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헤어스타일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권정희(JeoungHee Kwon),김진숙(JinSoo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15 뷰티산업연구 Vol.9 No.2

        헤어스타일은 그 시대의 대중 문화적 요소와 사회 관념에 따른 심리적 작용을 반영하고, 미적 욕구에 대한 표출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헤어스타일은 그 사람의 성격, 신분, 성별, 지위까지도 짐작할 수 있으며 인간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헤어스타일에 대한 심리적 측면, 디자인적 측면, 기술적 측면 등으로 다양한 연 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연구동향을 탐색하여 미래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학문적 인 연구와 산업적인 흐름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Bibliometric) 방법으로 문헌의 계량적 처리를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데이터에 의한 학문의 속성 및 연구자의 연구 활동, 학문의 흐름을 통한 헤어스타일의 학문적 속성 및 연구 활동을 수량적으로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계량서지학적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 헤어스타일이 241회, 여성 63회, 이미지 37회, 선호도 31회 순으로 나타났다. 하나의 서명에 동시 출현한 단어가 보여주는 메시지 중 헤어 스타일과 헤어의 공동 출현 빈도수가 291회로 많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여성과 헤어가 58 회로 나타났으며 이미지와 헤어도 44번의 공동 빈도수를 나타냈다. 주제별 분류는 헤어스타일이 121개이며 헤어디자인이 21개, 메이크업이 15개, 미용 산업 12개 헤어가 11개, 이미지가 10 개 등이 나타났다. 남성과 헤어스타일, 남성과 메이크업도 서로 관계가 깊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헤어스타일은 이미지와 상관이 많은 남녀모두의 라이프스타일에 관련이 있으며, 미용 산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특이할만한 것은 미용분야는 피부미용분야보다 메이크업과 함께 연구되어온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이미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Hair style can be to reflect the psychological effects associated with the elements and social notions of popular culture of that period, it is a symbol of expression of aesthetic desire. In addition, Hair style, the person s personality, identity, gender, status can also infer, have an important function as a means for pursuing human beauty. Therefore Hair style psychological aspects, design aspects, various studies including technical aspects have been made. By searching the research trend with this, it has been expected to be able to analyze the commercial flow of academic studies of future hairstyle.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the quantitative treatment of literature in bibliometric methods, research activities of objective and accurate data by the survey attributes and researchers, and academic attributes of the hair style through the flow of the investigation there is a purpose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ctivities quantitatively.Research results of hair style is 241 times based on bibliometric analysis, woman 63 times, image 37 times, it has become a rating 31 times of order. Any hair style of the message indicated by the words that appeared together in a book, co-occurrence frequency of hair showed a lot of frequency of the circuit of 291, women, hair is 58 circuit appeared image and hair also 44 times joint frequency me showed. Theme classification is 121 pieces and hair style, 21 pieces of hair design, makeup is 15, 12 beauty industry, hair eleven, the image was revealed and ten. Men and hair style, even in men and make-up, may be seen as a relationship of each other is deep, hair style, image and many relationship, are related to the life style of both men and women, even more influence on the beauty industry it seems to be giving. It should be specific to the field of cosmetic, folding be viewed as have been studied along with make-up than the field of skin beauty, and i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his image.

