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제수행에 대한 사전지식 및 인지부하요인의 경로분석

        류지헌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4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과 같은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을 고려하여 인지부하요인과 학습수행에 대한 경로모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217명(남학생: 52명, 여학생: 165명)이었으며,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섯 요인(신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과제 난이도, 자기평가, 자료설계)으로 구성된 인지부하모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에 대한 경로모형을 설정하였다. 자기평가와 과제 난이도는 사전검사(학습자의 전문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경로를 구성했으며, 정신적 노력, 자료의 설계, 신체적 노력은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상관없는 요인으로 경로를 구성했다. 초기의 모형적합도 지수는 CMIN=27.94, df=10, p<.05, GFI=.97, IFI=.96, CFI=.96, TLI=.91, RMSEA=.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제곱 및 RMSEA의 지수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초기경로모형에 대한 수정을 실시하였다. 신체적 노력과 과제 난이도 사이에 오차 공변량을 설정함으로써 모형을 수정했으며, 모든 적합도 지수가 수용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CMIN=11.28, df=9, p=.26, GFI=.99, IFI=.99, CFI=.99, TLI=.99, RMSEA=.03). 또한 경로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경로의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의 경로모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로는 사전검사 → 사후검사(전체효과=.61)였으며, 자기평가가 과제난이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전체효과=-.54). 이 연구를 통하여 1)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인지부하요인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2) 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서 종합적인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3) 학습자 중심의 적응적 인지부하이론이 개발될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전문성 역전효과와 같이 학습자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서 인지부하이론의 적용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교수설계전략이 필요하다. 인지부하이론을 위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계량화된 형태의 타당화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인지부하의 결과를 객관화함으로써 교수과정에서의 효율성을 측정하거나 비교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사전지식이나 전문성을 반영한 인지부하이론을 구성함으로써 인지과정을 역동성과 학습맥락을 고려한 설계이론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동기요인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re have been critical debates around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nd the framework for the cognitive load theory. First, the discussions have brought some key them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formance and cognitive load constructs. Second, there are some ways to reflect on the purpose of using a cognitive structure course for the cognitive load theory. Third, there are multidimensional aspects to measure cognitive loads. Along with the tenets of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load theory, a path model was tested. The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nts in this project was 217 (male: 52 - 24.0%. female: 165 - 76%). Five multidimensional constructs (mental efforts, physical effort, material design, self-evaluation, and task difficulty) and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In order to build a path model, the pre-test scores were linked to self-evaluation and task-difficulty; however, other constructs were not linked according to the pre-test scores. The initial analysis suggested that a modification in the model. Then a covariance link was added. The overall goodness of fit for indices indicted satisfying the path analysis. All indices of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to meet the acceptable criterion. The indices were revealed as CMIN=11.28, df=9, p=.26, GFI=.99, IFI=.99, CFI=.99, TLI=.99, RMSEA=.03.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 multidimensional aspect of cognitive load is acceptable and applicable to building a path model. Consideration of learners activities was required to build an adaptive cognitive load theory for various instructional settings. Specifically,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more reflected to explain certain concepts such as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 KCI등재

