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verty and Poverty Reduction in Ethiopia

        Tegegne Gebre-Egziabher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0 Journal of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 Vol.1 No.1

        The pervasiveness and widespread nature of poverty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has made countries to focus on poverty reduction as one of their pre-occupations. The different dimension of poverty in Ethiopia shows that it i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The low level of income and calorie intake signifies the depth of poverty. Similarly, the low level of nutrition, low access to education and health compounds the problem. Trends in the different indicators of poverty, however, show that Ethiopia is in the trajectory of progress in terms of poverty reduction. In this regard,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s (PRSPs) have played a role towards betterment of income, health and education. Moreover the country has implemented specific poverty reduction measures that are aimed at direct and indirect attacks of poverty. The direct attacks are those which focus on food security and rural employment creation, urban employment creation and provision of low cost housing while the indirect attacks deal with economic growth and social service provision. Ethiopia needs to strengthen its pro-poor growth policy in order to succeed in reducing poverty.

      • Development Diplomacy and Partnerships for Social Policy at the Time of PRSPs: The Case of Decent Work

        Raymond Saner,Emanuele Sapienza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2 Journal of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 Vol.3 No.2

        In 2002,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decided to start an initiative aimed at increasing the Decent Work content of the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s (PRSPs) originally developed by the World Bank and the IMF. As the ILO Governing Body concluded its consideration of work in this area (March 2008), the present paper reviews the ILO experience from a partnership-building and development diplomacy point of view. The paper argues that, while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achieved, there is a need to take the process one step forward in order to trigger a significant reframing of the PRSP debate and a shifting of its boundaries. This step will involve a partial repositioning of the ILO’s partnership building within the PRSP process and an effort to move beyond the traditional tripartite constituency of the ILO and build more systematic alliances with other segments of the national civil society as well as global poverty reduction advocacy groups.

      • KCI등재후보

        북한의 국제금융기구의 가입을 위한 선결 조건에 대한 고찰: 법·경제 제도를 중심으로

        고재종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9 평화학연구 Vol.10 No.1

        At May 2008, in the local visitation of the Farm of the Gil-ju, Hamkyungbukdo, North Korea, Kim Jong-il said, "at present, it is most important thing that solved the food problem or the eating problem." In this fact, we understanded the food problem of the North Korea is very serious. The North Korea, for the self-reliance from the poor economic circumstances, is striving to the recovery of industrial production facilities and recovery of industrial production facilities. It is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hat can do the key role for the problems solving. But North Korea can not accept the Aid funds, at present. Because North Korea is not a member nations. For accepting the aid funds, first of all, North Korea must be satisfied with the admission condition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do enter into the member nation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herefore, in this article, I will inspect the next contents. Firstly, I will inspect the admission process and conditions of the exist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admission conditions changed by the recent finance crisis. Secondly, I will inspect the existed endeavors of the North Korea for the admission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in the future, what the solving problems for the admission is. Conclusionally, I think that the North Korea must be satisfied with the two conditions. Firstly, North Korea must have the support of the member nations for the admission into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Especially, the support of the U.S. Secondly, when the North Korea apply to the Organization for permission, the IMF's Membership Committee(MC) inspect the economic circumstance of the application nation and can demand the more data about the dubious conditions and items. In this course, the North Korea must give the member nations the confidence of the financial transparenc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upervision systems. 북한은 현재 식량난을 포함한 경제수준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제난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국제금융기구의 가입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국제금융기구의 가입 절차와 더불어 국제금융질서의 변화에 따른 가입조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둘째, 법·경제적 측면에서 국제금융기구의 활동으로 인하여 채택한 규범의 내용과 향후 변화 내용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북한은 국제금융기구 가입을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했으며 향후 해결하여야 할 과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북한은 우선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북한의 국제금융기구의 가입을 위해 국제금융기구가 요구하는 가입 조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요건으로는 금융의 투명성 확보와 더불어 확고한 감시체제를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은 이미 가입한 중국, 베트남 등의 모델을 모니터링하여 국내의 경제적, 법적 환경을 개선하여야 하는 한편 국제적으로 국제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국제금융기구와 빈곤 축소 프로그램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80

        <P>1990년대 후반 금융위기와 반세계화 운동에 직면해 국제금융기구는 대안적인 금융개혁 모델로서 통합발전 프로그램과 광범위한 빈곤 축소 전략을 수립했다. 이 연구는 일부 진보 학계에서도 수용되고 있는 이 대안적 모델이 사실상 신자유주의적 경제개혁의 본질을 유지하고 잇으며, 시민사회의 이름으로 경제적인 분야뿐 아니라 정치사회적인 분야에까지 시장의 논리를 확대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포스트 워싱턴컨센서스의 논리와 세계은행에서 강조되는 책무성, 참여, 권능강화 등의 논리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나아가 시민사회 논리와 결합한 신자유주의 논리가 마이크로파이낸스에 침투할 위험을 경고하고, 빈민의 권능강화이라는 목표하에 수행되는 실천이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성찰한다.</P>