      • KCI등재후보

        증강현실 기반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연구

        황희주 ( Hee Joo Hwa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2 No.-

        21세기에 들어 미의 기준은 개성 있게 변화하고 있다. 여성과 젊은 남성은 아름답고 멋있는 외모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신만의 독특하고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원하며 이것은 뷰티산업과 헤어 스타일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성장시켰다. 고객은 다양한 헤어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전통적인 헤어스타일 선택방법은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지 못했다. 그래서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미리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과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첫 번째로 초기형태인 ‘위치 이동 가능한 인물 이미지와 위치 고정된 헤어스타일 이미지의 2D중첩’에 의한 방법은 사용함에 있어 조작성이 떨어지고 효용성이 낮았다. 두 번째로 ‘위치 고정된 인물 이미지와 위치 조정 가능한 헤어스타일 이미지의 2D중첩’에 의한 방법은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으나 형태 변형과 조정에 있어서는 조작성이 비교적 낮았다. 세 번째로 ‘인물의 특징점을 이용한 2D정합’에 의한 방법은 조작을 통한 관여도가 상호작용성과 조작성을 높여서 개선된 현존감을 갖으나, 특징점의 정확한 값을 검출하기가 비교적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네 번째로 ‘3D를 활용한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은 2D이미지를 3D로 구현해 현존감을 높이고 있으나 부정합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증강현실 기반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얼굴을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여도 자연스럽게 헤어스타일의 이미지가 시뮬레이션 되었다. 이처럼 기술발전에 따라 발전된 형태의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점차 높은 몰입과 현존감을 가져왔다. 사람들은 자신의 뒷모습을 도구 없이 스스로 볼 수 없다. 헤어스타일에 있어서는 사람의 앞모습뿐만 아니라 뒷모습과 좌우의 모습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초기형태부터 발전된 형태의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시스템까지 살펴본 결과 360도 시뮬레이션이 불 가능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모든 형태의 현존하는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미디어로 전송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사용자의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과 좌우 그리고 위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해결 하였다. 사용자는 다섯 개의 카메라와 연결된 스크린을 주시하며 실시간으로 자신의 헤어스타일을 다양한 각도에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존감이 높은 증강현실 기반의 360도 헤어스타일 시뮬레이션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The standard of beauty has been more diversified and uniqu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 the 21st century. Women and young men show growing interest in their external image, namely how they can look more gorgeous and cool. They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ir own unique, appropriate hair style due to the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and Hair Style Simulation System. Customers were also interested in their hair styles. Selecting a traditional hair style is inconsistent with customer needs anymore. Consequently, The Simulation programs and system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variety hair style simulation``. First; The 2D movable user image overlaid with the 2D fixed hair style image was an early form. The manipulability measures and effectiveness of the form are not enough. Second; The 2D fixed user image overlaid with the 2D movable hear style image can simulate various. However, changing shape and operability is not enough. Third; The 2D-registration of the facial feature points cannot get accurate results, but it has the experience of better presence in enhancing the Interface interactivity and operability. Fourth; ``The 3D hair style simulation system`` increase presence because it can change the 2D image to 3D image, but it still has the image misregistration problem. Fifth; ``The hair style simulation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can simulate naturally even though, user moves his head. ``The hair style simulation system`` is getting better presence and flow. Seeing human backs of the head without tools is impossible. The fore, rear, Left, right and top side view of human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in hair style. However, the early form of hair style program and AR hair style system can`t simulate the 360 degree view because every hair style program and system have the just fore camera. The problem is solved by installing of the front, rear, Left, right and top side cameras in this paper. User can see the results of ``the 360 degree hair style simulation`` by each camera from various side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uggested ``the 360 degree hair style simulation concept`` based on augmented reality.

