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순신을 도운 경상우수영ㆍ충청수영 사람들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3

        임진왜란 시기 해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순신과 함께 해전을 수행한 각 도의 수군 활동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참전규모가 작아서 등한시 되었던 경상우수군과 충청수군의 활동에 대해서도 드러내는 것이 이순신의 수군활동을 제대로 파악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시간의 흐름 순서에 따라 경상우수군과 충청수군의 활약상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각 수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장수들이 이순신과 어떤 관계를 가지면서 해전을 수행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왜란 초기 경상우수군과 전라좌수군은 상호 협조체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원균이 지휘한 경상우수군이 전력 규모는 매우 약했지만 나름의 활동을 통해 조선 수군의 전승(戰勝)에 기여할 수 있었다. 그것은 주로 경상도 지역의 정보 제공과 전투에서 선봉장 역할 수행을 통해 이루어졌다. 경상우수군의 대표적인 인물로 이운룡은 첫 전투부터 참전하였으며, 이순신과 오랫동안 함께 하였고 여러 가지 작전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영남도 임진왜란 초기에 이순신과 많은 접촉을 하면서 각별한 정을 나누는 관계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제만춘의 경우에는 일본의 도요토미를 측근에서 살펴본 인물로 고급 정보를 제공하여 이순신의 정세 판단에 큰 기여를 한 인물로 드러났다. 한편으로 충청수군은 한산도에 와서 부원하는 전선이 매우 적어서 전력에 큰 보탬이 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충청수군은 지휘관들의 능력이 이순신의 수군 운용에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테면 이미 조방장으로서 이순신을 보좌했던 정걸이 충청수사로서 다시 인연을 맺으면서 그가 50년 무관 생활에서 쌓은 전문지식과 다양한 경험들은 이순신의 작전구사에 큰 힘이 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사직은 이순신과 무과 동기로서 든든한 위안이 되었을 것이고, 임진왜란 전부터 이순신과 절친한 관계를 유지해 온 선거이가 한산도 진중에서 함께 함으로써 이순신에게 큰 위안이 되었을 것이다. 한산도 진영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충청우후 원유남도 이순신의 수군 운용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지휘관들의 세밀한 행적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이순신 해전 승리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확신한다. To understand the naval battles precisely during the Imjin Wa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naval activities of each province which participated in the battles along with Yi Sunsin.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activities of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due to relatively small scale of their participation. Investigating their roles, however, can be a good way to understand Yi Sunsin’s naval acitivies accurately. The role played by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is chronicl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Yi Sunsin and the commanders who played an essential role in each camp during the naval battles is also investigated. The mutual coordination between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was made naturally in the early years of Imjin War. Although the military strength of Gyeongsang Right Navy commanded by General Won Gyun was weak, it contributed to a complete victory in its way. It offered the information about Gyeongsang area and was in the vanguard of the battles. Yi Unryong, a representative general of Gyeongsang Right Navy, engaged in the first battle, and planned a lot of strategies with Yi Sunsin for a long time. Yi Youngnam also had a lot of contact with Yi Sunsin and developed friendly relationship with him in the early years of Imjin War. Je Manchun spied on Toyotomi Hideyoshi closely in Japan and conveyed high-level information to Yi Sunsin. Yi Sunsin was able to judge the situation owing to his contribution. Meanwhile, Chungcheong Navy wasn’t able to do much to help the battle because it had few battleships to send to Hansando. So, it is generally appreciated that the commanders’ abilities were helpful for Yi Sunsin’s military operations. Among them was Jeong Geol, the former aid of Yi Sunsin, who had a special bond with Yi Sunsin as a naval commander of Chungcheong. His expertise and diverse experience as a military officer of 50 years served Yi Sunsin’s military operations. Gu Sajik who took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t the same time might be a reliable and comforting friend to Yi Sunsin. Seon Geoi who had been a close friend earlier than Imjin War also became a comfort to Yi Sunsin by staying in Hansando camp. It is verified that Won Yunam, Chungcheong Wuhu, who fought for a long time in Hansando camp actively participated in military operations. Even though the exact achievements of these commanders are not shown prominently, their efforts must have been key foundations of Yi Sunsin’s victories in the naval battles.