        예술 인지주의의 주장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비명제적 지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임수영 한국미학회 2019 美學 Vol.8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debates on cognitive values of art(especially fictional narrative art) in Analytic aesthetics and propose a new way to conceive the cognitive values of art. What stands out in debates in Analytic aesthetics is that they concentrate on specifying the kind of cognitive benefit and how artwork can give us these cognitive benefits. Initial debates tried to figure out how art can be a source of propositional knowledge of the real world, but current debates see cognitive achievement other than propositional knowledge as more promising options. But, Are these options really promising as giving epistemologically valid explanations on cognitive values of art and its artistic relevance? I think they are not. To clarify this point, I will divide current debates by the kinds of knowledge they argue for; knowing how and knowing what it is like. Also, there are debates explaining cognitive value without knowledge which is frequently called ‘neo-cognitivism’. They argue that art mobilizes what we already know and deepens understanding on it. I argue that given the conditions for acquiring non-propositional knowledge, acquiring non-propositional knowledge is not closely related to the proper appreciation of art. And, I sympathetically agree to the idea that art deepens the understanding on what we already know, but this rough idea does not give a satisfying answer to questions regarding nature of deepened understanding on the world and its artistic relevance. This problem leads some philosophers to focus on the empirical evidence which can support the arguments on cognitive values of art. And I suggest that this direction deserve more focus. 예술 인지주의를 옹호하는 근래의 시도들은 비명제적 지식, 이해 같은 이색적인 인지적 성취를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특히 이러한 인지적 성취를 중심으로 예술의 인지적 가치에 대한 논의를 펼치는 이들은 이런 인지적 성취는 예술적 가치와도 유관하다고 주장하는데, 작품에 대한 적절한 감상 경험의 일부인 상상이나 해석을 통해서 이 인지적 성취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예술 작품이 유도하는 상상을 통해서 비명제적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입장들은 작품 속 상황과 유사한 실제 세계의 상황들에 대처할 줄 알게 된다거나 작품이 묘사하는 사건을 겪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게 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고는 이들의 주장은 실용적 지식이나 현상적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를 고려했을 경우,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두 번째로 이해에 의존하는 입장들은 새로운 인지주의라고 불리면서 근래에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이 입장들은 이해가 지식에 비해서 넓은 개념이며 예술을 통한 다양한 인지적 성장의 양상을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근래에 주목을 받았지만, 결국 그 인지적 성장의 정체가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지나치게 불충분한 설명을 제시한다. 새로운 인지주의가 갖는 문제에 대한 인식은 학자들이 경험적인 증거에 초점을 맞추게 하는 계기가 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작품의 인지적 가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경험적 증거를 하나의 근거로 제시하는 방식을 고찰한 후, 향후의 논의의 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에서 인지재활 현황 및 미래발전방안 조사연구: 임상현장 작업치료사 중심으로

        김영근(Young-Geun Kim),홍승표(Seung-Pyo Hong),이희령(Hee-Ryoung Lee),주유미(Yumi Ju),한대성(Dae-Sung Han)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에서 과거와 비교하여 인지재활의 발전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인지평가와 인지중재에서 문제와 제도적 난제를 밝히며, 한국의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정책 제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최초 조사대상자는 현재 작업치료 현장에서 직무수행을 하고 있고, 인지재활에 관심 있는 대한인지재활학회 정회원 3,44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이루어졌다. 이들 중 본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성실하게 답변한 154명의 참가자가 최종 조사대상이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인지재활 발전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발전방안을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타당성을 갖춘 104개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정량화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인지재활은 작업치료에서 지속적 발전을 거듭하였다. 법적으로 작업치료 업무범위로 보장을 받았고,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전문 교육이 강화되었으며, 인지재활을 시행하는 기관과 치료사가 늘어났다. 그러나 작업수행 기반 인지재활 평가도구와 작업치료 시간 내 평가가능한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는 인지재활 의료보험 수가 확대와 인지재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임상현장의 작업치료사들은 인지요소별 중재보다 작업수행 기반의 기능인지가 임상현장에서 실현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인지재활은 작업치료사의 주요 직무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지난 과거부터 해결하지 못하고 난제로 남아있는 의료보험 수가 등의 제도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작업치료 현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지평가도구, 중재기술, 기능인지 중심 인지재활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CR) and provide policy suggestions and future directions. Methods: From September 2022 to February 2023, a survey was distributed to currently working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A total of 154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contained 104 items about the development,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of CR, which were validated from the previous Delphi pilot study, and a 5-point scale was used for scoring. Results: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OT) in CR has been legally covered. Post-professional education has improved, and the number of organizations and therapists providing CR has increased. However,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occupation-based cognitive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tools for short practice sessions. Institutionally, medical insurance reimbursements for CR and guidelines for the therapist’s role should be developed. The OTs recognized the need for functional occupation-based CR rather than a bottom-up approach for implementation in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CR is one of the major specialties of OT, therefor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address systemic issues such as medical insurance reimbursement and support clinical professionalism.

