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김미령(Mee Ryoung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2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55세에서 64세까지의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요소가 노후준비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노후준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성공적 노화모델은 Rowe와 Kahn(1997, 1998)이 사용되었다. 인구사회적인 변인과 독립변인은 3차, 노후준비는 3차 부가조사, 삶의 만족도는 4차조사를 사용한 종단적 연구로 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 대상은 2255명이며 회귀분석대상은 변인에 모두 응답한 1540명이다. 노후준비는 패널자료에는 신체, 심리·사회, 경제적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나 노인4고인 질병, 소외, 무위, 빈곤을 고려하여 요인분석 후 신체, 심리, 사회, 경제적인 노후준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직접효과를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위해서는 Baron과 Keney의 분석방법이 사용된 후 유의도 파악을 위하여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질병과 장애를 제외하고는 성공적 노화요소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신체적 기능, 교육, 사회관계는 모든 노후준비에 직접효과가 있다. 신체적 기능은 신체적 노후준비와 정서적 노후준비를 완전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교육은 신체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과 직장생활은 정서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기능은 사회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기능과 직장생활은 경제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ffect on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and the life satisfaction. It also focused on whether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th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KReIs and focused on 2255 for difference test by demographic variables, and 1540 pre-older adults for regression analysis. As a model of successful aging, Rowe and Kahn’s(1997, 1998) was used. As demographic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3rd wave were used and for preparation for older life variables, the 3rd additional wave variables were used. For dependent variable, the life satisfaction of 4th wave was used. Even though there were three kinds of preparation for older life in the 3rd additional wav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ocio-emotional variables were separated as social and emotional using factor analysis. For direct effect,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For mediating effect,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except for having diseases and disabilities al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have a direc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function. Education and social relations als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The physical and emotional preparation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physical func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physic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duca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emotion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ducation, and job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soci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physical functioning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economic preparation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physical functioning and job on the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근,박은주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variables, using the 7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wo research methods,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HMLR)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he total number of sample was 3,869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58.9 years and 55.3% males. The results show that only 35.8% of the respondents make financial plans for retirement, and 64.2% did not.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65% of respondents take a responsibility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compared to 37% in European countries. Second, people with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retirement are more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people who think others(family, society, government) have to take a responsibility for retirement instead of them.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relationships betwee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s income level decreases, the moderating effect reduces the positive effect of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vice versa. Fourth, as income level increases and educational level is higher, the tendency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is also increasing.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re less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incentive scheme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for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nd to develop various policies and services to encourage them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본 연구는 제7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노후준비에 대한 개인별 책임인식 차이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영향을 소득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위계적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 모형에서는 통제변수와 독립변수인 ‘노후준비 책임인식’변수를, 2단계에선 조절변수인 ‘소득⋅욕구비율(INR)’을,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조합한 ‘상호작용항’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총 분석대상자는 3,869명으로 평균 연령은 58.9세였고, 남성이 전체의 55.3%를 차지하였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35.8%에 불과하였으며, 준비하고 있지않다 고 응답한 경우가 64.2%로 약 2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연구 분석 결과, 첫째, 노후준비에 대한 주된 역할이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응답자 중 65%가 노후대책마련 책임이 자기 본인에게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유럽의 37%보다도 높은 수치였다. 둘째,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이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외부에 있다고 응답한 사람보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경향을 보였다. 셋째, 소득수준은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부(-)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보였다. 넷째,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어 저소득⋅저 력학층은 고소득⋅ 고학력층에 비해 경제적 노후준비를 적게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준비에 대한 자신의 책임의식이 높더라도소득이 낮아 경제적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저소득⋅저학력층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근(Jeungkun Kim),박은주(Eunju Park)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본 연구는 제7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노후준비에 대한 개인별 책임인식 차이가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영향을 소득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위계적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 모형에서는 통제변수와 독립변수인 ‘노후준비 책임인식’변수를, 2단계에선 조절변수인 ‘소득·욕구비율(INR)’을,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조합한 ‘상호작용항’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총 분석대상자는 3,869명으로 평균 연령은 58.9세였고, 남성이 전체의 55.3%를 차지하였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35.8%에 불과하였으며, 준비하고 있지않다 고 응답한 경우가 64.2%로 약 2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연구 분석 결과, 첫째, 노후준비에 대한 주된 역할이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응답자 중 65%가 노후대책마련 책임이 자기 본인에게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유럽의 37%보다도 높은 수치였다. 둘째,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이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외부에 있다고 응답한 사람보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경향을 보였다. 셋째, 소득수준은 노후준비에 대한 책임인식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부(-)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보였다. 넷째,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어 저소득·저 력학층은 고소득· 고학력층에 비해 경제적 노후준비를 적게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준비에 대한 자신의 책임의식이 높더라도소득이 낮아 경제적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저소득·저학력층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variables, using the 7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wo research methods,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HMLR)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he total number of sample was 3,869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58.9 years and 55.3% males. The results show that only 35.8% of the respondents make financial plans for retirement, and 64.2% did not.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65% of respondents take a responsibility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compared to 37% in European countries. Second, people with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retirement are more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people who think others(family, society, government) have to take a responsibility for retirement instead of them.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come-level on relationships between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s income level decreases, the moderating effect reduces the positive effect of recognition of retirement responsibility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nd vice versa. Fourth, as income level increases and educational level is higher, the tendency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is also increasing.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re less likely to have a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incentive scheme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for low-income and low-educated people and to develop various policies and services to encourage them to prepare financially for retirement.

