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의 이상과 현실 ― 고당(顧堂) 김규태(金奎泰)의 경우 ―

        서영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3 동방문화와 사상 Vol.14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deal and reality of Small-Sinocentrism during the Japanese rule of Joseon with a focus on Godang Kim Gyu-tae(1902~1966). Small-Sinocentrism ① dreams of a "world where Dao is realized" beyond the boundary of "one's own country and a foreign country" by taking "Dao/Non-Dao" and "moral rule/rule by force" as the criteria of civilization judgments. ② In reality, however, it falls in an "egocentric bias" based on beliefs in moral absolutism based on "China=civilization/non-China= barbarism" and "Dao is valuable"/"Qi is lowly." Such an explanation can be defined as an attempt to show the realistic limitations faced by the ideal of Small-Sinocentrism during the Japanese rule. Kim Gyu-tae was a Taoist-line Confucianist that inherited the Scholarly Network of Nosa from "Ki Jung-jin through Jeong Jae-gyu to Jeong Gi" and focused on the protection of the Confucian order in the country society at the center of the 35-year Japanese rule and the Korean War. Insisting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 study in the viewpoint of Wijeong as the duty of dealing with the confusion and trouble of the times, he worked on expanding the base of Confucianism through pursuit of study and social intercourses. During the period, the Taoist-line Confucianists, who believed that the survival and fall of the country depended on the protection of "Dao," dreamed of making Small-Sinocentrism a reality mainly by focusing on ① reestablishing the Theory of Mind-Body Relations as Li-Ki, ② reproducing disputes over Li Philosophy, ③ expanding the base of Li Philosophy through pursuit of study and social intercourses, and ④ publishing collections of works and restoring and building Wonwoos. The ultimate orientation of moralists was a "world where Dao was realized" beyond the boundary of "one's own country and a foreign country." There is no doubt that the morality of benevolence that moralists tried to protect was the orientation of Early Confucianism and "something good" that the entire mankind wished. The moralists including Kim Gyu-tae, however, had decisive limitations as they denied the unique reality of a state and society and accepted "China=civilization/non-China=barbarism" and "Dao is valuable"/"Qi is lowly" as absolute principles. The problem was that they ignored most of changed worlds, perceptions, thoughts, ideas, and values and defined cultural elements and study outside the absolute principles they "believed" as "something bad." These explanations demonstrated that turning Li Philosophy into a theory of moral absolutism rather confined the worldly proposals of Early Confucianism, thus holding their significance.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고당(顧堂) 김규태(金奎泰, 1902~1966)의 경우를 사례로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의 이상과 현실을 드러내는 것이다. 소중화주의는 ①「도(道)/비도(非道)」 「왕도(王道)/패도(覇道)」를 문명 판단의 준거로 삼음으로써, 「자국/타국」의 경계를 넘어 ‘도(道)가 실현되는 세계’를 꿈꾼다. ②그러나 현실에서는 「중화=문명/비(非)중화=야만」 「‘도(道)’는 귀한 것/‘기(器)’는 천한 것」이라는 도덕절대주의(moral absolutism)의 믿음을 근거로 한 ‘자기중심적 편향(Egocentric Bias)’에 빠진다. 이러한 해명은 일제강점기 소중화주의적 이상이 어떤 현실적 한계에 직면하는지를 드러내는 시도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김규태는 일제강점기 35년과 한국전쟁의 중심에 서서 ‘기정진(奇正鎭)―정재규(鄭載圭)―정기(鄭琦)’로 이어지는 노사학맥을 계승하며, 향촌 사회의 유교 질서 수호에 주력한 도학 계열 유학자이다. 그는 위정(衛正)의 시각에서 정학(正學)을 지켜내는 일이야말로 시대적 혼란과 곤경에 대응하는 처사의 임무임을 주장하고, 강학과 교유를 통한 유교의 저변화에 힘을 기울였다. 이 시기 나라의 존망이 ‘도’ 수호에 달려 있다는 도학 계열 유림은 주로 ①이기심성론의 재수립 ②성리 논쟁 재연 ③강학과 교유를 통한 성리학의 저변화 ④문집 발간과 원우(院宇) 복설 및 신설에 주력함으로써 소중화주의의 현실화를 꿈꾸었다. 도학자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했던 것은 「자국/타국」의 경계를 넘어 ‘도가 실현되는 세계’이다. 도학자들이 수호하고자 했던 인의(仁義) 도덕은 원시유학의 지향이자 온 인류가 바라는 ‘좋은 것’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김규태를 포함한 도학자들의 결정적 한계는 국가와 사회의 특수한 현실을 부정하고 「중화=문명/비중화=야만」 「‘도’는 귀한 것/‘기’는 천한 것」을 절대 원리로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그것의 문제는 변화된 세계, 인식, 사고, 관념, 가치관의 대부분을 간과하고, 그들이 ‘믿는’ 절대 원리를 벗어난 문화적 요소 및 학문 등을 ‘나쁜 것’으로 규정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규명은 성리학의 도덕절대주의적 이론화가 원시유학의 현세적 제안을 오히려 유폐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음을 드러내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에서 대중국관념의 변화:중화주의, 소중화주의, 탈중화주의

