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신선식품 신소매 모델과 기업사례분석: 코로나19 이후를 중심으로

        하몽원(He, Mengyuan),김성자(Kim, Sung Ja),이중희(Lee, Jung Hee)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4

        최근 몇 년 사이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신선식품 시장에 진출하는 전자상거래 기업들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가 중국 전역에 창궐하면서 비대면 비즈니스(Untact Business)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에 따라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시장도 급변하며 다양한 신소매(新零售) 모델들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신소매 모델의 발전 배경과 특징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신선식품 전자상거래의 단계별 발전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거의 연구가 되지 않은 중국 신선식품의 신소매 모델을 소개하고 각 모델별로 대표적인 기업사례를 비교분석 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신선식품 신소매 기업의 4가지 모델에서 나타난 경영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택배’ 모델의 대표적 기업인 징둥다오자(京东到家)는 판매망이 전국으로 확산해 있다. 특히 징둥닷컴과 연계하여 배송시스템을 운영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다. 둘째, ‘매장+택배’ 모델의 대표적 기업인 허마셴성(盒马鲜生)은 기존의 오프라인매장을 ‘오프라인 체험+온라인구매’ 방식으로 운영하여 소비자가 직접 신선식품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어 구매만족도가 높다. 특히 알리바바(阿里巴巴)의 방대한 빅데이터와 AI기술 등이 더해져 미래형 소매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전치창고+택배’ 모델의 대표적 기업인 메이르유셴(每日优鲜)은 대도시에 콜드체인시스템을 갖춘 전치창고를 두어 대도시에서 유리한 판매 형태를 갖추고 있다. 넷째, ‘사구(社區)소매점’ 모델의 대표적 기업인 싱성유쉬안(兴盛优选)은 지역주민의 신선식품 수요를 기반으로 하여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운영 중인데, 플랫폼이 활성화된다면 향후 중소도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 신선식품 신소매 기업은 단기간에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를 선호하는 중국 소비자들의 증가와 맞물려 더욱 빠른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우리 기업은 중국 신선식품 신소매의 변화와 흐름을 면밀히 파악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최근 몇 년 사이 높아진 중국인들의 자국 브랜드 선호도, 중국 소비시장을 이끌어가는 빠링허우(八零后, 80년대 생), 쥬링허우(九零后, 90년대 생), 링링허우(零零后, 2000년대 생)의 소비성향, 1인 가구의 증가, 인구 고령화로 인한 실버소비의 증가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중국 신선식품 신소매시장 진출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Since Ma Yun put forward the concept of ‘new retail’ in 2016, major enterprises have actively explored and deployed new retail.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mmerce of fresh food, e-commerce companies entering the fresh food market have rapidly increased. Fresh food is daily essential articles of diet, including fruits and vegetables, marine products, meat, and dried products. Considering the size of China"s population, the demand for fresh food is huge . Therefore, in the past two years, a series of online and offline mergers have emerged to explore new retail fresh supermarkets. The new retail giants, such as Alibaba"s Hemaxiansheng, Jingdong"s 7FRESH, have emerged. In particular, from the beginning of 2020, the COVID-19 has been affecting all over China, and the Untact Business has been rapidly developing. Along with this, e-commerce of fresh food has also developed and new models have emerged.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background and features of the new retail model, this study looked at the step-by-step development of fresh food e-commerce. In addition, the company introduced new retail models of fresh Chinese food products, which were rarely studied in Korea, and compared and analyzed representative corporate cases for each model.

      • 대형 백화점의 신규출점에 따른 예상 매출액 추정

        박철주,고윤배,김원겸,윤명길 한국유통과학회 2006 유통과학연구 Vol.4 No.2

        Retail is called location business becaus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stimate management of stores for retailers who are going to sell products directly to customers. Retailers' management achievements are shown in sale in general. Therefore, retailers tend to focus on ways to increase the numbers of customers in order to raise sales. First of all, in this research, I am going to examine the most fundamental models such as Reilly's retail gravitation, converse model, huff probability model and multiful losit model in selecting stores. Secondly, I am going to provide the process and analyzing ways to predict estimated sales amount with the previous theory model. Also I am going to predict estimated sales amount of the department store L which is located in D metorpolitan city. Lastly, I am going to argue about the problem of this research and the next research subject. Our main goal is to provide ways to complement and inspect sales estimation models, which can be used in fields after taking characters of high class structure of Korea into consideration on the base of previous research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my conclusion is that if the process of analysis and changing factors are complemented, revise model, which can reflect reality of Korea, will be provided. Therefore, in the future study, we have to build up theory models to suit for our retail market through critic reviews about the existing high class structure of Korea.

