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논문 동료심사를 위한 핵심 개념 분석과 프로세스 모델링

        안성수,조성남,정영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3

        A data paper describing research data helps credit researchers producing the data while helping other researchers verify previous research and start new research by reusing the data. Publishing a data paper and depositing data to a public data repository are increasing with these benefits. A domestic academic society that plans to publish data papers faces challenges, including timely acquiring tremendous knowledge concerning data paper structures and templates, peer review policy and process, and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as a data paper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unlike a research paper. However, the need for more research and information concerning the critical elements of data paper and the peer-review process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for data paper review and publication. To address these issues, we propose essential concepts of the data paper and the data paper peer-review, including the process model of the peer-review with in-depth analysis of five data journals’ data paper templates, articles, and other guides worldwide. Academic societies intending to publish or add data papers as a new type of paper may establish policies and define a peer-review process by adopting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s, effectively streamlining the preparation of data paper publication.

      •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호 개념 이해 실태분석

        정호정(Jeong Ho Jeong),최창우(Chang Woo Choi)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敎科敎育硏究 Vol.43 No.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하는 P초등학교에서 저, 중, 고학년을 담당하는 교사 3명이 담당하고 있는 학생 72명을 연구대상으로 학생 검사지 제작 및 투입, 수업 관찰 및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등호 개념에 대한 이해 실태 양상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등호 개념지도 시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데 있으며 분석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은 대체로 산술식보다 대수식을 관계적 측면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산술식을 읽을 때, 관계적 등호 읽기보다 조작적 등호 읽기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등호 문맥에 크게 상관없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제 해결에 있어 높은 정답률을 보였지만, 등호를 각 대상 사이의 관계로 해석하여 두 대상(값)이 같은 것으로 관계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주어진 산술식에 대한 연산의 결과와 관련지어 등호를 조작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상황에 알맞은 식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등호 활용 과정에 여러 가지 오류를 보였다. 넷째, 학생들은 연산이 왼쪽에 있는 표준 문맥의 등식에 익숙하여 등호의 오른쪽에 연산이 있거나 양쪽에 연산이 없는 다른 문맥의 등식을 인정하지 않고, 등호가 포함된 전체 문맥을 파악하지 못하여 참ㆍ거짓을 바르게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 equality concept. To solve this problem,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chosen for this study, and a pencil-and paper tests for comprehension of the equality concept targeting 72 students for elementary school that the teachers are in charge of the students was carried out. As a results, we could get some suggestive points of knowledges to consider when teachers teach equality concept to students.

