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식지 적합 지수를 이용한 멸종위기식물 단양쑥부쟁이와 층층둥굴레의 대체서식지 평가

        이보은,김정욱,김남일,김재근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4

        4대강 사업 공사로 인해 한강수계에서 자생하던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인 단양쑥부쟁이와 층층둥굴레의 서식지가 소실되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 대체서식지가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성된 대체서식지가 각 종의 서식에 적합 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식지 적합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를 이용하였다. 2015년 10월부터 2016년 7월까지 경기도 여주 강천섬과 섬강 일대에 위치한 단양쑥부쟁이 대체서식지와 강천섬과 충북 충주 영죽지구에 위 치한 층층둥굴레 대체서식지를 대상으로 HSI를 평가하였다. 단양쑥부쟁이의 평가 변수로는 서식 기질(매몰되지 않 은 자갈의 비율), 고도 범위, 토양 양분, 광 조건 4가지를 선정하였고, 층층둥굴레는 토성, 광 조건, 동반 위해종의 피도 3가지를 선정하여 HSI를 이용한 대체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강천섬의 단양쑥부쟁이 (HSI = 0.839)와 층층둥굴레(HSI = 0.846)의 대체서식지 모두 비교적 높은 적합지수를 나타내었으나, 섬강 일대의 단양쑥부쟁이 대체서식지와 영죽지구의 층층둥굴레 대체서식지는 대체서식지로서 적합하지 않음으로 판단되었다 (HSI = 0). 또한 이들 부적합한 대체서식지의 경우, 자생지 인근에서 서식에 적합한 장소를 새로이 선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식물종에 대해 HSI를 적용한 국내 최초의 시도로, 식물 서식처에 대한 HSI의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As a result of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in Korea, the habitat of endangered plant species of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which had been natively grown in the riparian zone of Namhan River, was destroyed and artificial replacement habitats were created. In this study,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placement habitats are suitable for each species or not. From October 2015 to July 2016, Habitat Evaluate Procedures (HEP) were conducted on two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Gangcheonsum and Sum-River) and on two replacement habitats of P. stenophyllum (Gangcheonsum and Youngjuk) in the Namhan River watershed. As evaluation parameters for A. altaicus var. uchiyamae habitat, habitat matrix (ratio of unburied gravel), height above the ordinary water level, soil nutrients, and light conditions were selected and for P. stenophyllum habitat, soil texture, light conditions, and coverage of companion species were selected. HSI was appli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each replacement habita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and P. stenophyllum located in Gangcheonsum have relatively high HSI values as 0.839 and 0.846,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in Sum-River and P. stenophyllum in Youngjuk zone have HSI value of 0, indicating unsuitable habitats for these species.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apply HSI for plant species in Korea and proved the usefulness of HSI on plants.

      • KCI등재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활용한 포유류 서식지 유형의 분류

        이화진 ( Hwajin Lee ),하정욱 ( Jeongwook Ha ),차진열 ( Jinyeol Cha ),이중효 ( Junghyo Lee ),윤희남 ( Heenam Yoon ),정철운 ( Chulun Chung ),오홍식 ( Hongshik Oh ),배소연 ( Soyeon Ba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2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포유류 데이터(70,562개)를 활용하여 국내에서 서식하는 포유류의 서식지 유형을 클러스터링하고 서식지 유형에 나타나는 종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야장에 기록된 서식지 유형 중에서 15개의 키워드를 뽑아 재분류하여 포유류 서식지유형을 통계 분석하였다. 서식지 유형 군집분석에서는 30회 이상 기록된 14개의 서식지 유형을 대상으로 비계층적 클러스터 분석(k 평균 클러스터 분석), 계층적 클러스터 분석, 비계량형 다차원척도법을 시행하였다. 2006년에서 2012년까지 전국에서 수집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확인된 포유류는 총 7목 16과 39종이었다. 서식지 유형에 대한 분류는 11개로 클러스터를 분류했을 때 단순구조지수가 가장 높았다(ssi = 0.07). 계층적 클러스터 분석으로 서식지 유형들 간의 유사성과 위계를 확인해 본 결과, 포유류에게는 주거지가 가장 차별된 서식지 유형이었고, 그 다음은 하천과 해안이 병합된 클러스터였다. 비계량형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포유류에게 가장 차별된 서식지유형인 주거지의 경우 생쥐와 집쥐 두 종이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해안과 하천의 경우 수달이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포유류의 서식지 유형은 크게 산림을 주요 서식지와 이동경로로 이용하는 산림형과, 물을 주요 서식지로 이용하는 하천형, 주거지 인근에서 서식하는 주거형, 곡류나 씨앗을 주 먹이원으로 하는 저지대형 등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lustering of the habitat type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ecies in the habitat types using mammal data (70,562) of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conducted from 2006 to 2012. The 15 habitat types recorded in the field-paper of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were reclassified, which was follow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mammal habitat types. In the habitat types cluster analysis,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were applied to 14 habitat types recorded more than 30 times. A total of 7 Orders, 16 Families, and 39 Species of mammals were identified in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collected nationwide. When 11 clusters were classified by habitat types, the simple structure index was the highest (ssi = 0.07). As a result of the similarities and hierarchies between habitat types suggested by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the residential areas were the most different habitat types for mammals; the next following type was a cluster together with rivers and coasts. The results of the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demonstrated that both Mus musculus and Rattus norvegicus restrictively appeared in a residential area, which is the most discriminating habitat type. Lutra lutra restrictively appeared in coastal and river areas. In summary,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mammalian habitat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1) the forest type (using forest as the main habitat and migration route); (2) the river type (using water as the main habitat); (3) the residence habitat (living near residential area); and (4) the lowland type (consuming grain or seeds as the main feeding resource).

