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제공기관의 상담 운영 실태 및 쟁점 탐색

        왕은자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1 No.2

        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 service providers have been increased along with the deveopment of EAP, which provides professional counseling and workplace counseling to organizations since 2010. Thus,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have increasingly requested more information about current status of domestic EAP operation.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present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choosing appropriate EAP services to potential customers of EAP, and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managing EAP providers systematically to activate work place counselling and EAP services. There were not sufficient data that showed current status of EAP providers in South Korea, so we performed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figure out how many providers exist approximatively. With this outcome, we conducted detailed research. 24 EAP providers were foun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14 of them agreed to participate, but only 7 EAP providers main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EAP providers includes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EAP service area, issues and solution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terviewing the heads of EAP providers in person or through phone call. We found that the form of EAP providers varies with their size, most providers hire full-time, part-time and cooperative counselors, and some have contracted with other counseling centers to cooperate in case they have nationwide projects. The number of clients distinctly depends on the providers’ size, and the contracts are made on yearly basis as turnkey contract. The minimum requirement to work as counselors is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although sometimes certificates or work experiences are required. EAP programs are typically evaluated by the number of consultations, number of clients, and client satisfaction. The main issues of EAP providers include insufficient market(breadth), competitive environment, lack of acknowledge of companies and their employees, expertise of work place counselors, and needs of network among EAP providers. Lastly,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offered. 기업에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는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및 기업상담이 2010년 이후로 활성화되면서 EAP 제공기관이 증가하고 있으며, EAP를 도입하고자 하는 사기업 및 공기업이 국내 EAP 운영 전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EAP 제공기관의 운영 실태와 쟁점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기업이 조직의 요구에 적합한 EAP 제공방식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EAP 및 기업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국내에는 EAP 제공기관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어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제공기관의 현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본조사의 조사항목을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조사에는 14개 EAP 제공기관이 연구에 동의하고 참여하였으며 이 중 본조사에는 7개의 EAP 제공기관이 참여하였다. EAP 제공기관의 운영 실태는 기관 운영 현황, EAP 서비스, 쟁점 및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기관의 운영책임자와 개별 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EAP 제공기관의 조직 구조는 기관의 규모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대부분의 기관에서 전문상담인력은 전일제/시간제 상담자와 협약 상담자로 구성되어 있었고 고객사 수는 기관 규모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양상이었고 고객사와는 주로 일 년 단위로 턴키계약을 하고 있었다. 고객사인 기업에서는 EAP 관련 업무를 주로 인사 부서가 담당하였으며,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EAP 홍보는 인트라넷을 이용한 상담 안내, 상담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통해 이루어졌다. EAP 상담자의 최소 채용기준은 공통적으로 상담 전공 석사이상이었으며 이외에도 학회 자격증과 상담 경력을 요구하였다. 제공되는 EAP 서비스는 주로 개인상담 형태였으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주요 주제는 직무스트레스 관리나 집단 심리검사 및 진단이었다. EAP 평가방식은 이용건수, 이용자수 및 이용 만족도가 전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EAP 제공기관의 운영상 주요 쟁점은 아직은 작은 EAP 시장 규모, 제공기관간의 경쟁 심화, 기업과 직원의 상담에 대한 인식 부족, 기업상담자 전문성 확보 및 EAP 제공기관의 네트워킹 필요성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김수림(Su Lim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최근에는 EAP 상담에 관심을 갖고 조직 및 임직원의 변화하는 요구에 맞추어 상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문화와 맥락은 다양하여 그에 적합한 운영방식으로 EAP상담을 적용하기란 쉽지 않다. 기업의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EAP상담 운영에 대한 반성적 평가와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종단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EAP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연구는 장애요인, 개선사항과 더불어 무엇보다 EAP상담을 운영한 후, 개선사항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특히 개선사항에 대한 제언에서 나아가 개선된 사항에 대한 반성적이고 탐색적인 연구로써 기관의 변화에 대한 측면에서도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 의미를 찾기 위해 종단적 관점으로 추적하는 것은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매우 가치 있는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사항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종단적 관점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현장의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종단적 관점의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EA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과 EAP상담사를 대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정보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3개의 주 연구문제와 총 7개의 하위문제로 구분된다. 연구문제 1. 2019년~2022년 동안의 S도시공사 EAP상담의 연도별 연구결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하위문제 1) 4년간 기업의 조직문화에 따른 고충의 특성은 무엇인가? 2) EAP 상담 운영과정의 방해요인은 무엇인가이며, 연구문제 2. 4년 동안의 연구결과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에 대한 하위문제로 1) 방해요인은 개선이 되었는가?, 2) 개선된 요인은 무엇이었는가? 3) 이러한 결과들은 연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결과를 보였는가? 이며, 연구문제3. 현장에 적용 가능한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하위문제 1) S도시공사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일반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종합적이고 총체적 결과의 도출을 필요로 한다. 