      • 신채호의 이순신 연구와 현대적 함의

        김강녕(Kim, Kang-n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2

        본 논문은 단재 신채호의 ‘이순신전’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채호의 생애·연구업적 및 이순신전 발간, 신채호의 이순신전의 개요 및 평가, 신채호의 이순신 연구의 특징과 현대적 함의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신채호는 국권을 침탈한 일본에 대해 적개심과 필승의 신념을 불어넣어줄 수 있는 국난극복의 군사영웅전으로 ‘수군제일위인 이순신전’을 1908년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한 후 발간하여 독립운동 고취 등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신채호는 임진왜란 당시 해전에서 연전연승한 이순신을 나폴레옹전쟁 당시 해전의 영웅 영국의 넬슨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평가하였다. 그는 이순신이 국내외적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탁월한 능력과 품성의 소유자임을 잘 분석·평가하였다.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향후 이순신 연구는 이순신의 카리스마(charisma)요인뿐만 아니라 불패의 승리를 가능케 한 정신자세, 이러한 승리를 뒷받침해준 민족의 저력요인, 그리고 오늘날 이순신 후예들이 이순신을 벤치마킹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괄하는 과학적·종합적 접근이 함께 고려될 때 보다 더 큰 민족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biography of Yi Sun-sin of Danjae Shin Chae-ho.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Shin Chae-ho s life and research achievements and the publication of Yi Sun-sin s biography; overview and evaluation of Yi Sun-sin s biography of Shin Chae-ho; the characteristics and modern implications of Shin Chae-ho s Yi Sun-sin study; and conclusion. Shin Chae-ho published The Biography of Yi Sun-sin, the Great Master of the Navy, in 1908 in the Korean Maeil Shinbo as a military hero who can instill a sense of hostility and a belief of victory over Japan, which invaded the nation s sovereignty,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mo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Shin Chae-ho analyzed and evalu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Yi Sun-sin, who won consecutive victories at the naval battl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Nelson, the hero of the naval battle during the war in Napoleon. He analyzed and evaluated Yi Sun-sin as an unrivaled holder of outstanding ability and character at home and abroad. From a modern point of view, future research on Yi Sun-sin could be a driving force for greater national development, given not only his charisma but also his mental posture that enabled him to win an undefeated victory, the nation s strength factors that supported his victory, and the scientific and comprehensive approach that encompasses the potential for Yi s descendants to benchmark him today.

      • KCI등재

        근대 이후 제작된 ‘이순신’ 초상 이미지의 통시적 고찰

        송미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2 美術史學 Vol.- No.44

        근대 이후 제작된 이순신 초상화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면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이순신 초상은구군복 차림, 그리고 해방이후에는 갑옷이나 관복차림의 이순신 이미지로 구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시대와 필요에 따라 이순신의 이미지는 변화와 변용을 거듭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순신 초상화는 대부분 영정 초상화였던 관계로 국가나 단체의 의뢰로 제작되었기에 이순신 초상화는 시대별 사회상을 반영한다. 일제강점기 이순신 이미지는 나라를 빼앗긴 설움을 임진왜란에서 전승했던 이순신에 이입시키는 바람에 한층 더 강하게 신격화된 경향이 있었다. 특히 1931년 아산 현충사와 묘소 위토가 경매로 넘어가게 된 사건은 민족주의 감정을 폭발시켜 현충사와 한산도 제승당 중건과 함께 이순신초상화가 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그려진 이순신의 모습들은 모두 구군복의 복장으로 다소 유화된 이미지를 보인다. 1930년대는 일본의 문화정치 전략으로 이순신 숭배에 대한 직접적인 탄압은 없었으나 위협적으로 보일 수 있는 갑옷차림의 전쟁하는 이순신에 대한 이미지 표현은 배제되어 있어 일본의 간섭에 대한 의문이 제기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이순신 초상화는 거의 대부분 대중들에게 자극적이지 않은 순화된 이미지 즉, 구군복을 입은 초상화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조직된 ‘충무공기념사업회’는 이순신을 활용해 애국민족주의 감정을촉진시켰다. 정부인사가 포함된 ‘충무공기념사업회’는 처음에는 이순신을 반일의 표상으로 내세웠고, 한국전쟁 상황에서는 이순신을 반공의 아이콘으로 활용하려 했었던 정황이 드러나는데 급박한 전시 상황에서 장우성에게 현충사의 <충무공상>을 의뢰했던 점이 그러하다. 이처럼 1950년대에 이순신 초상화는 장우성, 김은호 등의 화가들에 의해 국가적 차원에서 제작되었고 화제를 남기며 각각의 이순신 사당에 봉안되었다. 1960년대에는 이순신 사업이 국가적 차원에서 대규모로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현충사는 국가기념시설로 전환되며 성역화 된다. 또한 1968년에는 세종로 대로변에 김세중의 <충무공상>이 세워졌고, 1973년에는 현충사에 봉안된 장우성의 <충무공상>을 표준영정으로 제정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다양한 이순신 사업이 유신체제에서 발생된 이유는 현시대를 이순신의 시대와 동일한 위기상황임을 강조하여, 국민들 역시 국가를 위해 과감히 멸사봉공할 수 있는 자세를 은연중에 주입하기 위한 장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제정된 표준영정제도는 물론 산재했던 이순신 이미지를 통일하여 대중들의 혼란을 상쇄시켰다는 순기능도 있지만 그에 따른 다른 문제점도 드러난다. 표준영정의 ‘표준’의 기준이 과연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전래되는 이순신 초상화가 한 점도 없었고 몇몇의 문헌에서도 구체적으로 파악되는 용모에 대한 기록이 미비한 데도 불구하고 기준점이 세워지지 않은 상황에서 표준영정이 지정되었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역사의 과오가 될 수 있다는 점을 환기해야 한다.