        장현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2

        This article point to examine closely the essence of Sino-Barbarian(華夷) dichotomy and Sino-centrism. This article also ask the origin of Korean Small-Sinocentrism, and explain the process what the Sino-centrism has spread to Chosun intelligentsia as a Little China(小中華) or Korean Sinocentrism, and the Silhak(實學) scholars’s solution as a Post-Sinocentrism. Originally the concept of Han nationality(華夏) and Yi nationality(夷狄) are quite distinct from each other, not use to cultural superiority. But in the Zhou(周) dynasty, Sino-Barbarian dichotomy has passed from a mere local problem to a contempt for all Barbarians in some regards. Sinocentrism is closely associated with cultural discrimination. Korea as a surrounding nations is influenced by the Sinocentrism, and then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Chosun dynasty is simply following in the path of the Sinocentric cultural superiority, named as Korean small-Sinocentrism. But Chosun people's cultural superiority over Qing(淸) dynasty, overcome traditional Sino-Barbarian dichotomy by Silhak scholars, and an agitation of toadyism in Chosun follows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As a result, post-Sinocentrism at the end of Chosun wasn't based on internal introspection but formed blindly, the Korea of today fell into universalism of Western culture. And there is an establishment of an intellectual independence as an alternative idea. We need Korean identity in the real meaning. 이 글은 중화주의의 본질은 무엇이며, 우리나라 소중화주의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언제 어떤 계기로 우리가 탈중화주의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는가에 관한 연구이다. 지성사적 관점에서 우리의 대중국관념 전환을 살펴보고, 앞으로 중국의 문화우월주의적 중화주의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원래 단순한 민족구분에 쓰였던 화하(華夏)와 이적(夷狄) 개념은 주나라 성립시기 문화적 우열을 가르는 개념으로 변질되었고, 화이론은 더욱 왜곡되어 이민족에 대한 천시와 멸시로 이어지게 되었다. 중화주의는 본질적으로 문화우월주의의 산물이며, 중국 중심 세계관의 압축적 표현이며 불평등 의식의 산물이다. 중화주의의 깊은 영향을 받은 조선시대 주자학자들은 불평등한 중화문화 우월주의를 답습하면서 소중화주의로 발전을 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 북학론의 등장은 기존의 소중화 문화의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문화와 중국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탈중화주의의 싹은 내부문화의 발전을 통한 주체적 전환이 아니라, 제국주의 침탈이란 외적 환경과 맞물리면서 친서학으로방향전환을 하였다. 지성 내부의 비판과 대안 모색의 과정을 생략한 체 친서양적 관념이 중화주의를 대체하게 된 것이다. 서구중심주의와 중화주의의 질곡에서 벗어나 한국적 정체성을 확립하려면 한국 사상사의 독자적 맥락을 확립해야 할 것이고, 그 길을 통해서만 진정한 의미의 탈중화주의가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연행록에 나타난 조선과 중국의 국제인식 - 홍대용의 「연기」와 「항전척독」을 중심으로 -

