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유학 계보 연구의 검토

        고영진 ( Young Jin Koh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1

        지금까지 학계에서 유학 계보 연구는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유학사상에 관한 글을 쓰는 연구자들이 직접 주제로 다루지는 않아도 학문적 계승 관계를 염두에 두고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학 계보 연구처럼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또한 없다. 계보 연구는 조선시대 유학사상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복원하는 작업과 다름 아닌데 이것이 쉽지가 않고, 과거에 한번 만들어진 체계를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유학 계보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고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서 먼저 조선시대 편찬된 『師友錄』과『門人錄』·『淵源錄』등을 살펴보고 이어 근대에 저술된 유학통사 속에 나타나는 유학 계보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학파·계보 관련 개별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000년대 들어와 유학 계보나 학파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고 유학 계보를 조선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 유학사상사의 흐름과 연결지어 살펴보려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으나 이제 시작단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계보 연구가 계보 자체의 연구에만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잘 알다시피 계보 연구는 종적인 관계에 치중하기 때문에 횡적인 관계를 소홀히 할 여지가 많다. 그러나 조선시대 유학사상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학파·계보의 사상이나 정책의 대립적인 측면보다는 시기별로 드러나는 사상·정책의 공통점,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관계의 측면에 관심을 높여 갈 필요가 있다. 나아가 유학 계보 연구는 조선시대 개인 또는 집단의 다양한 학문적 네트워크를 복원하는 작업 속에서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당시 학인들은 학파뿐만 아니라 가족·지역·官界 등 여러 층위에 걸쳐 다양한 학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그 기반 위에서 활발한 학문 교류를 전개하고 개인 또는 집단의 학문적 성격도 그 속에서 위치 지워졌다. 인간, 집단, 사상 심지어 역사 자체도 시간적·공간적으로 단절되어 존재하는 것은 없다. 그것이 적대적이든 우호적이든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따라서 인간, 집단, 사상, 역사 속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단절·대립``의 측면과 ``관계·교류``의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 유학 계보도 여기서 예외가 아니다. There are many studies of Confucian genealogy in the academic circle until now because many scholars write the articles with keeping academic successions in mind even though they do not deal with this theme directly. Nevertheless there are no study that has not been achieved well like the study of Confucian genealogy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store the stream of Confucianism in Joseon period and many scholars take for granted the genealogical system that is made in the past. This article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reviewing the studies of Confucian genealogy and seeking the desirable study direction. First 『Saurok(師友錄)』, 『Muninrok(門人錄)』 and 『Yeonwonrok(淵源錄)』 are researched and secondly Confucian genealogies portraying in Confucian History Books are examined and finally each studies of schools and genealogies are reviewed. It is just a inchoate stage even if the thoughtful studies of Confucian genealogy and school have been done and the attempts to review the Confucian genealogy with connecting the stream of Confucianism not only Joseon but also East Asia are made in the 2000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omething in common rather than the oppositive aspect of the thoughts of each school and genealog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hat the study of Confucian genealogy is done with the work to restore the diverse academic networks of the individual and group in Joseon period. History besides human, group and thoughts does not exist without relation with time and space. If they are friendly or hostile they enter into relation and make an effect each other constantly. Therefore there are not only aspects of severance and opposition but also relation and interchange in human, group, thoughts and history. Confucian genealogy in Joseon period is no exception from this.

      • KCI등재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이종욱(Lee, Jong-wo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9 No.-