      • KCI등재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헤어관리 행동

        이동효(Lee, Dong Hyo),김명우(Kim, Myung W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헤어스타일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생활문화로 헤어스타일 관리는 인상 뿐 아니라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보다 좋은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라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어 다양한 여성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쉽게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고 관리하는 인식과 태도가 많아졌다. 이에 여성을 대상으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헤어관리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스타일 유형에 따라 추구하는 각 집단의 차원을 알아봄으로써 이에 차별화된 미용 마케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성 4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v. 19.0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 스타일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가치 추구집단”, “편의성 추구집단”, “합리적 추구집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헤어관리인식을 분석한 결과 “선천적 요소몰입”과 “헤어제품몰입”, “헤어관리 몰입” 모두 다른 집단에 비해 다가치 추구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헤어관리 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가치 추구집단”은 “유행지향”, “스타일 연출지향”, “개성지향”, “다양성 지향”의 헤어관리 태도 요인 모두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헤어관리에 있어 유행과 스타일, 개성, 다양성에 대해 높은 헤어관리 인식과 태도를 보였고 현대 사회의 유행현상도 다양화 양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각적인 헤어관리 태도에 알맞은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차별화 된 상품개발과 마케팅이 필요하겠다. Hair style is the important factor that hair style care as a life culture enriching human life changes not only impression but also image and creates a good image. Also it is recognized as a factor to pursue beauty and express oneself, and the mean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the various women’s recognition and attitude that create and care their hair style in accordance with life style easily have changed a lot.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provide the basic data which can be helpful to differentiated beauty marketing by researching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difference of hair care in accordance with life style targeting women and reviewing the dimension of each group to pursue in accordance with style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480 women who reside in metropolitan are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with SPSS v. 19.0 for data analysis. We got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analysis by life style factor showed “multi-worth pursuing group", "convenience pursuing group" and "rational pursuing group". Second, the hair care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life style resulted that multi-value groups have higher “congenital factor immersion”, “hair product immersion” and “hair care immersion” than other groups. Third, the difference analysis of hair care depending on the life style resulted that multi-value groups have the highest average for all the factors of hair care attitude of “trend orientated”, “style creation oriented”, “personality-oriented” and "diversity-oriented". Therefore they showed the high recognition and attitude of hair care for trend, style, individuality and variety and the trend phenomena of modern society exists with various aspects, the differentiated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is required to various hair style service that is suitable to multidirectional hair care attitude to be provided.

      • KCI등재

        남성의 헤어스타일 행동 유형에 따른 미용실 이용실태와 선호 헤어스타일

        류해리(Hae Li Ryu),차우정(Woo Jeong Cha),강나경(Na Kyung Kang),진용미(Yong Mi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한 남성의 헤어스타일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서 헤어스타일 행동, 미용실 이용실태, 선호 헤어스타일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남성의 헤어스타일 행동 유형에 따른 미용실 이용실태 및 선호 헤어스타일을 알아봄으로써, 미용실을 이용하는 남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신규 고객 유입 및 시술 만족도 상승,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남성에 국한된 연구이므로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명목척도로 구성된 인구통계적 특성 5문항, 미용실 이용실태 5문항, 선호 헤어스타일 6문항과 등간척도로 구성된 헤어스타일 행동 1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212부의 설문지를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20세 이상에서 30세 미만의 연령, 대학교 재학/졸업의 학력, 월 평균 200만원 이상에서 300만원 미만의 소득을 가진 사무직 종사자가 많았다. 둘째, 헤어스타일 행동의 차원을 알아본 결과, ‘심미성’, ‘동조성’, ‘개성’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헤어스타일행동을 기준으로 조사대상을 분류한 결과, ‘개성추구형’, ‘동조추구형’, ‘심미추구형’의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헤어스타일 행동 유형에 따른 미용실 이용실태를 알아본 결과, 헤어샵 방문시 평균 지출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헤어스타일 행동유형에 따른 선호 헤어스타일을 알아본 결과, 선호 헤어 컬러, 선호 헤어 컬러를 선택한 이유, 선호 헤어펌 스타일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남성들의 헤어스타일 행동 유형에 따른 성향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남성 고객에 대한 이해를 돕고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면 신규 고객의 유치 및 시술만족도와 매출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s due to an increase in interest in the appearance of male behavior research on hair style hair styles that require action at the time, Salon utilization, preferences, and to investigate the theory of hairstyles, men``s hair salon hair style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on utilization and prefer to learn by looking at hair styles, hair salon for men in understanding and using the influx of new customers and a rise in treatment satisfaction, marketing strategy aims to present the basic data needed to be. Research data collection is limited to men, so men living in Seoul in this study. Measurement tool consisting of a nominal sca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5 questions, 5 questions utilization hair salon, hair styles preferred measure consists of 6 questions and hairstyles behavior was composed of 14 questions. 212 questionnaire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rvey results to find out of this, less than 20 years of age to 30 years old, university student/graduate of education, more than 2 million won per month in the office with incomes of less than 3 million won workers were common. Second, find the dimensions of action of this hairstyle result, ``Aesthetics``, ``synchronism``, ``personality`` of the three factors were derived. Third, hairstyle behavior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eeking personality type’, ‘seek tuning type’, ‘aesthetic pursuit-type’ were classified in three groups. Fourth, according to the type of hair style salon Utilization action to get this result, hair salon visi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the average expenditure. Finally, based on the type of hair style you prefer action to get this hairstyle result, the preferred hair color, hair color and chose the preferred, preferred hair styl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irm. The above results are based on the type of men``s hair style action tendency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s a difference, on the basis of these data for the understanding of male clients marketing strategies to attract new customers, and if the procedure to improve satisfaction and sales This will help to feed.

