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재정경제학

        김병주(Kim, Byoung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6

        교육의 모든 측면이 국제적 관점에서 비교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교교육학은 교육학의 대부분 분과학문과 연구주제를 공유할 수 있다. 특히 제도와 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교육재정경제학은 비교교육연구에서 중요한 영역의 하나가 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비교교육학과 교육재정경제학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교육재정경제학 자체의 발전뿐만 아니라, 비교교육학적 관점에서 교육재정경제학이 지금보다 발전하기 위한 몇 가지 과제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재정경제학 연구방법 및 접근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교육재정경제학에 대한 비교교육학적 연구나 탐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재정경제학의 독자적인 이론체계 구축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비교교육학은 이러한 교육재정경제학의 이론적 지향점이나 방향에 대 한 국제적 비교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적 교육재정경제학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해야 한다. 토착화되고 독자성을 확보한 교육재정경제학의 토대 위에서 국제적인 관점의 교육재정 및 교육경제학에 대한 다양한 비교교육학 적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재정경제학은 교육학의 어느 분야보다 비교교육학적 분석이 필요한 분야이다. 앞으로 이들에 대하여 비교교육학적 관점에서 더욱 활발한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In that all aspects of education can be compared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Comparative Education can share research subjects with most of the subdisciplinary study of Education. Especially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institutions and policies of education,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areas in Comparative Education studies. In this regard, this paper summed up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rative Education and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itself, but also in point of view of Comparative Education, it is as follows to discuss several tasks for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to develop from now on.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methods and approaches to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Comparative Educational studies or exploration o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should require additional analysi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Second,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n independent theoretical framework for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Comparative Education may also be interested in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these theoretical orientations or directions of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Third, we have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Korea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Various comparative educational studies o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of Educ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should be attempted on the basis of indigenous and independent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are areas in which comparative educational analysis is needed more than any other study field of Education. We look forward to more active research on Educational Finance and Economics in the future from a comparative educational standpoint.

      • KCI등재

        교육복지재정의 방향과 과제

        김민희(Kim, Min-H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1 No.1

        As importance of educational welfare is emphasized, an effort for implementing a concept & model of educational welfare and a legal・institutional support system has been considerably progressed. However, the analysis and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welfare finance of supporting this realistically were sh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 about educational welfare finance by setting limits to educational welfare policy, which is being driven now by the dimens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self-government, and was to suggest direction and task to which the educational welfare finance will need to advance in the future.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 about educational welfare finance were analyzed the scoring criteria of the Standard Fiscal Needs for common subsidy, the present status of operating special subsidy, and the regional disparity in light of organizing city-province education special account. Inefficiency was suggested that fails to be supported according to students' need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educational finance.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e future educational welfare finance needs to be established in the direction of pointing to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safety, responsibility,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The main task wa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security, distribution, expenditure(operation), evaluation, and legal support plan after forming the national educational welfare committee in the national dimension. The future educational welfare needs to be driven in the form of securing all students' basic right of education and implementing positive view of educational welfare, which is embedded in the school curriculum. For this, even the whole process of operating educational welfare finance was emphasized to be necessarily changed into a method of student-customized integrated support within unit school. 교육복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교육복지의 개념과 모형, 법적・제도적 지원체제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상당 부분 진행되어 왔으나,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교육복지재정에 대한 분석과 논의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현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교육복지정책의 범위에 한정하여 교육복지재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교육복지재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육복지재정의 현황과 문제점은 보통교부금의 기준재정수요액 산정기준, 특별교부금 운용 현황, 시도교육비특별회계편성에 비추어 지역간 격차를 분석하였고, 교육재정 운영 과정에서 학생들의 필요에 따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비효율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복지재정은 통합성, 안정성, 책무성, 협력적 거버넌스의 원리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하며, 국가차원의 국가교육복지위원회를 구성하고, 교육복지재정의 확보, 배분, 지출(운영), 평가, 법적 지원방안으로 구분하여 주요 과제를 제시하였다. 향후 교육복지는 모든 학생들의 교육기본권을 보장하고 학교교육과정 속에 내장된 적극적인 교육복지관을 구현하는 형태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복지재정의 전체 운영 과정도 단위학교 내 학생 맞춤형 통합지원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지방교육재정 관련법규의 구조와 개선방안