      • 광복 직후 이순신 선양과 표준 영정의 봉안

        제장명(Jang-Myeong J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어느 국가나 영웅을 기리는 행위를 통해 국민통합을 이루고 자 한다. 영웅 선양사업은 정권의 체제유지와 긴밀한 연관을 갖고, 국민들의 의식과 정서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국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영웅으로 이순신 장군을 손꼽는데는 이견이 없다. 이순신은 임진왜란 이후 우리나라 역사에서 꾸준히 기억되어 왔으며, 오늘날 우리나라 최고의 영웅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제로부터 광복한 직후 이승만 정권 시기를 중심으로 이순신 선양사업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정리해 보았다. 특히 당시는 광복 직후의 혼란기였고, 6·25전쟁이 있었던 국가 위기 상황이었다. 어느 때보다 국민 통합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순신은 통치에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이승만 정권의 이순신 선양 배경에는 반일과 반공이라는 두 가지 이데올로기가 있었다. 이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이순신 기념활동의 제도화가 다방면으로 추진되었다. 특히 충무공기념사업회가 조직되어 이순신 선양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갔다. 이승만도 직접 이순신 전적지를 참배하고 각종 기념식과 동상 제막식 등에 참석하였다. 충무공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각종 선양활동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이순신 상(像)도 새롭게 형성되었고, 나아가 오늘날 표준 영정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요컨대, 이순신이라는 역사적 영웅에 대한 선양활동은 국가체제 유지에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기능하면서 국민 통합을 이루는 데 핵심적 기능을 수행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y country seeks to achieve national unity through acts of honoring heroes. The hero promotion project is closely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regime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sciousness and emotions of the people. There is no doubt that Admiral Yi Sun-sin is the most respected hero in Korean history. Yi Sun-sin has been steadily remembered in Korea's history sinc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s recognized as Korea's best hero today. This paper summarized how the Yi Sun-sin promotio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focusing on the Rhee Seung-man regim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particular, at that time, it was a period of confusion right after liberation, and it was a national crisis situation where there was the Korean War. At a time when national unity was more required than ever, Yi Sun-sin served as the most useful means of governance. There were two ideologies behind the Rhee Seungman regime's promotion of Yi Sun-sin: anti-Japanese and anti-communist. To support this logic, institutionalization of Yi Sun-sin's commemorative activities was promo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e Chungmu Gong Memorial Association was organized to actively promote Yi Sun-sin. Rhee Seungman also visited Yi Sun-sin's battlefield and attended various ceremonies and statue unveiling ceremonie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various enhancement activities organized by the Chungmu Gong Memorial Association, Yi Sun-sin's statue was newly formed, and furthermore, today's standard portrait was also made during this period. In shor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motion activities of Yi Sun-sin, a historical hero, performed a key function in achieving national unity while functioning as the most useful means for maintaining the national system.

      • 영국인과 유럽인들이 알고 있는 이순신 제독

        이안 바우어스(Ian Bowers)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7

        영국인과 유럽인들은 다양한 면에서 이순신 제독의 업적과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 특히 영국과 유럽에서는 노량해전과 트라팔가해전을 통해 이순신 제독의 위대한 업적을 영국의 위대한 넬슨 제독과 비교하고 있다. 많은 유럽의 전문가들은 이순신 제독이 일본군과의 해전에서 연전연승한 요인으로 ① 거북선을 설계·건조한 공학적 (기술적)인 마인드, ② 장거리포를 이용하여 일본군을 원거리에서 공세적으로 공격한 전술, ③ 해전을 치른 해역의 조류 특성과 지리 적인 이점을 이용한 전략적인 식견, ④ 남다른 애국심과 용기 등으로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영국의 존경받는 장군인 몽고메리 장군이 그의 명저인『전쟁의 역사』에서 이순신 제독을 전략가이면서 전술가인 동시에 기술혁신에 대한 탁월한 능력을 가진 제독이며, 아시아 역사에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하였다. 이순신 제독이 한반도 해역에서 치러진 해전에서 일본군을 패배 시키고 승리한 교훈은 유럽 국가들로부터 위협을 받아 온 섬나라 영국에게 특별한 교훈을 주었다. 그러나 이순신 제독이 아시아 역사에 미친 영향이 매우 크지만 임진왜란 당시 동아시아가 유럽과 비슷한 수준의 해군력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더 발전하지 못한 것은 해양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지도자의 인식 부족과 무관심 때문이다. 오늘날 중국, 일본 등 주변국들의 군비증강으로 동북아시아의 해양안보 불안 요인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순신 제독이 해전 사에 미친 영향은 한국해군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e British and Europeans are evaluating the accomplishments and abilities of Admiral Yi Sun Sin in a variety of ways. Especially in England and Europe, the great achievements of Admiral Yi Sun Sin are compared with Admiral Nelson of Great Britain through the Battle of Noryang and the Battle of Trafalgar. Many European experts pointed out that Admiral Yi Sun Sin could win the battle with the Japanese army with the following reasons: ① an engineering mind that designed and constructed a turtle ship, ② a tactic that attacked the Japanese army from a remote location using a long-range gun, ③ strategic insight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tides and their geographical advantages in the battle sea area, and ④ unusual patriotism and courage. In addition, Gen. Montgomery, a respected general in Britain, in his book The History of War, evaluated Admiral Yi Sun Sin as a strategist, tactician, technological innovator and a great person who influenced Asian history. The lesson that Admiral Yi Sun Sin defeated and won the naval battle against Japan on the Korean Peninsula gave a special lesson to Britain, an island nation, that had been threatened by European countries. However, Admiral Yi Sun Sin had a great influence on Asian history, but the fact that East Asia had similar naval power in Europe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did not develop much because of national leaders lack of awareness and indifference on the importance of the ocean. Today, the increase of naval power in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is adding to the maritime security uncertainty of Northeast Asia, and thus, the Admiral Yi s influence on naval warfare has a great impact on the Republic of Korea s Navy.