        이인화(Lee, In-hwa)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1

        17세기 명·청 교체로 인해 동아시아 각국은 한족중심 중화주의를 재편하였다. 청은 민족이 아닌 문화를 기준으로 하는 ‘탈민족적 중화주의’를 제시하였고, 조선은 중원을 대신해 조선이 한족의 옛 문화를 계승한다는 ‘탈지리적 한족중심 중화주의’와 ‘소중화주의’를 제시하며 이후 150여 년간 폐쇄적인 조선지식인 사회에서 화이차별의식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지식인들에게 변화된 국제사회의 분위기와 번영한 청의 현실, 그리고 그와 대조되는 조선의 폐쇄성과 낙후성을 알려준 것은 18세기 연행록이었다. 한족중심 중화주의와 화이차별의식 그리고 소중화의식을 체현한 조선지식인으로서 홍대용은 한족지식인들의 명에 대한 충성심과 청에 대한 반감을 기대하였으나, 한족지식인들은 화이차별의식이 아닌 정치가 잘 이루어지고 백성이 따른다는 현실적 판단에 의해 청조를 평가하였다. 또한 조선지식인들에게는 중화문명파괴의 상징이었던 변발과 호복에 대해서도 상투보다 편하다는 실용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었으며, 한족을 떠받들고 스스로 오랑캐라 비하하는 홍대용의 태도에 당혹스러워했다. 한편 홍대용은 청을 오랑캐로 낮추어보고 조선에 대해서는 소중화로 높이면서도, 현실적으로 청의 태평성대와 높은 문화ㆍ기술과 비교하여 낙후되고 가난한 조선이 실제로 청보다 나은 면이 없음을 인정하였다. 특히 학문적으로 정학과 이단을 나누어 유학이외의 학문을 모두 폐하고 중국문헌만을 고집하여 한국 고유 문헌은 소홀히 하는 폐단을 비난하였는데, 이는 사실상 조선에 중국을 이식하려는 소중화주의와 배치되는 것이다. 홍대용의 연행록은 이처럼 중화주의 이데올로기와 현실이 정면 배치되는 가운데 끝이 나지만, 이후 변화한 국제정세와 조선과 청의 현실을 인정하는 가운데 청의 장점을 받아들이자는 북학사상으로 발전된다. 이들은 비록 화이차별의식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지만, 오랑캐로만 규정되던 타국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대의 장점을 인정하고 자신의 문제를 반성하며 조금씩 차별의식을 극복하는 데로 나아갔다는 점에서 다양한 문화를 배경으로 한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음에도 수많은 혐오와 비하 표현이 넘쳐나는 오늘날 한국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Since the fall of Ming dynasty, Scholars in Chosun dynasty have redefined the concept of Sinocentrism. They have developed the idea of ‘small-Sinocentrism(小中華)’ which means that Chosun dynasty can be a country of small-Sinocentrism succeeding to Ming dynasty as long as they inherit and practice the traditions of Han Chinese(漢族) and reinforced existing Han Chinese-centered Sinocentrism for about 150 years. In this social atmosphere, Hong Dae-yong’s travelogs introduced the information about the reality of international situation related to the Han Chinese people’s point of view on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advancement of Qing dynasty compared to the backwardness of Chosun. Basically, Han Chinese people evaluated Qing dynasty, governed by Manchurian, not based on their ethnic group but on practical point of view such as political stability and people’s quality of life. They had the practical point of view about the Chinese queue(辮髮) and Manchurian costume which regarded as symbols of barbaric practice for Chosun people. And Han Chinese people presented embarrassed look with Hong Dae-yong’s speeches and behaviors based on Han Chinese-centered Sinocentrism. Meanwhile, while he kept belittling Manchurian as a barbarian and highly appreciating Chosun as a country of small-Sinocentrism, Hong Dae-yong realized and admitted the fact that Qing was highly advanced country compared to Chosun in various ways from culture, technology, academic diversity and people’s character. Especially, Hong Dae-yong’s criticism on Chosun’s academic practices, scholars’ closed attitude focusing only on Confucianism and Chinese documents, connoted criticism on small-Sinocentrism. Hong Dae-yong’s travelogs ended showing two contradictory point of view on Qing and Chosun society, but his record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the thoughts for learning Qing culture(北學)” which admitted virtues of Qing society and argued that Chosun should try to learn and introduce Qing ’s culture.

