentioned in < Yeugaega >,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each state and their major cultures are also described in it.
      This explains that < Buntongga > is described as centering on those who repel or reject external enemies, and the reality of the time is strongly reflected in this work. In addition, this was composed based on realism style, however, for the future generations of you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 Yeugdaega > is a work that aims to comprehensively reveal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process of many generations, reflecting reality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Moreover, this work was created based on Joseon-Chinese and was created for the general public who do not know the history and very beginners in their learning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양재, "헤이그 특사 ‘이준 열사 병사설’은 가짜다" 민족21 114-119, 2007

      2 계승범,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 문제" 한국사연구회 (159) : 265-294, 2012

      3 김영민, "조선중화주의의 재검토 -이론적 접근-" 한국사연구회 (162) : 211-252, 2013

      4 우경섭,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유니스토리 2013

      5 신 송, "일제강점기 만주망명가사 연구" 전남대학교 2015

      6 정병석, "일제강점기 경북 유림(儒林)의 만주 망명일기(亡命日記)에 보이는 현실 인식과 대응 : 『백하일기(白下日記)』와 『서사록(西徙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8) : 87-115, 2014

      7 고순희, "일제 강점기 만주망명지 가사문학- 담당층 혁신유림을 중심으로" 한국시가문화학회 (27) : 37-68, 2011

      8 정창권, "일기(日記)를 통한 우리 생활사 엿보기" 고려대한국학연구소 18 : 219-238, 2003

      9 손대현, "분통가에 나타난 백하 김대락의 삶과 미완의 꿈" 한국국학진흥원 19 : 33-52, 2020

      10 한경희, "백하 김대락의 일상기록 백하일기 고찰" 한국지역문학회 3 : 163-187, 2013

      1 이양재, "헤이그 특사 ‘이준 열사 병사설’은 가짜다" 민족21 114-119, 2007

      2 계승범,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 문제" 한국사연구회 (159) : 265-294, 2012

      3 김영민, "조선중화주의의 재검토 -이론적 접근-" 한국사연구회 (162) : 211-252, 2013

      4 우경섭,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유니스토리 2013

      5 신 송, "일제강점기 만주망명가사 연구" 전남대학교 2015

      6 정병석, "일제강점기 경북 유림(儒林)의 만주 망명일기(亡命日記)에 보이는 현실 인식과 대응 : 『백하일기(白下日記)』와 『서사록(西徙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8) : 87-115, 2014

      7 고순희, "일제 강점기 만주망명지 가사문학- 담당층 혁신유림을 중심으로" 한국시가문화학회 (27) : 37-68, 2011

      8 정창권, "일기(日記)를 통한 우리 생활사 엿보기" 고려대한국학연구소 18 : 219-238, 2003

      9 손대현, "분통가에 나타난 백하 김대락의 삶과 미완의 꿈" 한국국학진흥원 19 : 33-52, 2020

      10 한경희, "백하 김대락의 일상기록 백하일기 고찰" 한국지역문학회 3 : 163-187, 2013

      11 고순희, "만주망명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적 특질"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183-207, 2012

      12 고순희, "만주망명가사와 디아스포라" 한국시가학회 30 : 165-194, 2011

      13 방미선, "만주 망명 부녀가사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14 김윤희, "만주 망명 가사 <해도교거사(海島僑居辭)>와 <분통가(憤痛歌)>에 대한 비교 고찰 —여성과 남성의 인식 차이와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49) : 77-103, 2020

      15 김순석, "김대락의 현실인식과 대응" 태동고전연구소 41 : 37-65, 2018

      16 "국역 白下日記" 안동독립운동기념관, 경인문화사 2011

      17 고순희, "경술국치의 충격을 담은 1910년대 가사문학의 전개 양상과 가사문학사적 의의" 민족문화연구원 (84) : 471-504, 2019

      18 조동걸, "白下金大洛의 亡命日記(1911-1913)" 안동사학회 5 : 143-227, 2000

      19 김용직, "憤痛歌의 意味와 意識" 일지사 5 (5): 204-225, 1979

      20 조동걸, "傳統名家의 近代的變容과 獨立運動事例-安東川前門中의 경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6 : 373-415, 2000

      21 전설련, "『白下日記』의 서술방식과 그 문학적 성격" 경북대학교 2015

      22 김윤규, "20세기 초 만주 망명 지식인 漢詩의 문학사적 성격 - 『白下日記』 소재 시의 경우"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0) : 429-458, 2012

      23 장세윤, "1910년대 남만주 독립군 기지 건설과 신흥무관학교 ―안동유림의 남만주 이주와 이상룡ㆍ김동삼의 활동을 중심으로" 만주학회 (24) : 89-131, 2017

      24 김동욱, "(合校)樂府" 태학사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1.206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