      • KCI등재후보

        한국여성의 헤어스타일 변천과 뷰티헤어리더에 관한 연구 -1980년~2009년도를 중심으로-

        김은진,도주연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연도별 헤어 트렌드는 1980년대에는 강한 웨이브와 무거운 질감의 스타일들이 유행하였고, 1990년대 초반 60년대와 70년대의 복고풍과 사이버 스타일이 나타나는 시기였다. 90년 중반에는 롱헤어가 유행 되어졌으며 기존 블런트 커트를 탈피하고 가위를 사용한 후 레져를 이용하여 흐트러진 커트가 유행되었다. 전체적으로 밝은 컬러가 유행되었으며, 2000년대는 하이 블리치(탈색된 머리)의 파스텔 컬러가 유행하였고 2000년 후반기엔 매직스트레이트의 등장으로 스트레이트가 유행 되었다 헤어컬러는 점차 밝은 컬러는 줄어들고 블랙 컬러가 유행되면서 손상된 헤어를 케어 하기 위한 클리닉 시장이 확대되어졌다. 연도별 헤어스타일 분석으로 80년에서 90년까지는 미디엄길이,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매우 긴 롱헤어, 후반기에 짧은 쇼트가 등장하였다. 80년과 90년은 포니테일이 강세였다면 2000년으로 접어들면서 네츄럴한 업스타일이 주를 이루었고, 80년대와 90년대는 라이트 컬러와 브릿지가 많이 나타났으며 2000년대는 올 블랙이 주를 이루었다. 헤어 텍스쳐는 80년와 90년대는 전체적으로 무거운 느낌이었다면 2000년대에는 매끄럽고 샤기(shaggy)한 스타일로 변화 되어졌다. 프린지의 경우는 업스타일의 프린지가 2000년으로 갈수록 자연스런 뱅 스타일로 변화되었다. 연도별 헤어리더의 비교로는 1980년부터 2000년까지 헤어스타일은 오현경의 챠밍 스타일, 유지인의 다크 컬러 스트레이트한 미디엄 헤어, 이나영의 라이트 브라운 컬러의 브릿지 헤어, 전지현의 롱헤어의 내츄럴 스타일, 김태희의 지적이고 여성스러운 블랙 컬러, 송혜교, 구혜선 등의 쇼트 헤어스타일과 블랙컬러가 유행되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air styles that were in fashion in different periods and hair leaders who represented such styles.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ir trends over different periods are briefed here. Strong wave and heavy texture were most representative hair trends in the 1980s. In the early 1990s, hair trends of the 1960s and 70s were reemerged and at the same time so-called 'the cyber hair style' was created. In the mid 1990s, long hairs were in fashion. Blunt cut hairs were avoided. Instead, hairs that were cut with scissors and then disheveled with laser became popular. At that time, it was preferred to make hairs overall bright-colored. As the 2000s, high bleach(discolored hairs) and pastel shades were in fashion. In the late 2000s, the development of magic straight brought the high popularity of straight perm. In the meantime, fewer women had their hair light-colored. Instead, more and more women tried to keep their hair color natural, or black. This brought increase in hair clinics where people had their damaged hairs car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hair styles that were in fashion in different periods are summarized here. Women usually had medium hairs in the 1980s and 80s and long hairs around the 2000s. Women who had short hairs became more found in the late 2000s. In the 1980s and 90s, pony tale was even more popular than any other hair styles. But in the 2000s, naturalness and so-called the up style were dominant elements of hair styles. Women of the 1980s and 90s often had their hair light-colored and bleached. But those of the 2000s usually had their hair all black-colored. The texture of women's hairs appeared to be heavy in the 1980s and 90s, but smooth and shaggy in the 2000s. Fringe of the up style in the former two periods gave its way to that of the bang style by the 2000s. Third, hair leaders and their hair styles between the 1980s and the 2000s were Oh Hyeon Gyeong with charming style, Yu Ji In with dark-colored straight medium hairs, Lee Na Young with light brown-colored bleached hairs, Jeon Ji Hyeon with long, natural hairs, Kim Tae Hee with black-colored intelligent, feminine hairs and Song Hye Gyo and Ku Hye Seon with black-colored short hairs.

