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전 이후 미 육군의 군사혁신(RMA)이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에 주는 함의

        정연봉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7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RMA) was originated from Revolution in Business Affairs(RBA). From this, "a Sense of Urgency", "Potential Core Competen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deducted as the success factors of RMA by utilizing business firms' innovation and management theory. This article presents the implications to ROA Army RMA by studying U. S. Army RMA after the Vietnam War with using the success factors of RMA. During the Gulf War, U. S. Army conducted "Smart War" that integrated state-of-the-art sensors, C3I(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and Intelligence), and precision guided munitions. Through the "Smart War" U. S. Army demonstrated a new paradigm of warfare. The tremendous victory was possible because of RMA conducted after the Vietnam War. U. S. Army transformed itself with utilizing the loss in Vietnam War as a stepping stone to raise a Sense of Urgency, the U. S. comparatively advantageous technology as Potential Core Competen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stimulate intellect and self motivation. In order for ROK Army to be successful in its newly attempted RMA, ROK Army should systematically manage the above 3 success factors of RMA. To raise a Sense of Urgency, ROK Army may utilize the threat from all out war with North Korea that harnesses nuclear weaponry, the threats from neighboring countries' large scale military power, and the threat from 100,000 reduction in Army by 2022. To utilize the comparatively advantageous technologies as Potential Core Competency, ROK Army also needs to develop the new concept of 'how to fight' us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into military applications, to introduce civil-military complex and fusion type military war-fighting systems, and to secure sufficient budget including government and civilian R & D budgets. Fo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military leadership with innovative mind and clear vision needs to play leading role in pursuing RMA while creating open organizational culture as well as a leading group to last RMA. Deducting success factors of RMA from management theory is a creative and new unprecedented approach, yet utilizing U. S. Army RMA after the Vietnam War as a single case study for generalizing success factors of RMA requires further research for improvements. 본 논문에서는 군사혁신이 민간의 경영혁신에서 태동한 점에 착안하여 민간기업이 혁신·변화관리에 폭넓게 활용하고 있는 경영학이론을 바탕으로 ‘위기의식(감)’, ‘잠재적 핵심역량’, ‘변혁적 리더십’을 군사혁신 성공의 결정요인으로 도출하고,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미 육군의 베트남전 이후부터 걸프전까지의 군사혁신 사례를 비판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 육군이 지향해야할 군사혁신의 방향을 제시했다. 걸프전에서 미 육군은 첨단센서체계, 전장관리체계, 그리고 정밀유도무기를 결합한 스마트전쟁을 통해 정보·지식중심의 새로운 전쟁패러다임을 선보였다. 걸프전에서 미 육군의 혁혁한 성공은 베트남 패전을 위기의식(감)으로, 미국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과학기술을 잠재적 핵심역량으로, 지적 자극과 자발적 동기를 유발하는 변혁적 리더십을 활용하여 군사혁신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육군이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군사혁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3가지 결정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군사혁신에 필요한 ‘위기의식(감)’ 제고를 위해 북한군의 전면전 위협을 활용할 수 있으나,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카드로 평화체제를 제안하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의 위협을 강조하는 것은 주의가 요망된다. 따라서 규모면에서 우리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주변국의 군사적 위협과 2022년까지 10만 명 이상을 감축해야하는 대규모 병력감축을 위기의식(감)으로 활용해야 한다. ‘잠재적 핵심역량’ 측면에서는 4차 산업혁명기술의 군사 분야 접목을 통해 ‘관측(Observe)-판단(Orient)-결심(Decision)-행동(Action)’을 적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전투력 발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용한 싸우는 방법을 정립하고, 민·군 복합·융합형 군사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며, 적정규모의 예산 확보와 더불어 국가 및 민간의 잠재적 재원도 적극 활용하여 군사혁신을 추진해야 한다. ‘변혁적 리더십’ 차원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을 가진 군 지도부를 중심으로 군사혁신을 추진하되 명확한 비전의 제시, 개방적인 조직문화의 조성, 혁신 선도그룹의 관리 등을 통해 군사혁신이 지속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경영학이론을 바탕으로 군사혁신 성공의 결정요인을 도출한 것은 새롭고 창의적인 접근방법이나, 미 육군의 베트남전 이후 군사혁신 단일사례를 근거로 군사혁신 성공의 결정요인을 일반화한 점은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Multi-Domain Environment and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of the Korean Military