      • KCI등재

        수퍼우먼의 비애

        주혜진(Hyejin Chu)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5

        인지부조화란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태도와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한 경우, 이 행동을 상황 탓으로 돌릴 수 없게 되었을 때 경험하는 심리적인 불편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조직사회 소수자들이 경험하는 인지부조화의 조건과 그 대응 방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여성과학기술인 집단의 구술을 질적 분석한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 근무하는 16명의 여성과학기술인들을 심층 인터뷰하고,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주제어와 범주를 정해 ?인지부조화?개념을 활용하여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틀을 구성했다. 인지부조화의 발생 조건과 대응에 성별 정체성(gender)은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성(性)이 다수를 차지하는 조직사회 내 남성과 여성의 심리적 긴장을 다룬 유사 연구들에서도 소수자들의 극복 전략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여성과학기술인들의 인지부조화 경험 및 대응 전략들과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 ?과학기술은 남성의 일?이라는 태도는 사회적 상황 및 상호작용을 통하여 체득된다. 여성과학기술인들은 과학기술관련 직장에서 남성이 아닌 여성으로 존재하고, 과학기술분야에 종사(연구)한다는 점 때문에 태도와 충돌하는 인지부조화를 경험하며, 인지부조화로 인해 훼손된 자아 정의 및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하여 인지부조화 해소에 적극적이게 된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인지부조화를 경험한 개인들의 부조화 해소 전략을 크게 ?행위 변경?, ?인지부조화 발생 요인의 부정? 그리고 ?새로운 인지 내용의 추가?로 구분하는데, 여성과학기술인들은 인지부조화 발생요인을 부정하거나, 새로운 인지내용을 추가하는 전략을 통하여 ?상징적 자기-완성(symbolic self-completion)?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자기 효능감의 극대화이기도 한 이 전략은 소위 ?수퍼우먼 신드롬?과 일맥상통한다. ?상징적 자기-완성?은 긍정적 자아 개념을 강화한다는 면에서 개인적으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공론화와 정치가 부재한 이러한 전략은 이 전략이 발생한 사회적 맥락과 경험, 특히 2000년대 초반의 IMF경험과 이후 폭발적으로 확산된 자기계발 및 성취 가치에 대한 태도 형성과 연관이 있다. 또한, 여성의 고용에 집중해온 여성과학기술인 지원 정책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인지부조화를 유발한 태도와 과학기술분야 조직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지 못하고 다시 개인적 차원에서의 상징적 자기-완성 전략에 몰두하게 하는 악순환을 유도하는 한계가 있다. 인지부조화 해소 전략을 사회심리학의 측면에서 탐색하고, 개인의 전략과 사회적 여건과의 관계 및 의미를 살펴본 연구가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고유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이 연구가 조직사회 소수자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성장과 활용 위주의 관련 정책을 수정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gnitive dissonance is a drive or a feeling of discomfort, defined as being caused by holding inconsistent cognitions or by performing an action that is discrepant from one’s customary attitude. Analyzing narratives of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this study shows that the causes of cognitive dissonance women experience and how they reduce it. Several similar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defensive posture and behavioral attributes of minority group members. However, those studies did not illuminate how their less powerful status affect the attitude-behavior link depending on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Interactions among group members play a large role in shaping the customary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he technology studies. Women have learned science and the technology studies are men’s fields not theirs. Originally defined as being in men’s fields, dissonance is most powerful and most upsetting, and it subsequently leads to threatening their positive self-conception.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nd to reduce the dissonance by attempting to change the dissonant cognitions or add new cognitions. These dissonance reduction strategies are linked to symbolic self-completion. Since women experience a threat to an identity to which they are committed, they become highly motivated to restore that aspect of their self-concept through social recognition. This is parallel to the superwoman syndrome. Being a good mother(woman) and capable scientist at the same time is a successful way to signal to others that she does in fact have a credible, legitimate claim to those identities that have been challenged. However, this successful superwoman is not able to change the customary attitude causing the dissonance and the male dominant structure of science and the technology studies community.

      • KCI등재

        노인 인지문제 개선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고령자패널데이터(KLoSA)를 이용하여

        전해숙 ( Jeon Hae S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노인들의 손상된 인지기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의 인지기능의 개선 여부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와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1차년도에 참여한 총 조사대상자 중에서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고 2차년도 인지정보를 통해서 인지 문제 유지 또는 개선여부 판단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N=1,569명). 인지기능장애는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에서 23점을 평가기준점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차년도에 인지기능의 손상이 있었던 노인의 78.6%는 여전히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다고 답한 반면 21.4%는 인지기능이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인지기능개선의 예측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교육, 종교, 소득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노인의 인지기능 개선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이 여성보다, 교육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노인이, 소득이 높을수록 인지문제 개선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기적 운동을 하는 노인들과 사교모임수가 많은 노인들이 인지문제를 개선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을 두어 노인들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ognitively impaired function of the elderly is changed over time and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The study use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ve 1 and Wave data. Participants included 1,569 elders aged 65 and over who scored 23 or lower in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t Wave 1.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78.6%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cognitive impairment at Wave2, while 21.4% of the participants that their cognitive impairment was improved over 2 years. (2)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religion, income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That is, younger participants, males,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with religion, and with higher income presented higher probability of cognitive improvement. (3) Those practicing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having more numbers of socially engaging activities presented higher probability of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인지언어학 연구 방법론