      • GIS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지 모형 개발

        서창완,박종화 한국공간정보학회 200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8 No.1

        보호동물사에 대한 서식지 분포정보는 개발압력이 심한 우리나라에서는 서식지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GIS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멧돼지의 서식지 적합성모형을 개발하여 서식지 분포도를 작성하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우리나라의 멸종위기종과 야생동물보호종들의 서식지 관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한다. 서식지 모형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멧돼지의 서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GIS 자료를 구축하였다. 멧돼지의 위치파악을 위해 원격무선측정기법과 GPS를 이용하였다 둘째, 멧돼지의 서식지 이용과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를 파악하기위해 원격무선측정기법과 GPS를 이용하였다. 둘째, 멧돼지의 서식지 이용과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χ²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적 서식지의 분포를 예측하기위한 서식지 적합성모형 개발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멧돼지의 서식지 이용특성 분석의 결과, 성별 그리고 활동유형별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없으나, 계절별 그리고 서식지 유형별에서는 서식지 이용특성의 차이가 뚜렷한 것을 볼 수있었다. 둘째, 서식지 유용성 분석의 결과 멧돼지의 서식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인 환경요인으로 표고, 향, 임상 그리고 영급이 유의성이 있는 인자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사, 능선/계곡 , 물 그리고 일사량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적어 전반적으로 서식지를 결정하는 환경인자라고 볼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서식지 적합성모형의 결과 예측확률 0.5를 기준으로 전제서식지는 75.00%, 커버서식지는 84.26% 의 높은 분류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모형검증의 결과 대상지 내부의 경우 전체서식지가 75.00%로 나타나 본 모형이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ccurate information on habitat distribution of protected fauna is essential for the habitat management of Korea, a country with very high development press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habitat suitability model of wild boar based on GIS and logistic regression, and to create habitat distribution map, and to prepare the basis for habitat management of our country s endangered and protected species. The modeling process of this restudyarch had following three steps. First, GIS database of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use and availability of wild boar habitat were built. Wild boar locations were collected by Radio-Telemetry and GPS. Seco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habitat use and availability of wild boars were identified through chi-square test. Third, habitat suitability model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tested. Finally , habitat assessment map was created by utilizing a rule-based approa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os. First , distinct difference in wild boar habitat use by season and habitat types were found, however, no difference in wild boar habiat use by season and habitat types were found , however, ho difference by sex and activity types were found. Second, it was found, through habitat availability analysis, that elevation , aspect , forest type, and forest age were significant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wild boar hatibate selection, but the effects of slope, ridge/valley, water, and solar radiation could not be identified, Finally, the habitat at cutoff value of 0.5. The model validation showed that inside validation site ha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73.07% for total habitat and 80.00% for cover habitat , and outside validation site ha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75.00% for total habitat.