        Jaseong Baek,Jiwon Yun J-INSTITUTE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Terrorism & National Secu Vol.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changes in the operational environment, and present the operational employment concept and military buildup related directions of the Korean armed forc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operational environment in terms of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Method: The existing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s on combat domain,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and joint operations, etc., and the literature focused on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the Army were explored. Based on which, the historical evolution process of technology and domain was examined, and after deriving the evolutionary direction of the field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an exploratory approach was attempted to present the joint operational concept and military buildup related direction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domain. Results: The impa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is reflected in the military field as well, fundamentally changing the concept of weapon systems and military operations. The advancement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is creating a multi-domain environment by expanding the cross domain. In such a multi-domain environment, joint operations ought to include not only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raditional military types, but also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domain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secure cross domain capabilities appropriate for the multi-domai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basic concept of joint operation, develop a new paradigm for the appropriate allocation of capabilities, and set a variable point of equilibrium for efficient operation of capabilities. Conclusion: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is a process which dramatically amplifies combat effects by developing a new power system by applying the new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ies, and innovatively developing and harmoniously operating joint operational concept an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related thereto. Hence, approaching the multi-domain operation (MDO) of the US Army in terms of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rather than operational aspects will offer use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armed forces.

      • KCI등재

        미국의 군사부문 혁신(1977-1991)에 대한 RMA적 사후해석의 극복 : 카터 행정부의 ‘상쇄전략’에 대한 기술 기회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박상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국가안보와 전략 Vol.19 No.1

        In 2014, the US Department of the Defense initiated a new defense innovation initiative named ‘third offset strategy’. This term reflects the strategic culture of the United States which tries to offset adversary’s quantitative military superiority with the qualitative superiority of the US military force achieved by the military technology innovations. Technology determinists who advocate the third offset strategy assert that the ‘second offset strategy’ was an example of successful process of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in which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initiated the systemic, operational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s in order to employ the new weapon system and sub-systems. However, strategists are skeptical on the perspective of the technology determinists’. This research analyzes the second ‘offset strategy’ of Harold Brown, who was the Secretary of the DoD(1977-1981), based on the fact that he never mentioned the term. By analyzing the historical records and official history of DoD of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hindsight biases on the technology determinists’ and the strategists’ explanations on the US defense innovations between 1977 and 1991. Although Brown’s defense program didn’t have strategic direction, Brown concretely chose the primary threat among the numerous threats, developed the technological concept to offset the primary threat by employing new technologies and recognized the limits of the technological concept. These combined efforts of Harold Brown set the foundation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innovation to the joint operation between 1982 and 1991. From the lessons of the ‘second’ offset strategy, this research criticizes that recent debates on ‘the third offset strategy’ tends to be focused on the dichotomous arguments between the technology determinists and the strategists. The debates on ‘the third offset strategy’ should be based on the concrete threat perception and the clear knowledge about the opportunities and the limits of the new technologies in dealing with that threat. 미국의 최근 국방 혁신 구상인 ‘3차 상쇄 전략’은 국방과학 기술 혁신을 통해 확보된 질적 군사력 우위로 적의 양적 군사력 우위를 ‘상쇄’시켰다는 미국의 전략문화를 반영한다. 기술결정론자들은 미국의 군사혁신(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RMA)을 이끌어냈던 브라운 국방부 장관의 2차 ‘상쇄전략’ 의 성과를 근거로 3차 상쇄 전략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취하는 반면, 전략중심주의자들은 기술 결정론적 관점에 반대하면서 3차 상쇄 전략도 RMA가 노정한 한계에 직면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회의적인 입장을 취한다. 본고는 브라운 장관이 ‘상쇄전략’이라는 용어를 언급한 적이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쇄전략’의 실체를 재검토했다. 그 결과, 1977년부터 1991년까지 전개된 미국의 군사부문 혁신에 대한 기존의 서술들은 RMA를 진행하던 기술결정론자와 RMA를 거부하던 전략 중심주의자에 의해 사후적으로재구성되었음을 확인했다. ‘상쇄 전략’은 특정한 관점에 기반을 둔 일관된전략적 행위가 아니었다. 그러나 ‘상쇄 전략’은 위협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위협을 극복할 수 있는 첨단기술의 작전적 활용 개념을 도출하는 한편, 기술의 한계를 동시에 인식했다는 점에서 1980년대에 미국의 합동작전을위한 군사부문 혁신의 토대를 제공했다. 본고는 ‘상쇄전략’이 제공하는 함의를 통해 최근의 ‘3차 상쇄 전략’에 대한 논의도 기술결정론과 전략중심주의의 이분법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3차 상쇄전략’이 성공적인 군사부문 혁신으로 이어지려면 현재 위협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첨단 기술의 전술적 이점을 활용해서 해당 위협을극복할 수 있는 작전적⋅전략적 개념을 모색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AI 기반 군사혁신의 가능성과 준비: 군사 강국 중심

