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제조제품 품질인증제도의 자원순환사회적 문제

        이종영 한국환경법학회 2019 環境法 硏究 Vol.41 No.2

        자원순환사회는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발생된 폐기물은 재사용이나 재활용을 통해 최대한 이용하고, 최종적으로 남은 폐기물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처리하는 사회를 말한다. 즉, 자원사용의 모든 과정에서 폐기물 발생을 가능한 억제하고, 불가피하게 발생된 폐기물을 순환 가능한 자원으로 활용하여 천연자원과 에너지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사회라 할 수 있다. 자원순환사회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자원의 유한성에 따른 성장의 한계, 에너지원의 고갈,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사회경제적・법제도적 방안에 대한 요청은 더욱 커지고 있다. 독일은 1996년부터 시행된 「순환경제 및 폐기물법」, 일본은 2000년 제정된 「순환형사회 형성추진 기본법」에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이 반영된 반면, 우리나라는 2016년 「자원순환기본법」의 제정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이용, 폐기물의 극소화를 통한 환경부하 저감, 자원의 순환이용 촉진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재제조는 사용한 제품을 체계적으로 회수하여 특수한 기술적 요소인 분해・세척・검사・보수・조정・재조립 등 일련의 공정과정을 거쳐 원제품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사용하다 버려지는 제품이 다시 신제품과 같은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사회의 구성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자원순환사회의 핵심임을 고려하면, 재제조는 자원순환사회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제조제품은 중고제품이라는 사회적 인식과 품질에 대한 신뢰성의 미흡 등으로 자원순환적인 공익이 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에게 선택받지 못하고 있다. 현행 친환경산업법이 재제조제품 품질인증제도를 도입하여 품질에 대한 신뢰성 확보 제도를 구축하고 있지만, 여전히 재제조산업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재제조제품의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제조제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더불어 품질인증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먼저 재제조제품 품질인증 대상이 확대되어야 한다. 현재 재제조 대상 제품은 고시에서 열거하고, 그 중 품질인증기준이 고시된 제품만이 품질인증을 받을 수 있다. 즉, 품질인증대상이 고시에 정한 것으로 한정되어 있어 발전하는 재제조 기술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행 친환경산업법 제23조제1항에서 재제조 대상 제품을 고시하도록 한 규정을 삭제할 필요성이 있다. 재제조제품 품질인증기관은 재제조 기술의 발전 속도에 따라 품질인증이 필요한 대상 제품에 대한 품질인증기준을 정하여 인증업무를 신속하게 수행하면 될 것이다. 또한 재제조제품 품질인증에 필요한 인증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행 친환경산업법령은 품질인증기준을 표준의 제정절차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표준은 이해관계자의 동의가 없는 경우 표준으로 확정되지 못하며, 제정과정에 있어 장기간이 소요되어 자원순환사회의 형성에 필요한 시급성에 반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재제조제품 품질인증기준은 상대적으로 제정기간이 짧은 기술기준의 제정절차에 따르는 것이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품질인증을 받은 재제조제품이 시장에서 판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재제조제품의 사회적 가치와 환경보호적 가치를 고려할 때 녹색 ... Zum Schutz der natürlichen Wirtschafts- und Lebensgrundlagen wurde daher das Leitbild einer den Zielen der Nachhaltigkeit verpflichteten Abfallwirtschaft herausgestellt. In hoch industrialisierten Volkswirtschaften wurden mit dem Konzept einer nachhaltigen Abfallwirtschaft als Kreislaufwirtschaft die umweltpolitischen Ziele hoher Ressourcenproduktivität und geringer Abfallintensität entwickelt. Als Orientierung und Modell dienen ökologische Kreisläufe. Ziel dieses Kreislaufprinzips ist es, nach dem Vorbild der Natur Rohstoffe durch intelligente, kaskadische Nutzungen so lange wie möglich zu verwenden bzw. sie nach ihrer Nutzung in den Produktionsprozess zurückzuführen, also wiederzuverwenden, d. h. ein in sich geschlossenes, selbst erhaltendes und entwickelndes System zu schaffen. Allerdings sind angesichts der realen Bedingungen der Ressourcennutzung vollkommen geschlossene Kreisläufe eine Idealvorstellung. Abfallvermeidung ist wesentlicher Teil einer nachhaltigen Kreislaufwirtschaft. Als Umweltschutz durch Umweltvorsorge lässt sie im Gegensatz zur nachsorgenden Abfallverwertung und -beseitigung Abfälle gar nicht erst entstehen. Durch Abfallverwertung wird zwar im Sinne einer Kreislaufwirtschaft eine Rückführung von Energie und Sekundärrohstoffen in Produktionskreisläufe erreicht. Ihr Ressourcenschutzpotential ist aber wegen des qualitätsmindernden »Down-Cycling« und kompensierender Rebound-Effekte, bei denen Ressourceneinsparungen am Einzelprodukt durch höheren