      • 이순신의 승리 지향적 리더십 연구 -난중일기․이충무공전서를 중심으로-

        안진규(An, Jin-Kyu)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이순신의「亂中日記」․「李忠武公全書」에 나타난 승리 지향적 리더십을 밝혀 정치, 경제, 스포츠 등의 모든 영역에서 활동하는 현대인들의 리더십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우선 이순신의 승리 지향적 리더십은 인․의 중심의 리더십, 실천의 리더십, 신상필벌의 리더십, 대화의 리더 십, 그리고 개혁의 리더십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관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순신은 인․의 중심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부하들과 백성들을 사랑하였으며, 더 나아가 나라에 충성할수 있었다. 또한 공무를 집행하는데 있어서 의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순신은 실천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승리를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출 수 있었다. 성공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와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바로 실천력에 있는데, 이순신은 확실한 승리를 위한 모든 절차(process)를 점검 하고 확인하였으며 완성시켰다. 셋째, 이순신은 신상필벌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군조직의 군기를 바로 세웠으며, 사기를 앙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필벌을 통해 승리를 하는데 어떠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근절할 수 있었으며, 신상을 통해 부하들에게 신뢰와 믿음을 주었다. 이는 상명하복의 수동적인 복종이 아니라, 능동적이면서도 적극적인 복종을 이루어낼 수 있었다. 넷째, 이순신은 대화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승리를 하는데 필요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었으며, 수군 운영 시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특히 임진왜란 시에는 해전에 앞서 승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적절히 이용하여 승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이순신은 개혁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백성과 부하, 그리고 국가를 위해 개혁을 이루어 내었음을 알 수있었다. 이순신은 반드시 승리하기 위해 만약에 있을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거북선을 만들었고, 부하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기 위해 진중에서 과거를 치렀으며, 육지에서도 펼치기 힘든 학익진을 펼치며 승리하였다. 이러한 개혁은 이순신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백성, 부하, 그리고 국가를 위해 이루어 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이순신은 승리 지향적 리더십, 즉 인․의 중심의 리더십, 실천의 리더십, 신상필벌의 리더십, 대화의 리더십, 개혁의 리더십을 통해 23전 23승 무패의 기록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ictory-oriented leadership, which is shown in Yi Sun Sin s Nanjung Ilgi (The War Diary) and Yi Chungmugong Jeonseo , (The Complete Book of Chungmugong Yi) and so help to enhance the leadership of the contemporary persons, who are active in all the domains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spor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Yi Sun Sin s victory-oriented leadership is composed of the benevolence/ justice-centered leadership, the leadership of practice, the leadership of sure penalty and certain reward, the leadership of conversation, and the leadership of reform. The results about these leaderships can be arranged a follows. First, Yi Sun Sin was based on the benevolence/ justice-centered leadership, and so loved his subordinates, and further could be loyal to his country. Also, Yi Sun Sin did not take the actions, which were contrary to justice, in executing his official duties. Second, Yi Sun Sin was based on the leadership of practice, and so could make every preparation for victo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on, who succeeded, and the person, who did not succeed, consisted in practice ability. Then, Yi Sun Sin checked up, ascertained, and completed all the processes for secure victory. Third, Yi Sun Sin was based on the leadership of sure penalty and certain reward, and so established uprightly the military discipline of military organizations, and enhanced the morale. Yi Sun Sin eradicated all the acts, which could have the negative influence on victory, through sure penalty. Also, Yi Sun Sin provided his subordinates with trust and confidence through certain reward. This leadership could accomplish not the top-down passive obedience but the active and positive obedience. Fourth, Yi Sun Sin was based on the leadership of conversation, and so could assign the talented persons, who were necessary for victory, in the right posts, and could solve several problems, which might occur in operating the naval forces. Especially, in Imjin Woeran, Yi Sun Sin acquired all the information, which was necessary for victory, before beginning naval battles, and so used such information properly to win the battles. Fifth, Yi Sun Sin was based on the leadership of reform, and so could achieve the reform for his people, subordinates, and country. Yi Sun Sin made Geobukseon (Turtle Ship) in preparation for unexpected situations in order to win necessarily. And Yi Sun Sin conducted Gwageo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in the military camp in order to give his subordinates dreams and hopes. And also, Yi Sun Sin won by deploying the battle formation of crane wings (Hakikjin), which was difficult to deploy even in the land. Yi Sun Sin achieved this reform not for Yi Sun Sin himself but only for his people, subordinates, and country. So, Yi Sun Sin could accomplish the record of 23 victories no defeat among 23 wars through such victory-oriented leadership, that is, the benevolence/ justice-centered leadership, the leadership of practice, the leadership of sure penalty and certain reward, the leadership of conversation, and the leadership of reform.