      • KCI등재

        자영자와 임금근로자의 노후준비 양상의 차이 - 설명요인들의 영향력 차이 검증을 중심으로 -

        이순아,이상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층의 자영자와 임금근로자 간에 노후준비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각 집단의 노후준비 설명모형과 설명요인들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에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3차 본조사와 부가조사 자료를 병합하여 활용하였으며, 양 집단 간의 노후준비 양상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차우검정(chow test)과 평행성검정(testing for parallelism)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금근로자와 비교해 자영자의 경제적, 사회·정서적, 신체적 노후준비 등 전반적인 노후준비 수준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 및 가구 특성 등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사회·정서와 신체적 노후준비 및 전체 노후준비에 있어 임금근로자에 비해 자영자의 준비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영자와 임금근로자 집단 간에 사회·정서, 신체 및 전체 노후준비를 설명하는 변수들의 영향력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개인 및 가구특성과 자녀관계 등에서 노후준비를 설명하는 요인들의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닌 몇 가지 함의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and to test for difference in the explanatory model and influence of explanatory variables between the self employed and the wage worker. The third wave’s main and additional data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are used. It is analyzed by chow test and testing for parallel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 employed are lower in the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such as the economic, psychological, physical, and overall preparation than wage workers. Second, this result remains significant under the controlling of individual and household variables. Finally, the difference of influ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dividual, the household, and the relation with their children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derived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직업군인의 퇴직태도 및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재덕(Jang, Jae-Duck)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3 No.1