이에 우선적으로 하위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주 연구문제에 대한 종합적 · 총체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는 현상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사례 연구방법 및 종단적 관점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동일한 심리검사 및 프로그램을 운영한 S도시공사의 EAP 상담사례는 종단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인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의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에 있어서는 2019년~2022년 S도시공사의 자체적인 선별방법에 의해 선정된 근로자들로 구성 되었으며, 본 연구의 참여에 대한 부분은 S도시공사와 근로자의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진행하였다. EAP상담 참여인원 및 기간은 2019년 5월~6월 20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8회기씩 총 160회기, 2020년 4월~7월 10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8회기씩 총 80회기, 2021년 4월~7월 17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4회기씩 총 68회기와 12월 1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총 2회기, 2022년 7월~11월 17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4회기씩 총 68회기, 2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2회기씩 총 4회기, 2명과 추가상담 1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6회기씩 총 18회기, 전체 69명을 대상으로 총 398회기의 상담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2019년~2022년 각 연도별로 전사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1차 연도별로 반복적 비교분석을 하고, 2차로 1차에 분석된 4개의 자료를 종합하여 반복적 비교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체계화하였으며 3차 종단적 관점의 고찰을 통해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5개 영역의 36개의 핵심개념 1) 근로자의 고충, 2)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 3) 종합적 개선사항, 4) EAP상담 경험, 5) EAP상담 영역이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첫째, S도시공사 근로자가 갖는 고충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4년 동안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이 개선되었는가? 셋째, 개선된 사항이 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는가? 넷째, S도시공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4개의 총체적인 결과가 분석되었다. 이하 결과에 대해 기술함에 있어서는 제시된 결과의 내용을 전부 설명하기보다는 ‘개선’에 중점을 두고 본 연구의 주제와 연구목적을 가장 잘 표현해낼 수 있는 특정내용에 대해서만 서술하였으며, 연구문제의 순서에 따라 기술하였다. 연구문제 1과 하위문제의 결과는 고충의 응답빈도가 높아도 그것이 주요 상담으로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이들의 고충은 감정노동자와 유사했다. S도시공사가 갖는 고충의 특성으로는 수평적 조직체계, 인사이동, 사회적 대인관계 단절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와 하위문제의 결과는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 영역의 ‘타이트한 근무시간대의 상담에 대한 부담감’, ‘상담 장소에 대한 불편함’, ‘상담내용이 보고되는 것에 대한 불안함’, ‘상담서비스 안내 및 한계로 인한 아쉬움’이었고, 개선된 사항에 있어 EAP상담이 운영되는 4년 동안 부서별 관리담당자 배정, 상담공간 협조, 유연한 상담회기, 일부 부서에 대한 운동시설 설치 및 휴게실 침대 구비 등 EAP상담사와 조직의 협력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연구문제 3과 하위문제의 결과는 S도시공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위해서 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EAP상담 지원, 개인상담과 연계된 집단상담 운영, EAP상담 홍보,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 회기 제공 등 충분한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며, 전일제 EAP상담사가 배치되어야 하고, 조직의 협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되는 바를 논의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이루어진 EAP상담의 종단적 관점 및 개선사항에 주목한 실사례 분석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을 갖는다. 또한, 조직문화에 적합한 EAP상담을 실제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을 얻고자 분석하고 통찰하였다는데 가치가 있다. Recently, more and more companies are interested in EAP counseling and are operating counsel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needs of organizations and executives and employees. However, the culture and context of the organization are divers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EAP counseling in an appropriate operating method. In order to provide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reflectiv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EAP counseling operation are required, and longitudinal research is needed for this. In addition, research on operational measures to revitalize EAP counseling should be studied in-depth analysis of improvements after operating EAP counseling, as well as obstacles and improvements. In particular, as a reflective and exploratory study on improved matters, wha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institutional changes? Tracking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to find its meaning is a very valuable important task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EAP counseling.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these improvements as well a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field, and through this, it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inform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plans for companies and EAP counselors who want to introduce EAP.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main research problems and a total of seven sub-problems. Stationery Question 1. What are the annual research results of S Development Corporation's EAP consultation from 2019 to 2022? Sub-Question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grievanc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ompany for 4 years, and 2) What are the obstacles to the EAP counseling operation process? And, Stationery Question 2. What changes do the research results show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sub-question for is 1) Did the obstruction factors improve? 2) What were the improved factors? 3) What results did these results show over the course of the year? And,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EAP counseling applicable to the field? The sub-question for is 1)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S Development Corporation? 2)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that can be generalized?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requires the derivation of comprehensive and total results. 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derive comprehensive and overall results for the main research problem by solving the sub-problem.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se research methods and longitudinal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EAP counseling case of S Development Corporation, which operated the same psychological test and program for four years from 2019 to 2022,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workers selected by the S Development Corporation's own screening method from 2019 to 2022, and the particip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voluntary consent of the S Development Corporation and the workers. The number and period of EAP counseling participants are 160 sessions, 8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for 20 people from May to June 2019, From April to July 2020, a total of 80 sessions were conducted for 10 people, 8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A total of 68 sessions for 17 people from April to July 2021, 4 sessions for 6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2 sessions for 1 person in December, From July to November 2022, 17 people will have a total of 68 sessions, 4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and 2 sessions each for 2 people will have a total of 4 sessions, A total of 1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two people and one additional consultation for 6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39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69 people.

