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정상회담과 북핵문제

        황지환(Jihwan Hwang)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3 국제관계연구 Vol.18 No.1

        남북정상회담은 북핵문제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을까? 남과 북은 그동안 정상회담을 통해 북핵문제 해결에 접근하고 남북관계를 조율해 왔는가? 아니면, 북핵문제가 남북정상회담 개최 논의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왔는가? 이 글은 1990년대 초반 이후 20여 년 동안 지속된 북핵위기의 과정에서 남북정상회담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고, 북핵문제가 향후 남북정상회담 개최 논의 및 협상에 미치는 영향을 리더십 변수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1) 1994년 김영삼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 간의 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 2)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간의 제1차 남북정상회담, 3) 2007년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간의 제2차 남북정상회담, 4) 2009년 이명박 정부 당시의 정상회담 협상 사례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박근혜 정부에서의 3차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북핵문제의 전개과정과 연결시켜 분석한다. How do w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Korean summit meeting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oes the summit meeting between two Koreas lead to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help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Or, does the nuclear issue gives a strong influence on the summit meeting?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summit meetings between two Koreas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n nuclear crisis since the early 1990s, and seeks to predict the influence of the nuclear issue on the summit meeting, adopting the leadership variable. In this sense, this paper revisits four cases of inter-Korean summit meeting under Kim Young-Sam, Kim Dae-Jung, Rho Moo-Hyun, and Lee Myung-Bak governments. This paper finally summarizes the outcome of research and produces the possibility of the third summit meeting between two Koreas under Park Geun-Hye government.

      • KCI등재

        제1차 남북정상회담, 2000: 장기갈등론적 분석

        장경룡 ( Chang Keung Ry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장기적 갈등을 설명하는 이론적 시도는 진행되어 왔으나 장기갈등에서 발생하는 화해의 실패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남북한 장기갈등 또한 많은 화해의 실패를 겪었다. 장기갈등은 왜 성공적인 화해를 이루는 데 어려움을 겪는가? 이 논문의 목적은 위의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2000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을 사례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남북한 화해의 실패가 국가이익과 국가정체성에 대한 남북한의 충돌, 남한에 대한 북한의 부정적 인식, 그리고 남한에 대한 북한의 제도화된 의지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Although theoretical endeavors to explain long-term conflict have developed, not much effort was made on the aspect of accommodation failures in a long-term conflict. The inter-Korean long-term conflict also had numerous accommodation failures. Why does a long term conflict experience difficulties in making a successful accommo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first inter-Korea Summit Meeting in 2000 is studied as a case. From this study, we have learned that the inter-Korea accommodation failed due to both Koreas` conflict over not only national interest but national identity, to North Korea`s negative perception of South Korea, and to North Korea`s institutionalized commitments against South Korea.

      • KCI등재

        대북 비핵화 외교 평가와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

        김성한(金聖翰)(Kim Sungha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3

        비핵화 외교의 기본 전제는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불가역(不可逆)적 조치를 보여주기 전까진 대북제재를 완화하거나 남북경협을 본격화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핵화보다 남북관계 개선이 앞설 때 대북 비핵화 외교는 제대로 효과를 낼 수 없게 된다. 역사적인 4.27 남북 정상회담과 6.12 미북 정상회담이 이뤄졌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데는 ‘때 이른’ 종전선언을 요구하며 핵 프로그램의 동결 및 신고를 거부하고 있는 북한에게 일차적 원인이 있지만, 한미공조보다 남북관계를 우선시 하는 것처럼 보이는 한국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미국 역시 북한이 내건 종전선언 프레임을 신속하게 비핵화 프레임으로 바꾸지 못해 마치 미국 때문에 비핵화 협상이 답보상태에 있는 것처럼 비춰지게 만든 것도 문제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자신의 선의(善意)에 감동하여 북한의 김정은 정권이 비핵화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낭만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북한의 핵능력에 대한 억지력과 방어력 구축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한다. 북한 핵에 대한 최대의 억지력은 한미동맹이므로 이를 잘 유지해야 하고, 북한의 핵사용에 대한 방어를 위해 한미연합전력을 강화하고 ‘3축 체제’를 완성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조치들은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완성할 경우 상당부분 조정이 필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그러한 조정을 사전에 취함으로써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 낸다는 것은 안보정책의 근간을 흔드는 조치일 수밖에 없다.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는 한 대북정책의 핵심 기조는 견고한 안보체계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자세를 가지고 비핵화 외교와 억지 및 방어책을 마련할 때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South Korea’s denuclearization diplomacy is premised upon the principle that sanctions would not be eased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ould not be initiated unless North Korea shows irreversible actions toward denuclearization. There will not be tangible results when inter-Korean cooperation precede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Lukewarm progress in denuclearization is mainly the result of North Korea’s premature demand for an end of war declaration despite its refusal to freeze and declare its nuclear program. The ROK government is also responsible since it appears to put inter-Korean cooperation before ROK-US policy coordination. In addition,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has been clumsy and not dealt appropriately with North Korea’s demand for an end of war declaration. The United States has not clearly rebuffed the idea of such a declaration, implying that it is interested in exchanging it for North Korea’s declaration of its nuclear programs. South Korea needs to escape romantic thinking that North Korea will move in the right direction and reciprocate South Korea’s good faith gestures. Rather, South Korea should build and reinforce its deterrence and defense capabilities against North Korea. The best deterrence and defense capability comes from the ROK-US alliance and South Korea’s “three-axis” system, although they will have to be adjusted when North Korea gives up its nuclear weapons program. South Korea’s security posture is likely to be weakened when South Korea makes readjustment measures before North Korea moves closer to final denuclearization. As long as North Korea continues to possess nuclear weapons, South Korea should make strong national security its top priority, and make it the foundation of its denuclearization diplomacy while taking measures for deterrence and defense. These combined efforts will push North Korea toward the right direction.