        본 연구는 직업군인이 인식하고 있는 퇴직태도 및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에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에 근무하는 장교와 부사관 1,125명의 설문을수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먼저 빈도분석을 통하여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알아보았고, 다음으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직업군인의 퇴직태도 및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군인의 ‘성별’, ‘종교 유무’, ‘노후준비를 시작하는 연령’ 요인이었다. 퇴직태도 요인 중에서는 ‘휴식으로의 전환’, ‘새로운 출발’, ‘계속되는 삶’ 요인이었으며, 라이프스타일 중에서는 ‘건강추구’, ‘동료관계 추구’, ‘종교 및 봉사활동 추구’ 요인이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퇴직태도 요인이 노후준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퇴직태도의 ‘계속되는 삶’ 요인이 ‘경제적인 노후준비’ 요인에, 퇴직태도의 ‘새로운 출발’ 요인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노후준비 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라이프스타일 요인이 노후준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라이프스타일의 ‘건강추구’요인이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 요인에, ‘보수적인 가족추구’ 요인은 ‘정서적인 노후준비’ 요인에, ‘동료관계 추구’ 요인은‘사회적인 노후준비’ 요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직인군인 개인은 물론, 국방부나 각 군 차원에서 직업군인의 노후준비를 위하여 퇴직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노후준비에 도움이 될 라이프스타일을 계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areer soldiers’ attitudes about retirement and lifestyles of affect their retirement preparation. To do this, in 2018, we surveyed 1,125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working in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Corps. For this study, we utilized the SPSS 23.0 program and first looked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n used regression analysis to look at the effects of career soldiers retirement attitudes and lifestyles on retirement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retirement preparation for career soldiers were “Gender”, “Religious status” and “The age at which retirement preparation was started”. Among the factors for retirement attitudes were “Conversion to rest”, “A new beginning” and “Continuous life,”. Among lifestyle factors were, “Health-seeking”, “Seeking companionship” and “Seeking religious activities.” Second, the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s on preparations for old age were the “Continuous life” of retirement attitudes on “Economic old age preparation” and the “New start” of retirement attitudes on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old age preparation.” Third,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impact of lifestyle on preparations for retirement is that “Health promotion” of lifestyl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Economic and Physical preparation”, “Conservative family pursuit” on “Emotional preparation” and “Seeking of peer relationship”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e above findings will lead to a more positive approach to retirement attitudes of careersoldiers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r in each military branch. The data these findings provide can also be used for developing various lifestyles.

      • KCI등재

        중장년의 노후준비도가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황주경,강순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의 노후준비도가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노후준비도와 재취업 욕구 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63명을 대상으로 실시 한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타당도검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경제적자립 욕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력자일수록 재취 업을 통해 경제적인 안정 이외에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더 크게 나타났다. 중장년이 노년기 로 진입할수록 퇴직 이후의 삶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자신감이 낮아지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또한, 중장년은 노후준비도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도와 재취업욕구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사회적 노후준비도에 대한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실현 재취업욕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신체적, 경제적 노후준비도 순으로 상대적인 영향력이 큰 것으로 확 인되었다. 사회적지위 재취업욕구에 대해서는 사회적 노후준비도가 상대적 영향력이 컸으며, 그 다음으 로 경제적 노후준비도로 나타났다. 셋째, 중장년의 재취업과 관련하여 사회적지지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노후준비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중장년의 재취업욕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장년은 개인의 노후준비도에 따 라 재취업을 하고자 하는 이유나 동기가 다양하며, 재취업을 하는 목적에 개인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 그리고 중장년의 노후준비도와 재취업욕구에 사회적지지가 부분매개 한다는 연구 결과는 중장년의 재 취업지원이 욕구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중장년이 재취업하는 일자리는 만족도나 질이 낮기 때문에 중장년의 재취업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취업교육의 기회를 마련하 거나, 재취업에 대해 불안해하는 중장년이 적극적인 취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직업상담 장면에서 사회 적 지지와 같은 정서적인 지원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개입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the retirement readiness of the middle-aged on the desire for re-employment, and verified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m.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for a total of 263 people was analyz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validity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aged women had a greater desire for economic independence than men, and tthe more highly educated they were, the greater their desire not only economic stability but also to be socially recognized through the re-employment. It means that the older the middle-aged, the greater anxiety about life after retirement and less confidence. In addition,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mong the middle-aged, the greater the desire to be recognized socially in addition to economic stability through reemployment.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retirement readiness, the greater the self-realization desire. In addition, the relative influence was large in the order of social, physical, and economic retirement readiness. Social retirement readiness had a great influence on social status re-employment desire, followed by economic retirement readiness. Third, social support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 between the retirement readiness and the re-employment of the middle-aged. The fact that middle-aged people have various reasons and motivations for re-employment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s retirement readiness, and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reemployment. an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s means that reemployment support should be based on individual's desire. In particular, since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reemployment of the middle-aged are low, the support program for reemployment of the middle-aged should be provided based on emotional support such as social support.