        정춘일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4 전략연구 Vol.31 No.1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문명 패러다임을 견인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새로운 군사혁신(RMA: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른바 ‘AI RMA’의 길을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미국의 안보·군사 전문가들 또는 지식인들 일각에서 AI RMA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군사혁신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기술의 변화, 군사 시스템의 진화, 작전 운영의 혁신, 조직적 적응이라는 렌즈를 쓰고 인공지능 기술이 새로운 군사혁신을 견인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고 미래 준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요체이다. 이 논문은 군사혁신 개념을 간단하게 개관한 다음, 최근의 연구 내용을 참고해 RMA 구성요소별로 AI RMA의 가능성을 분석·검토했다. 결론적으로 AI RMA의 조건과 미래 준비 방향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ch is driving a new paradigm of civiliz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generate new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RMA). It's about exploring the path of so-called ‘AI RMA’. Recently, some security and military experts or intellectuals in the United States are discussing and researching AI RMA. The main elements that make up RMA framework are examining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drive RMA using the lens of technological changes, military system evolution, operation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and exploring future preparation directions. After briefly outlining the concept of RMA, this paper analyzed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I RMA for each RMA component by referring to recent research. In conclusion, the conditions for AI RMA and future preparation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군사혁명론 재조명: 근대 국제관계 기원의 신화와 현실

        이경아 21세기정치학회 2023 21세기 정치학회보 Vol.33 No.3

        Were the military and warfare changes in early modern Europe a transformative force in the rise of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military changes in Europ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have been referred to as the “military revolution” because they were crucial to the rise of the modern state and the modern international system. However, the traditional theories of military revolution and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military and warfare as drivers have assumed the military revolution without sufficiently examining its historical reality.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meanings of the military transformation in early modern Europe in the rise of the modern states and the modern international systems based on recent studies in revisionist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history. In doing so,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military transformation in early modern Europe was more of a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than a “military revolution” that acted upon and influenced the rise of the modern state and the modern international system.

      • KCI등재

        The RMA of the U.S. and “Doing More with Less”

        이장욱(李章旭)(LEE Jang-Woo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2 신아세아 Vol.19 No.1

        냉전종식 이후 미국은 그 어떠한 적대세력에 대해서도 압도적 승리를 거둔다는 야심찬 국방혁신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자국의 압도적 군사력을 바탕으로 세계안보에 적극적 역할을 수행할 것을 천명하고 국제질서의 안정을 위해 미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는 지금의 시점에서 바라볼 때, 미국의 군사력건설은 계획한 결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 중반부터 병력 부족 및 전비태세 악화 문제가 미국 내에서 제기되어 왔으며, 2000년대 이라크 및 아프간 전 당시에는 병력문제를 두고 군 내부에서도 반발이 제기되었다. 부시정부 말기에 가면 미국의 전비태세가 베트남전 이래 최악의 상황이라는 보고서도 나오게 되었다. 병력과 관련한 미군의 문제는 이를 지켜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의문을 던지게 만든다. 과연 무엇이 세계최강의 군대를 병력부족에 처하게 만들었는가에 대한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최고의 군사강국 미국이 처한 병력부족의 원인을 분석하고 미국의 군사혁신이 안고 있었던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을 고민해볼 기회를 마련했다. 본 논문은 냉전종식이후 최근 미국이 겪은 군사적 어려움의 원인에 대해 “과도한 병력감축과 이에 더해진 임무증가(Doing More with Less)”에서 찾았다. 냉전종식이후 미국의 군사개혁안은 그 누구도 도전할 수 없는 군사력을 건설한다는 야심찬 내용이었다. 하지만 미 클린턴 정부는 목표달성에 필요한 첨단군사기술 및 전술의 배치 및 적용을 달성하지 못한 상태에서 단 기간내에 급격한 병력감축을 시행했고 여기에 더해 냉전기간 대비 약 3배의 군사임무를 부과하고 말았다. 이러한 과도한 병력감축과 군사임무 부과는 미군으로 하여금 고질적 병력부족 및 전비태세 악화라는 문제를 겪게 만들었고 이라크전 및 아프간전 수행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클린턴-부시-오바마 행정부의 군사혁신 추진과정을 통해 미국이 겪고 있는 과도한 병력감축과 임무증가가 발생하게 된 과정 및 그것이 군사력 운용에 미친 영향을 짚어보고 각 행정부에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활용한 방안 및 그 방안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분석해 본다. 이러한 미국의 사례 통해 본 논문은 군사혁신 및 국방개혁에 있어서 전략적 목표와 수단간 조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병력운용 및 병역제도 혁신에 있어 신중한 접근이 얼마나 중요한 사항인지를 역설하고 있다. The U.S. military seemed to be at its zenith in the 1990s. The U.S. made a symbolic victory in the first Gulf war and tried to build up its military into “full spectrum dominance.” Many countries followed the United States RMA model. The ambitious U.S. RMA programs were intended to build up the U.S. military into “full spectrum dominance.” However, the U.S. military forces in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were not as dominant as was anticipated, but were smaller, over worked and demoralized more than ever. In the Bush administration, U.S. military readiness had deteriorated to levels not reached since the Vietnam War. This type of difficulty has not been analyzed and demands further research.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s the difficulties that the U.S. military has been facing and furthermore it tries to find ou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and the implication on RMA. This article analyzes the U.S. military plans and its realitie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U.S. military difficulties came from “Doing More with Less” since the Clinton administration. Drastic personnel reduction and increasing operations created a serious gap between the military’s capabilities and its goal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U.S. focused on its capability and considered various alternatives such as increasing active forces, allocating U.S. force to allies and military outsourcing (military commission to private military companies). However, each alternative created additional problems such as resistance from congress, friction with allies or financial burden. Finally, the U.S. took action to recalibrate the size of its forces and military missions. The argument in this article introduces a unique analysis of current U.S. military problems and an implementation of RMA(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Finally,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more importantly than military technology for RMA, appropriate personnel levels are crucial for future military succes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군의 군사혁신에 관한 고찰: 전투영역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중심으로