        『화랑세기』는 신라인이 아니면 쓸 수 없는 책이고, 신라인이 아니라면 필요하지도 않았던 책이다. 본고에서는 『화랑세기』를 통하여 그 동안 알 수 없었던 신라의 역사를 밝힘으로써 위작설에 반박하려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인들은 단순한 족보가 아니라 계보를 통해 세보・파맥・세계를 구분하여 파악하고 있었다. 골품제 사회를 살아간 신라인들에게 계보는 고려나 조선 그리고 현재 한국과는 비교할 수 없는 소중한 장치(제도)였다. 골품신분을 사회구성의 중심체제로 유지하던 신라인들에게 계보는 골품신분을 상속하거나 골품신분을 떨어뜨리는 族降의 기준이 되었다. 신라인들의 계보는 신분집단을 유지하는 장치도 되었다. 그러한 系譜는 신라인들에게는 골품신분체제를 유지하는 필수적인 장치였고 나아가 신라인의 모든 면을 규제하는 기본이 되는 장치였다고 하겠다. 그런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신라버전의 『화랑세기』가 담고 있는 계보를 거의 은폐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는 삼국의 역사를 옳게 다루기 위한 자료로는 많은 부분이 부족한 사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은폐・축소된 신라인의 계보가 『화랑세기』에는 신라인의 필요에서 그대로 기록된 것이라 하겠다. 결국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는 『화랑세기』가 위서(위작)일 수 없다는 강력한 증거가 아닐 수 없다. 『화랑세기』가 전하는 신라버전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하여, 『화랑세기』에 대한 견강부회의 위작설을 버리고 신라인의 신라 이야기를 찾는 역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Hwarangsegi(『花郎世紀』) is the book which could not be written by Silla people, and had no need to non-Silla people to describe.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history of Silla which had been uncovered before the appearance of Hwarangsegi. For this purpose, I studied on the genealogical charter which appears in Hwarangsegi. Silla people separated and understood sociocultural charter(世譜)・lineage group(派脈)・ancestry link(世系) by genealogical charter(系譜). Silla people lived in a society based on Bone rank system(骨品制), so that genealogical charter was a very important mechanism(system), uncomparable to Goryeo, Joseon, and Korea nowadays. The genealogical charter became a standard for succeeding social status, or dropping down social status(族降), to Silla people whose social status were based on Bonk rank system. It was also a mechanism to maintain a status group to Silla people. The genealogical charter was essential to keep the Bonk rank status system, and it was a mechanism to regulate every aspect of Silla people. I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however, most of the Silla-version genealogical charter in Hwarangsegi was concealed. Therefore, we can find that Samguksagi and Samgukyusa are highly insufficient material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right. Especially, the genealogical charter of Silla people which was concealed and cut was recorded intact because of the need of Silla people themselves. As a result, I insisted that the genealogical charter of Hwarangsegi is critical evidence which shows that Hwarangsegi is not a forged book(material). To understand Silla-version narratives of Hwarangsegi, I wish to abandon forgery theories on Hwarangsegi, and shift a historical paradigm to find out narratives of Silla written by Silla people.

      • KCI등재

        푸코와 정신의학의 계보학 - 정신의학의 비판적 역사를 통해 본 계보학의 유래와 효과 -

        김성우 한국의철학회 2012 의철학연구 Vol.13 No.-

        푸코의 비판은 칸트의 인식론적 비판이나 하버마스의 언어철학적인 비판처럼 진리의 분석론이 아니라 역사적인 존재론이다. 그래서 그것은 역사 비판 존재론이라고 명명될 수 있다. 그의 역사 비판 존재론은 칸트적인 선험적인 형이상학의 정초(定礎)도 아니고 헤겔의 역사철학도 아니다. 이것은 고고학, 계보학, 실존의 미학으로서의 윤리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체와 권력」이라는 짧은 글에서 푸코는 지난 20년 동안 자신의 작품 목표는 권력이 아니라 서양 근대 문화에서 인간이라는 존재자가 주체로 생성되는 상이한 방식들의 역사를 쓰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그의 작업은 인간이라는 존재자를 주체들로 변형하는 객체화의 세 방식들을 다루는 것이다. 세 방식들은 각각 진리, 권력, 윤리의 축과 관계한다. 그래서 그의 계보학은 진리, 권력, 윤리와 연관된 주체의 계보학이지 단순히 권력의 계보학이 아니다. 이 글의 목적은 푸코의 역사가 니체의 계보학을 계승하여 그 당시 현상학과 맑스주의, 휴머니즘과 과학주의, 철학적 인간학과 역사 실증주의 사이의 딜레마를 끊고 니체의 계보학이 지닌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철학적이며 정치적인 비판의 활동으로 전개된 것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 글은 진리, 권력, 윤리라는 3중적인 축에서 주로 진리의 축에서 권력의 축으로 이행하는 그 과정을, 즉 전기에 주로 행해진 지식의 고고학으로부터 중기에 주로 탐구된 권력의 계보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선행 연구들이 주로 감옥의 역사를 중심으로 권력-지식의 복합체를 탐구함으로써 이 이행과정을 설명하는 반면에, 이 연구는 정신의학의 권력-지식 복합체에 대한 그의 중기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정신의학과 관련해서 계보학의 유래와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정신의학의 계보학은 전기에 주로 다룬 광기와 질병의 역사와의 뚜렷한 연관성을 지니면서도 후기에서 취급한 윤리의 문제와 관련된 성욕의 역사와도 대단히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이 글은 정신의학의 계보학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복잡하게 나타나는 푸코의 사상이 체계적인 의미는 아니지만 방법론적인 일관성(즉, 역사 비판 존재론인 주체의 계보학)이 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 KCI등재