      • KCI등재

        남북 및 북미정상회담이후 한반도 평화정착의 추진방향과 실천과제

        김학성(Kim, Hak-Su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18 정치정보연구 Vol.21 No.3

        남북 및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번의 비핵화 협상은 과거 협상들과 달리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첫째로 북한이 핵탄두의 경량화와 대륙간탄도탄 발사에 성공했기 때문에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가 불가피 하다. 둘째, 김정은 정권은 국내적 정통성 확보를 위해 경제발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위해 대북제재 해소는 물론이고 서방의 경제협력이 절실하다. 셋째, 김정은의 권력승계이후 교체된 남한과 미국의 리더십은 변화된 한반도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물론 비핵화 문제는 북미협상에서 결정될 것이며, 남북관계 개선은 그 결과에 커다란 영향을 받을 것이다. 문제는 북미사이의 신뢰부재로 인해 비핵화협상이 결코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사실 비핵화 문제는 한반도 평화정착의 필요조건일 뿐이다.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여러 차원의 충분조건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비핵화 협상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분야의 협력과 유관국들 사이의 상호이해가 연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여기에 한국정부가 감당해야 하는 여러 과제와 역할이 있다. The inter-Korean summit and U.S.-North Korean summit meeting eventually provided a momentum for the beginning of negotiations on the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it should be very possible that the recent negotiations will produce successful results. This argument can be back up by three reasons; first of all, North Korea has succeeded in producing operational nuclear warheads and launching its ICBM. The second reason is that Kim Jong Eun regime has eagerly pursued achievement of economic development in order to secure his domestic legitimacy.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for the regime not only to overcome international sanctions on North Korea but also to launch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West. Last but not least, leadership chang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uld make it possible to actively respond to the changing rea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decided through the U.S.-North Korean negotiations, while the negotiations might greatly influence the process of developments of inter-Korean relations. But it would not be easy to expect that the negotiations will proceed smoothly, considering the lack of mutual trust between USA and North Korea. In fact,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is only a necessary condition for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For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several sufficient conditions be met. Namely,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should be pursued jointly in various fields of cooperation necessary for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utual understanding among related countries. In these context this paper is summarizing various tasks and rol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bear.

      • 대북정책에 대한 여론 변화 추이 - 1995년 이후를 중심으로 -

        이주철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2007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Vol.10 No.-

        In the process of the ch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Koreas,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he public supports, leading to the frequent surveys on the public idea about the reunification. These surveys are carried out by several political parties, the press, social organizations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own policy making as well as to obtain the public approval. Since the surveys on the public idea about the reunification has been carried out constantly after the inter-Korean summit meeting, it has now become possible to understand the flow of public opinion not from a temporary point of view, but a long-term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public surveys according to their themes, aiming to understand the shift of public opinion after 1995, the year of the food assistance toward the North. Seen from the flow of the public opinion, South Korean people will be likely to continue the support the engagement policy with the North. However, the South Korean are discontent with the concrete ways of applying the policy, wanting the government to respond in a more flexible way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North. Therefore, in order for the South government to obtain a dynamic support from its people, more ‘practical results’ are to be induc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point that a majority of its people support the ‘flexible engagement policy’ in promoting the policy toward the North in the future. Consequently, it is more desirable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promote the policy toward the North in the way to obtain the concrete ‘certain result’ of its engagement policy. This will lessen the internal conflicts in South Korean society, and enable a more sustainabl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 the long r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