Ressourcenverbrauch insgesamt überkompensiert werden, geringer. Lebenszyklusanalysen von Produkten haben allerdings ergeben, dass auch bei Vermeidungsmaßnahmen differenziert werden muss. Z.B. können als Vermeidung gedachte Material- oder Produktsubstitutionen im Ergebnis zu höheren Belastungen der Umwelt und zu mehr Ressourcenverbrauch führen. Vermeidung fördert daher nicht in jedem Einzelfall die Nachhaltigkeit. Abfallvermeidung lässt sich in die übergeordneten Nachhaltigkeitsstrategien der Ressourcenkonsistenz, -effizienz und -suffizienz einordnen. Nach diesem Verständnis sind die Substitute im Sinne einer ‚Ökologischen Industrie‘ nicht nur erneuerbare oder Sekundär-Ressourcen, sondern können auch ohne Behandlung in natürliche Kreisläufe zurückgeführt werden. Dieser Vermeidungsansatz ist als qualitative Abfallvermeidung zu verstehen, da er gefährliche, umweltschädigende und endliche Ressourcen substituiert. In der Konsistenzstrategie bleibt allerdings das Risiko einer mengenmäßigen Übernutzung erneuerbarer Ressourcen bestehen, da deren Wiederaufbau z. T. erhebliche Zeiträume in Anspruch nimmt. Ohne eine Anpassung und Steuerung der Ressourcenentnahme können auch diese Bestände irreparabel kollabieren. Der effizienzstrategische Ansatz zielt auf die Modernisierung des Produktions- und Nutzungsprozesses, indem bestehende Verfahren und Anwendungen auf ihr Ressourceneinsparpotential überprüft und verbessert werden. In der Industrie werden z. B. alte Industrieanlagen aufgerüstet und durch Anwendung besserer Technikstandards Ressourcen eingespart. Jedoch treten regelmäßig Rebound-Effekte ein. Der Ressourceneffizienzansatz allein führt daher nicht zwangsläufig zu einer absoluten Minderung des Ressourcenverbrauchs. Der weitergehende Suffizienzansatz setzt auf eine absolute Minderung des Ressourceneinsatzes durch den dauerhaften Verzicht auf den nicht notwendigen Einsatz von Energie bzw. Ressourcen. Darunter sind nicht nur freiwillige, sondern auch obligatorische Vermeidungen von Ressourcennutzung zu verstehen. Die drei Strategieansätze werden oftmals losgelöst voneinander betrachtet und miteinander konkurrierend verglichen. Abfallvermeidung kann integrierend wirken und unter jede der drei Strategien eingeordnet werden. Art. 22 Abs. 1 Koreanische Umweltfreudliche Industriestrutur Gesetz gebietet, dass Industrie und Energie Ministrium die Einführung Reprudtionspezifischer Zertifizierungsverfahren, Reprodktionssiege...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자동차문화에 따른 재제조 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이정현(Lee, Jung Hyun),최경학(Choi, Kyeong Ha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재제조는 폐부품을 신품에 가깝게 혹은 신품보다 더 나은 성능을 가진 부품으로 만드는 과정으로 소비자의 측면에서는 낮은 가격으로 신품과 같은 가치를 얻을 수 있고 재제조 사업자는 신품보다는 가격이 싸지만 원재료 및 에너지는 신품보다 덜 사용해 신품 대비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국내에서의 재제조 산업은 도입 초기 단계라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정부에서 재제조 활성화를 위해 법을 마련했으나 재제조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은 여전하고 신품 제조업체들과 기존에 재생품, 재제조품을 생산해왔던 영세 사업자들과의 관계도 협력적이지 않다. 재제조 산업의 선진국인 미국이나 유럽의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의 재제조 산업의 구조적인 문제점과 해결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Remanufacturing is a process that transforms old parts into new or better parts. Consumers can gain the value of new products in a cost effective manner, and manufacturing enterprises can gain more profit by cutting the raw material and energy cost. Domestic remanufacturing industry is still in the starting phase. Recently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new laws to stimulate the remanufacturing industry, but consumer"s trust is still vagu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product manufacturers and remanufacturing enterprises is not promising. We would like to take example from the US and Europe where re-manufacturing is already active, and find out the applicable solutions for that structure problems.