        조평호(Cho Pyong-Ho)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3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은 지방교육재정확보와 배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법률이다. 이에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위상과 지방교육재정관련 법규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지방교육재정의 이해를 돕고 법률적 체계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지방자치법, 지방재정법,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시행령과 시행규칙), 시ㆍ도교육비특별회계재무규칙, 국ㆍ공립초ㆍ중등학교회계규칙의 관련 법규를 탐색하였고 이들 관계법규의 상하관계 또는 직간접적인 관계의 분석을 통하여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위상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구조화하고 지방교육재정관련 법규에 대하여 지방교육재정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은 교육기본법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제정되었고,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국ㆍ공립초ㆍ중등학교회계규칙은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과 관계를 가지고 있고, 시ㆍ도교육비특별회계재무규칙은 예산회계법, 지방재정법의 직접적인 영향과 지방자치법,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관련법규는 초ㆍ중등학교교육, 지방교육자치관련, 예산회계관련법규 들과 다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지방교육재정관련법규를 하나의 법규로 통합하여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재의 지방교육자치와 지방자치는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재정역할 증대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교육재정 등 책임을 강화하여야 하며, 지방교육자치제도에 관한 주민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Local Education Grant Law is the most important law in raising and allocating funds for local education.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and explore its legal system by analyzing the status of the Local Education Grant Law and laws related to local educational finance. For this, we reviewed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Act on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he Local Finance Act, the Local Education Grant Law (the Enforcement Ordinance and detailed enforcement regulations), Special Accounting and Finance Rules for Educational Expenses of Cities and Provinces, and Accounting Rules for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easured the status of the Local Education Grant Law by analyz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 or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 among these relevant laws, and structured the relation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ntents of laws related to local educational finance and identified problems in the laws. The Local Education Grant Law was established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is affected indirectly by the Act on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ccounting Rules for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s related to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Special Accounting and Finance Rules for Educational Expenses of Cities and Provinces is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Budget and Accounts Act and the Local Finance Act and under the indirect influence of the Local Autonomy Act and the Act on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addition, they are related to various law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nd budgets and accounting.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laws related to local educational finance into a law. Currently,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s in an interdependent relation with local autonomy, local self governing bodies’ responsibilities for local educational finance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heighten their roles in educational finance. Moreover,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needs to be publicized further among local residents.

      • KCI등재

        시·도의 ‘교육재정부담금 전출 제도’가 교육재정 운용 효율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허훈구(Heo Hun Gu),이윤중(Lee Yun Jo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재정부담금 전출 제도’ 시행에 따른 시·도 법정이전수입의 전입 변화가 시·도교육청의 안정적·효율적인 재정 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예산의 이월액은 안정적·효율적 재정운용을 측정하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교육재정부담금의 전출에 관한 조례」 제정·시행에 따른 시·도교육청 교육예산의 연도별 이월액 발생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출 조례」가 시·도교육청의 안정적·효율적 재정 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시·도가 「전출 조례」를 제정·시행한 결과, 다소 미흡한 수준이지만 시·도의 법정이전수입이 적기에 전입되는 모습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또한 이 조례의 제정·시행이 시·도교육청 교육예산 이월액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시·도교육청의 안정적인 예산 확보와 원활한 사업집행·예산 지출을 통한 효율적인 교육재정 운용을 위해서는 「전출 조례」의 제정과 더불어, 시·도가 이를 성실히 이행하려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setting up an ordinance about transferring educational finance allotment and managing stable and efficient finance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t’s based upon the premise that the carryover accounts of the budget is often barometers of managing stable and efficient fin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analysed change of year-on-year carryover accounts of educational budge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ccording to setting up an ordinance about transferring educational finance allotment. Furthermore we examined how an ordinance affects managing stable and efficient finance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legal transfer income of local governments is transferred on time. It s improving gradually. And also, according to setting up an ordinance about transferring educational finance allotment, the carryover accounts of educational budge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ems to be decreased. So, in order to secure a stable budge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o manage efficient educational finance through seamless business and budget spending smoothl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have to set up an ordinance about transferring educational finance allotment and try to follow an ordinance faithfully.