      • 탱크부대 지휘관이 본 이순신 장군의 해전 승리

        노양규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9

        When the Imjinwaeran broke out, the Japanese forces advanced unresisted to the north and seized Hanyang in just over 20 days. The Joseon army resisted in Dongrae, Sangju, Chungju, and other places, but it was beyond their capacity to stop the Japanese forces armed with firearms. Unlike the army on land, however, the navy led by General Yi Sun Sin achieved brilliant victories on sea. The naval victories of General Yi Sun Sin fundamentally shook the strategy of the Japanese invaders to simultaneously conquer the land and sea and greatly influenced the overall state of war during Imjinwaeran, and gave hope, courage, and the will to fight to King Seonjo and his subjects and all the people who were retiring to the north. How could General Yi Sun Sin achieve such victories? Was it because of the excellent Panokseon ships of the Joseon navy or the excellent tactics of General Yi Sun Sin? Particularly for commanding officer of a tank unit that has to fight in groups on land like a fleet on sea, how General Yi Sun Sin could take the initiative in a battle with an opponent who had superior forces, how he made the best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icated Southern Sea, and how he could effectively commanded a large number of battle ships with limited means of control to exhibit maximum fighting power are good subjects of study.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naval victories of General Yi Sun Sin from the viewpoint of a commanding officer of a tank unit and derived some lessons. A tank unit has many similarities with a fleet fighting on sea. First, they ride on armament and exhibit fighting power through the armament. Therefore the armed forces and armament must be united as one body. They fight in groups, they can go anywhere, the front line is not fixed, they must make a battle formation to exhibit fighting power, and it is difficult to command and control.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e movements of the opponent and to make the best use of topography. Among the 47 battles of Chosen Navy for seven years of Imjinwaeran, this study examined Okpo, Hansando, Myeongnyang, and Chiljeonnyang naval battles which seem important from the standpoint of a commanding officer of tank unit, and derived the following lessons from these battles in which General Yi won. First, General Yi made full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armament. Admiral Yi understoo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Japanese navy and avoided the Japanese tactic of “climbing into ships and close combat” and led the battle to remote naval bombardment battle which was favorable to the Joseon navy. Second, Admiral Yi’s commanding and controlling were excellent. He united the fleets of three provinces, deployed the soldiers at the right places so that they could exhibit their best abilities, and effectively controlled the fleets in complicated topography of the Southern sea. Third, Admiral Yi made the best use of turtleships. Turtleships were charge ships and decisive armament that determined the flow of the war, and psychological arms to confuse and disturb the opponent. Fourth, Admiral Yi used the tactics of “Jeseungjihyeong ((process of making a victory).” Victory in a war is not accidental; it requires thorough preparation and analysis of the opponent and our forces, as well as the harmony of the commander’s decision and judgment at each moment. In other words, Admiral Yi did not try to win after beginning a battle, but thoroughly prepared the conditions to win a battle beforehand. Fifth, Admiral Yi made full use of topography. Topography is a secondary means to the manipulation of troops and gives the same conditions to everyone, but helps those who make full use of it. Sixth, Admiral Yi understood the movements of the opponent. Understanding the opponent is the basis and beginning of all military actions. Admiral Yi worked hard to understand the movements of the opponent, and made an effort to collect intelligence from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왜군은 파죽지세로 북진을 거듭하여 20여 일만에 한양을 점령하였 다. 조선 육군은 동래, 상주, 충주 등지에서 저항을 하였지만 조총으로 무장한 왜군을 막기 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육지에서와는 달리 바다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수군이 빛나는 승리를 달성하였다. 이순신 장군의 해전 승리는 왜군의 수륙병진정책을 근본적으로 흔들어 임진왜란 전쟁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고 북으로 피난 가던 선조 임금을 비롯한 신하들과 전 백성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고 항전의지를 불러 일으켰다. 그러면 이순신 장군은 어떻게 이러한 승리를 달성할 수 있었는가? 당시 조선 수군이 보유한 판옥선이 우수하였기 때문인가 아니면 이순신 장군의 용병술이 뛰어났기 때문인가? 특히 바다에서의 함대처럼 육지에서 무리를 지어 전투를 수행해야 하는 탱크부대 지휘관의 입장에서 보면, 이순신 장군이 열세한 전력으로 수적으로 우세한 적을 맞이하여 어떻게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착잡한 남해 바다의 특성을 잘 활용하였으며, 통제수단도 제한된 많은 함선들을 효율적으로 지휘하여 전투력을 발휘하게 하였는가 하는 것 등은 좋은 연구 대상이 아닐 수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순신 장군의 해전 승리를 탱크부대 지휘관 입장에서 조명해 보고 교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탱크부대는 바다에서 전투하는 함선과 매우 유사한 점이 많다. 먼저 장비에 탑승하여 장비를 통해서 전투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장비와 병력이 일심동체가 되어야 하고 하나가 되어야 한다. 무리를 지어 전투를 수행하며 어디든지 갈 수 있고 일정한 전선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전투력을 발휘하기위해서는 전투대형을 편성해야 하고, 지휘통솔이 어렵다. 그리고 적정 파악이 중요하고, 지형을 잘 활용해야 하는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임진왜란 7년동안 조선 수군이 수행한 약 47회의 전투 중에서 탱크부대 지휘관 입장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옥포해전, 한산도해전, 명량해전, 칠천량해전을 조명해 보고, 이러한 해전을 포함한 임진왜란 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승리한 전투 교훈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비의 특성을 잘 활용하였다. 이순신 장군은 왜수군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왜수군의 장점인 등선육박전술을 회피하고, 조선 수군에 유리한 원거리 함포전으로 전투를 진행하는 등 장비의 특성을 잘 활용하였다. 둘째, 지휘통솔을 훌륭히 수행하였다. 3도 수군을 연합함대로 구성하여 운용하고 부하장병 들의 능력과 특성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제 역량을 발휘토록 하였으며, 남해바다의 착잡한 지형에서 함대를 능률적으로 통제하였다. 셋째, 거북선을 잘 운용하였다. 돌격선이었던 거북선은 전쟁의 흐름을 좌우하는 결정적 무기였으며, 적을 혼란시키고 교란시키는 ‘심리적 무기’ 였다. 넷째, 제승지형의 용병술이다. 전쟁승리는 우연히 되는 것이 아니라 사전 철저한 준비와 적과 아군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바탕이 되어야 하고 매 순간 지휘관의 결심과 판단이 조화를 이루어야 가능하다. 즉 이순신은 싸움을 시작하고 나서 이기려고 한 것이 아니라 사전에 철저한 준비와 여건을 통해 이길 수 있도록 해 놓고 싸워 이긴 것이다. 다섯째, 지형의 활용이다. 지형은 용병의 보조수단으로서 누구에게나 동일한 조건을 주는 것이지만 이를 잘 활용하는 자에게 도움을 준다. 이순신은 지형을 잘 활용하였다 여섯째, 적정파악이다. 적을 안다는 것은 모든 군사행동의 기본이며 시작이다. 이순신은 적정파악에 많은 노력을 기울렸으며 군사적 수단뿐 아니라 민간 백성들을 통한 첩보수집에도 노력하여 항상 적을 손바닥처럼 파악한 상태에서 전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여러 가지 교훈들은 미래 한반도에서 탱크전투가 발생하였을 때 활용 가능한 창의 적이고 효과적인 전쟁수행 원리를 제공해 준다.