      • 복합기 재제조 산업 현황과 순환형 공급사슬 도입 방안

        안해일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0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춘계

        For the last two decades, remanufacturing has drawn attention for its expected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and becomes a matter of strategic importance not only for manufacturers, but also for nations, as can be seen in such advanced countries as the US and some other European countries. In light of the experiences of those countrie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as well as the governmen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manufacturing of their products, with a view to making contribution to global society by reducing the carbon-foot-prints of their products. This paper shows that the implications of remanufacturing the laser multi-function peripherals(MFPs) can provide with a good start in discussing and implementing the concept of remanufacturing a variety of different industrial products.

      •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재진단을 통한 지속가능 성장전략 - 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

        강홍윤 ( Hong-yoon Kang ),김영춘 ( Young-chun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7 공업화학전망 Vol.20 No.5

        재제조는 자원 이용 효율성, 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자원순환 방법이다. 우리나라는 2005년부터 재제조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하지만 신제품 선호 문화, 재제조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부족 등으로 우리나라 산업경제구조에서 재제조 제품의 구매·소비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산업이 성장의 한계에 당면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제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자동차부품 분야를 중심으로 원료(코어) 수급 단계, 재제조 제품 유통 단계 등 전 과정에 걸친 단계별 문제점과 현황을 재진단하여 자동차 부품재제조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지속가능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 4대 공작기계 재제조에 대한 LCA 분석을 통한 환경부하 및 온실가스 저감효과 분석

        이성원 ( Seongwon Lee ),박지형 ( Jihyoung Park ),박명선 ( Myoungsun Park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21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22 No.1