      • KCI등재

        수원국 정책결정과정에서 구조조정정책의 역할과 한계: 세계은행의 탄자니아 빈곤감소지원 프로그램 사례 중심으로

        이지선 ( Jisun Yi ),손혁상 ( Hyuk-sang Sohn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4

        구조조정정책은 수원국의 정책결정과정 및 환경에 있어 본래 의도한 변화를 가져오는가? 본 논문은 세계은행이 2005년부터 2015년까지 탄자니아에서 실시한 공공부문의 빈곤감소지원 프로그램 사례를 다루며, 관료정치모델에 기반한 분석틀을 활용해 관계성, 개혁수용태도 그리고 개혁결과에 걸친 단계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서구의 구조조정정책은 신자유주의 정부개혁을 표방하는 국제금융기구들의 전통적인 원조프로그램들을 포괄하는데, 국제사회의 비판 및 시대적 요청에 따라 변모한 21세기 구조조정의 역할 및 영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탄자니아 정부 내 관료정치 상 분권화가 ‘내부로부터의 정부개혁시도’ 그리고 ‘비서구재원의 유입’이라는 새로운 기제들로 인해 발생하였고, 이는 세계은행 구조조정정책의 도입과 실행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전통적으로 세계은행과 탄자니아 정부는 재무부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 왔으나 2000년대 말부터 세계은행 지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다른 해외재원을 확보하려는 관료들의 전술적 태도가 발생하였다. 개혁수용태도에 있어서도 ‘이중성’을 띄게 되는데 세계은행과 재무부 간의 협력구도 안에서 작성된 국가발전전략 외에 2008년 발족된 대통령 직속 국가전략위원회 중심으로 중국의 지원을 활용한 경제 인프라 구축 중심의 자체적인 국가발전전략도 수립하게 된다. 해당 구조조정 정책은 자체적으로도 실질적인 변화가 부재했을 뿐만 아니라 결국 정부 내 공공부문의 실질적 역량 향상과 부패 감소에서 가시적인 변화를 유도하지 못하였다고 평가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dynamics of bureaucratic politics within developing countries when the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s (SAP) are introduced. Despite the skepticism about the efficacy of the SAPs, the neo-liberal, Western adjustment policy, in its revised forms, is still in place across the African contin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Tanzanian case in terms of how its state bureaucracy responded to a series of WB-supported structural reforms and what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entailed. The state elites were traditionally incentivized to have a close partnership with the Bank and the power was centralized at the Ministry of Finance. From the 2000s onwards, however, due to the growing aid inflows from China and the rise of endogenous development initiatives, the bureaucratic power became decentralized, thereby weakening the incentives of state bureaucracy for securing and implementing World Bank’s adjustment programs. Not only the decentralization within state bureaucracy but also the lack of genuine changes with the adjustment programs might have contributed to making little progress in the government performance of governance and corruption reduction throughout the implementation period.

      • KCI등재

        국제금융기구와 빈곤 축소 프로그램

        김성현(Kim Seong-Hyun)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80

        1990년대 후반 금융위기와 반세계화 운동에 직면해 국제금융기구는 대안적인 금융개혁 모델로서 통합발전 프로그램과 광범위한 빈곤 축소 전략을 수립했다. 이 연구는 일부 진보 학계에서도 수용되고 있는 이 대안적 모델이 사실상 신자유주의적 경제개혁의 본질을 유지하고 잇으며, 시민사회의 이름으로 경제적인 분야뿐 아니라 정치사회적인 분야에까지 시장의 논리를 확대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포스트 워싱턴컨센서스의 논리와 세계은행에서 강조되는 책무성, 참여, 권능강화 등의 논리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나아가 시민사회 논리와 결합한 신자유주의 논리가 마이크로파이낸스에 침투할 위험을 경고하고, 빈민의 권능강화이라는 목표하에 수행되는 실천이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성찰한다. Faced with the financial crisis and anti-globalization movements in the late 1990s,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constituted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grams and the extensive poverty reduction strategies as the alternative model of financial reforms. This study notes that this alternative policies preserve de facto the essence of neoliberal economic reforms and that they are extending the logic of market not only to the economic field but also to the socio-political fiel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 between the logic of emerging post-washington consensus and the democratic logic such as accountability,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sisted by the World Bank. Moreover this study reflects on the problems of practices conducted by the commitment for the empowerment of poor communities, denouncing the risk of the infiltration of neoliberal logic, combined with civil society, into the microfin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