        백자성,윤지원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2 전략연구 Vol.29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echnology on the change it will bring to the combat environment and suggest Operational Employment Concept (OEC) and military buildup direction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accordingly from a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RMA) perspective.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uth Korean Military’s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must be conducted in a much more reinforced manner under a multi-domain battlefield by modifying the OEC and building its military power. From now on, the joint operational employment concept must expand from a concept of integrated operation of each of the military forces to a concept of simultaneous integrated operation of military forces and battle domains. In order to build a military power suitable for this operational employment concept, we must initially establish a basic joint operational concept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and secure cross-domain capabilities. Secondly, we must reform the army unit structure and command system to a system more compatible with the multi-domain environment, and thirdly, we must lay a variable balance point between battle domai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various battle domains and cross-domain abilities.

      • KCI등재

        미국 군사혁신의 변천사: 군사변환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군사혁신 과정

        양욱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58

        This paper examines how the US revoluion in military affairs(RMA) has become a policy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By reviewing the each administration’s defense policies since the end of Cold War,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at(social) problem, politics, and policy stream were combined to lead RMA. The H.W. Bush and Clinton administrations failed to achieve a combination of the three streams - problem, politics, and policy - and failed to make a policy for military innovation, while the W. Bush administration succeeded in making policy amidst the implementation of an international conflict called upon the global war on terror. Eventually, in the midst of the deepening of the streams of problem-politics-policy, the change occurs only when policy actors fully recognize the pressing necessity called upon dramatic events such as international conflicts. 본 논문은 냉전종식 이후 미국의 군사혁신이 어떠한 과정을 걸쳐 정책화되었는지를 살핀다. 각 대통령의 재임기에 어떠한 사회적 문제와 정치적 과제, 그리고 정책적 과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군사혁신을 이끌었는지 조망한다. H.W. 부시나 클린턴 행정부는 시대적 문제-정치-정책 등 3가지 흐름의 결합을 이루지 못하고 군사혁신을 정책화하지 못했지만, W.부시 행정부는 대테러전쟁이라는 국제분쟁의 실행 속에서 정책화에 성공했다. 결국 문제-정치-정책의 흐름이 심화된 가운데 전쟁과 같은 극적인 사건 발생으로 정책주체들이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해야만 변화가 일어난다.