      • 남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헤어스타일 인식

        김경희(KyoungHee Kim),박은준(EnJun Park) 한국뷰티산업학회 2016 뷰티산업연구 Vol.10 No.1

        Recently, standard of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modern people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duo to economical, social, cultural changes. Authoritative male images and traditional values are vanishing and changing. Here and now, it is necessary to study on awareness of men s hair 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and increasing male customer s understanding by studying awareness of men s hair style according to men 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from male customers from 10~50 reveal that highly educated men and old men tend to have simple and repair hair styles. This is because that it is directly related to occupations. They recognize importance of the hair style. The concept of hair style is changed to investment from mainten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italize scalp cut for old customers and provide brand new hair style for young male customer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lat rate for male customers so that, it can reduce secession customers and help increase of sales. Men s awareness for hair style is appli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air shop using characteristics as an essential factor, and it is necessary to aware these characteristics to use for each male customer characteristic in field and we are expecting future study for men s hair. 현대인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변동으로 인하여 생활 수준과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는 삶을 살고 있으며 미에 대한 관심과 투자에 대한 욕구도 끊임없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점차 권위적인 남성상이 사라져가고 생활의 여유를 부여하며 전통적 남성의 가치관이 변화하는 현시점에서 남성들의 헤어스타일의 인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남성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헤어스타일 인식에 관해 조사하여 헤어 숍을 방문하는 남성 고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0~50대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지 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고 연령대와 고 학력자일수 록 단정하고 손질 용이를 추구하며 이는 직업과 민첩하게 관련이 있고, 과거에 비해 헤어스 타일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더 이상 헤어스타일이 유지의 개념이 아닌 투자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중년 고객층은 풍성해 보일 수 있는 컷과 화학 시 술로 추구하는 이미지를 보완하여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유행에 민감한 젊은 고객층과 시간에 구애받는 직장인을 타깃으로 손질 용이하도록 셀프 스타일링 방법과 다양 한 퍼머 스타일, 염색 스타일을 겸비하여,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유행의 흐름에 맞춰 개인 에게 어울리는 스타일을 제안하도록 한다. 또한 남성 고객만을 위한 정액 제도를 만들어 다 양한 시술을 제공함으로서 고객 이탈을 줄이고, 매출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남성들의 헤어스타일 인식이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헤어 숍 이용 특성에 필수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이러한 특성들을 인지하여 남성 고객의 특성에 맞게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고, 차후 남성 헤어에 관한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알렉산더 맥퀸 패션쇼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포스트모더니즘