        순환경제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산업분야는 재제조이다. 공작기계의 경우 저탄소 에너지 저감 인식 변환, 초정밀 산업의 발전에 따른 첨단 고정밀 공작기계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기계적 수명이 만료되기 이전에 폐 제품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공작기계 재제조의 필요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과정평가(LCA)를 활용하여 연삭기, 플래너 밀러, 프레스, 선반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4대 공작기계 재제조에 대한 환경부하 및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산출하였다. 재제조 공정은 그 특성상 사용 후 제품(혹은 부품)의 코어를 사용하여 품질 및 기능 향상을 위해서 일부 소모품 등을 교체하거나 투입한다. 재제조 공정에 투입되는 코어의 경우 신품 제조업체에서 제조 시 이미 환경영향이 발생했기에, 재제조에서는 코어를 제외한 신규 투입되는 부자재 및 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 영향만이 발생한다. Midpoint LCA 분석 결과, 각 제품별 재제조에 다른 환경영향 저감량은 특성화 중 지구 온난화 영향범주를 기준으로 기계 1대당 연삭기 4,439 kg CO<sub>2</sub> eq., 플래너밀러 90,080 kg CO<sub>2</sub> eq., 프레스 636,390 kg CO<sub>2</sub> eq., 선반 24,638 kg CO<sub>2</sub>eq.으로 프레스 1대 재제조 시의 환경영향 저감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dustrial sector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the circular economy is remanufacturing. In the case of machine tools, the need for remanufacturing of machine tools is emphasized because it is expected that waste products will increase before the mechanical life expires due to the change in perception of low carbon energy reduction and the increase in demand for advanced high-precision machine tools due to the development of ultra-precision industry. This study calculated the environmental load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s through LCA analysis of the remanufacturing of four major machine tools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such as grinding machines, planar millers, presses, and lathes, using LCA. Due to the nature of the remanufacturing process, some consumables are replaced or put in to improve quality and function by using the core of the product (or part) after use. In the case of cores used in the remanufacturing process, environmental impacts have already occurred during manufacturing by new manufacturers. In remanufacturing, only the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the use of newly input auxiliary materials and energy, excluding cores, occur. As a result of the Midpoint LCA analysis, the amount of reduction in environmental impact for each product remanufactured were 4,439 kg CO<sub>2</sub> eq. per machine based on the global warming impact category during characterization, the planar miller 90,080 kg CO<sub>2</sub> eq., the press 636,390 kg CO<sub>2</sub> eq., the lathe 24,638 kg CO<sub>2</sub> eq., it was found that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impact was the highest when one press was remanufactured.

      • KCI등재

        촉매가 담지된 사용후 경유차 매연저감장치 DPF의 재제조 효과에 관한연구

        최강용(Kang Yong Choi),박해경(Hea Kyung Park)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10

        경유차 배출가스에 의해 활성이 크게 저하된, 촉매가 담지된 자연 재생식 매연 저감장치인 DPF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조건에서 재제조를 수행한 후 재제조된 DPF의 일산화탄소(CO)와 총 탄화수소(THC) 그리고 입자상 물질(PM)의 저감효율과 DPF 표면 물성 특성을 분석하여 사용후 DPF에 대한 재제조 효과를 관찰하였다. 재제조된 DPF에 대한 오염물질 저감성능 평가는 제작된 디젤 엔진 다이나모 장치를 이용, 배기가스를 일부 우회시켜 온도와 공간속도 조절이 가능한 촉매 반응장치로 수행 하였으며, DPF 표면 물성 분석은 광학현미경, EDX, ICP, TGA 그리고 porosimeter를 이용 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사용 후 DPF를 본 연구에서 적용된 고온 배소 세정, 산성/염기성 용액에 의한 초음파 세정, 세정 후 촉매 활성성분 재 함침에 의한 재제조를 수행할 경우, 재제조된 DPF의 성능이 신품 성능대비 95% 이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광학현미경, EDX, TGA와 ICP등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 조건에서의 재제조 과정으로, DPF의 활성저하 원인이 되었던 각종 불순성분 대부분이 사용후 DPF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The deactivated catalyzed diesel particulate filter-trap (DPF) was remanufactured by ultrasonic wave treatment with various prepared solutions, followed by active component re-impregnation, and the emission control performance and surface properties of remanufactured DPF were studied at various remanufacturing conditions. The proper ultrasonic wave cleaning time at various prepared solutions and optimal re-impregnation amounts of active component for the best emission control performance of DPF were investigated and its performance tests were also carried out with various temperatures for the conversions of CO, THC (total hydrocarbon) and PM (particulate matter) by catalytic reaction test unit using bypass gas from the diesel engine dynamo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emission control performance of DPF remanufactured with the high-temperature air washing, ultrasonic wave cleaning at acid/base solutions and active component re-impregnation method was recovered to 95% level of its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the fresh DPF, which was caused by removing the deactivating materials from the surface of the DPF, through the analyses of performance test and their surface characterization by Optical microscope, EDX, ICP, TGA, and porosimeter.