        김동환 우리말학회 2010 우리말연구 Vol.27 No.-

        이 글은 인지언어학의 개요를 살펴보면서, 인지언어학의 방법론 을 제시하고, 향후 인지언어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인지언어학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출현했으며, 두 가지 면에서 형식언어학이나 기능언어학과 구분된다. 첫째, 인지언어학은 언어의 인지적 토대인 인지적 신념을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즉, 인지언어 학은 인지과학과 뇌과학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언어를 기술하고자 한다. 둘째, 인지언어학자들은 일반화 신념을 고수한다. 일반화 신념이란 언어 지식을 구성하는 본질과 원리를 인지 능력의 결과로 기술하려는 신념이 다. 이런 독특한 신념을 가진 인지언어학의 연구 방법론은, 크게 인지모 형과 인지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지모형 중에 서 시나리오와 프레임을 검토하며, 인지과정으로서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 적 혼성을 검토한다. 특히 개념적 혼성의 설명력을 부각하면서, 향후 개 념적 혼성 이론의 발전 가능성을 많이 암시했다.

      • KCI등재

        문화인지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체화이론과 발달적체계접근을 기초로

        신혜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3

        본 논문은 문화와 인지의 오래된 이분법을 넘어, 인간 인지와 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현상 이해를 위한 새로운 틀로서 ‘문화인지’ 개념을 제안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새로운 융합개념인 ‘문화인지’ 개념을 기존의 인지와 문화의 이분법과 대비시킴으로서 ‘문화인지’ 개념 출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문화인지 개념 출현의 이론적 토대로서 ‘체화이론’ 개념과 ‘발달적 체계접근’을 도입하여 기존의 인지와 문화 각각의 개념으로는 설명되지 않았던 문화인지 현상의 구조와 기능의 독특성에 대해 면밀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또 유기체내에 존재하지 않던 전혀 새로운 구조와 기능의 출현을 의미하는 ‘문화인지’ 구조가 어떠한 다양한 조건과 맥락 내에서 형성되고 구조화 되는지를 다양한 예들의 제시를 통해 문화인지 구조 개념의 가설적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상 양식에 따른 다양한 인지와 문화인지의 예를 가설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새로운 구성개념인 문화인지 개념의 출현과 구성이 지니는 다양한 함의를 발달과 교육, 그리고 예술과 치유의 측면에서 조망해 보았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concept of cultuĝnition as a new frame to overcome an old dichotomy between gene and environment and to explain various phenomena around human cognition and culture. For this purpose, there were firstly described the need of a new emergent construct cultuĝnition which is not a combination but a consilience. Two theoretical bases which are embodiment theory and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were implemented for constructing the concept of cultuĝnition. The embodiment theory is the fourth genera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profoundly accep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Embodiment paradigm has demonstrated that cognition is grounded in bodily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and that abstract concepts are tied to the body's sensory and motor systems.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is also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model to explain emergent new structure and function in human ontogeny as well as phylogeny. Based on this embodiment and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the process of formation cultuĝnitive structure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rom developmental, educational, therapeutical aspects with various samples of cultuĝnitive phenomena. This cultuĝnitive account is useful in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accumulating discoveries of cultural variations in human mind and the body.

      • KCI등재

        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인지재활 필요성 기초조사

        권재성,김영근,구인순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직업재활 훈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훈련생들의 직업 수행을 돕기 위한 인지재활 프로그 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인지훈련 영역 중 가장 필요한 인지요소를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향후 장애 인 직업능력 강화를 위한 인지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장애인 직업훈련 및 지원 사업을 담당하는 전문가들 98명을 대상으로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 과 직업재활에서 집중적으로 훈련이 필요한 인지 요소를 조사하고 인지재활이 필요한 장애유형을 알아보고자 설문 조 사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 설문응답자의 83.7%가 인지재활을 들어보았고 50.0% 정도가 인지재활을 시도해 보았으며 필요성에 대한 인식 도는 5점 척도 중 평균 3.61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인지 요소 중 훈련생들에게 더 집중적으로 제공해야 할 인지 훈련요소는‘주의집중’‘, 상황인식과상황판단’‘, 문제해결능력’‘, 지시에따라수행하기’순으로조사되었다. 결론 : 국내 직업재활 훈련 현장에서 인지재활에 대한 실제적인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직업재활을 지지하는 인지재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와 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데 의의 가 있다.

