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 친사회행동 및 공감적 태도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남희,남상인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태도, 친사회행동 및 공감적 태도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설문에 동의한 중학교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9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모형적합도와 경로분석 및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부모의 친사회행동과 부모의 공감적 태도는 모두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냈으며,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도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대해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부모의 공감적 태도가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에 대한 직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주목할 점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직접효과가 가장 큰 변인은 부모의 친사회행동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것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 증진 및 건강한 사회화를 위해 부모의 친사회행동이 증진 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부모의 공감적 태도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만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부모의 공감적 태도가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을 높임으로써 결국 청소년의 친사회행동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 친사회행동의 증진과 청소년 문제 예방을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parents'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etic attitude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adolescents' emotional empathy. To achieve the aim, survey data of a total of 391 participants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s from 1st and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o analyze the data, PASW 18.0 and AMOS 18.0 were us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Goodness of model fit,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As for results, both parents' prosocial behavior and their empathetic attitude s show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empathy of adolescents also has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parents' empathetic attitude on adolescents' emotional empathy. Also it is a note of worthy that the variable which has the most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is parents' prosocial behavior. It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explore solutions to enhance parents' prosocial behavior that improves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nd their healthy socialization.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adolescents' emotional empathy partially mediates only on the effect of parents' empathetic attitude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This implies that when parents' empathetic attitude improves adolescents' emotional empathy, it also leads to the enhancement of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 and limitation for the enhancement of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nd prevention of adolescents' problem.

      • KCI우수등재

        골프 참여자들의 스포츠인성 개념 구조 탐색

        김정철(KimJungChul),이근춘(LeeKunChun),장창용(JangChang-yong)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참여자들의 스포츠인성 구성개념을 탐색하는 데 있다. 50명의 골퍼(남자=35명, 여자=15명)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친사회행동과 반사회행동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원자료를 분석하여 특성 및 상황적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호인 골퍼들의 연습상황 친사회행동은 87개(45.3%), 반사회행동은 105개(54.7%)로 반사회적 행동의 빈도가 더 높았고, 시합상황에서의 친사회행동은 86개(46.0%), 반사회행동은 101개(54.0%)로 반사회행동의 빈도가 더 높았다. 둘째, 엘리트 골퍼들의 연습상황 친사회행동은 29개(56.7%), 반사회행동은 22개(43.3%)로 친사회행동의 빈도가 더 높았고, 시합상황에서의 친사회행동은 31개(51.7%), 반사회행동 29개(48.3%)로 친사회 행동의 빈도가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동호인 골퍼들과 엘리트 골퍼들이 시합 및 훈련에서 나타내는 친사회행동과 반사회행동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호인 골퍼들의 친사회행동은 상황적 행동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반사회 행동은 특성적 행동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엘리트 골퍼들의 친사회행동의 경우, 연습에서는 특성적 행동이, 시합에서는 상황적 행동이 더 빈번했고, 반사회행동의 경우, 연습에서는 상황적 행동이, 시합에서는 특성적 행동이 더 번번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골프 참여자의 친사회행동과 반사회행동을 근거로 스포츠 인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concept of sport character in golfers. Participants were 50 golfers(male=37; female=13).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based on practice situation and competition situation in golf. Raw data were classified into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Each type of behaviors branched out trait and situational domains, respectivel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practice, according to recreational golfers, the frequency of prosocial behaviors was 87(45.3%) and the frequency of antisocial behaviors was 105(54.7%). In competition, the frequency of prosocial behaviors was 86(46.0%) and the frequency of antisocial behaviors was 101(54.0%). Second, in practice, according to elite golfers, the frequency of prosocial behaviors was 29(56.7%) and the frequency of antisocial behaviors was 22(43.3%). In competition, the frequency of prosocial behaviors was 31(51.7%) and the frequency of antisocial behaviors was 29(48.3%). Finally, based on the comparison by trait and situation domains, prosocial behaviors of recreational golfers were more situation-oriented both in practice and competition, whereas antisocial behaviors of them were more trait-oriented both in practice and competition. In case of elite golfers, prosocial behaviors were more trait-oriented in practice and were more situation-oriented in competition, whereas antisocial behaviors were more situation-oriented in practice and were more trait-oriented in compet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d deep information, presenting the standard of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as a branch of sport character in golf participants.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관련변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과 친사회행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