      • KCI등재

        대형복합쇼핑몰 입점이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

        이석규,이가연,서준혁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 new large-scale complex shopping mall on the welfare of consumers in a region (Changwon city). In particular, this investigation explained how it affects the acceptance of new large-scale complex shopping mall (ex..,Starfield)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nsumer welfare, which is increasingly being added in modern consumer-oriented studies. This study theoretically bases a TAM model that describes the acceptance of a new technology or system. In addition, the concept of “consumer welfare”, which is emerging from the new styled shopping mall evaluation research, will be addressed. This study derives the measurement variables by dividing consumer welfare into price and non-price aspects. Based on the measured variable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expected effect when opening the shopping mall compared to before opening of a large-scale complex shopping m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for consumers to make a decision to accept or oppose a large-scale shopping mall, the price effect and non-price effect of consumer welfare are focused on the convenience and ease of use of the large-scale shopping mall. In addition, the final acceptance decision is shown to depend on the convenience and ease of use variable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the evaluation on a large-scale shopping mall by address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sumer welfare effect variable, the ease of use and the relevance of use in the model.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welfare as the central idea in the point of emphasis on diversity as a consumer-oriented studies. Through this consumer welfare, this study contributes to constructing and applying a new evaluation model of a large-scale shopping mall by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se empirical analyzes enhanc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is model based on consumer welf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are analyzing the real retailing company (Starfield in Changwon city) branch, which is preparing for a new release in 2020. 본 연구는 대형복합유통점이 신규로 입점할 경우, 해당 지역의 소비자들의 후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를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소비중심의 사회에서 점차적으로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는 ‘소비자 후생(consumer welfare)’이라는 관점을 통해서, 신규 대형복합유통점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이나 시스템의 수용을 설명하는 TAM 모형을 확장하여 이론적인 기반으로 한다. 또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소비자 후생’을 가격요인과 비가격요인으로 나누어 측정변수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측정변수를 활용하여, 대형복합유통점의 입점이전 대비 입점할 경우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효과를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대형복합유통점 입점시 그 서비스 이용에 대해서 수용하거나 혹은 반대하기까지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후생요인을 통해서 영향을 받게된다. 특히 후생요인들 중 가격요인와 비가격요인을 통해서, 대형복합유통점의 사용편의성, 사용의 용이성을 매개변수로하여, 최종 수용 및 반대의 의사결정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자 후생요인 변수와 사용의 용이성 및 사용의 적합성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대형복합유통점의 수용/기각에 이르기까지의과정을 모형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의 사회로 다변화하는 현 시점에서 소비자 후생을 중심축으로 살펴봤고, 신규 입점이란 측면에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여 적용하였다는 공헌점이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들은 최근 신규입점을 준비하고 있는 S사의 스타필드 창원점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여 연구결과의 실무적 적용가능성이 높다는 것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중국 소비시장의 새로운 플랫폼- 신소매를 통한 중국 전통브랜드(老字号)의 발전전략-

        오혜정 중국인문학회 2019 中國人文科學 Vol.0 No.72

        As Chinese government started converting its paradigm of economic development to consumption-oriented one, various changes have emerged in consumption structure and consumption behavior. Expansion of mobile-oriented consumer market by utilization of the internet platform and convenience of mobile payment system is the biggest cause of changes in Chinese consumption structure. Among those strategies, 'New Retail,' introduced in 2016, has combined advantag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and solved consumer's service experience and of existing online distribution problems. And it is also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as well as operation efficiency of companies or relevant platforms by upgrading the entire consumption process. This study has analyzed development status and development models of 'New Retail' focusing on the example of new retail model of 'Lao Zihao: China Time-honored Brand.' In addition, it has suggested opinions for direction of consistent development of Lao Zihao and New Retail strategy.