        일본 무로마치 시대 수묵화 연구에 나타난 셋슈와 셋손의 인식에 대한 문제

        이원진 ( Won Jin Lee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7 No.-

        이 논문은 일본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 1337-1573)의 수묵화(水墨畵) 연구에서 중요하게 거론되는 두 화가인 셋슈 토요(雪舟等楊, 1420-1506?)와 셋손 슈케이(雪村周繼, 16세기 활동)를 다루고자 한다. 두 화가의 관계성 인식에 대한 문제에 주목하게 된 것은 직접적인 연관성이 불분명하면서도 셋손이 셋슈의 계승자로 등장하고 있는 ‘계보(系譜)’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계보와 더불어 문장 속에서 “셋슈, 셋손”이라는 표현이 자리 잡고 있는 현상을 자주 목격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셋슈와 셋손이 일본 수묵화를 대표하는 ‘거장(巨匠)’으로 나란히 언급되는 것은 어떠한 배경에서 비롯된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셋손과 동시대 활동한 운코쿠 토간(雲谷等顔, 1547-1618)과 하세가와 토하쿠(長谷川等伯, 1539-1610)를 통해 셋슈와의 관계성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토간과 토하쿠는 화가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셋슈를 개조로 한 새로운 계보를 설정함으로써 셋슈와의 관계성을 만들려고 노력했다. 반면, 셋손이 셋슈와의 사제 관계를 실질적으로 입증하는 사료는 당대에는 발견되지 않으며, 토간과 토하쿠가 경쟁적으로 설정한 계보를 셋손에게서는 찾을수 없다. 이 같은 정황으로 인해 셋손이 셋슈의 계보에 포함된 것은 후대에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비판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본 논문의 초점은 이러한 비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계보’를 통한 관계성의 인식이 얼마나 가변적인 것인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따라서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20세기 이후 진척된 셋슈와 셋손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을 면밀히 시도하면서, 셋손에 대한 연구와 인식이 셋슈와의 관련성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사적 고찰을 통해 보았을 때, 셋슈와 셋손의 관계성은 실질적으로 규명할 수 없는 것이기에 막연하게 둘을 대비하는 서술에 그치고 있었으며, 셋슈와의 관련성을 언급한 의도 속에는 대부분 셋손을 부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20세기 전반 셋손을 부각시키는 데 가장 직접적인 기여를 한 인물은 오카쿠라 텐신(岡倉天心, 1862-1913)이었다. 그는 셋슈를 능가할 만한 화가로서 셋손을 극찬하면서, 무로마치 시대의 주요 수묵화가들을 소개하는 계보에서 셋손이 셋슈를 잇는 의도적인 계보 설정을 제시함으로써 셋슈와 셋손을 연결시켰다. 그런데 셋손이 실질적으로 부각되고 재평가되기 시작한 것은 오카쿠라 텐신의 계보에서가 아닌, 1970년대 츠지 노부오(십惟雄, 1932-)가 제시한 ‘기상의 계보(奇想の系譜)’라는 에도 시대(江戶時代, 1603-1868)의 이색적인 화가들의 새로운 계보에서 셋손이 ‘개조’로 등장하면서부터라는 점은 논문을 진행하면서 새롭게 발견하게 된 부분이었다. 사실 츠지가 ‘기상의 계보’에서 재평가의 대상으로 의도한 인물은 이토 자쿠추(伊藤若沖, 1716-1800), 소가 쇼하쿠(曾我蕭白, 1730-1781)와 같은 에도 시대의 화가들이었지만, 셋손은 그 이전 시기의 화가들 중에서는 ‘기이함’이라는 조건에 가장 잘 부합하는 인물로서 계보의 ‘선단’에 위치할 수있었다. 셋손의 작품에서 지속적으로 평가되었던 ‘기사(奇思)’의 요소가 1970년대부터 기이함에 대한 관심으로 부각되고, 셋손은 2000년을 기점으로 에도 시대의 기상의 화가들과 함께 폭발적인 관심과 인기를 얻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인기를 등에 업고 이미 확고한 명성을 가지고 있던 셋슈와도 대등한 관계로 인식될 정도로 부각될 수 있었다. 이렇게 본다면, 셋손은 츠지 노부오가 제안하고, 그의 제자들이 지지한 ‘기상의 계보’의 가장 큰 수혜자라고도 할 수 있다. This essay explores the issues concerning Sesshu - To - yo - (1420-1506?) and Sesson Shu - kei (active 16th century), the two most prominent Zen Buddhist monk-painters of the Muromachi period (1337-1573) in Japan. The initiative for this study is based on a noteworthy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visual arts: although there is no direct link between the two, Sesson is often regarded in general as a successor to the Sesshu - ’s lineage, and two artists