        권남희(Kweon, Namhee),남상인(Nam, Sangi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9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관련변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과 친사회행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2015)의 전국 일반 고등학교 지역별 학생 수 비율을 근거로 하여 표집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자료 중 최종 608부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첫째, 부모관련변인에서 부모의 모델링만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관련변인은 모두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이 나타났고, 부모의 공감적 태도는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부모관련변인에서 부모와의 여가활동과 모델링은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을 통하여 정서적 공감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은 정서적 공감에 직접효과를, 그리고 정서적 공감을 통하여 친사회행동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부모의 공감적 태도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부모와의 여가활동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부모의 모델링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공감을 다차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청소년 친사회행동 결정과정에 대한 설명을 강력히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d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influence of adolescent’s parent related factors,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ratio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general academic high schools in Korea from “Educational Statistics Research”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15, sampling area was selected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inal 608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howed that the only parental modeling in parent related facto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Second, parent related factor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cognitive empathy, parent’s empathic attitudes also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emotional empathy. And only the leisure activities with parents and parental modeling in parent related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emotional empathy through adolescent’s cognitive empathy. Third, adolescent’s cognitive empath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emotional empathy and adolescent’s cognitive empath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ed on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through emotional empathy. Forth, it was confirmed that adolescent’s emotional empath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parent’s empathic attitudes on the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and adolescent’s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in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with parents on the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adolescent’s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odeling and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was shown that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empathy can strengthen the explanation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

        청소년기 다면적 친사회행동에 이르는 발달 경로: 공감 능력과 유능감의 매개효과

        손선옥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9

        Recent trend in research on the effects of prosocial behavior has been to identify its impact factors by dividing them into various concepts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m as a single concept.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 pathway of multidimensional prosocial behavior in Korean adolescents.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divided the concept of prosocial behavior into these two categories: compliance prosocial behaviors and altruism prosocial behaviors.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 father and peer-bonding, and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on mutlidimentsional prosocial behaviors. Also, it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competence of in the development process. Data from the sixth and seventh data of the Seoul Children's Panel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1,409 students aged from 16 to 17 years ol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examine this study model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bond between adolescent and fathers shows as a significant factor in adolescents' altruism prosocial behavior. Second, perceived of schoo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s on multidimensional prosocial behaviors. Finally, empathy and competence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developmental pathway on multidimensional prosocial behaviors. This study provides discussions 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intervention at school. 최근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논의는 단일 개념에서 다면적 측면을 이해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순응적(compliant) 친사회 행동과 다른 사람들을 돕는 이타적(altruism) 친사회 행동으로 구분하여 다면적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경로를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과 실천적 개입을 위한 근거기반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아동패널 6차와 7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으로 총 1409명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와 아버지와의 유대감은 순응적 친사회 행동과 이타적 친사회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인지한 학교 환경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학교가 즐겁다고 인지한 청소년들일수록 순응적 친사회 행동과 이타적 친사회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 능력과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청소년과 아버지와의 유대감은 순응적 및 이타적 친사회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청소년이 인지한 학교 환경은 순응적 및 이타적 친사회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공감 능력과 유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 방안에 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태권도 학생운동선수가 지각한 긍정적 코칭행동과 도덕적 이탈, 그리고 스포츠 인성의 구조모형검증

        임태희,양윤경,이창민,배준수 국기원 2019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고등학교 태권도 학생운동선수가 지각한 긍정적 코칭행동과 도덕적 이탈 그리고스포츠 인성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2019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태권도 겨루기 종목 고등학생 선수 337명(남자=272, 여자=65)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긍정적 코칭행동은 학생운동선수들의 도덕적 이탈을낮춘다. 둘째, 태권도 학생운동선수들의 도덕적 이탈은 친사회행동을 낮추는 반면 반사회행동을높인다. 셋째, 지도자의 긍정적 코칭행동은 학생운동선수들의 친사회행동을 높이는 반면 반사회행동을 낮춘다. 결론적으로 지도자는 태권도 학생운동선수들의 도덕적 이탈과 같은 인지 왜곡현상을 최소화하여 반사회행동은 예방하고 친사회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적절한 긍정적 코칭행동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verif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positive perceived coaching behavior, moral disengagement, and sport character of Taekwondo student-athletes. Participants were 337 (male=272, female=65) high school Taekwondo sparring (kyorugi)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Sports and Olympic Committee in 201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positive coaching behavior reduces negatively influenced moral disengagement of Taekwondo student-athletes. Second, moral disengagement had nega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positive effect on antisocial behavior of Taekwondo student-athletes. Third, while perceived positive coaching behavior positively effected on prosocial behavior, negatively effected on antisocial behavior. In conclusion, to prevent antisocial behavior and promote prosocial behavior by minimizing cognitive distortions such as moral dislocation of Taekwondo student-athletes, the coach needs to provide proper positive coaching behavior.