      • KCI등재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의 고도와 서식지 타입에 따른 분포 패턴

        도민석,유정칠 한국습지학회 2014 한국습지학회지 Vol.16 No.2

        동물의 분포는 서식지선택에 영향을 받으며, 서식지의 특성과 먹이자원은 종의 생존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의 분포 패턴 특성을 파악하고자 고도,서식지 특성, 잠재적 먹이자원인 양서류의 분포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서식하는 고도범위에서 선호하는 서식지 타입을 알아보고자 고도를 3개의 범주(저고도, 중고도, 고고도)로 분류하였고, 서식지는 수생태계의 존재 유무에 따라 분류하였다. 쇠살모사의 경우, 고도와 서식지 타입에 따른 분포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고도와 물이 있는 계곡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양서류의 경우도 고도와 서식지에 따라 쇠살모사와동일한 분포패턴을 보였다. 물이 있는 계곡의 쇠살모사와 양서류에 대한 미소서식지 분석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쇠살모사가 저고도에 위치한 물이 있는 계곡주변에서 대부분 분포하고 있었던 이유는 양서류의 분포가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는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가 비교적 사냥하기 쉬운 먹이자원인 양서류를 선호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서해북부 대표 개발지역에 도래하는 조류 실태 및 서식지 관리방안 수립 - 송도일원을 대상으로 -

        심설웅,주영돈,배정훈,배양섭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6

        The research area, located in the northern coastal region of South Korea’s West Sea, involves three bird habitats. Among these are two newly established habitats in Songdo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created by filling and developing tidal flats that were previously utilized as stopover sites for migratory birds. One of these areas showed decrease (Residual tidal flats, site.1) while the other showed increase (Artificial lake, site.2) in bird influx. The third habitat (Namdong reservoir, site.3) is a pre-existing stable habitat which has been maintained as a stable habitat. This study conducts an assessment of habitats based on avian population clusters and environmental surveys and proposes habitat management measures. A survey of bird populations and habitat environment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39 occasions from January to December 2022. The observed bird species totaled 14 families and 48 species with 20,760 individuals. Compared to the existing habitats, the newly established habitats showed relatively lower influx of bird species and individuals. During the habitat assessment, the newly established habitats were rated as I to II grade, while the existing habitat was rated as relatively high III grade on the grading assessment of the tidal flat. An analysis of habitat types revealed that the existing habitat, in which diverse strategies for habitat type diversity and mitigating anthropogenic interference were demonstrated, attracted a diverse range of bird specie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deduced that the diversity of habitat typ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ttracting various bird species. Upon evaluation of habitat types concerning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bird species selected for habitat management, as habitat management measures, it is deemed that the creation of shielded green areas (referred to as ‘buffer green’) to minimize interference from the surroundings, the establishment of reed fields (site.1, 2)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ervoirs, and the improvement of sandbanks (site.1) positively associated with tidal flats, the two relations which we drew from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ccurrence species and habitat types, would contribute to the futur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stable habita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tudy area but also to other development zones, such as coastal reclamation sites, which share similar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rrival sites for migratory birds. 본 연구지역은 우리나라 서해북부 초입부로 철새류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되던 갯벌을 매립하고 조성된 송도국제자유도시에서 조류 이입이 확인된 축소(잔존갯벌, site.1) 및 창출(인공호수, site.2)된 서식지2개소와 개발 전 부터 안정된 서식지를 유지하고 있는 서식지 1개소(남동유수지, site.3)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류군집과 서식환경조사를 기초로 서식지 평가를 실시하고 서식지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2022년 1 월부터 12월까지(총 39차례) 관찰된 조류는 총 14과 48종 20,760개체로 기존 서식지에 비해 새로 조성된서식지로 이입되는 종과 개체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서식지 평가 중 갯벌등급에서 축소나 창출된 서식지는 I~II등급인 반면 기존 서식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III등급으로 평가되었다. 서식지유형에 대한 분석에서유형별 면적보다는 유형의 다양성과 인위적 간섭에 대한 대책이 확보된 기존 서식지에서 다양한 조류의 서식이 확인 되었는 바, 서식지유형의 다양성이 다양한 조류의 유입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식지 관리를 위한 조류종을 선정하고, 선정된 종의 서식특성을 고려한 서식지 유형별 평가를 통한 서식지 관리계획 수립방안으로 주변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폐녹지조성(=완충녹지)과 출현종 및 서식지유형간 상관분석을 통해 저수지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갈대숲의 창출(site.1, 2)과 서식밀도가 높고 주요서식지 유형인 갯벌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모래톱의 개선(site.1)을 통해 향후 안정된 서식지가 복원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지와 입지적이나 환경이 유사한 서해안 간척(매립)지역 등 개발예정지역의 철새류 도래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개발사업에 따른 생물 서식지의 질적 변화 Ⅲ