      • KCI우수등재

        시진핑 시대 중국의 군사혁신 연구: 육군의 군사혁신 전략을 중심으로

        차정미(CHA Jung-Mi)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1

        시진핑 체제 들어 중국은 21세기 중반 세계일류강국이 되겠다는 중국몽과 함께 세계일류강군을 만들겠다는 강군몽을 함께 꾸고 있다. 강군몽의 목표 아래 시진핑 시대 중국 군사혁신은 기계화와 정보화를 넘어 지능화를 추진해 가고 있다. 시진핑 시대 중국군은 개념주도의 군사혁신과 기술주도의 군사혁신이 상호 작용하면서 군사전략, 군조직과 작전 체계, 무기장비 현대화 등 군사분야 전반의 혁신을 본격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시진핑 시대 중국군의 군사혁신이 ‘육해통합(陆海统筹)’ 이라고 하는 지정학 전략 변화, 인공지능 등 신기술의 부상, 미중패권경쟁 심화라는 대외환경의 변화 속에서 개념과 기술이 함께 주도하는 전면 혁신의 과정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정보화전쟁, 지능화전쟁에서의 승리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시진핑 시대 중국 군사혁신의 양상을 분석한다. 특히,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 군사현대화의 목표 아래 지속적으로 그 규모가 축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보화 지능화 전쟁의 부상에 따라 상대적으로 해군, 공군에 비해 주목받지 못해왔던 중국 육군의 군사전략과 군사조직, 군사기술과 무기장비체계 혁신을 중심으로 중국의 지능화 군사혁신을 분석한다. 중국 군사혁신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시진핑 시대의 군사혁신, 중국육군에 대한 연구가 매우 취약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인 규모의 축소와 위상 약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국 군체계에서 중요한 역할과 위상을 가지고 있는 중국육군의 전략, 조직, 무기장비 혁신을 중심으로 시진핑 시대 중국 군사혁신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With the Xi Jinping regime, China has a dream of becoming a great power in the mid-21st century and becoming a world-class military power. RMA of Chinese PLA in the Xi Jinping era is pursuing intelligentization beyond mechanization and informatization. During the Xi Jinping era, the Chinese RMA is in full swing in the military field, such as military strategy, military organization, operation system, and modernization of weapon equipment as concept-led military innovation and technology-led military innovation interact. This study is focusing on analyzing the Chinese RMA under Xi regime, which is driven by not only a technology but also doctrine. This study shows that Xi jinping era’s Chinese PLA has been pursuing the comprehensive and full-scale RMA which have been driven by the change of national geo-strategy, the ris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US-China hegemony compet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 Army’s RMA. Despite the rising interest on the Chinese PLA modernization, few studies has focused on the the PLA Army, which has been smaller and less invested since the 1978 open and reform policy. Chinese PLA Army still plays an important role and has the status in the Chinese military system despite the recent reduction in scale and statur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in detail the aspects of the PLA Army’s RMA including the innovation of strategy, organization, weapon and equipment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군사혁신 4.0

        정춘일(Chung, Choon-il)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2

        세계는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무인자율, 3D 프린팅, 로봇공학, 인공지능, 신소재,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합성 생물학, 유전자 편집 등 모든 과학기술과 지식·정보 분야에 걸친 혁신이 미증유의 빠른 속도와 거센 힘으로 진행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린 것이다. 안보와 국방 분야도 4차 산업혁명의 본질과 특성, 기술 체계 등을 면밀하게 추적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새롭게 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이 군에 미치는 영향과 군의 대비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이제까지 인류 역사에 단절적 변혁을 가져온 문명 패러다임 속에서 군사 분야의 혁신이 어떻게 발생되었는지를 개관한다. 다음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군사 분야의 새로운 혁신(군사혁신 4.0)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 것인지를 조망해본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의 본질과 방향성, 4차 산업혁명시대의 안보패러다임 변화, 군사혁신 4.0의 창출 가능성과 그 방향 등에 관해 서술한다. 끝으로는 하나의 시론으로서 한국의 군사혁신 4.0 구현 개념과 지향 방향을 제시한다. The world has been caught in a whirling vortex of so-called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A new era in which innovations ranging from unmanned autonomy, 3D printing, robotics, artificial intelligence, new materials, internet of things, big data, synthetic biology to gene editing is rapidly emerging. In this context, the security and defence sector should also elucidate thoroughly the fundamental nature and the technology system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so that it can take necessary measures in a timely manner.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accelerating dramatically, on the military sphere, and devising the direction of the military accordingly. To this end, the paper first outlines how the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RMA) has emerged along with a civilization paradigm that has so far led to drastic changes in human history. Then, the following chapter discusses what new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RMA 4.0) will look lik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re specifically, it explores the nature and orient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ecurity paradigm shif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possibility as well as direction of the creation of RMA 4.0. Finally, from a point of current view,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 and aspects of implementation of Korea’s RMA 4.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