      • KCI등재

        초·중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스포츠 도덕행동의 인과관계

        윤혜성 ( Hye-seong Yun ),임태희 ( Tae-hee Lim ),장창용 ( Chang-yong J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3

        목적: 초·중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그들의 스포츠 도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태권도 선수 222명(남자=161, 여자=61)이었고,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척도와 스포츠 도덕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여 척도의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AMOS 21.0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애정적 양육태도 요인은 상대 반사회행동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둘째, 자율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친사회행동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과 상대 반사회행동 요인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상대 친사회행동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적대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과 상대 반사회행동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지지 못했다. 넷째, 통제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지지 못했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좋은 지수를 나타냈다(TLI=.918, CFI=.933, RMSEA=.058, SRMR=.059). 결론: 부모양육태도는 태권도 선수의 스포츠 도덕행동에 영향을 주는 상황적 요소임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of 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 on moral behavior in sport among youth Taekwondo athlet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22 Taekwondo athletes(male=161, female=61) who enroll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Measures were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Scale(PRAS) and the Moral Behavior Scale in Sport(MBSS).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he factor of parents` affection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opponent, but it did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other three sub-scales of moral behavior in sport(the prosocial behavior to the opponent, prosocial behavior and anti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Second, parents` hosti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opponent and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Third, parents` autonom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ro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while the facto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opponent and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Finally, parents`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Model fit indices were good(TLI=.918, CFI=.933, RMSEA=.058, SRMR=.059).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 is significant situational factor on moral behavior in sport among youth Taekwondo athletes.

      • KCI등재

        중학교 태권도 선수가 지각한 지도유형과 스포츠 도덕행동의 구조적 관계

        임태희,이창민,배준수,양윤경 국기원 2019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선수들의 도덕행동의 구조적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태권도 대회에 참여한 중학생 태권도 선수242명이었다. 설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228명(남자=181, 여자=47)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선수의 동료 친사회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도자의권위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도자의 긍정적보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친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도자의 사회적지지 행동과 훈련 및 지시 행동은 스포츠 도덕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선수들의 도덕행동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도자는 적절한 지도행동을 제공하여선수들의 친사회행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ach’s coaching styles and sport moral behavior of Taekwondo student-athletes. Participants were 242 middle school Taekwondo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Taekwondo Championship, but the data of 228 athletes (male=181, female=47)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mocratic coach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and opponent anti-social behavior,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team pro-social behavior. Second, autocratic coaching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d on team and opponent anti-social behavior of athletes. Third, positive feedback behavior positively affected team and opponent pro-social behavior and negatively affected team and opponent anti-social behavior. Fourth, social support and training/instruction behavior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of sport moral behavior. In conclusion, because the coaching styles mostly influence on the moral behavior of athletes, coaches need to promote athlete’s pro-social behavior by taking appropriate behavior.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친사회행동 발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강모 ( Gang Mo J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친사회적 추론 발달을 연구하는 과정을 탐색·예시하고, 초등학교 아동들의 친사회행동과 친사회적 추론의 경향을 밝히고,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콜버그에 의한 금지지향 갈등이야기가 어린 아동의 도덕판단발달 연구에서 부적절한 도구이며, 아이선버그(Eisenberg)의 친사회적 갈등이야기가 대안적 도구일 수 있다. 취학전 및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가르쳐져야 할 도덕성은, 외적 보상 없이도 또한 큰 희생 없이도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해 볼 수 있는 이타적인 도덕적 행동이어야 하고, 그런 도덕적 행동이 바로 친사회행동이다. 본 연구는 아이선버그의 미국 아동 대상 연구 절차들을 한국 초등학교 아동 대상으로 탐색/적용하여 보았다. 아동들의 친사회행동 발달이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으로 역주행하고 있으며 또한 남녀간 성차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통계적으로 검증도 하였다. 아동들의 친사회적/도덕적 발달의 역주행 현상은 간과되어도 되는 부분이 결코 아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장의 도덕과 수업 개선과 홍익인간 육성을 위해서 고민하는 교사, 교육행정가, 정책결정자들에게 다소라도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hreefold: ①to exemplify how to measure children`s prosocial development, ②to determine children`s prosocial tendencies including age change, gender difference, etc. in prosocial development, and ③to provide practical data which could be helpful for classroom teachers, curriculum designers, and policy makers to improve the practice of moral character education. The first finding was somewhat surprising. Prosocial decisions such as "I should help." decreased with age. The second finding was surprising too. Hedonistic self-focused reasoning increased with age, whereas needs-oriented and empathic reasoning decreased with age. The third finding was the gender differences in two categories of reasoning. Girls got scores higher than those of boys in needs-oriented reasoning and empathic reasoning. But the direction of girls` developmen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boys. These findings seem to be worthy of consideration by classroom teachers, administrators, policy makers, etc.