      • KCI등재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인지양식과 메타인지가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미치는 효과

        조규락 ( Kyoo Lak Cho ),김선연 ( Sun Yu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시각형 대 언어형의 인지양식에 따라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며, 메타인지를 메타인지지식과 메타인지조절로 구분하여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83명의 학부생들의 인지양식은 시각형 학습자가 63명, 언어형 학습자가 2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언어형 학습자들이 시각형 학습자들보다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논증의 하위 영역별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구조 문제해결 성취도와 논증에서 메타인지지식 상위집단과 메타인지조절 상위집단의 비교 및 메타인지지식 하위집단과 메타인지조절 하위집단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기에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한 해석은 메타인지 자체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메타인지를 지식과 조절로 나누어 비교하여 검증하는 것이 무의미했을 것이라는 점이며, 또 하나의 해석은 처음부터 메타인지를 지식과 조절로 구분하여 비교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셋째,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구조 문제와 논증뿐만 아니라 논증의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구조 문제해결과 논증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visualizers vs. verbalizers) and metacognition (knowledge of metacognition vs. regulation of metacognition) on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en students individually tried to solve ill-structured problems. Each subject was asked to complet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test after he or she completed both questionnaires that identify his or her cognitive style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Eighty-three students were identified as visualizers twenty as verbaliz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s follows: First, verbalizers had higher score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s indicates that verbalizers performed better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However, no effects of cognitive styles were found on the sub-elements of argumentation. Second, no effects of both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were found o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ere are two possible explanations. One explanation is that because metacognition did not a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and verify them. The other explanation is that from the first,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in comparing the scores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rd, th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ich indicates that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 복합운동과 전산화 인지재활 병행프로그램이 지역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정찬교(Chankyo Jeong),권구명(Gu-myong Kwon),안찬우(Chanwoo Ahn)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0 운동재활·복지 Vol.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군 단위 지역 여성노인들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개발된 복합운동과 전산화 인재재활병행프로그램을 28주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지역 경로당 여성노인 51명이 자발적으로 병행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프로그램 참여 전·후 전산화 인지평가 시스템(CoSAS)를 이용한 인지기능테스트에 참여하였으며, 주2회 병행운동 프로그램(주1회 1시간 복합운동, 주1회 1시간 CoTras-G; 그룹 인지재활 훈련시스템)에 참여하였다. 복합운동과 인지재활 프로그램 참여 후 인지 위험군과 인지 경계군의 빈도는 각각 2명에서 0명, 46명에서 40명으로 3.9%와 11.8% 감소하였으나, 인지 정상군의 빈도는 3명에서 8명으로 15.7% 증가하였다. 인지기능 평가점수와 관련 요인변인(지남력, 기억력, 주의집중, 시지각, 언어능력, 상위인지, 정확도)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5개의 변인(정확도, 주의집중, 기억력, 시지각, 상위인지)이 인지평가점수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장기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운동재활체조, 스트레칭 맨손운동, 재활레크리에이션, 그리고 세라밴드, 짐볼, 필라테스링을 이용한 근력운동)과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지역 여성노인의 들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지역 여성 노인들의 건강증진 중 인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지자체는 휴대용 전산화 인지재활 시스템과 같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론은 지역노인 인지재활 프로그램 운영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s of 28-week combined program including complex exercise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combined-program developed to increase cognitive function for elderly women living in a county. A total of 51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olunteerly. Computer based cognition assessment system for elderly(CoSAS) was utilized to each participants to test cognitive function. A 60-minute exercise program per week and a 60-minute cognitive evaluation system for Group(CoTras-G) program addressed for 28-week. The results are as below. Frequencies of dangerous or border cognition ability were decreased while the frequency of normal cognition ability was increased by 15.7%. The program made the mean scores of CoSAS and related sub-factors(orientation, memory, surrounding attention, visual perception, verbal ability, upper cognition, accuracy) statistically higher. In addition, the CoSAS score can be explained with 5 variables(accuracy, surrounding attention, memory ability, visual perception, upper cogni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long time exercise program and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elderly women can increase cognitive function effectively. This study could be a reference for other senior or elderly program in a loc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