      • KCI등재후보

        노동조합-사회복지사협력 EAP의 도입 가능성 연구

        황미영(Hwang Miyoung),김종건(Kim Jonggu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5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체 밀집지역 노동현장에 사회복지사가 적용할 수 있는 근로자지원프로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 이하 EAP) 모형의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와 중소제조업체 노동조합연합조직의 협력에 의한 EAP 제공을 시범사업으로 실시하였다. 시범사업을 통해 사회복지사와 노동조합 공동의 협력에 의한 EAP 도입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초점은 세 가지로, 첫째, 중소제조업체 노동현장에서 요구되는 EAP의 개발, 둘째, 사회복지사-노동조합 협력형 EAP의 도입이 다른 EAP 실천모형과 구별되는 주요 기능은 무엇인지, 셋째, 이를 도입하고 정착시키는 데 요구되는 주요한 실천적 과제가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of adopting a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by Trade Union-Social Worker Cooperation in the area massed the smaller manufacturing corporations. All materials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ults of pilot project performed in the Jung-Gwan Industrial Complex of Busan. That was carried out by the local union official and the industrial social worker(a social worker in charg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Findings are followed as: First, the programs showed highest percentage of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are ones for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health and family 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s showed lower percentage are ones for the elevation of industrial relation or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y. Second, the self-help organization approach is more effective than the program-led one by the industrial social worker. This results could forsee the better feasibility after the fiscal discontinuance of pilot project. Third, the correlation of the family relations stress and psychical or personal relations stress is significant. And then, it is taken into account a coverage and a spot on the job operating of the EAP for the possibility of adopting the one.