      • KCI등재

        새정부 교육재정정책 및 법제의 주요 이슈와 과제

        남수경 대한교육법학회 2022 敎育 法學 硏究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issues and tasks of the new government's education finance policy and legislation. To this end, firs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finance in Korea was examined, second, the principles of operation of education pledges and education finance policies affecting education finance of the new government were summarized, and third, major issues and tasks for improving local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finance were presented. To summarize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local education finance, a plan was proposed to stably secure labor costs for faculty members through the revival of remuneration grants and to support educational activity operating costs with domestic taxes. Second, education tax revenue, which is one of the financial resources for local education finance grants, needs to be reviewed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of local education finance in the future, the current local education finance analysis and diagnosis system needs to improve indicators and utilization measures to confirm educational investment performance. Fourth, in order to secure stable higher education financ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operate the 'Special Account for Higher Education Support' with the goal of more than 1.0% of GDP, which is the OECD national average. 이 글은 새정부 교육재정정책 및 법제의 이슈와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우리나라 교육재정의 실태를 살펴보고, 둘째, 새정부 교육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공약과 교육재정정책의 운영 원리를 정리하여 제시하며, 셋째, 유・초・중등교육을 기반으로 한 지방교육재정과 고등교육재정 각각의 주요 이슈와 새정부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지방교육재정의 경우 보수교부금의 부활 등을 통해서 교직원의 인건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내국세로 교육활동운영비를 지원하는 재원의 다원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재원의 하나인 교육세 수입은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 등의 목적으로 활용하도록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 및 책무성 제고를 위해서는 현재의 지방교육재정 분석진단제도는 교육투자성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표나 활용방안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등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OECD 국가평균인 GDP 1.0% 이상을 목표로 ‘고등교육지원특별회계’를 도입, 운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재정의 협력적 지원 및 운영 사례 연구: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최현정,남수경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4

        [연구목적]이 연구는 분권화된 단일국가 네덜란드를 대상으로 교육재정의 서로 다른 이해관계기관들이 협력적으로 교육재정을 운영하는 사례를 통하여 현재 논쟁의 중심에 있는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문헌 연구의 기틀 위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실행하였다. 첫째, 네덜란드의 교육재정 현황과 특징적인 제도를 살펴보고, 둘째, 교육재정 부담 주체별로 학습자를 위한 지원 분석을 통해, 각 교육 재원 주체들의 연계·협력 지원을 유·초·중등교육 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셋째, 일반자치와 교육자치가 상호 협력·연계하기 위한 재정 구조를 위해 향후 우리나라 교육재정 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교육재정의 운영원리로서 적정규모 확보를 기반으로 한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상호·연계 협력을 강화할 것, 둘째, 공립과 사립학교 전반에 대한 재정 지원과 자율성을 확대하되, 단위 학교 차원의 책무성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성과관리체제를 유지할 것, 셋째,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의 교육재정에 대한 지원 역할을 강화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debat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and local aut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finance in South Korea, using the analysis of Dutch educational finance, which is a decentralized unitary state. [Method] The specific objectives are progressed by utilizing the literature review as follows; first, to overall review Dutch education finance trends and its main characteristics; second, to analyze educational finance sources according to households and enterprises so that students, parents, and institutions are supported from pre-primary to upper secondary education; and lastly,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nance in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discourses on cooperation and linkages autonomy from Dutch education finance. [Result &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as an operating principle of education finance, mutual and linked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and general autonomy based on securing an appropriate scale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it was proposed to expand support and autonomy for overall finance for public and private schools, but maintain a sustainabl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y strengthening accountability at a school level. Third, it requires to enhance the support role of local governments and enterprises in education finance.