        전동준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내륙으로는 농업지역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해안으로는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음.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포함한 주변 지역은 갯벌, 논, 호소, 하천 등의 습지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어 다수의 법정보호종을 포함한 이동성 조류의 중간 기착지인 동시에 중요 철새도래지 중 한 곳이며, 습지서식 생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식물들의 서식공간이 분포하고 있음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매립사업과 간척사업은 물론 산업단지개발사업, 도시 개발사업등의 다양한 개발사업이 추진된 바 있으며, 지금도 다양한 개발사업 계획이 수립되고 있어 추진 시 친환경적인 개발과 보전이 필요한 공간임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공간의 시대별 토지피복 변화를 알아보고, 생물 서식지의 변화를 시기별로 분석하여 개발계획 수립 시 생물 서식공간과의 조화를 위한 생물보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함 □ 또한 토지이용 변화에 대한 시나리오별 분석을 토대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미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고, 생물 서식지의 질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관리정책의 수립을 위한 정책 지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특히 탄소 중립을 위한 국가적 기후정책과 기후영향평가 도입 및 분석의 사례를 제공하고, 연구 대상지가 보유하고 있는 시대별 탄소저장량의 변화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net-zero를 지향하는 환경평가 정책의 과학적 도구를 제공하자 함 1.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변화 분석을 위해 환경부 국토환경정보센터 정보시스템15)에서 제공하는 대분류 토지피복도를 활용함. 최근의 대분류 토지피복도는 2019년 전후 공간정보를 토대로 2020년에 제공되어 이를 활용함 □ 생물 서식지 질 분석은 InVEST Habitat Quality Model(3.6.0)을 활용하여 실시함. 생물 서식지 질 분석에 적용한 서식지 적합성, 민감성, 접근성, 위협요인, 최대영향거리 등의 여러 입력변수에 대한 가중치는 이현우 외(2015)에서 제시된 값들을 이용함 □ 탄소저장량 분석은 InVEST Carbon Model(3.6.0)을 사용함. Carbon Pool 계수는 추인교 외(2021)의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함 Ⅱ.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결과 □ 금강 중·하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지역 중 장항해안, 유부도, 금강하구, 옥녀 저수지, 옥구저수지, 만경강, 백산지, 능제, 동진강, 조류지, 청호저수지, 고마제 등 12개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영산강 중·하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지역 중 압해도,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 랑초저수지, 고천암호, 군내간척지 등 7개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1. 금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도래 현황 분석 □ 2010년 이후 금강 중·하류 지역에 대한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 결과를 전체 조사대상지역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2만여 개체에서 9만 여에 가까운 개체가 도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20여 종에서 60여 종에 이르는 조류종이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2.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도래 현황 분석 □ 2010년 이후 영산강 중·하류 중 영암호, 금호호, 영산호, 고천암호의 경우 매년 적게는 5만여 개체에서 50만에 가까운 개체가 도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30여 종에서 70여 종이 넘는 조류종이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Ⅲ.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1.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 금강 중·하류 지역 연구대상지는 낙동강과 한강의 하류·하구 지역과 비교하여 토지피복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음(전동준 외, 2019; 전동준, 2020). 특히 유형별 토지 피복의 변화 중 낙동강 및 한강과 비교하여 농경지의 면적 감소가 크지 않음. 다만 수역의 면적 감소에 비례하여 농경지의 면적이 늘어나고 있어 간척사업 등으로 인한 새로운 농경지의 조성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경우 금강 중·하류 지역과 비교하여 습지의 면적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토지피복의 변화는 1990년대 후반 농경지 면적의 증가와 지속적인 시가화용지의 증가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하류·하구지역의 습지가 농지 혹은 개발용지로 개발·전용됨으로써 나타난 현상이라고 판단됨 2.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에 대한 미래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InVEST Scenario Generator를 이용하였으며, 총 6개의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음 ○ 개발사업 증가에 따른 미래 시가화건조지역의 확대를 10%, 20%, 30%로 설정하여 각각 적용하였음 ○ 보호지역에 대한 행정규제를 현재와 같이 적용하여 보호지역의 개발 가능성을 배제한 경우와 보호구역에 대한 개발행위가 가능할 경우를 적용하였음 Ⅳ.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분석 및 예측 1. InVEST를 활용한 생물 서식지 질 평가 및 탄소저장량 평가 □ 본 연구에서 활용한 생물 서식지의 질 분석(Habitat Quality Analysis) 모델은 InVEST 모델의 하위 모델로서 생물 서식지에 대한 공간계량화가 가능하며,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을 연동하여 생물 서식지의 민감도와 생물 서식환경에 미치는 위협요인을 입력변수로 하여 생물 서식지 질을 공간정보화하여 표현하게 됨. 생물 서식지 질 평가는 토지피복 유형별 서식지로서의 적합성과 각 서식지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반응하는 민감도 및 접근성 등에 따라 분석됨 □ InVEST 모델의 여러 하위 모델 중 InVEST Carbon 모델은 토지피복도와 토지이용별 탄소계수를 토대로 하여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모델임. InVEST Carbon 모델은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과거 대상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탄소저장량을 산출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지피복의 미래 변화 예측을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 기후영향평가의 도구로 활용이 가능함 2. 시대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 평가 □ 2019년 전후 금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의 경우 상대적으로 우수한 5등급 지역은 전체 연구대상지역 면적 대비 11.1%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 4등급 지역은 4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해양과 하천을 모두 포함하는 수역에 해당함. 