      • 리테일 산업의 비즈니스모델 변화 연구: 중국 융후 차우지우종 사례를 중심으로

        ( Haochen Guo ),( Junic Kim ) 국제지역학회 2020 국제지역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0

        리테일은 산업은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인터넷이라는 환경 속에서 자신들에게 맞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어떻게 인터넷이라는 환경 속에서 전환하는가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로 나서고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구분하여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최근 변화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인 ‘New Retail’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 소매기 업들이 어떻게 온라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모델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혼합하여 사용하는지에 대한 리테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을 ‘New Retail’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귀납적 추론을 위해 우선 리테일 산업,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관한 핵심적인 선행 문헌들을 분석하고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리테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개념적 구도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중국 전통 리테일 기업인 ‘영휘마트 (永辉超市)’의 혁신적인 사업-차우지우종을 사례로 분석하여 모델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의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 및 그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의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 사이에 상호 촉진하는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리테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내재적 메커니즘에 대해 서술하였다.

      • 中国消费市场的新平台 -中国传统品牌(老字号)借力新零售发展战略-

        吳惠貞(Oh, Hye-ju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20 한국중어중문학회 우수논문집 Vol.- No.-

        As Chinese government started converting its paradigm of economic development to consumption-oriented one, various changes have emerged in consumption structure and consumption behavior. Expansion of mobile-oriented consumer market by utilization of the internet platform and convenience of mobile payment system is the biggest cause of changes in Chinese consumption structure. Among those strategies, ‘New Retail,’ introduced in 2016, has combined advantag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and solved consumer’s service experience and of existing online distribution problems. And it is also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as well as operation efficiency of companies or relevant platforms by upgrading the entire consumption process. This study has analyzed development status and development models of ‘New Retail’ focusing on the example of new retail model of ’Lao Zihao: China Time-honored Brand.’ In addition, it has suggested opinions for direction of consistent development of Lao Zihao and New Retail strategy.

      • KCI등재

        Analysis of the New Retail Model of E-Commerce in China

        Dongjinglu Chen,김정호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1 아태연구 Vol.28 No.2

        By applying advanced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sinesses are upgrading and transforming all links from the production stage to the final delivery of goods to customers, thereby reshaping the entire e-commerce ecosystem. This paper analyzes the new retail model of e-commerce, and discusses its differences with the traditional model of e-commerc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which model is more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s by utiliz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ology. Experts working at top Chinese e-commerce companies were surveyed on four main criteria (technology, consumer, merchandise, and operation). By analyzing their responses, the reasoning behind why these four major criteria obtained their corresponding weights was studi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ustom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our criteria, while technology seems to be less significant. Among the sub-criteria, the convenience of consumption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he new retail model of e-commerce, which has started to flourish in China, is found to be more in line with current trends. This paper shows the reasons why the new retail model of e-commerce is important at a practical level, and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current status in China.

      • KCI등재

        중국 신소매 신선식품마트의 선택속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장몽교(Zhang, Meng Jiao),류미현(Ryu, Mi Hy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2