      • KCI등재

        직업군인의 퇴직태도 및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3 No.1

        본 연구는 직업군인이 인식하고 있는 퇴직태도 및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에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에 근무하는 장교와 부사관 1,125명의 설문을 수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먼저 빈도분석을 통하여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직업군인의 퇴직태도 및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직업군인의 ‘성별’, ‘종교 유무’, ‘노후준비를 시작하는 연령’ 요인이었다. 퇴직태도 요인 중에서는 ‘휴식 으로의 전환’, ‘새로운 출발’, ‘계속되는 삶’ 요인이었으며, 라이프스타일 중에서는 ‘건강추구’, ‘동료관계 추구’, ‘종교 및 봉사활동 추구’ 요인이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퇴직태도 요인이 노후준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퇴직태도의 ‘계속되는 삶’ 요인이 ‘경제적인 노후 준비’ 요인에, 퇴직태도의 ‘새로운 출발’ 요인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노후준비 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라이프스타일 요인이 노후준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라이프스타일의 ‘건강추구’요인이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 요인에, ‘보수적인 가족추구’ 요인은 ‘정서적인 노후준비’ 요인에, ‘동료관계 추구’ 요인은 ‘사회적인 노후준비’ 요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직인군인 개인은 물론, 국방부나 각 군 차원에서 직업군인의 노후준비를 위하여 퇴직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노후준비에 도움이 될 라이프스타일을 계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areer soldiers’ attitudes about retirement and lifestyles of affect their retirement preparation. To do this, in 2018, we surveyed 1,125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working in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Corps. For this study, we utilized the SPSS 23.0 program and first looked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n used regression analysis to look at the effects of career soldiers' retirement attitudes and lifestyles on retirement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retirement preparation for career soldiers were “Gender”, “Religious status” and “The age at which retirement preparation was started”. Among the factors for retirement attitudes were “Conversion to rest”, “A new beginning” and “Continuous life,”. Among lifestyle factors were, “Health-seeking”, “Seeking companionship” and “Seeking religious activities.” Second, the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s on preparations for old age were the “Continuous life” of retirement attitudes on “Economic old age preparation” and the “New start” of retirement attitudes on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old age preparation.” Third,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impact of lifestyle on preparations for retirement is that “Health promotion” of lifestyl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Economic and Physical preparation”, “Conservative family pursuit” on “Emotional preparation” and “Seeking of peer relationship”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he above findings will lead to a more positive approach to retirement attitudes of career soldiers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r in each military branch. The data these findings provide can also be used for developing various lifestyles.

      • KCI등재

        재무설계사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신계수(Gyesoo Shin),권승숙(Seung-sug Kwon)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3