수역의 면적 감소는 새만금에서 현재 진행 중인 대규모 간척사업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2019년 전후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은 1998년 전후 시기와 비교하여 등급별 면적의 변화가 크게 없으며, 1등급 지역이 다소 증가된 것이 특징임. 생물 서식지 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5등급 지역의 경우 전체 연구대상지역 면적 대비 2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전과 비교하여 큰 면적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됨 3.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변화 예측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적 평가를 위해 사용된 InVEST 모델의 하위 모델인 InVEST Habitat Quality Model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지역 의 생물 서식지 그룹 중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생물 서식지인 5등급 지역의 경우 해안가에 연접한 5등급 지역이 생물 서식지 질이 가장 나쁜 1등급 지역으로 변경될 것으로 예측되었음 4. 시대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탄소저장량 평가 □ 금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1988년 전후 탄소저장량은 757만 5,936.19Mg of C로 산출되었으며, 2008년 전후 682만 8,760.83Mg of C로 다소 줄어들었으나 최근 2019년 전후 730만 8,642.25Mg of C로 다시 탄소저장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음. 이러한 탄소저장량의 시대별 증감 현상은 연구대상지인 금강 중·하류 특히 새만금에서의 토지이용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됨 □ 영산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1988년 전후 탄소저장량은 1,313만 7,060.86Mg of C로 나타났으며 1998년 전후는 1,251만 1,916.82Mg of C, 2008년 전후는 1,248만 5,021.60Mg of C로 산출되었음. 2019년 전후의 최근 탄소저장량은 1,250만 5,506.45Mg of C로 분석되어 연구대상지의 탄소저장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가 확인되었음 5.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탄소저장량 변화 예측 □ 금강과 영산강의 중·하류 지역에 대한 탄소저장량의 미래 변화 시뮬레이션은 개발사업의 증가에 따른 시가화건조지역이 10%와 20% 각각 증가한다는 가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음. 연구대상지의 특성상 시가화건조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연구대상지 면적과 비교하여 크지 않아 탄소저장량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음 □ 금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2019년 전후 토지피복으로부터 시가화건조지역이 10%와 20% 각각 증가한다고 가정할 때,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탄소저장량은 718만 4,175.00Mg of C와 709만 108.70Mg of C로 각각 산출되었음 □ 영산강 중·하류 연구대상지 역시 2019년 전후를 기준으로 시가화건조지역이 10%, 20% 각각 증가한다고 가정했을 때, 탄소저장량은 각각 1,242만 3,217.65Mg of C와 1,235만 4,422.01Mg of C로 예측되었음 Ⅴ. 결론과 제언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대상지에 도래하는 이동성 조류의 시기별 변화를 분석하고, 해당 지역 토지피복의 시계열적 변화와 함께 생물 서식지의 질적 변화를 시대별로 분석하였으며, 각 시대별 연구대상지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분석하여 개발에 따른 조류군집, 생물 서식공간의 질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확인하였음. 또한 토지피복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을 토대로 변화가 예상되는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을 예측하고, 생물 서식지의 절적 변화와 탄소저장량의 정도를 분석하고 예측하고자 하였음 □ InVEST 모델의 Scenario Generator를 활용하여 토지피복의 미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향후 개발의 정도에 따라 시가화건조지역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음. 이는 생물 서식공간의 축소, 특히 조류의 취·서식 공간인 갯벌지역, 호소 및 하천습지 그리고 농업지역의 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됨. 향후 이 지역에서 조류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환경의 질저하가 예상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함. 또한 토지피복의 변화로 인한 탄소저장량의 감소도 예상되므로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보전 대책이 요구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agricultural areas are widely distributed inland and tidal flats are well developed along the coast.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and the surrounding areas are well-developed wetlands such as tidal flats, paddy fields, lakes, and rivers. The habitats of various animals and plants, including those living in wetlands, are distributed. □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industrial complexes and urban development, as well as reclam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since the 1980s, analyze the changes in habitats by period, and seek a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y for harmonization with the living habitats when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 In addition, by predicting future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through scenario analysis of land use changes, and predicting changes in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we intend to provide policy support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management policies. Ⅱ. Migratory Birds Census Resul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1. Migratory bird census resul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ensus of migratory bird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since 2010, it was confirmed that between 20,000 and 90,000 individuals arrive each year in the Geum River Estuary,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In