      • KCI등재

        조선후기 중앙교육재정의 규모 추정

        정덕희 ( Duk Hee Cheung ) 한국교육사학회 2012 한국교육사학 Vol.34 No.4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nnual expenditure structure of central education finance in the late Chosun Korea by confirming fiscal expenditure patterns of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a quantitative index based on the calculation of annual expenditure size of central education fin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nnual expenditure size of central education finance in the late Chosun Korea was extremely small, which was about 31,000 Nyang(兩) occupied only to 0.65% out of central finance. Regarding the number of established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that size was significant level compared that of today. The allocation pattern of central education finance revealed that it was excessively concentrat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f Confucianism, for example, the allocation rate of Sungkyunkwan(成均館) and Sahak(四學) was 70.5% whereas tha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echnical training was 29.5% out of central education finance. Especially, the allocation rate of Sungkyunkwan was definitely high, which was 57.9%. The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ungkyunkwan stud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hat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was 1.46 times higher than Sahak, and 7.7 times higher than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echnical training. In the allocation patter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echnical training, the rate of Sayokwon(司譯院) was definitely high, which was 35.6%. But the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and the student per teacher of Kwansangam(觀象監) showed significant qualities compared those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echnical training. 이 연구는 조선후기 중앙교육재정의 규모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여러 교육기관에 대한 재정지출 양태를 수량적 지표로 확인함으로써 조선후기 중앙교육재정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조선후기 중앙교육재정의 규모는 3만 1천여 냥으로 중앙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65%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낮았다. 그러나 당시 설치된 교육기관의 숫자를 감안하면 순수 국고회계를 기준으로 한 중앙교육재정의 투입 규모는 오늘날과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된다. 중앙교육재정의 배분(Allocation)에서 성균관과 사학(四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70.5%로서 유학(儒學) 교육기관에 지나치게 편중되었으며, 기술학교육기관의 그것은 29.5%에 지나지 않았다. 특히 성균관은 중앙교육재정에서 57.9%를 차지함으로써 절대적 비중을 나타냈다. 성균관 생도의 1인당 교육비는 146냥으로서 사학(100냥)의 1.46배, 기술학교육기관(19냥)의 7.7배로서 큰 격차를 보였으며, 교관 1인당 생도수는 성균관 3.2명, 사학 5.0명, 기술학교육기관이 평균 11.8명이었다. 한편 기술학 교육기관만을 대상으로 한 중앙교육재정의 배분에서 사역원이 전체 기술학 교육재정의 1/3이 넘는 35.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이 관상감 18.5%, 율학청 11.4%, 혜민서 11.3%, 전의감 9.1%, 산학청 8.5%, 도화서 5.5%의 순이었다. 그리고 관상감의 경우, 생도 1인당 교육비는 29냥으로 여타 기술학교육기관들보다 2배 정도 많았으며, 또 교관 1인당 학생수는 7.5명으로서 사역원을 제외한 여타 기술학교육기관에 비해 1/2∼1/4 정도의 낮은 수준을 유지하여 교육의 질적 수월성이 가장 두드러졌다.

      • KCI등재

        초 중등 교육재정의 전망과 과제

        송기창(Ki-Chang Song),윤홍주(Yun Hongju)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1

        이 연구는 지난 10년의 초·중등 교육재정 변화를 토대로 교육재정 운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미래 교육환경과 중장기 재정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초·중등 교육재정의 전망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초·중등 교육재정은 세입 측면에서 연도별 변동 폭이 크고, 부족한 세수는 지방교육채를 통해 보충했으며, 자체수입의 비중은 크게 감소하였다. 세출 측면에서 인건비 비중은 감소한 반면, 교육복지 지출은 증가해왔으며, 학생 수 감소에도 교육여건 개선사업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미래 교육환경 변화로는 지속적인 학령인구 감소, 지방소멸과 지역격차의 확대, 경제성장의 둔화,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 등을 들 수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복지 분야의 투자 확대 등으로 교육재정 축소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전망이다. 초·중등 교육재정의 전망과 과제에서는 외부적으로는 내국세 교부율 유지, 일반재정과의 통합 요구에 대한 대응, 교육재정 운영의 효율성 요구, 재정분권에 따른 재정확보의 중립성 유지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국가 교육정책 추진에 따른 사업재원의 안정적 확보, 적정교육비 중심의 교육재정 확보와 운영, 교육활동 핵심서비스에 대한 투자 강화, 후진적 교육비 부담 구조의 해소, 학교급 간 합리적 재원 배분, 교육격차 해소와 재정의 책무성 제고의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inance operation based on revenue and expenditure chang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finance over the past decade, describe and predict the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id-long-term finances, and present prospects and task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financ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finances have large annual fluctuations in terms of revenue, supplemented insufficient tax revenues through local education bonds, and the proportion of self-revenue ha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educational welfare expenditures and improvement projects for education environment increased. Continuous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widening local extinction and regional gaps, slowing economic growth, and accele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the main factors characterizing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and demand for reduction of education finances is expec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prospects and task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finances are as follows. Externall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domestic tax grant rate of Local Education Grant system, respond to demands for integration with general account of Local Government, demand for efficiency in operating educational finances, and maintain neutrality in securing finances according to fiscal decentralization. Internally, it is necessary to solve tasks such as securing stable project resources, securing and operating education funds centered on adequate educational costs, strengthening investment in core education services, resolving outdated burden system of education costs, distributing rational resources among school levels, and enhancing fisc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이명박정부의 지방교육재정정책 평가연구