      • KCI등재

        중소기업 EAP 담당자의 상담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선경,김수임,김하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experiences that 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 managers have during the processes of EAP operation and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2004) was applied to explore the EAP counseling experience of 11 EAP managers (2 males and 9 females from 11 companies) i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As a result, seven components, 42 subcomponents, and 177 conceptualized semantic units were found. The components include ‘momentum for introducing EAP’, ‘various expectations for EAP counseling effect’, ‘positive performance of EAP counseling’, ‘importance of EAP staff role’, ‘difficulty of EAP administration’,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 on counseling’, and ‘strategi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EAP counseling’. In other words, as EAP managers start EAP operation, it has various expectations about the EAP counseling effect. As the operation continues, it experiences the positive performance of EAP counseling and the difficulty of EAP operation. Through these processes, it begin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from organization’s acceptance of EAP counseling, and to use various strategi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에서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상담을 운영하는 담당자들이 운영 과정 중에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경험의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Giorgi(2004)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중소기업의 EAP 상담 담당자 11명(남 2명, 여 9명, 총 11개 기업)의 EAP 상담 운영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구성요소와 42개의 하위구성요소, 177개의 개념화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로는 ‘EAP 도입의 계기’, ‘EAP 상담효과에 대한 기대’, ‘EAP 상담의 긍정적 성과’, ‘EAP 담당자 역할의 중요성’, ‘EAP 운영의 어려움’, ‘EAP 상담에 대한 조직 인식의 중요성’, ‘EAP 상담의 효과적인 운영 전략’ 등으로 나타났다. 즉, EAP 도입의 계기를 통해 EAP 상담을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EAP 상담효과에 대해 다양한 기대를 가지게 되며, 운영이 지속됨에 따라 EAP 상담의 긍정적 성과와 EAP 운영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EAP 담당자의 역할과 EAP 상담에 대한 조직 인식이 중요함을 인식하게 되어 EAP 상담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가지는 의미와 시사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Etoposide, Doxorubicine and Cisplatin(EAP)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Recurrent or Advanced Esophageal Carcinoma

        Park, Soo-Jin,Cheon, Jae-Min,Park, Nam-Suk,Kwak, Seung-Keun,Park, Sang-Eun,Kim, Chul-Hee,Yun, Hwan-Jung,Jo, Deog-Yeon,Kim, Sam-Yong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배경 : 저자들은 위암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된 바 있는 Etoposide, Doxorubicine과 Cisplatin(EAP) 복합화학요법을 재발하거나 진행된 식도암에서 사용하여 그 치료 효과와 독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Etoposide와 Cisplatin을 전 임상연구에서 상승적 항암작용이 보고 된 바 있다. 방법 : UICC Ⅲ기와 Ⅳ로 새로이 진단 받거나, 재발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7명은 EAP-Ⅰ요법을 매 3주간격으로 시행을 하였다. 투영 방법은 Etoposide 100mg/m^(2)을 4일째와 6일째에 정주하였고, Doxorubicine 20mg/m^(2)을 1일째와 7일째에 정주하였고, Cisplatin은 20mg/m^(2)을 2일째와 8일째에 정주하였다. 7명은 EAP-Ⅱ요법을 매 3주간격으로 시행하였다. 투여 방법은 Etoposide 20mg/m^(2)을 1일째와 5일째에 정주하였고, Doxorubicine 20mg/m^(2)로 1일째와 5일째에 정주하였다. 결과 : EAP-Ⅰ요법은 총 47주기가 투여되었고, EAP-Ⅱ 요법은 총 17주기가 투여되었다. 총 반응률은 25%로 부분반응, 안정, 진행이 각각 6예(25%), 4예(17%), 14예(58%)이었다. EAP-Ⅰ 요법과 EAP-Ⅱ 요법에서 반응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4명의 환자에서 생존기간은 11∼28주이었고,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0주이었다. 반응을 보인 군에서 반응기간은 29∼48주이었고,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7주이었다. 반응이 없는 군에서는 생존기간이 11∼42주였고,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28주이었다. 반응군과 비반응군에서 Kaplan-Meier 생존곡선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생존기간의 차이가 있었다. 성별, 나이, ECOG수행등급, 체중감소, 조직학적 등급, 이전 치료경력과 반응여부를 조사하였을 때 ECOG수행등급과 항암요법에 대한 반응여부가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쳤다. 모든 환자에서 독성을 평가하였다. 백혈구감소증이 1등급에서 4등급까지 총 64주기중 28주기(44%)에서 발행하였다. 3, 4등급의 백혈구 감소증은 12주기(18%)에서 발생하였다. 혈소판 감소증은 23주기(36%)에서 발생하였다. 3, 4등급의 혈소판 감소증은 9주기(14%)에서 나타났다. EAP-Ⅰ요법군과 EAP-Ⅱ요법군간의 혈액학적 부작용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오심과 구토는 거의 모든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구내염은 1등급이 6예(25%), 2예(8%)가 발생하였고, 설사는 5예(21%)에서 발생하였다. 말초신경독성은 3예(12%)에서 발생하였고, 신독성은 7예(29%)에서 발생하였으나 심각한 비혈액학적 독성은 없었다. 결론 : 재발되거나 진행된 식도암에서 Etoposide, Cisplatin 및 Doxorubicine 병합항암화학용법은 효과적이었으며 중등도의 독성이 동반되였다. The authors performed etoposide and cisplatin chemotherapy combined with doxorubicine for the patients with recurrent or advanced esophageal carcinoma to identify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the chemotherapy that is usually used in treatment for patients with gastric carcinoma. The authors treated 17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newly diagnosed as advanced esophageal carcinoma with UICC stage Ⅲ/Ⅳ, or whose status of disease was recognized as recurrent with etoposide, 100mg/m^(2) on Day 4 to 6; doxorubicine, 20mg/m^(2), on Day 1 and 7; cisplatin, 40mg/m^(2) on Day 2 and 8(EAP-Ⅰ chemotherapy) every three weeks. Seven patients were also treated every 3 weeks with etoposide, 20mg/m^(2) on Day 1 to 5; doxorubicine, 20mg/m^(2) on Day 1 and 5; cisplatin, 20mg/m^(2) on Day 1 to 5(EAP-Ⅱ chemotherapy). EAP-Ⅰ chemotherapy was performed for 47 cycles, and EAP-Ⅱ chemotherapy, for 17 cycles. Overall response rate was 25%, and patients showing complete response, partial response, stable disease, and progressive disease were 0case(0%), 6(25%), 4(17%), and 14(58%)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rates between patients treated with EAP-Ⅰ chemotherapy and those treated with EAP-Ⅱ chemotherapy, The survival duration in 24 patients was within a range of 11-48 weeks, and median value was 30 weeks. The survival duration in responders was 29-48 weeks, and its median value was 37 weeks. The response duration in non-responders was 11-42 weeks, and its median value was 28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urvival duration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on the Kaplan-Meier survival curve. ECOG performance status and response to chemotherapy influenced the survival duration significantly among factors such as sex, age, ECOG performance status, severity of loss body weight, histologic subtype, history of treatments, and presence of responses. All patients were evaluated for toxicity. Grade 1-4 neutropenia occurred in 28 cycles(44%) of overall 64 cycle. Grade 3-4 neutropenia occurred in 12 cycles[9 cycle(l9%) in EAP-Ⅰ chemotherapy and 3 cycles(l8%) in EAP-Ⅱ chemotherapy]. Thrombocytopenia occurred in 23 cycles(36%). Grade 3-4 occurred in 9 cycles(14%)[7 cycle(l5%) in EAP-Ⅰ chemotherapy and 2 cycles(l2%) in EAP-Ⅱ chemotherap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matologic toxicity between the two groups, Nausea and vomiting occurred in almost all patients. Grade 1 and 2 stomatitis occurred in 6 case(25%) and 2 cases(8%) respectively. Diarrhea occurred in 5 case(21%). Peripheral neurotoxicity occurred in 3 cases(l2%). Nephrotoxicity occurred in 7 cases(29%). Even though etoposide and cisplatin combined with doxorubicine in patients with recurrent and advanced esophageal carcinoma is active, it is also associated with substantial toxicity.