the case of the Geum River Estuary,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20 to 60 bird species were found to visit these areas every year. □ Since 2010, it has been confirmed that from 50,000 at least to close to 500,000 individuals arrive at Yeongam, Geumho, Yeongsan, and Gocheonam lakes every year. It was found that between 30 and 70 bird species visit the Yeongsan River Estuary, Yeongam lake, and Geumho lake every year. Ⅲ. Land Use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1. Land use change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However, the area of agricultural land is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decrease in the area of water bodies. It is believed that new agricultural land was created through reclamation projects. □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the area of wetlands is significantly decreasing. This change in land cover reflects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land area and the continuous increase in urban areas in the late 1990s. Wetlands in the downstream and estuary areas were developed as farmland or development land. 2. Land use change simulation according to scenario analysis □ The InVEST Scenario Generator was used to predict land cover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and a total of six scenarios were analyzed. Ⅳ. Analysis and Predic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1. Assessment of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using InVEST □ Habitat quality evaluation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of each type of land cover as a habitat and the sensitivity and accessibility to respond to risk factors that threaten each habitat. □ The InVEST Carbon model is a model that estimates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based on land cover and carbon coefficients for each land use. 2. Assessment of habitat quality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In 2019, grade 5 regions, where the quality of biological habita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is relatively excellent, took up 11.1% of the total area of the study area. The next grade 4 areas accounted for 44.5%, and most of them were waters containing both oceans and rivers. □ In 2019, the quality of habita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y grade compared to the past. It is characterized by a slight increase in the 1st grade area. The grade 5 area with a relatively high quality of biological habitat occupies 29.8% of the total area of the study area.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little change in area compared to the past. 3. Scenario analysis of habitat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 It was predicted that the coastal area among the 5th grade areas with the best biological habitat quality would be changed to the 1st grade zone with the worst biological habitat quality. 4. carbon storage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Assuming that the urbanized lan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study site increases by 10% and 20%, respectively, the carbon storag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hange was analyzed as 7,184,175.00Mg of C and 7,090,108.70Mg of C, respectively. □ Assuming that the urbanized lan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increases by 10% and 20%, respectively, the carbon storage amount was analyzed as 12,423,217.65Mg of C and 12,354,422.01Mg of C, respectively.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Qualitative changes in biological habitats were analyzed along with changes in land cover in the area. Changes in the bird community,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in the study site were confirmed. In addition, land use changes were predict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through land cover scenario analysis, and changes in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were analyzed.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uture changes in land cover using the InVEST Scenario Generator, urbanization areas will gradually increase according to future development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This means the reduction of living habitats, especially the areas of tidal flats, lakes and river wetlands, and agricultural areas, which are the feeding areas of birds. □ In the future, as the quality of the habitats of various living creatures including birds is expected to decrease in this area, a conservation policy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a decrease in carbon storage is expected due to changes in land cover, more active conservation measures are required to achieve 2050 carbon neutrality.