      • KCI등재
      • KCI등재

        LCA기법을 이용한 랜탈 재제조품의 환경성 평가

        곽인호(In-Ho Kwak),황용우(Young-Woo Hwang),박광호(Kwang-Ho Park),박지형(Ji-Hyoung Park),설소영(So-Young Seol),신화정(Hwa-Jeong Shin),양은혁(Eun-Hyeok Yang),민곤식(Gon-Sik Min) 대한환경공학회 2016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8 No.11

        사용 후 제품을 회수하여 완전 해체하고 부품들을 세척, 수리, 또는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여 재조립함으로써 신품과 동일한 성능 수준으로 재 제품화 하는 재제조는 천연자원과 에너지 사용의 저감 등 자원순환 측면에서의 환경적 개선효과가 뛰어나 자원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재제조는 뛰어난 환경개선 효과 및 자원보존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며, 현재 자동차 부품, 프린터 토너 및 카트리지를 중심으로 재제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코어의 상태가 양호한 상태로 반환되어 재제조 공정을 거쳐 새 제품과 동일한 상태의 재제조품 생산이 가능한 렌탈 제품은 아직까지 활성화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CA 기법을 이용해 렌탈 제품 중 하나인 공기청정기 신품과 재제조 제품의 환경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렌탈 제품 신품 대비 재제조품의 환경적 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기청정기 1대 재제조 시 환경영향은 신품대비 약 20.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과 관련된 영향범주 중 오존층 파괴(ODP)가 94% 감소하여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기청정기의 수명주기에서 원료 추출 단계에서는 자원고갈(ADP) 및 지구온난화(GWP)에 대한 환경개선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manufacturing that is the rebuilding of a product to specifications of the original manufactured product by collecting used-product, completely disassembling, cleaning and repairing or replacing with a new part and reassembling has been received attention in aspects of resource, recycling because it is a great environmental improvement. Remanufacturing is the rebuilding of a product to specifications of the original manufactured product by collecting used-product, completely disassembling, cleaning and repairing or replacing with a new part and reassembling. With a great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resource recycling and conservation, many studies were conducted. Up to date, remanufacturing activities are mainly applied to automobile parts and printer toner cartridge in South Korea. However, remanufacturing of rental product is not well conducted although rental products are collected in good condition and could be remanufactured in the same condition as a new product.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life cycle assessment (LCA) to an air cleaner product that is one of rental product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rocesses in new products and remanufacturing life cycles that contribute the most environmental impacts. The results show that air cleaner remanufacturing could reduce about 20% of environmental impacts compared to new product. The greatest benefit related to environmental impact is with regard to ozone layer depletion potential (ODP), which is reduced by 94%. In the life cycle of air cleaner, raw material extraction stage had the most environmental impacts, especially with regard to abiotic depletion potential (ADP) and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In the environmental impacts in each part, the ABS power had the highest environmental impacts.

      • KCI등재

        재제조(再製造) 산업(産業)의 활성화(活性化)를 위한 제도(制度)의 기본(基本) 원칙(原則)

        목학수,박남규,전창수,송민준,한창효,Mok, Hak-Soo,Park, Namkyu,Jeon, Chang-Su,Song, Min-Jun,Han, Chang-Hy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3

        재제조 산업은 환경을 보존하면서 제조 시 사용되는 자원과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에서 재제조 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선, 원제조업체, 재제조업체 그리고 수리업체 사이의 협력을 지원하기 위해 기본 원칙을 제정하여야 한다. 재제조 활성화를 위한 기본 원칙들은 재제조 절차와 주요 구성원간의 관계분석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Remanufacturing is one alternative to conserve the good environment of our earth and to save the production resources and manufacturing energy. To make active remanufacturing in Korea we have to prepare basic rules to support the collaboration among the original manufacturing, remanufacturing, and repairing companies. Basic rules for active remanufacturing can be established by the analysis of recently environments of remanufacturing procedur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constitu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