      • KCI등재

        관계기반 근로자지원교육프로그램(R-EAP)의 개념적 모형과 교육적 지향의 관계 이해

        김현경(Hyun-Kyoung Kim),유영만(Yeong-Mahn You)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기반 근로자지원교육프로그램(R-EAP)의 개념적 모형에 대한 추상성을 보완하며 모형에 대한 독자들의 깊이 있는 이해를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개념적 모형의 부분이 드러내는 의미와 R-EAP의 교육적 지향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개념과 원리를 심층면담 텍스트와 병행적으로 해석하는 해석학적 연구방법을 도입하였다. 심층면담은 EAP 상담사 및 부모교육전문가 3인과 HRD 담당자 3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R-EAP의 개념적 모형에 대한 이해는 전체 개념적 모형을 8개의 부분 이해로 구분하고 그 의미를 체제적 관점에서 드러내었다. 더불어 R-EAP의 교육적 지향이 개념적 모형의 부분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R-EAP의 개념적 모형은 결정적 사건 속의 부정성 즉, 상심의 가능성으로부터 자신과 타인과 조직의 본래적 성장을 설계하는 부정성 기반의 성장지향모형이다. R-EAP의 개념적 모형은 가정과 직장에서 경험한 결정적 사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시간성과 공간성 안에서 선이해와 지평을 통찰하고, 자신·타인·세계에 대한 존재론적·인식론적·방법론적 성장을 실천하는 해석학적 수업설계모형의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관계성 개발을 위한 수업설계모형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해석학에 기반하여 관계 인식의 확장과 본래적 관계맺음을 실천할 수 있는 R-EAP의 구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the abstraction of the conceptual model of R-EAP, and to support reader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nceptual model. Also it is to confirm the relations between the meaning of the conceptual model and the educational orientation of R-EAP.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pplied the hermeneutical method that interpreted the in-depth interviews and the related theore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in parallel.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EAP counselor and parent education experts, and three HRD managers. I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ual model, the whole conceptual model was divided into eight partial understandings and it presented the meaning as a systemic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how the educational orientation of R-EAP was reflected in the part of the conceptual model. The conceptual model of R-EAP is a negativity-based and growth-oriented model that designs the authentic growth of self, others and organizations from possibility of heartache. This study implied the possibility of materializing R-EAP which can expand relations awareness and practice authentic relationship based on hermeneutics in situations with not so many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rela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국내 주요 수변시설물 EAP 프레임워크 개발