      • KCI등재

        조선 후기 통신사(通信使)와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 -사행(使行)기록에 나타난 대일(對日) 인식(認識) 전환을 중심으로-

        정은영 ( Jeong Eun-yo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6 No.-

        中華主義는 事大觀念과 함께 동아시아를 지배하던 국제 질서로 宋代에 이르면, 지역·종족적 기준에 `禮`라는 유교 문화적 요소가 더해지면서 華夷의 구분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러한 宋代의 華夷觀은 性理學 전래와 함께 新進士大夫에게 수용되면서 조선의 對外 認識에 커다란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조선 후기가 되면 중화주의가 禮的 질서를 추구하는 조선의 성리학적 통치이념과 연결되면서 하나의 관념적 체재를 넘어 외부 세계를 인식하는 실천 규범으로 인식되었는데 특히 중화로 자부하던 明이 오랑캐 淸에게 멸망하는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중화의식이 對明義理論, 조선의 강력한 自存意識과 결합하면서 朝鮮中華主義의 모습으로 형상화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은 人倫에 기댄 관념적인 對外觀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朝鮮通信使의 對日 외교관에도 영향을 미쳐 그들은 성리학의 수용이나 『朱子家禮』에 입각한 禮의 실행 여부를 기준으로 일본을 인식하며 일본의 風俗과 경제적 번영을 貶下하였다. 이러한 관념적 대외관은 조선 지식인의 자존의식은 높였으나 현실을 도외시한 것이라 큰 문제를 안고 있었다. 18세기가 되면 조선에 西學이 수용되고 성리학 내부에서도 다양한 사상적 경향이 배태되면서 조선중화주의는 인륜에 기댄 도덕적 관념에서 벗어나 변모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통신사들은 일본 文士와의 교류를 통해 일본인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객관적으로 알아갔고 나아가 오랑캐로 인식되던 일본의 근대적 문물을 수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조선중화주의의 변화는 곧 조선을 문명의 수혜자, 일본을 복속의 대상으로 보던 조선통신사행원의 이분법적인 시각을 깨고 객관적 이해로의 전환을 가져왔다. Junghwa Ideology(Sinocentrism) was the international order which ruled East Asia with flunkeyism(worship of the powerful) and was reinforced during Sung Dynasty while Confucian cultural factor based on Li-thought(thought of confucian rituals) added to territorial and ethnic standards. This Hua Yi idea(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during Sung Dynasty was adopted with neo-confucianism by Neo-gentry and worked as a great standard in Joseon`s foreign cognition. In late Joseon, Junghwa Ideology(Sinocentrism) was connected with Joseon`s neo-confucian ruling ideology and recognized as a practical standard which understood foreign worlds beyond a ideological system. Especially when Ming which took prides as Junghwa perished by Qing in the 17th century, Junghwa Ideology(Sinocentrism) was combined with loyalty to the Ming dynasty and strong consciousness of self existence and formed into Joseon Junghwa Ideology(self-consciousness of little china). Thereby Joseon established ideological foreign cognition based on Confucian morality. This situation had an effect on Joseon Tongsinsa`s view of Japan, and they understood Japan on the basis of adoption of neo-confucianism or practice of confucian rites based on Chu zi`s ceremonies, and underestimated Japan`s customs and economical prosperity. This ideological foreign cognition inspired Joseon intellectuals` consciousness of self existence. But it neglected reality and had great problems in it. However, while in the 18th century Joseon adopted Western Learning and inside neo-confucianism diverse tendencies of thought appeared, Joseon Junghwa Ideology broke from morality based on human relationship and underwent a remarkable change. Thereby Joseon Tongsinsa was able to describe objectively Japanese and culture of Japan and came to adopt modern culture of Japan whose people they viewed as barbarian. This change of Joseon Junghwa Ideology enabled Joseon Tonsinsa to cast away their dualism that considered Joseon as a beneficiary of civilization and Japan as an object of subjugation and understand Joseon and Japan objectively.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 후기 국문시가 속 "바다"가 부정적으로 형상화 된 이유