      • KCI등재

        경관생태학적 특성이 조류출현에 미치는 영향 -낙동강 하구를 대상으로-

        김범수 ( Bum Soo Kim ),여운상 ( Unsang Yeo ),오동하 ( Dongha Oh ),성기준 ( Kijune S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3

        철새도래지로서 기능을 유지하며 지속가능하게 낙동강 하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류서식지의특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및 하구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의 조류서식지를 갈대, 갯벌, 경작지, 담수개방수면, 사주, 수변림, 새섬매자기, 수로, 인공물, 초지, 해수·기수개방수면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총 11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후 12개 조사권역으로 구분하여 서식지 및 경관 특성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주요 조류 서식지 중 갯벌, 인공물, 경작지, 갈대 등 4개의 유형이 전체 육역 면적의약 80%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인공물과 경작지의 비율이 높아 대상 지역이 인간의 간섭을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식지를 구성하는 패치수와 밀도는 서낙동강, 삼락둔치, 맥도강, 대저수문 등에서 크게나타나 이들 지역에서 서식지 파편화가 많이 진행되어 있었다. 관찰된 조류의 총 종수와 개체수는 조사면적과 서식지를 구성하고 있는 서식지의 유형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서식지 관리에 있어서 충분한 면적의 확보 특히 새섬매자기 서식지의 보존이 중요하며, 개발 등으로 인한 서식지 감소 시 낙동강하구를 찾는 조류 개체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가 철새서식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서식지의 보존 정책이 먼저 수반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I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to be sustainable, land use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consider bird habitat requirements, especially given that the area serves as an important migratory bird sanctuary. In this study, bird habitats foun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classified into 11 different types including Phragmites australiss, mud flat, farmland, open surface in freshwater, sand bar, riparian forest, Scirpus planiculmis, waterway, construction, grasslands, and open surface in sea or brackish wa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abitat properties, and landscape indices, a total of 12 study sites were analyzed. Mud flat, construction, farmland, and P. australis account for 80% of the total land area. The high area ratio of construction and farmland to other types of habitat revealed a high amount of historical human activity and intervention in the area. Both patch numbers as well as patch density were high in West Nakdong River, Samrak Waterfront, Maekdo River, and Daejeo Floodgate, with these areas showing the greatest fragmentation as well. Total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ea and the number of habitat types. Findings suggest that protecting the habitat area, especially in S. planiculmi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bird habitat management and that future development could result in habitat loss, having a profoundly adverse impact on bird popul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total area should be carefully protected by land use regulation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Nakdong River estuary maintains its functional integrity as a migratory bird sanctuary.

      • KCI등재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구축

        김정은(Jeong Eun Kim),노백호(Paik Ho Rho),이정윤(Jung Yun Lee),조형진(Hyung Jin Cho),진승남(Seung Nam Jin),최진우(Jin Woo Choi),명현호(Hyeon Ho Myeong) 응용생태공학회 2021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8 No.2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종과 서식지 간의 관계를 공간적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 생물종의 생태적 특성, 공간 유형, 식생군락, 지형 및 지질 조건을 기준으로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를 개발하고 서식지 분류 지도를 제작하였다. 서식지 유형의 체계적 분류 및 판정을 위해 분류기준표를 제작하였다. 분류 체계는 구조적 서식지를 중심으로 6개 대분류로 구분하였으며, 중분류는 59개의 생태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산림생태계는 20개, 하천 및 습지생태계는 8개, 해안생태계는 16개, 농경지는 6개, 개발지는 9개, 해양생태계는 1개로 분류하였다. 서식지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정사영상, 정밀식생도, 임상도를 활용하여 서식지 분류 지도를 작성하였다. 서식지 분류 지도는 21개 국립공원에 대해 1,461개 도엽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서식지 조건을 고려한 서식지 분류 체계 고도화와 조사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서식지 평가에 적용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map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spatial type, vegetation, topography, and geological conditions preferred by specie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and their habitats in Korean national parks, we prepared a classification standard table for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habitat types. This classification system divides habitats into 6 low-level and 59 mid-level ecological classes based on habitat structure. The mid-level system divided forest ecosystems into 20 subtypes, stream and wetland ecosystems into 8 types, coastal ecosystems into 7 types, arable land into 6 types, development land into 9 types, and 1 type of marine ecosystem. A habitat classification map was drawn utilizing square images, detailed vegetation maps, and forest stand maps, based on the above habitat classification system, and it covered 1,461 plots spanning 21 national parks. The habitat classification system and survey protocol, which consider domestic habitat condition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applied to habitat assessment, to enhance the utility of this study.