        본 연구는 재무설계사의 노후관련 인식과 노후준비 정도를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년기에 대한 견해와 노후준비 의식 차이 그리고 노후준비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생명보험사의 재무설계사 248명으로, 자료 분석은 SPSS 18.0 for Windows를 이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 신뢰성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검증)과 One-way ANOVA(일원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종교, 부양가족, 재무설계사 경력, 월평균소득), 노후준비 정도, 노년기에 대한 견해, 노후준비 의식, 성공적 노화 인식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된 노년기를 위해 경제적 준비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인지하고 있으나, 신체적 준비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대부분이 노년기에 발생하는 신체적 변화, 성적 욕구, 경제적 지원, 자녀와의 관계 등에서 부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셋째, 노후준비 의식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후준비방법으로는 은행적금, 부동산, 주식투자 등과 함께 공적연금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긍정적 답변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재무설계사들의 노후준비 의식, 성공적 노화 인식은 높은데 반해, 스트레스, 성인병 예방 등 신체적 준비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성공적 노화란 경제적 부분뿐만 아니라 신체적․심리적․사회적인 부분까지도 고려되어야 한다. 고객의 노후준비를 지원하는 재무설계사들의 노후관련 인식과 노후준비 정도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old age and the preparation level for retirement among the financial planners,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old age and preparation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used the data from 248 financial planners of life insurance company,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PSS 18.0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verification) and one-way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Analysis variables includ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marriage status, education, religion, dependents, financial planner"s career, monthly average income, the views on aging, the consciousness of preparing for retirement, successful age awareness, the preparation of old 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cessity for economic preparation for stable aging is highly recognised, while that of physical readiness is insufficient. Most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low level of preparation to the physical changes, sexual desire, economic support, and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s well. Another finding also showed that such methods for retirement planning as public pension funds, bank installment savings, real estate and stock investments are well perceived by the financial planners. Finall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old age are correlated with differences in the preparation level for retirement: the financial planners who score higher on the perception of old age are more likely to be engaged in the financial preparation for their retirements. This literature implies this paper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financial planning practitioners who need to support their clients’ financial planning for retirement and to explain the necessity of perception of old age, and recommends to extend to the level of not only physical but also socio-emotion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 KCI등재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Kim Hye Ji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middle aged recognition towards later life on preperation behavior for their old age and moderate effect of knowledge about policy for olderly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towards later life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eperation behavior for the old age. Second, the knowledge about policy for olderly people showe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towards later life and preperation behavior for aging.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to policy makers and service providers for improving the current policies and services in order to prepare for aging. 본 연구는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또한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중년층의 노인복지제도에 대한 인지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국민연금연구원 3차 국민노후보장패널 본조사 및 부가조사를 활용하였으며, 40세에서 60세인 중년층 1,962명을 대상으로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노인복지제도에 대한 인지여부를 파악하였으며, 노후준비행동은 신체적 준비행동, 경제적 준비행동, 사회․정서적 노후준비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현재보다 노후생활이 나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중년층의 노인준비행동에서는 신체적 노후준비행동 점수가 3.30점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았으며 보통수준 이상의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층의 노후생활인식은 노후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노인복지제도의 인지여부가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대해 본 연구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제도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대상 및 이들 대상에 대한 정책효과 등에 대해 예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중년층이 노후준비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식의 체계적인 제공이 필요하다.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성 ( Joo Sung Kim ),최수일 ( Soo Il Choi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3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과 노후준비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연령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40대 이상의 중·노년층 586명이고,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의 하위요인은 건강 및 여가 추구, 외향적 도전추구, 안전 및 물질 추구, 그리고 보수적 가족추구로 구분되었고, 노후준비도의 하위요인은 신체적 노후준비, 사회적 노후준비 및 경제적 노후준비로 나뉘어졌으며, 생활만족도의 하위요인은 긍정적 삶의 만족도, 부정적 삶의 만족도 및 자기가치로 분류되었다. 둘째, 건강 및 여가추구와 보수적 가족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신체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쳤고, 외향적 도전추구와 보수적 가족추구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었으며, 건강 및 여가추구, 외향적 도전추구, 안전 및 물질추구 라이프스타일은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사회적 및 경제적 노후준비는 긍정적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고, 경제적 노후준비가 부정적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반해 사회적 노후준비는 부정적 삶의 만족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 노후준비는 자기가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신체적 노후준비는 자기가치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에 따라서는 건강 및 여가추구, 외향적 도전추구, 안전 및 물질추구 라이프스타일에서 차이가 있었고, 신체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노후준비, 긍정적 삶의 만족도, 부정적 삶의 만족도 및 자기가치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lifestyle, preparation for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ir respective differences with an age bracket. For the study, 586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 and old-aged individuals and each statistical data point was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with SPSS17.0. Lifestyle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ubfactors: health, leisure pursuit, outgoing challenge pursuit, safety and materialistic pursuit and conservative family values pursuit. The subfactors of preparation for old age wer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preparation. Life satisfaction was classified by the subfactors of negative and positive life satisfaction and self-worth.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ifestyles aimed at pursuing health and leisure and conservative family values had an effect on physical preparation for old age. Lifestyles aimed at pursuing outgoing challenges and conservative family values influence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In addition, lifestyles aimed at pursuing health and leisure and conservative family values had an effect on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Second,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influenced positive life satisfaction while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had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prepar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negative life satisfaction. efcial preparation for old age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worth while physical preparation negatively influenced self-worth. Finally, we found several differences in lifestyle, physic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old age, positive and negative life satisfaction and self-worth among different age demograp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