      • 임진왜란기 이원익과 이순신의 인연과 우의

        김강녕(Kim, Kang-n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9

        이 글은 임진왜란기 이원익과 이순신의 인연과 우의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원익의 생애와 이순신과의 인연, 어전회 의·상소를 통한 이원익의 이순신 옹호, 이순신 백의종군기 이원익의 충언과 제의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 본 것이다. 이원익은 유성룡 못지않게 임진왜란 기간을 통해 이순신을 지지·옹호한 사람이었다. 이순신은 해전사적으로 승전기록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함은 물론 문무덕을 겸전한 숭고한 인격의 소유자로서 조국에 대한 지극한 충성심과 탁월한 통솔력·리더십을 발휘한 점에서 우리역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인물이었다. 이순신은 일생동안 구국정신으로 국가에 몸과 마음을 바친 위대한 군인이자 성웅이었다. 이원익은 그의 뛰어난 실무적 경륜과 위기관리능력, 강직한 원칙과 포용성을 겸전한 리더십으로 임진왜란 등 국난극복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었다. 자신의 안위보다는 나라사랑을 항상 먼저 생각하는 인물이었다. 이원익은 그러한 인물이었기에 이순신을 알아보았고 이순신이 모함을 받아 어려움에 처했을 때 적극 옹호할 수 있었다. 이순신과 이원익의 돈독한 신뢰와 우의와 탁월한 능력들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특히 정유재란이후 해전에서의 승리로 전란을 마무리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and friendship between Yi Won-ik and Yi Sun-sin during the Imjin War.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Yi Won-ik s life and his relationship with Yi Sun-sin; Yi Won-ik s advocacy argument for Yi Sun-sin at a conference in the Royal presence and by appeal to the King Seonjo; Yi Won-ik s good advise and proposal during the Baekuijongkun(serving in a war as a commoner without rank) period; and conclusion. Yi Won-ik was a man who supported and defended Yi Sun-sin as well as Yoo Seong-ryong during the Imjin War. Yi Sun-sin was an outstanding military expert with outstanding ability to record successive victories during Imjin-Jeongyu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1597). Yi sun-sin was a great soldier and holy hero who devoted his body and mind to the country in the spirit of patriotism until the last moment. Yi Won-ik is a man who greatly contributed to overcoming a national disaster, including the Imjin War, with his excellent work experience, ability to manage crises, strict principles, and good leadership. He always put country love before wealth and honor. Lee Won-ik recognized Yi Sun-sin because he was such a figure and was able to defend him wholeheartedly when he was framed into trouble. Yi Sun-sin also expressed a deep appreciation and respect for Yi Won-ik s support and advocacy. The strong trust, friendship and excellent abilities of Yi Won-ik and Yi Sun-sin could have a synergy effect,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conclusion of the war, especially with victory in the naval battle after the Jeongyu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 전남의 이순신 백의종군로와 그 정신