        박수열(Su-Yeul Park),최수영(Soo-Young Choi),오은호(Eun-Ho Oh),김진만(Jin-M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4

        강우는 자연과 인간에게 중요한 자원이다. 적절한 강우는 농작물의 성장과 토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우리 사회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태풍 및 집중호우 등과 같이 특정 지역에 계획강수량보다 더 많이 발생한 집중강우는 시설물 및 인간에게 커다란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등 국외 선진국의 수재해 대응기관들은 시설운영자와 재난전문가, 응급대응인력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수재해 EAP(Emergency Action Plan)를 작성·운영하여 시설물을 보호하고 강화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FEMA와 DHS는 시설물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댐, 제방 등을 위한 다양한 EAP를 운영하고 있는데, 특히 FEMA는 EAP를 시설물이나 인명에 가해지는 피해나 기능적 충격과 같은 응급상황을 감소시키기 위해 작성하는 공식문서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 EAP를 통해 응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뿐만 아니라 평상시 발생할 수 있는 시설물관리상의 문제까지 대응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등 국외주요국과 국내에서 사용중인 EAP 관련 규정을 분석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EAP 체계를 제안하였다. EAP는 예방, 준비, 대응, 복구의 재난단계별로 시설물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전문가들과 시설운영자들이 취해야 할 업무, 응급장비 운용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EAP 프레임워크는 테스트베드 적용을 통해 적정성을 평가받았으며, 국내 홍수재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절차와 방법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Unusual precipitation caused by typhoons and severe rain stormscan threaten human life and property. Thus, various organizations prepare emergency action plans (EAPs) to provide proper guidelines for operators, experts, and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to protect and enhance critical infrastructure. For example, FEMA and DHS have various types of EAPs for dams, levees, and other structures to protect people and property. FEMA defines EAPs as official documents to decrease the damage and impact in emergency situations and to reduce casualties. These documents should consider all possible situations in an emergency and can reduc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s EAPs for infrastructure from the USA, Japan, and Korea in order to suggest an ideal EAP framework. EAPcontent can include how to guide experts and operators in disaster stages (mitiga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how to operate emergency equipment, and how to protect critical infrastructure and life. The suggested EAP framework performed very well in a test location. It can therefore be used for infrastructure organizations in Korea and to inform of the appropriate processes and methods for risk reduction in flood disasters.

      • KCI등재후보

        일부 지역 기업의 인사 및 보건관리자가 인식하는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s)의 요구도 조사