        이수곤 ( Su Gon Yi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29

        왜 국문시가에서 바다는 환영받는 문학적 소재가 되지 못했을까? 이러한 의문에서 본고는 비롯되었다. 바다 소재 국문시가를 찾기도 힘들다. 드물게 보이는 바다는 부정적 의미를 지니기 일쑤였다. 이런 문학적 현상의 원인을 밝히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었다. 조선 후기 <표해가>, <도해가>, <일동장유가>를 살펴본 결과, 바다는 다분히 부정적인 성격을 띠고 표현되었다. 바다는 바다 밖 공간의 규정 여하에 따라 형상화 양상이 다른데, 조선 후기에는 바다 저편인 청국·일본·서양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대세를 이루었다. 이는 ‘폐쇄적 소중화주의’와 ‘해금정책’의 영향에서 빚어진 현상이라 판단하였다. 그래서 조선 후기 국문시가 속 바다는 부정적으로 형상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Why the sea in Classical Poetry did not welcome literary thema? This paper is started from these questions. The Classical Poetry is difficult to find ``Sea thema`` Seems sometimes but likely to have negative mean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will be literary. Examined <Pyohaega(漂海歌)>, <Dohaega(渡海歌)>, <Yldongjangyouga日東壯遊歌>.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ea is expressed in the negative. Depending on the perception across from the ocean, the sea is shaped differently. Showed a negative view of the Qing Dynasty, Japan, The west. It was derived from ‘Closed Sojoongwhajooeui(小中華主意)’ and ‘Haegeum Policy(海禁政策)’. So the sea in Classical Poetry at late Chosun is shaped negative.

      • KCI등재

        『龍飛御天歌』에 나타난 조선왕실의 “小中華”적 정체성 창출과 타자인식

        정다함(Chong Da-ham)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Ever since modern scholarship of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history after 1945 in Korea, the text of Songs of Flying Dragons(龍飛御天歌) has always been interpreted within the narrow nationalist frame which only highlights that the text is to show “unique” origin of Korean identity, only because those small portions of the whole texts were written in Hunmin’ch?ng’?m(訓民正音) alphabet. However, in fact, Songs of Flying Dragons not only includes the texts about Joseon royal house’s unique Korean identity, but also shows elaborate descriptions and interpretations on identities such as “Middle Kingdom(中華)”, Jurchens, and “Wako” pirates that modern Korean scholarship can hardly define as “Korean” or “proto-Korean”. This study is to rethink those different identities of others that has been seen as alien and thus secondary in the text of Songs of Flying Dragons by korean nationalist scholarship, and to reinterpret them as the necessary “others” to which Joseon royal house mirrored itself to imagine its own identity and position as “Lesser middle Kingdom(小中華)” by compiling Songs of Flying Dragons, converging into the “universal” Confucian civilization of “Middle Kingdom” and differentiating from the savagery of “barbarians”.