        신소매는 소비자 체험 중심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유통 형태이며, 중국에서도 크게 관심을 가지는 분야이다. 중국의 신소매 신선식품마트는 식재료의 안전성을 강조하여 운영하고 있어 식품안전에 관심이 많은 중국소비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 중국 기업뿐만이 아닌 한국 기업들도 중국 신선식품 시장에 진입하고 있으며, 시장 확대를 위해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의 신소매 신선식 품마트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이용에 도움이 될 것이며, 중국 진출 한국 기업들의 신소매 신선식품 마트에 대한 이해와 진출 전략을 모색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중국 소비자의 신소매 신선식품마트의 선택속성 중 배송 및 결제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수용모델 관련 변수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신소매 신선식품마트 선택속성인 제품구색, 마트앱, 조리 및 식사공간이 신소매 신선식품마트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신소매 신선식품마트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제 및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 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소매 신선식품마트에서는 취급상품 특성상 식품 안전에 대한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결제안전이나 정확한 배송도 중요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New retail is a new form that u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entering on consumer experiences and it is a field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s also greatly interested in. New retail fresh food marts emphasize the safety of food items and thus are getting much attention from Chinese consumers, who are deeply interested in food safety. Korean businesses, in addition to Chinese businesses, are advancing into the Chinese fresh food market and preparing new strategies for market expansion. This study figured out factors that influence the new retail fresh food mart use intentions of Chinese consumers and through this, it will support the rational utilization of consumers and it will help Korean businesses advancing into China in their understanding of Chinese consumers and in their search for expansion strategies. Observations of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 that first, of the new retail fresh food mart selection attributes of consumers, delivery and payment levels were highest. Second, it was shown that, of variables related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of new retail fresh food mart selection attributes, product assortment, mart application, and cooking and eating spaces had a positive effect on new retail fresh food mart use intentions. Thir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new retail fresh food mart use intentions and i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y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use intentions. Therefore, as trust in food safety is characteristically important with regard to goods handled in fresh food marts and as payment safety and accurate delivery are also important, efforts to secure trust in these aspects are in further demand.

      • KCI등재

        중국의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쥬얼리 브랜드 비즈니스 모델 연구

        김초혜,신재협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현재 중국의 쥬얼리 시장은 뉴 리테일 시장 환경으로 변화 하고 있다. 중국 국민의 소비성향 또한 실질적인 가치 추구에 서 가상의 가치 추구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대 표적인 쥬얼리 브랜드의 비즈니즈 모델에 대한 리서치를 통 하여 쥬얼리 브랜드 마케팅의 문제점을 찾아내며, 비비노(VI VINO)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포지셔닝 맵(Positioning Map)을 통하여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안 하였다. 연 구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중국 쥬 얼리 브랜드는 대형 온라인 이커머스 플랫폼에 입점하여 뉴 리테일 인프라를 형성하려 하고 있지만 이러한 비즈니스 모 델은 단기적인 브랜드홍보에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하지만 이커머스 기술력을 활용하여 자사 브랜드의 독립 플랫폼을 형성하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쥬얼리 브랜드의 가치 전달과 홍보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 째, 중국의 GDP 증가로 쥬얼리 소비자의 소비 성향은 가성비 중심에서 라이프 스타일 중심으로 변화 하였다. 그렇기 때문 에 쥬얼리 브랜드의 가치 제안 또한 변화하는 소비자 욕구에 맞게 대체 할 수 없는 브랜드만의 가치를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모든 고객에 대한 동일한 서비스 보다는 소비자의 등급 분리에 의한 서비스가 브랜드의 규모 확장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중국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쥬얼리 브랜드 비즈니스 모델의 현황연구를 통하여 문제점들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방법과 중국의 뉴 리테일 시장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hinese market is changing into a new retail mark 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nsumption tendency of the Chinese people is also shifting from pursuing practica l values to pursuing virtual values. This study finds the problems of jewelry brand marketing through research o n the business models of representative jewelry brands i n the Chinese jewelry market, and solves the problems th rough VIVINO's business model canvas and Positioning Map. I was trying to come up with a solution. From Rese arch result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 st, Chinese jewelry brands are trying to form new retail infrastructure by entering large online e-commerce platfo rms, but it can be seen that this business model is only helpful for short-term brand promotion. However, it can be seen that forming an independent platform for own br and using e-commerce technology is more effective in de livering and promoting jewelry brand value from a long-t erm perspective. Second, Chinese consumers' propensity to consume jewelry has changed from pursuing cost-perf ormance to pursuing lifestyle. Therefore, the value propo sition of jewelry brands must also provide a lifestyle uniq ue to the brand that cannot be replaced to meet the chan ging consumer needs. Third, separation of consumer rati ngs rather than past regional services helps to expand th e brand's scale. This study finds the problems of the jew elry brand's business model in the current Chinese new retail market, presents a solution, and is expected to pres ent a business model suitable for the Chines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