        임성견(Seong Kyeon Lim),우종민(Jong-Min Woo)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제조업종 기업의 인사관리자와 보건관리자를 대상으로 근로자지원프로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s)의 제공 여부와 향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EAPs 도입에 장해 요인과 필요한 도움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들이 많이 시행하고 있는 사업은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개인 상담과 교육, 대인관계 개선 사업이었다. 기업의 EAPs 도입 의사를 조사한 결과, 도입을 계획하는 곳은 25.5%였고, 도입하고자 하는 주관적 의지는 크지만 현재 여건이 어렵다는 의견이 54.5%로 절반 이상이었다. 전반적으로 EAPs와 같은 서비스를 희망하는 근로자들이 증가하고 기업 또한 이에 대한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었다. 사업장의 필요에 부응하는 EAPs가 많은 기업에 도입되기 위해서는 개별 사업장의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을 사회제도적으로 해결하고, 경영진의 인식을 제고하며 구성원의 참여를 높일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oportion of companies which either already provided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s) or had plans to introduce such services at workplace, and to find out any obstacle in implementing EAPs services. Data were obtained from middle managers of Human Resources or Health and Safety department in 55 manufacturing companies. Participating companies have provided a lot of personal counseling and training for stress management, and implemented projects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Many companies are willing to introduce EAPs, however, various obstacles, such as lack of resources and lack of awareness among decision makers, prohibit them from introducing EAPs. In general, more and more workers are seeking social services including EAPs and companies came to recognize the need of EAPs. Proactive investment of both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and various promotional activities including social marketing are needed to develop EAPs in Korea. (Korean J Str Res 2011;19:123∼128)

      • KCI등재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아존중감, EAPs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해웅(Hae Woong Park),최수찬(Soo Chan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2 No.-

        오늘날 대다수의 근로자들은 직장안팎의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우울감 증가와 자아존중감 저하로 이어져 개인과 가정, 기업 모두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한다. 선진국에서는 기업차원의 심리사회적 지지의 한 형태로서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s)을 개발하여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스트레스 문제가 이들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EAPs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상을 경험할수록 EAPs 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로 인해 훼손된 자아존중감은 오히려 EAPs에 대한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나, 자발적인 EAPs 의뢰를 위한 동료나 상사의 역할이 강조된다. 향후에는 서구의 EAPs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oday’s employees have experienced heavy stress due to various problems both inside and outside workplace. The stress often induce depressions as well as decrease a sense of self-esteem. As results, these symptoms are likely to impact on workers, families, and companies to which the employees belong. Many corporations in the West have developed Employee Assistance Programs(EAPs) in order to minimize the diverse problems of workers and families, as well as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in the workplac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impacts of employees’ stress on the needs of EAPs through the depressions and the self-esteems. Seven hundred workers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urvey questionaries was appli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stress has negatively effects on the depressions and the sense of self-esteem. The more depression the workers experienced, more EAP services they demanded. However, those who showed the low levels of self-esteem tended to be reluctant to use EAP services. Thus, the roles of co-workers and supervisors will be essential particularly for the workers who have the low level of self-esteem. After all, systemic plans should be explored in order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employees’ stress. There exists the wide acceptance of the effectiveness in terms of the prevention and the intervention of EAPs in the West.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Korean companies to adopt and reorganize EAP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분석

        이동영 ( Dong Young Lee ),노희연 ( Hee Youn Noh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일반기업에서 근로자복지의 일환으로 도입·적용되고 있는 근로자지원프로 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 간 관계에 있어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의 완충적 조절효과를 탐색적 차원에서 실 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근로자지원프로그램 도입이 해당조직차원에서 비용 대비 편익우월성의 가능성이 있음을 논증하고, 근로자지원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국내 일반기업에서 포괄적 서비스 모형 및 사외형 방식으로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곳의 사무직 근로자 136 명(근로자지원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 동수 표집)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직 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 간 관계 및 이 둘 간의 관계에서 근로자지원프로그램 참여여부의 완충효과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부(-)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영향에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은 부정적 영향 을 일정부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조직의 성과관리를 위한 근로자 스트레스 관리노력에 근로자지원프로그램 다중요소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고, 기업의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을 통한 종합적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 구축, 정부의 법적·재정적 지원 확대, 근로자지원프로그램 인력 및 서비스의 전문화 등 실천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EAPs(Employee Assistance Programs) on relations between workers` job stress and job performance at an investigation level to check the usefulness of those programs introduced and applied as part of employee welfare at general corporations. The study tried to demonstrate that the introduction of EAPs had the possibility of benefit superiority over cos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provide clues for practical discussions for the activation of EAPs. For analysis metho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136 office workers(sampling the same number of EAP participants as non-participants) at general corporations running an EAP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service model and outside format in the n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job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APs on their relations. As a result, job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job performance with EAPs reducing its negative effects to certain degree. Those findings raise a need to make active use of the advantages of the multiple EAP elements in the efforts to manage employees` stress for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management. The study also discussed such practice strategies as establishing a total stress management system through EAPs, expanding the government`s legal and financial supports, and specializing the EAP personnel and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