      • KCI등재
      • KCI등재

        맥락으로 본 황금대(黃金臺) 기사의 주제 의식과 그 의미

        박수밀 ( Su Mil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2 No.-

        본고는 연암의 황금대 관련 기사를 구성하는 외부 맥락에 주목하여 「황금대」와 「황금대기」의 주제의식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먼저는 황금대의 관습성과 장소 신화에 대해 살폈다. 황금대는 유교적 치도(治道)와 복수설치(復讐雪恥)를 실현한 상징적 공간이었다. 황금대 앞에서 후례초현(厚禮招賢)의 임금을 기리거나, 인재가 사라진 현재를 쓸쓸해하거나, 자신을 알아주지 못하는 현실을 슬퍼하는 행위는 조선조 전후기 내내 상투적으로 지속되었다. 황금대는 일종의 성지 순례지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며, 통치 세력의 입장에서는 통치 질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했다. 그런데 연암은 황금대는 없으며 허울좋은 명칭에 불과하다고 한다. 황금대의 역사적 전개를 이해하고 황금대에 대한 인식을 들여다보면, 연암은 장소 신화가 되어버린 황금대의 무장소성을 조롱하고 있었다. 두 번째는 ``노이점``이란 인물의 상징과 소중화주의에 대해 살폈다. 「황금대」를 이끌어가는 중심인물인 노이점은 북벌(北伐)에 집착해 중국[淸]이라면 무조건 배척하고 중화(中華)의 것이라면 무조건 숭배하는 완고한 소중화주의자들을 대표했다. 황금대는 무너지고 그 실체마저 사라져 버렸건만, 노이점은 현재의 실상을 짐짓 외면하고 기를 쓰며 과거의 황금대를 찾아 헤맸다. 연암은 노이점을 내세워 과거의 도그마에 사로잡혀 현재의 실체를 인정하지 못하는 완고한 북벌론자들을 은근히 조롱하였다. 셋째, 황금대의 상징과 복수설치의 허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암은 황금대를 둔 목적이 복수설치(復讐雪恥)라고 보았다. 연암은 황금은 인간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복수의 도구일 뿐임을 증명함으로써 황금대의 신성성을 파괴하였다. 「황금대기」는 겉으로는 황금에 대한 욕망이 불행한 결과들을 낳았으니 재물을 조심해야 한다는, 지극히 교훈적인 주제를 이야기하였다. 그렇지만 이면에서는 조선 사회가 그토록 숭앙해마지 않는 황금대의 실체를 폭로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연암에 의해 황금은 복수의 도구가 되었고, 이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당시 북벌론자들의 복수설치(復讐雪恥)와 연결되었다. 그리하여 황금의 허망함은 곧 황금대의 숭고성을 퇴색시켰고, 이는 기를 쓰고 황금대를 찾아가 연 소왕을 기리며 지금의 강대국 청나라에 복수할 것을 다짐하는 북벌론자들의 허구성을 꼬집는 데로 나아갔다. 「황금대」, 「황금대기」는 당시 가장 강력한 지배 이념이었던 북벌과 소중화주의의 허상을 은근히 비꼬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 작품이라 하겠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Hwang-Keum-Dae-Kee`` in terms of external context containing the articles about it and to consider its meaning. Firstly, the customs and place mythology are researched in it. Hwang Keam Dae is the symbolic space of realizing the politics of Confucianism and Bok Soo Seol Ch`ee. There are typical activities, through the whole beginning and later of Chosun dynasty, of reminding the kings of who were incomparably greater than before of regretting for the lack of the intellectual, of sorrowful mind for the reality not to recognize oneself. Hwang Keum Dae is a kind of holy place, functioning as a tool of keeping the ruling political power for ruling authorities. However, Yeon Am claimed that there was no Hwang Keum Dae and it was just a nominal name. According to him, in deeply review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Hwang Keum Dae and the appreciation of it, he ridiculed the lack of place in real of Hwang Keum Dae just as a place mythology. Secondly, the symbolic person of ``No Lee Jeom`` and ``Little Sinocentrism`` are reviewed. The key man leading ``Hwang-Keum-Dae``, No Lee Jeom, seems to be very cling to conquer the north, so at any reasons he neglects China(Ch`ong dynasty) and respects Middle Kingdom (Myoung dynasty) as a symbolic person of ``Little Sinocentrism``. Hwang Keum Dae was destroyed and disappeared, but No Lee Jeom did not look at the reality, only searching for the past golden ages. Yeon Am, through No Lee Jeom, looked down on the people who claimed conquering the north, having no appreciation of the reality because of their strong past dogmatism. Thirdly, the symbol of Hwang Keum Dae and the illusion of Bok Soo Seol Ch`ee are revealed. Yeon Am claimed that the purpose of Hwang Keum Dae is Bok Soo Seol Ch`ee. According to him, the gold (Hwang Keum) is just a tool to fulfill human desire, so he destroyed the holiness of Hwang Keum Dae. ``Hwang-Keum-Dae-Kee`` appealed the cautionary tale that human desire for the gold (Hwang Keum) causes the tragedy, so people have to be careful of it. However, inside there is revealed the hidden intention to expose the reality of Hwang Keum Dae to be highly respected by the society of Chosun dynasty. By Yoen Am, Hwang Keum became a tool for vengeance, so in the historical context, it was connected with Bok Soo Seol Ch`ee of the people claiming to conquer the north. Therefore, the emptiness of Hwang Keum made the holiness of Hwang Keum Dae faded, and it led the point of criticizing the emptiness of people claiming to conquer the north who eagerly sought for Hwang Keum Dae, missing king So of Yoen dynasty, intending to revenge the current strong Ch`ong dynasty. ``Hwang Keum Dae Kee`` is a problematic work of criticizing the emptiness of conquering the north and little sinocentrism ruling over those times.