        노기욱(Roh gi uook),박창규(Park Chang Kyum)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1

        1597년 4월 1일 이순신은 한양 의금부 감옥에서 석방될 때 참담하였다. 조선군사령관 권율 대장 밑에서 군사업무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순신은 구례군청을 지나 순천시로 향하였다. 당시 조선군 도원수 권율이 순천부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순신은 권율을 만나 군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남쪽으로 길을 떠났다. 이순신이 수원을 거쳐 남하하는 길에 비보를 접했다. 고령의 모친이 사망하였다. 그는 좌절과 비통함에 휩싸였다. 백의종군의 처지라 오래 머물 수 없어 상중임에도 서둘러 길을 떠났다. 공주를 거처 여산에 도착하였다. 1597년 4월 22일 전라북도 ‘삼례’를 출발 하여 ‘전주’, ‘임실’, ‘남원’, ‘운봉’, ‘남원’을 지나 왔다. 이어서 전라남도 구례, 순천에 이르렀다. 조선군 도원수 권율 진이 있는 순천에 도착하니 1597년 4월 27일이었다. 이순신은 27일간의 고단한 행군으로 몸과 마음이 지쳤다. 이순신은 순천에서 처음으로 도원수 권율이 보낸 군관과 교신하였다. 이순신은 순천에서 18일간 머물렀다. 이 기간 동안 이순신은 고위 대감과 정사준 군인 간부를 만나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 한산도 진중에서 온 장수들이 모친상을 당한 이순신을 찾아와 조의를 표하고 수군의 상황도 보고하였다. 이순신은 순천시에서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략을 구상하였다. 위기 속에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이순신은 준비하는 자세를 견지하였다. 우리들에게 “준비된 자만이 승리할 수 있다.”는 교훈을 주었다. 이순신은 5월 14일 구례로 이동하여 손인필 군관을 만났다. 그리고 조정에서 파견한 체찰사 이원익 대감을 만나기 위해 이동하였다. 구례군청 ‘명협정’에서 이원익 대감을 만나게 되었다. 이순신은 밤을 새우면서 이원익 대감과 전략을 모색하였다. 구례군 수령 이원춘과 구례군 백성들은 이순신을 환영하였다. 비록 죄인의 몸이지만 구례 백성들의 친절한 모습은 그에게 재기의 신념을 주었다. 이는 어려운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 이순신은 구례에서 14일 정도를 지냈다. 이 기간 동안 재침략할 일본을 맞아 어떻게 승전할 것인가를 생각하였다. 구례군 행군길은 이순신의 호국 정신과 열정이 담겨져 있다.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이순신 정신이 곳곳에 서려 있다. 이순신이 행군한 길에는 그의 꿈과 열정이 녹아 있다. 여기서 긍정적 사고를 배울 수 있다. 이순신이 행군한 백의종군로는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그러기에 이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였다. 이 길은 자연 그대로 강변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길가에 심어진 나무들로 인해 4계절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자전거도로’와 ‘걷는 길’이 잘 조성되어 있다. 총 119.1km의 ‘남도 이순신길 백의종군로’를 개설하였다. 1구간부터 7구간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이 길을 찾는 관광객을 위해 편의시설을 만들었다. 쉼터공원, 벤치, 탐방가이드북, 안내지도, 안내판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학생, 해군사관학교, 공무원 교육장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이 길은 지역 역사발굴의 의미가 있으며 각 지역 관광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또 지역민의 정체성을 높여주는 길이다. Lee, Sun-sin April 1, 1597 in Seoul, when released from jail was terrible. Joseongun Commander ‘Gwon, yul captain’ ordered to perform under a given military service. Suncheon to march past the Lee, Sun-sin was the Gurye. Gwon, yul was captain of joseongun commander was in Suncheon. Lee, Sun-sin was captain gwonyul was to meet Defence to perform. Lee, Sun-sin to South down the “Baekuijonggun road” was a terribly difficult. The first was the death of his mother. He was wrapped up in frustration and grief. Nevertheless, along the way, went in a hurry. Yeosan arrived in Seoul to start. And Jeollabuk-do doregion ‘samrye’, ‘pole’, ‘Imsil’, ‘Namwon’, ‘Unbong’, ‘Namwon’ was passed. Jeollanam-do Gurye then, came to Suncheon. April 27, 1597 Gwon, yul colon joseongun commander arrived in earnest. Lee, Sun-sin exhausting march of the 27 days of the tired body and mind. He was captain and senior gwonyul Suncheon was the first time. Lee, Sun-sin is 18 days and stayed in Suncheon. Jeongsajun military officers to meet with the senior management was to gather information. He is using the information gathered in Suncheon new strategy was envisioned. Lee, Sun-sin never gave up despite the crisis. Lee, Sun-sin prepare posture is shown. Us “This victory can be prepared only by” a lesson. Go to the Lee, Sun-sin Gurye ‘Soninpil military officers’ met. The government’s ‘Yiwonik senior management’ movement was to meet. Lee, Sun-sin is Gurye ‘Myeonghyeopjeong’ met with senior officials from the Yiwonik. Lee, Sun-sin Yiwonik the night while the shrimp were seeking senior management and strategy. Lee, Sun-sin Gurye management Yiwonchun and Gurye kindly welcomed the people. Gurye people’s kindness to him overcoming setbacks happen again become a force. It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real power was. He served 14 days in Gurye. What will you do to win, and I thought it was time. Gurye ‘Baekuijonggun Road’ is put in his patriotic spirit and passion. People who love the country and all over his spirit alive. The way he walked, his dreams and passion melted. This way you can learn positive thinking. He walked the roads are historically significant. That is why it was utilized in tourism resources. The natural way ‘river bank’ made using. Because the trees were planted on the roadside you can see the changing of the seasons. ‘Bike paths’ and ‘walking street’ is to be manicured. A total of 119.1km ‘Baekuijonggun road’ was opened. Course 1 consisted of seven courses. The way to find and amenities made for tourists. Rest park, benches, trail guide book, guide maps, signs were made. As a result, students, Naval Academy, officers became superintendent utilized. Way to discover the local history of this sense. And each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urban tourism. That increase awareness of the history of the locals way.