      • KCI등재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관한 연구

        서소정(So-Jung Se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에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고, 관련 변인들 간의 관련성 및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두 곳의 유치원으로부터 만 5세 유아-어머니 43쌍을 선정하여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놀이를 하면서 사용하는 요구전략을 관찰하였고, 표준화된 검사도구(PPVT-R)를 사용하여 관찰자들이 유아들의 언어발달을 측정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 측정하고 어머니의 친사회성과 관련된 양육신념과 사회화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담임교사들과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친사회성과 관련된 사회와 전략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가장 영향력 있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아의 언어발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한 결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시 유아가 사용하는 요구전략 중, 특히 유아가 사용하는 간접적 요구전략은 언어발달을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children's requestive strategies,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mothers'beliefs and strategies with regard to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variable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The subjects consisted of 43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t a preschool in Seoul. The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was assessed by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Test (PPVT-R), and their requesting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self-selected activities in preschool by trained observers. Also, data on the mother's socialization beliefs as well as socialization strategies were gathered through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assessed by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in this study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sharing with their peers as compared to other forms of prosocial behaviors. Also, the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use direct requestive strategies. The mothers of this study emphasized more sharing than other social skil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socializa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was found to be predictive in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effects of the children's requestive strategies used in the peer relationships on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ere mediated through the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감사 성향이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1

        동?서양을 막론하고 철학자, 신학자, 작가들은 한 인간이 갖춰야 할 핵심 덕목으로 ``모든 것에 감사하는 삶의 태도’를 강조해 왔다. 또한 감사는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하는 신비한 힘이 있 으며 사회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 덕목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렇지 만 감사의 의미가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그리고 감사가 인간의 긍정적인 삶에서 어떻게 역할하고 있는지에 대해 연 구가 증가하게 된 것은 20세기 중엽 이후 긍정 심리학이 활발하게 논의되면서부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에 대한 윤리학적, 심리학 적 관점을 살펴봄으로써 감사의 의미와 본질 그리고 감사가 이루어 지는 과정을 탐구하였고, 이러한 것들이 감사 성향을 함양하는데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감사는 도덕적 행동에 대한 반응이며, 도덕적 행동을 촉진한다. 호의의 수혜자는 호의의 제공자가 수혜자의안녕을 증진하는 방식으로 행동하게 될 때 감사를 표출한다. 수혜자는 또한 자신들이 감사를 느낄 때 다른 사람의 안녕을 증진하는 방식으로 행동하게 된다. 결국 제공자에 대해 감사를 표현하는 것은제공자가 장래에 친사회적으로 행동하도록 더욱 자극하게 된다. For all ages and countries, moral philosopher, theologians, and writers have emphasized gratitude as the core virtues which all human beings must have. And they also have identified gratitude as both basic and desirable aspects of human character and social life. Until recently, researchers have had very little to offer in the way of insights into the meaning and nature of gratitude, its characteristics, and its moral im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wo as follows. First it was to examine the meaning and nature of gratitude, the mechanism of gratitude expression, and two aspects of gratitude(moral affect and moral virtue) through the exis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works on gratitude. Second was to find out some implication to promote gratitude disposition of children.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manner: Gratitude is both a response to moral behavior and a motivator of moral behavior. Beneficiaries respond with gratitude when benefactors behave in a way that promote the beneficiaries` well-being. Beneficiaries also act in ways that promote the well-being of benefactors when they themselves have been made grateful. Finally, expressing gratitude to one`s benefactors stimulates the benefactors to have morally and prosociall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