      • KCI등재

        작가주의 디자인의 등장에 따른 교육적 활용의 사고와 발상 모형

        하은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As the creative environment of the designer changed, the auteurism design emerged. This type of design is too much for the design thinking and methods of the industrial era to proceed with the process. Therefore, new design principles and appropriate education methods for such design are urgent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students a model for teaching guide of thought and ideas to help them apply artistic sensibility to design creation. This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outcomes of the auteurism design that have been produced so far, and based on its contents, convert it into a formative language of ideas to provide educational use. First of all, the cases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works by designers who represented themselves as an artist and works of designers with strong self-expressive characteristics like artworks. For this study, about 150 pieces of works were examined, but this paper introduces analysis of around 30 pieces after selecting representative examples if works are considered similar. What has been analyzed are separated into formalism elements and semantic elements so that systematic thinking is possible, making a module which students can easily apply depending on their design concepts. 12 combination modules that focus on form that prioritize inspiration and aesthetic order from visual image and 15 semantic modules that give greater value to personal experiences or emotional satisfaction are presented. This guiding model is believed to give help students who had a vague notion of drawing creative ideas and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guide for ideas in the stage of developing creativity for not only artistic design but also design by problem-solving process. 디자이너의 창작환경이 변화하면서 예술적 성향이 강한 작가주의 디자인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디자인 유형은 산업시대의 디자인 사고와 방법으로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기에 무리가 있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조형문법과 적합한 교육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예술적 감각을 디자인 창작으로 적용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되는 사고와 발상의 교육용 가이드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지금까지 창작된 작가주의 디자인의 결과물을 찾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발상의 조형언어로 전환시켜 교육적활용이 가능하도록 제시하는 것이다. 사례는 우선 스스로 작가주의 디자이너를 표방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과 디자인의 유형이 예술품처럼 자기 표현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대략 150여점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비슷한 유형의 경우 대표성을 띄는 아이템을 선정하여 본 논문에서는 30여개 작품의 분석을 소개하였다. 분석의 구체적 내용은 학생들이 발상을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형식요소와 의미요소로 구분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육적 활용을 위해 형식요소와 의미요소의 내용을 컨셉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듈조합방식으로 제작하였다.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얻은 영감과 미적 질서에 우선적 가치를 둔 형식요소중심 모듈 12가지와 개인적경험이나 정서적 만족감 등에 더 큰 가치를 두는 의미요소중심 모듈 15가지 경우를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작가주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방식의 디자인이라 하더라도 창의성을 발휘하는 단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사고의 가이드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개념에 기초한 한국군 군사교리 실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전정배 ( Jeon Jeong-bae ),박효선 ( Park Hyo-su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 군사혁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군사교리를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군사교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와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투발전체계의 기준이 되는 개념발전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개념서를 기본개념서 외에 분야별, 기능별 또는 제대별로 구분해서 작성하고, 아울러 미래에 대한 효과적인 준비 방향을 제시한다는 의미에서 개략적으로나마 ‘중기개념서’를 추가로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개념과 연계된 군사교리 발전시켜야 한다. 셋째, 개념서를 평문과 비문으로 구분해서 작성하여 접근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의 개념서를 어떻게 세분화하는 것이 적절한지는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제는 개념서의 작성 종류 및 확대 수준, 포함내용, 접근성 향상 방안 등을 연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litary doctrin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art of the military innovation of the Korean military, with a focus on ‘concept’ and to suggest effective military doctrine development plans. The research results and develop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concept development, which is the standard of the combat development system, in a concrete and systematic way, the concept book should be written separately by field, function, or army in addition to the basic concept book, and in the sense of suggesting effective preparation directions for the future. The medium term concept should be further developed. Second, the military doctrine related to the concept must be developed. Third, the accessibility should be improved by dividing the concept book into plain text and inscription. However, this study did not suggest how to subdivide the concept book of ROK military properly. Therefore, the author hopes follow-up studies will examine the kinds of concept paper worked out, the scope of its expansion, included contents, and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it.