      • KCI등재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정유경,김정란,최준수,공명자,박경영,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2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integrated record sheet of driving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driv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Methods: This study developed a driving education record following the model of a action research through planning, execution, observation, and reflec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driving rehabilitation instructors responsible for disabled driving education, as well as through observations during education sessions and existing recor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ndard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s. Resul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tegrated record sheet for driv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mprovements could be deriv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driving rehabilitation instructo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driving rehabilitation. Finally, the records separated by process were integrated and valuable input from driving rehabilitation instructors and experts in the field was incorporated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Eventually, the separate record sheets, categorized by process, were integrated and enhanced into an integrated record sheet for driving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record sheet used in the driving education field for the disabled at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s an action research. The integrated record sheet for the driv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developed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driving education records. 목적:본 연구는 지역사회 장애인 운전교육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운전교육통합서식지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실행연구 모형에 따라 계획, 실행, 관찰, 반성 과정을 통해 서식지를 개발하였다. 장애인 운전교육을 담당하는 연구 참여자(운전재활지도사)들과의 면담, 교육관찰 및 보유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분석의 일반적인 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운전재활지도사들과 운전재활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과정별로 분리되어 있는 서식지를 통합하여 운전교육통합서식지로 개선하였다. 결론: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교육 현장에서 사용하는 서식지를 개선하는 과정을 실행연구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는 운전교육 기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나도풍란의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 개발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심윤진,박용수,장래하,윤영준,김선령,한승현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model of Sedirea japonica (Rchb. f.) Garay & H.R. Sweet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ecological and habitat status of S. japonica and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HSI model. Currently, S. japonica is considered extinct in the wild and has been designated as an endangered wildlife species level 1. Thus, S. japonica has been selected as a priority restoration target species(a total of 25 species) according to the Endangered Wildlife Conservation Comprehensive Plan (2018~2027). The habitat variables of S. japonica are the relative humidity, the altitude, the gradient, the slope, and the artificial over-exploitation.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f S. japonica,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and expert opinions, the SI(Suitability Index) model and HSI mode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it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HSI model. The SI model and HSI model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search, field survey results, and expert advice, and applied to the site to test the applicability. The highest value for HSI was 1.0, with an area of 16,040,000 m2, and 0.9 with an area of 106,510,000 m2. As a result, the area with an HSI of 1.0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the S. japonica. As a result, the area with 1.0 of HSI value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S. japonica. The HSI model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the habitat evaluation and restoration model of S. japonica. In particular, it is highly applicable to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for S. japonica. However, the alternative habitat of S. japonica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as evaluated by a 100 m × 100 m grid siz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patial data established.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elect a primary candidate site, and a secondary on-site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etailed target site. If the spatial data on the micro-climate and the long-term monitoring of the S. japonica habitat are constructed through follow-up studies, detailed alternative habitats can be suggested by the more precise spatial analysis. However, as a future study, various status-finding data on the habitat of S. japonica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existing HSI model. 본 연구는 나도풍란(Sedirea japonica (Rchb. f.) Garay & H.R. Sweet)의 문헌조사 및 서식지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나도풍란의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향후 나도풍란 대체서식지 평가 및 복원 연구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나도풍란은 국내 자연 상태에서 절멸된 것으로 간주되어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었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2018~2027)에 따라 우선복원대상종(총 25종)으로 선정되었다. 나도풍란의 서식변수로 최고우기 월강수량, 연간 기온 차이, 월평균 기온차, 최저기온, 해발고도, 경사, 도로와의 거리를 제안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상대습도, 안개일수, 광환경, 향, 인위적 남획 등이 추가적으로 제시되었으나 데이터 구축 여부를 고려하여 상대습도, 향, 인위적 남획을 선정하였다. 이중 인위적 남획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보호지역 포함 여부를 제시하였다. 최고우기 월강수량, 연간 기온 차이, 월평균 기온차, 최저기온 등은 모두 적합하나 나도풍란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변수로 선정되지 않았다. 위의 과정을 통해 최종 변수는 상대습도, 해발고도, 경사, 향, 인위적 남획으로 선정하였다.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결과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SI(Suitability Index) 모델과 HSI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 대상지에 적용하였다. HSI가 가장 높은 값은 1.0이며 해당 면적은 16,040,000㎡로 나타났다. 그 외0.8(148,280,000㎡), 0.7(57,940,000㎡), 0.6(5,320,000㎡)으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HSI가 1.0인 지역을 나도풍란의 대체서식지로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나도풍란의 서식지 평가와 복원 모델의 제시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특히 나도풍란의 대체서식지 선정과 평가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로 제시된 나도풍란의 대체서식지는 국내·외 구축되어 있는 공간 자료의 한계로 100 m×100 m의 격자크기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일차적인 후보지 선정에 의미가 있으며, 세부 대상지 확정을 위해서는 이차적인 현장조사가 필요하다. 후속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후에 대한 공간자료와 나도풍란 서식지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데이터가 구축된다면 보다 정밀한 공간분석으로 세부적인 대체서식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서식지 적합성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향후 나도풍란의 서식지에 대한 다양한 실태조사를 구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