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효제문자도 병풍의 장황

        전지연(CHUN Ji-youn) 한국민화학회 2019 한국민화 Vol.- No.10

        필자는 조선후기부터 근 · 현대기의 병풍 그림을 어떤 형태의 장황(粧䌙)으로 보존처리해야 할 것인가에 관한 질문을 필두로 연구를 시작하였고, 보존처리를 직접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그림에 나타난 병풍과 실제 유물을 통해 조선 병풍의 시대별 장황 변천을 소개하였고, 현대기에 들어 잘못된 수리 및 재표구로 인한 개장(改粧)의 문제점들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효제문자도’를 중심으로 지역별 병풍 장황 양식을 제시하였다. 일제 후기부터는 교통의 발달로 지역 구분이 무의미할 수도 있지만, 선연구된 효제문자도의 지역 작가 계보를 바탕으로 도상과 장황을 연계, 분류하여 지역별 병풍 장황 특성을 알아보았다. 강원 지역의 효제문자도 병풍에서는 작가가 그림을 그리고 직접 장황까지 마무리한 ‘석강 황승규’라는 작가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황승규의 효제문자도 병풍을 보면, 병풍에 사용된 장황 재료, 색상, 비례 등에서 작가만의 특유한 장황 양식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강원 지역의 효제문자도는 문자도에 화조, 책거리, 산수 등을 조합하는 형식으로, 다른 지역 효제문자도 병풍에 비해 병풍이 높은 특징을 보이며, 높이는 약 140~150㎝의 중형 병풍이다. 제주 지역의 효자문자도 병풍은 높이 약 100~110㎝로 낮다. 대부분이 그림 자체만을 틀에 붙여 만든 것으로, 육지의 문자도 병풍에 비해 제작방법이 간단하며, 병풍 다리가 높은 특징이 있다. 샤를 바라가 밀양에서 구입한 병풍 그림과 도상학적으로 유사한 문자도는 이번 연구에서 경상 지역 병풍으로 분류하였다. 이 병풍들은 높이 약 100~120㎝의 비교적 낮은 병풍으로, 조선 민간 병풍 양식을 이어가고 있으며, 효제문자도가 뒷면에 배치된 경우도 발견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효제문자도’ 병풍을 중심으로만 장황 양식을 살펴보았는데, 추후 다른 주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다룰 계획이다. This study started at the need of finding the right form of mounting to restore folding screen paintings produced since the late Chosun dynasty. I intend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to conservators in the field how they should restore art works in these years. First, I gave an overview on mounting changes in Korean folding screens by era and also indicated some important problems made by wrong methods of mounting in modern times. Next, I discovered several regional features of folding screen mountings from Hyoje Munjado(painting of characters for filial duty and brotherly love). My research is based on prior studies on the genealogy of regional folding screen artists. I studied regional features of folding screen mountings, interconnecting iconography, mounting and artist genealogy. We need to keep an eye on Seokang Hwang Seung-kyu in Kangwon folding screen Hyoje Munjado. He pa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and completed mounting work himself. We can find peculiar features on his folding screens such as materials, colors and proportions. Folding screens in Kangwon region have mixed forms of character paintings, flower-bird paintings, bookshelves paintings, and landscape paintings. They a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with height of 140~150cm. Folding screens in Cheju region are low with the height of 100~110cm. They are mostly made by just pasting pictures on the folding screen frame and legs are higher compared with other regions. Folding screens in Kyungsang region are relatively low with the height of 100~120cm. They are keeping the traditional form of popular folding screen in Chosun times. In some cases Hyoje Munjado are placed on the back of the folding screen. This study focused only on the mounting forms of folding screen with Hyoje Munjado. Expanding the object of study to other popular art works since Chosun dynasty, there will be a bulk of new findings waiting to be discovered for a long time.