      • KCI등재

        메이지의 상상, 번역어의 탄생과 한국 수용 - [economy]가 [경제(經濟)]로 번역되기까지 -

        최경옥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9 비교일본학 Vol.45 No.-

        [경제(經濟)]는 메이지기에 새로이 만들어진 번역어로, 1860년대 일본에서 최초로 번역어 가 나타나기 이전부터, 한중일 삼국에서 [경세제민(經世濟民):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한 다]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경제]는 1867년 일본 최초의 서양 경제서적 번역서인 『경제소학 (經濟小學)』이 출간되면서 새로운 의미를 가진 번역어로서 위상을 가지게 된다. 1870년대 후 반부터 1890년대까지는 [economy]의 번역어로 [경제]와 [이재]가 병용되었다. 1890년대 이후 에는 다시 [경제]가 [이재]를 누르고 [economy]의 번역어로 완전히 정착되게 되는데, 이러한 [economy]의 번역어 정착 과정이 복잡하게 된 것은, 메이지기 일본이 [economy]를 어떻게 이 해하고 있었는가의 문제로 귀결될 것이다. 즉, 자유주의 경제학을 주창하던 신고전주의 경제 학이, 메이지기 일본에서 서양경제학의 주류로 등장하면 번역어 [이재]가 강세를 띠었고, 국 가주도의 경제학이 주류로 등장하면, 역사학파 경제학의 성격을 가진 번역어 [경제]가 강세를 띄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메이지기 일본에서 [economy]의 번역은, 단순히 서구의 이질적인 자본주의를 받아들려는 것에 목표가 있었다기보다, 국가 발전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에 걸맞는 자본주의의 정수를 받아들이려는 것이 더 높은 목표였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화기 조선에서 번역어 [경제]가 나타는 것은 1881년 수신사자료에서이나, 근대적 의미를 알고 소개된 것은 『서유견문(1895)』에 와서이다. 상당기간 기존의 [경제]와 함께 사용 되는 과정을 거치다가 1930년대 조선어로 완벽하게 인정받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western concept and word entry [economy] into Japanese,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modern western ideology. The word entry [economy] was first introduced to Japan in the 1860s through a Japanese foreign language dictionary. From the late 1870's there were multiple discussions of whether [經濟(Keizai)] would be an appropriate translation for [economy], and from that [理財(Rizai)] became an influential word. From the 1880s until the early 1890s [Keizai] and [Rizai] were both used as the translation words for economy but in the 1890s [Keizai] became widely used and settled upon (rather than [Rizai]). The probable reason why [Keizai] surpassed [Rizai] was for the ultimate goal of national development and to better understand western capitalism.

      • KCI등재

        메이지의 상상, 번역어의 탄생과 한국 수용 - [Nation]이 [국민]으로 번역되기까지 -

        최경옥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1 No.-

        1860년대 중반, [백성]을 의미하던 전통적 용어들 가운데 [국민]을 선택하여, 그 단어에 근대적 의미를 부여한 것은 후쿠자와유키치(福沢諭吉)였다. 그러나 1870년대 중반까지 일본에서는 [nation]의 번역어로 [국민] [인민] 등 다수의 번역어가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nation]의 번역을 [국민]으로 앞당긴 계기는 메이지 유신 정부인 것으로 보인다. 메이지 유신 정부는 천황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제를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국민]이라는 어휘를 강조하였고, 이후 1870년대 중반에는 주요 대역사전에 [nation]의 단독 번역어로 [국민]이 등재될 정도로 대중화되기에 이른다. 한편, 조선에서 [국민]은 근대 이전부터 [왕의 통치 하에 있는 백성]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근대적 의미의 [국민]은 [서유견문](1895)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1890년대 중반 학부편찬 교과서, 1897년 독립신문에서 전통적 [백성]과 다른 [국민] 개념을 계몽, 전파하였다. 1910년 이후에는 교과서, 신문뿐만 아니라 소설에도 사용될 정도로 정착 단계에 이르렀으며, 1911년에는 사전에 등재될 정도로 인정받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western concept and word entry of “nation” into Japanese,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modern western ideology. In the mid-1860s, Fukuzawa Yukichi chose the word “國民(kokumin)” among the traditional terms that meant “people”, giving it a modern meaning. Until the mid-1870s, a number of translations were used in Japan, including “國民” and “人民”.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Meiji government was responsible for advancing the translation of the word entry “nation” to “國民”. The Meiji government emphasized the word “國民” in an effort to strengthen the centralized system which was centered on the emperor. After the mid-1870s, it became so popular that “國民” was listed as the sole translation of “nation” in major dictionaries. However, in Joseon Korea, the term “國民(국민)” had been used to mean “people under the rule of the king” since before the modern era. The modern meaning of “國民” was first introduced in “Seoyugyeonmun(西遊見聞)” (1895). In the mid-1890s, an undergraduate compilation textbook and an independent newspaper in 1897 enlightened and disseminated the different concepts of the word entry 國民 rather than the traditional 國民. After 1910, it was used not only in textbooks and newspapers, but also in novels. By 1911, it was recognized as a pre-registration word e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