      • KCI등재

        조선 후기 ‘首陽山 海州說’의 强化 원인과 의의

        김융창(Kim Yoong Ch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1 No.-

        본고는 黃海道 海州 首陽山이 조선 후기에 伯夷·叔齊의 遺蹟地로 변모하는 양상과 그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黃海道 海州 首陽山은 중국의 伯夷·叔齊 형제가 은거하여 고사리를 캐먹다가 굶어죽었다고 전하는 그 ‘수양산’과 공교롭게 이름이 같았다. 해주 수양산은 조선 초기부터 여러 문헌에 ‘首陽’이라 기록되어 왔는데, 다수의 조선 지식인들에게 해주 수양산은 우연히 伯夷·叔齊의 그 수양산과 이름만 같은 산이었고, 遼東의 永平府 灤河에 조성된 夷齊廟 근처에 있었던 산이 진정한 수양산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7세 후반부터 이러한 인식은 반전되기 시작하였다. 해주 수양산에 백이·숙제의 사당이 건립되어 사액을 받았고, 이를 기점으로 여러 지식인들은 백이·숙제의 마지막 은거지가 해주 수양산이라는 주장을 본격적으로 강화하여 나갔다. 해주 수양산에 백이·숙제를 위한 사당인 청성묘가 건립된 데에는 朱喜의 武侯祠 건립이 큰 영향을 끼쳤다. 주희는 기존의 臥龍庵을 재건하면서 後漢의 諸葛亮의 別號 ‘臥龍’과 이름이 같다는 이유로 제갈량을 위한 사당인 무후사를 세웠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설령 해주의 수양산이 이름만 같다할지라도 ‘朱子의 典故’를 따른다는 명분이 있었으므로 그에 대한 거부감이 적었다. 해주 수양산을 백이·숙제와 직접적으로 결부시키기 시작한 것에는 대명의리가 강조되었던 시대 상황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君父처럼 明을 추종했던 조선의 君臣은 明이 淸에 의해 멸망한 뒤에도 明에 대한 의리를 지키며 중화의 계승자를 자처하였다. 이제가 지닌 ‘節義’라는 미덕은 도덕적 교화와 내부적 결속을 강화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주의 수양산이 이제의 마지막 은거지라면 조선의 대명의리를 강조하고 小中華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양산 해주설은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南九萬과 李圭景은 수양산의 위치를 기록한 여러 문헌 기록의 신뢰성이 낮다는 이유로 ‘수양산 해주설’을 부정하였지만, 安鼎福, 徐命膺, 洪良浩, 李鍾徽, 朴趾源, 金祖淳, 洪敬謨 등은 오히려 중국 문헌의 신뢰성이 낮다는 이유, 백이·숙제가 北海 근처로 갔다는 『孟子』의 기록, 箕子의 東來에 기초하여 ‘수양산 해주설’을 적극 지지하였다. 18세기 청성묘의 건립과 사액을 기점으로, 수양산 해주설은 대명의리와 주자학의 전통 속에서 백이·숙제의 마지막 은거지가 해주 수양산이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하는 양상을 보였다. 여기에는 이제를 소환하여 ‘절의’를 천명함으로써 대명의리를 강화하고 小中華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하는 조선 후기 조선 지식인들의 간절함이 투영되어 있다. This study was written for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Mt.Suyang(首陽山) in Haeju(海州) transformed into the heritage of Baek-Yi(伯夷) & Suk-Je(叔齊) in the late Joseon Dynasty. Name of Mt.Suyang in Haeju the same as that of the Mt.Suyang which is Baek-Yi & Suk-Je starved to death. Mt.Suyang in Haeju has been recorded in various literatures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was common sense that Mt.Suyang in Haeju was just another mountain with the same name as the Mt.Suyang. However, from the 18th century, this perception begins to change. Baek-Yi & Suk-Je’s shrines, called Cheongsung shrines(淸聖廟), were built in Mt.Suyang in Haeju, and various intellectuals began to claim that Baek-Yi & Suk-Je really straved to death in Mt.Suyang in Haeju. Building of Cheongsung shrines was influenced by the respect for the Zhu-Xi(朱熹) and loyalty to the Ming(明) Dynasty. This shrines became a catalyst for many intellectuals to start claiming that Mt.Suyang in Haeju was the real one. They strengthened their logic based on the Three reason. First, it s hard to trust Chinese records. Second, the The Mencius(孟子) recorded that Baek-Yi & Suk-Je went to the ‘North Sea(北海)’. Third, Baek-Yi & Suk-Je followed Gija(箕子) after he came to the east. Based on these reasons, theory that Mt.Suyang in Haeju was the only one has been reinforced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justification. And this completed theory was used to promoting Joseon s pride as a Little Sinocentrism(小中華主義) through Baek-Yi & Suk-J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