      • KCI등재후보

        관동의 시서화를 담다: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강원지역 《관동팔경 효제문자도 병풍》 고찰

        강영주 한국민화학회 2023 한국민화 Vol.- No.19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Folding Screen of Eight-view in Gangwon Province of Munjado(character painting) mainly about Hyoje(filial piety)(關東八景 孝悌文子圖 屛風) owned by the Chosun Minhwa Museum( 朝鮮民畵博物館).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unjado(文子圖) in Gangwon Province(江原道) is that it has a picture of Eight-view in Gangwon Province inserted. From the top, the painting consists of a landscape painting, an article writing the subject of the painting, and a text drawing. The writing of the subject of the painting is characterized by a very bizarre transformation of the font. It looked like the handwriting of Seokgang Hwang Seung-gyu(石岡 黃昇奎) who learned the handwriting from Sonam Lee Hee-soo(少 南 李喜秀), who was active in Gangwon Province at the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works of the JoseonFolkPaintingMuseum are the works of Hwang Seung-gyu or those who follow him. Similar works are housed in the SunmoonUniversityMuseum. These works are also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by a person who painted "Munjado of Eight-view of Guandong(關東八景 孝悌文字圖)", which is owned by the Chosun Minhwa Museum. The combination of Eight-view of Guandong's poetry, intense and beautiful handwriting, and filial piety, which strongly reflects Confucian ethics,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tendency of travel to Geumgang Mountain(金剛山) or Guandong area and the cruise of scenic spots during the modern period.

      • KCI등재

        강원지역의 효제문자도를 활용한 패턴디자인 개발

        양순영 ( Soon-young Y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4

        연구배경 본 연구는 잊혀져가는 강원지역의 효제문자도를 모티브로 현대적인 패턴디자인으로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효제문자도에는 유교사상의 바탕이 되는 삶의 덕목과 교육지침이 담겨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인문학의 활성화를 통하여 현대인들의 삶의 가치에 대한 자양분을 채워주려 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윤리의식을 고취시키고 우리 선조들이 향유하였던 아름다운 문화를 재인식 시킬 수 있는 효제문자도의 발굴은 인문학의 부재로 인한 폐단을 극복하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과도 일맥상통 한다. 연구방법 첫째, 효제문자도의 배경 및 강원효제문자도 중 가장 대표적인 작가로 황승규를 선정하고 문자를 활용한 패턴디자인과 패턴디자인의 응용사례를 연구한다. 둘째, 8글자의 효제문자도에 표현된 글자원형과 상징적 이미지를 모티브로 설정한다. 셋째, 분석된 이미지를 해체 조합하여 텍스타일 기본 전개방식으로 기초 패턴디자인을 한다. 넷째, 완성된 디자인을 다양한 패션소품에 적용한다. 연구결과 강원의 효제문자도 특유의 산악숭배사상에 근간을 둔 주술적 상징성이 돋보인 석강 황승규의 작품을 선정하여 그의 작품을 모티브로 이미지를 분석하고 해체, 조합하여 다양한 패턴디자인으로 도출해 냈다. 개발된 패턴디자인은 문화관광제품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텍스타일 디자인 상품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효,제,충,신,예,의,염,치 8글자 속에 소통과 정신적 균형의 의미를 담은 강원지역의 효제문자도를 모티브로 활용하여 시각적인 이미지와 상징적인 의미가 담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개발하였다. 잊혀져가는 역사문화원형을 활용한 새롭고 다양한 관광상품의 개발은 지역의 이미지 개선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통문화를 보호 계승한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modern pattern design with the motif of the forgotten character in the Gangwon area. The Hyojea Munjado was genre of life and education guidelines that form the basis of confucian thought. At present, the Republic of Korea is trying to fill the nourishment of the value of life of modern people through activation of humanities. Therefore, the excavation of Hyojae Munjado can inspire the ethics of modern people and re-recognize the beautiful culture that our ancestor enjoyed. This is in line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being carried out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sence of humanities. Methods First, we select Hwang Seung-gyu as the most representative artist among the backgrounds of Hyojae Munjado and Kangwon Hyojae Munjado, and study application examples of pattern design and pattern design using texts. Second, I set the motif of the letter driginaiiy and the symbolic image expressed in the 8 Hyojae Munjado. Third, the analyzed pattern is disassembled, and basic pattern design is done by textile basic development method. Fourth, the finished design is applied to various fashion accessories Result The works of Hwang Seung-gyu of Seokgang, which has a shamanistic symbolism based on the unique totemism cult idea, were selected. Use his work motif was analyzed, disassembled, and combined, resulting in various pattern designs. The pattern design is presented as a variety of textile design products that can be utilized in cultural tourism products. Conclusion This study was developed as a differentiated pattern design that contains visual image and symbolic meaning by using the character of Hyojae Munjado in Gangwon area as a motif. The 8 Munjado of Hyo, Jae, Chung, Shin, Ye, Ui, Yeom, Chi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mental balance is contained in. This is a new and diverse tourism product utilizing the forgotten historical culture prototype, so it is improve the image of the region but also to protect ou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