        유은성 대한미용학회 2013 대한미용학회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on the hair styles of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from S/S 1995 to F/W 2010.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hair styles in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are related to romantic emotion, they represent the pursuit of primitive substance, the transcendence of time, multi-factorial eclecticism, and uncertainty. The historic transcendence of time was shown in the various post-modern hair styles borrowing and changing the image of past hair styles from the Primitive era to today, which aimed at expanding the range of expression by searching for the origins of beauty in opposition to the values of modern beauty. The folk multi-factorial eclecticism was inspired by ethnic hair styles from many countries and re-created by mixing the West and the East, and alteration. The key value of post-modernism is uncertainty, which means defective human beings’ aesthetic taste such as the nature of the grotesque showing something disgusting and horrible. This shows the power of expression by hair styles and how they convey sarcasm and warning against the actual. This study predicts the expansion of hair design elements 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new hair design. 본 연구는 1995년 S/S부터 2010년 F/W까지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쇼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알렉산더 맥퀸의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은 낭만주의적 감정과 연결된 고리를 가지며, 인간의 감정을 중시하는 낭만주의는 예술의 패러다임을 바꾼 아방가르드에 영향을 주었다. 낭만주의에 반하여 인간의 감정보다는 미학적 현대성을 추구한 모더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주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은 새로운 실험의 성격을 띤 또 하나의 아방가르드이며, 이는 예술사조간의 경계와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며 종합예술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맥퀸의 작품세계는 낭만주의적 감정에서 시작된 모든 예술의 장르를 뛰어넘는 다원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은 역사의 시간적 초월성, 민족의 다원적 절충성, 미의 의미적 불확정성으로 나타났다. 역사의 시간적 초월성은 아프리카 원주민과 인디언들의 원시시대의 헤어스타일로, 가공되고 인위적인 현대의 헤어스타일의 미적 가치에 대한 도전으로 원초의 아름다움을 탐색하여 표현의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낭만주의 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헤어스타일을 이미지를 차용하여 새롭게 변형하거나 과거의 스타일을 그대로 재현시켜 포스트모더니즘의 폭넓은 헤어스타일에 기여하였다. 민족의 다원적 절충성은 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적인 헤어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아 이미지를 혼합, 변조하여 새로운 형태를 시도하였으며, 금발머리의 서양 모델이 동양적인 헤어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서양과 동양의 상호텍스트성, 전통스타일의 변조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적 절충주의를 표현하였다. 미의 의미적 불확정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적인 가치로 이해되며, 인간의 불완전한 미적 취향을 악마성과 혐오성이라는 그로테스크적인 특성을 도입하여 패션에서 헤어스타일이 전달할 수 있는 상징적인 표현의 힘을 보여주었다. 또한 헤어스타일을 통해 현실에 대한 풍자와 경고등의 메시지를 전달하였으며, 이는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버려진 음료수캔 등과 같은 오브제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기존의 미의 질서를 파괴하여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20세기 후기의 대표 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의 시대정신이며 포괄적인 사회 현상으로 문화, 예술에 영향을 끼치며 ‘천재 디자이너’로 불렸던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도 나타남을 확인함으로써 헤어스타일이 패션이미지 연출의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 내재된 현대의 포괄적인 사회현상인 포스트모더니즘 미적 철학과 표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헤어디자인 표현 요소의 확대와 무한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범위 및 표현 영역이 방대하여 헤어스타일에 국한하여 연구되었으며, 향후 알렉산더 맥퀸의 의복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커트 스타일에 따른 20, 30, 40대 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지각과 심리적 평가의 차이 연구