        송기창(Song, Ki Cha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MB정부의 지방교육재정정책 추진체제와 재원규모의 변화 등을 분석하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정책평가 준거를 설정한 후, 주요 지방교육재정정책에 대한 성과 평가를 실시하고, 지방교육 재정정책의 개선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가결과를 요약하면, 시ㆍ도간 공평성, 재정건전성과 효율성 및 자주성은 제고되었으나, 재정운영의 자율성은 약화되었고, 지방교육재정을 확충하는 데 실패하였다. 따라서 향후 재정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교부금 규모를 늘리고, 교부금 구조를 개편하며, 지방자치단체 일반회계 전입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ㆍ도의 자율성 확대를 위하여 보통교부금 기준재정수요 측정항목을 대폭 축소하고, 단위 비용을 최소화 하며, 측정항목간 수요산정의 우선순위와 자체노력 등 수요 규모를 법제화하고, 특별교부금의 규모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local educational finance policy and for pursuing this purpose, this study drew an overview of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local educational finance policy and then conducted evaluation of the polices from two layers; general and particular layer. From the general layer of evaluation, the current status and progress of securing and allocating of the local educational revenue were analyzed and evaluated, and from particular layer of evaluation, each specific policies are evaluated in details. In summary of this result of this study, the equality between local education authorities, soundness and independence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are improved, but the autonomy on management and operation decreased and each local government failed to expand local educational finance. Thus, to satisfy financial demand for the future educational needs,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the local educational grant, to reorganize the structure of the local educational grant, to expand the transferred money from the general account of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o secure the local autonomy on local educational finance, the demand side scale should be legalized; the measurement items for amount of standard financial demand from general grant should be largely decreased, the cost of measurement unit for each measurement item should be minimized, the priority of the demand measurement among items and the amount of financial demand according to voluntary efforts should be legalized and furthermore, the scale of special grant should be decreased.

      • KCI등재

        지방교육재정 운영 능력 분석 및 진단

        이진권(Lee, Jin-kw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4

        이 연구는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지방교육재정알리미 자료를 활용하여 2010-2013년도 4년 간 각 시・도교육청의 지방교육재정 운영 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지방재정법」과 「지방교육재정 분석 및 진단 규정」에 기초한 지방교육재정 분석・진단체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보완적 논의로서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지방교육재정 운영 능력 분석・진단 지표를 소개하 였다. 또한 동지표를 활용하여 2010-2013년까지 각 시・도교육청의 지방교육재정 운영 능력을 분석하였으며,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시・도교육청의 지방교육재정 운영능력은 점차 향상되고 있었으나, 부채 수준이 반영된 재정규모 안정성 영역의 지표는 오히려 하락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제주, 경기, 충북, 경북 등 도 지역의 운영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서울, 부산, 울산, 전남 등 주로 시 지역의 운영능력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지방교육재정 운영 능력에 대한 통합 지표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지방교육재정의 규모와 운영 측면의 안정성, 교육투자 수준, 계획성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inancial management capacity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ith data(from 2010 to 2013) from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first, some issues of the current analysis and diagnosis system based on 「Local Finance Act」were reviewed, and second, the analysis and diagnosis indicators developed in the prior research were introduced in a complementary sense. Lastly, each financial management capacity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as analyzed with these indicators.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Analysis showed that each local educational governments’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was growing but rather the financial stability of size with indicators including level of debts was decreasing. Overall, Jeju, Gyeonggi, Chungbuk, Gyeongbuk, and so forth of metropolitan‘s financial management capacity were relatively superior, and Seoul, Busan, Ulsan, Jeonnam, and so forth of Provincial’s were relatively inferior. This study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measure size and stability of operation, level of educational investment, level of planning, and so forth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synthetically by suggesting possibility of using combined indicators about the capacity to manage local educational fi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