      • 이순신의 리더십과 순국의 의미

        임원빈(Lim Won Bi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8

        This paper examines the leadership of Admiral Yi Sun-sin, the emblem of Korean leadership, focusing on five leaderships that consist of 1. a leadership of dream and hope (Vision), 2. a leadership of variation and innovation (Capability), 3. a leadership of value orientation (Historical Consciousness), 4. a leadership of communication (Ability to Integrate), and 5. a leadership of high personal character (Commitment). Admiral Yi not only allowed the people the dream and hope to live, but created the Turtle Ship and developed his battle formation Hakikjin with a precise insight into the transition in weapon systems and tactics in naval warfare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he integrated the combat capability of civilians, government, and military. Moreover, to Admiral Yi,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a just war. Admiral Yi had a sense of historical awareness on developing a history founded on the triumph of justice through the chastisement of Japanese invaders. Furthermore, he was a man of high character who considered the interest of his nation and the people as his top priority, rather than that of his own. Admiral Yi, thus, is an exemplary figure of Korean leadership that those who dream to take position as future leaders in this country must follow. There are many theories surrounding Admiral Yi’s death including those that suggest that his death was caused by suicide or seclusion. Ultimately, it is considered historical truth that Admiral Yi died during the Noryang Naval Battle. Various heresies about suicide or seclusion are invalidated claims that only amount to conjectures. Admiral Yi’s death during the Noryang Naval Battle was the result of his hoping to die as a general and the will of the heavens. Admiral Yi’s patiotic martyrdom in his last battle was the most dramatic death in history. To Admiral Yi himself, it was the most honorable death as a general and to us, his posterity, it was simply the greatest death. Through his martyrdom, Admiral Yi will remain in the hearts of the Korean people forever. 본고에서는 한국적 리더십의 표상인 이순신의 리더십을 크게 ① 꿈과 희망의 리더십(비전), ② 변화와 혁신의 리더십(실력), ③ 가치지향의 리더십(역사의식) ④ 소통의 리더십(통합능력) ⑤ 고결한 인격의 리더십(헌신) 등 다섯 가지 리더십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순신은 백성들에게 살 수 있다는 꿈과 희망을 주었고, 무기체계와 해전 전술의 변화를 정확히 꿰뚫고 거북선을 창조하고 학익진을 개발하였으며, 소통을 통해 민, 관, 군의 전투 역량을 통합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순신에게 있어서 임진왜란은 정의의 전쟁이었다. 그는 침략자 일본군을 철저히 응징하여 정의가 승리한다는 역사를 만들어야 한다는 역사의식의 소유자였다. 나아가 그는 자기 자신의 이익보다는 언제나 나라와 백성의 이익을 생각하는 고결한 인격의 소유자였다. 그는 대한민국의 리더를 꿈꾸는 사람들이 본 받아야 할 한국적 리더십의 표상이다. 이순신의 죽음에 관해서는 자살설, 은둔설 등 다양한 이설(異說)들이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이순신은 마지막 노량해전에서 장렬히 전사한 것이 변치 않는 역사적 진실이다. 자살설이나 은둔설 등의 이설(異說)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추측성 이야기에 불과하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전사한 것은 마지막 전투에서 죽고자했던 무장으로서의 희망사항과 하늘의 뜻이 통한 결과였다. 마지막 전투에서의 이순신의 순국은 역사상 가장 극적인 죽음이었고, 이순신 자신에게는 무장으로서 가장 영예로운 죽음이었으며, 남아 있는 우리 후손들에게는 가장 위대한 죽음이었다. 이를 통해 이순신은 한국인의 가슴 속에 영원히 남아있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