        유민정 ( Min-jung You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8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커트 스타일에 따른 20, 30, 40대 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지각과 심리적 평가의 차이를 알아보고 커트 스타일의 이미지가 헤어스타일에 대한 심리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동일한 여성의 얼굴이 커트 스타일 변형에 따라 연령별로 어떠한 이미지지각의 차이와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또한 커트 스타일에서 나타나는 이미지가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이미지를 변화시키는데 커트스타일에 차이를 두거나, 커트의 종류 변화에 따라 스스로의 이미지를 제어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어, 헤어스타일만의 변화가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심리적으로도 변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자신이 긍정적일 수 있는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피실험자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적합한 헤어커트 스타일을 찾는 연령별 방향이나 목적, 기준을 나타내는 표지가 되는데 목적이 있다. 이미지지각에 대한 커트 스타일과 나이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와 커트 스타일 이미지가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그래쥬에이션을 본 20대, 30대와 레이어를 본 20대, 30대는 원랭스를 본 20대 보다 자신들이 본 커트 스타일을 앨래강스하다고 생각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그래쥬에이션을 본 2-30대와 레이어를 본 세 집단 모두는 원랭스를 본 3-40대보다 본인들이 본 커트 스타일이 더 앨래강스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래쥬에이션을 본 20대는 그래쥬에이션을 본 40대에 비교해서 그래쥬에이션 커트 스타일에 대해 더 앨래강스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트 스타일 이미지가 심리적 영향중에서 인상형 성반영에 관해 반응을 이끌어 내었으며, 앨래강스, 패미닌, 패뷸러스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반영에는 앨래강스 이미지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나이별 커트 유형에 따라 지각하는 이미지가 다양하였고 같은 커트임에도 다른 이미지를 지각하기도 하였다, 또한 헤어커트스타일에 대해 지각하는 이미지는 어떠한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앨래강스이미지의 헤어커트스타일에 의해 사람의 특성이나 성격 연령,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의복,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등을 통한 조화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헤어커트스타일의 변화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발전하는데 영향을 주고 헤어 이미지변화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에 적절한 헤어커트유형을 찾을 수 있는 연령별지표가 되길 기대한다. Analyzes the interaction of the same female face on the difference of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tyle of haircut style by age.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effect of haircut style image on hairstyle recognition (psychology,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bility, first impression), it influences the change and formation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ut type, The goal is to be an age-specific indicator that can expect a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 and find a proper type of haircut in the image that the subject w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haircut style and age on image perception and the effect of haircut style image on hair style recognition, First, layers shown to 20s, 30s, 40s showed higher levels of perceived haircut style that they viewed than their 20s, who were in their 30s. Second, 20s, 30s, who were given gradation and 20s, 30s, and 40s, who have seen layer, perceive their haircut style to be more dignified than their 30s and 40s. Third, the 20s who had seen the graduation showed that they were more dignified than the 40s who had seen the graduation. Fourth, haircut style images were found to affect the reflection of impression formation in hair style recognition, and they were influenced in order of elegance, femininity, and charm. Also, only the decent image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 refle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perceptual images vary according to the age type of cuts and perceive other images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cut. In addition, the perceived image of the haircut styl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determining the first impression of a person, while it can be interpreted as influencing the personality, personality age, and ability of the person by the haircut style of the dignified image. As the age chang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harmonious image through clothing, make-up and hair style. Changes in the style of haircuts can change the image of their own, the changes in the hair image can provide a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 KCI등재

        시대적 배경에 따른 한국 헤어스타일 변천사 연구

        최인실 ( Insil Choi ),윤천성 ( Chunsung You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사회 문화의 변화에 따라 미에 대한 인식도 변화되었다. 한국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인식의 기준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시대적 배경을 기준으로 한국 헤어스타일의 변천사를 되돌아보면서 시대별 헤어스타일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방법으로 분석범위는 조선 개항 이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였다. 한국에서의 헤어스타일은 단발령을 계기로 헤어스타일의 변화가 시작되었기에 이를 기점으로 헤어스타일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전통적인 헤어스타일은 시대의 흐름에 맞게 새롭게 변화되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인위적인 스타일에서 자연미와 개성 표현을 위한 이미지 연출이 수반되었고, 건강을 고려한 측면이 헤어스타일에도 반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MZ세대의 특성을 파악하고 선호하는 헤어스타일을 분석한다면 향후 한국의 헤어스타일 변화를 짐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social cultures changed, so did the perception of beauty. The standard of perception of hairstyles in Korea is also chang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air styl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by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Korean hairstyle changes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Korean era.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analysis method, and the scope of analysis was limited from the Chosun port opening period to the present. Hair styles in Korea began to change with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Therefore, starting from this,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hairstyle were considered. Studies have shown that traditional hairstyles have changed with the times. Especially in artificial style with natural beauty it involved creating an image for individual expression, Especially health-considering aspects it was reflected in the hairstyle. MZ generation and analyze the preferred hairstyle, we can guess the change in hairstyles in Korea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