are often referred to as a pair, “Sesshu - and Sesson.” This study also departed from a question that what historical conditions made possible to address Sesshu - and Sesson as “two” leading masters of the Japanese monochrome ink painting. The first part of this essay examines this issue through the activities of Unkoku To - gan (1547-1618) and Hasegawa To - haku (1539-1610), who were the contemporaries of Sesson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environment of competitive genealogizing, leading them to articulate explicitly their own pretensions to the prestigious Sesshu - lineage. Both painters claimed Sesshu - ’s direct artistic descent and legitimacy by asserting their own lineage, which still survive today. However, in the case of Sesson, there is no evidence of himself claiming to Sesshu - ’s heritage, nor historical sources survive to prove their artistic interactions. Such circumstances can be criticized and concluded that Sesson has no links to Sesshu - at all. And it may be pointless to look at their connection in the history of visual arts.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move forward to seek how variable the lineages of painters are, and how the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and conditions by the creators. The latter of part of this essay examines the previous academic research on the artistic interaction between Sesshu - and Sesson, and focuses on how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esson changes in the association with Sesshu - . Previous discourses on Sesshu - and Sesson describe their relationship with vague and obscure rhetoric, as Sesson has no direct link with Sesshu - . Furthermore, scholars who referred Sesshu - and Sesson as a pair intended to emphasize Sesson as the most important pain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was Okakura Tenshin (1862-1913) who played a key role in the understanding of Sesson as the painter whose artistic technique and ability could rival with that of Sesshu - . Teshin also suggested the influential genealogy of Muromachi ink painters, in which Sesson emerges as a descent of Sesshu - .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Sesson was revaluated and became most popular after the 1970s, as this was the time eccentricity of Sesson’s works drew keen attention to public. And this coincides with art historian Tsuji Nobuo (1932-)’s publication of The Lineage of Eccentrics (J. kiso - no keifu), the seminal book proposed for reappraisal of the eccentric artists of the Edo period (1603-1868), such as Ito - Jakuchu - (1716-1800) and Soga Sho - haku (1730- 1781). Tsuji’s new Lineage at the same time enabled Sesson to emancipate from Sesshu - ’s lineage and became the precursor of the Edo eccentric artists. In this moment of revival for the eccentric artists, the understanding of Sesson changed from “Sesshu - ’s artistic descent” to “rival of Sesshu - ,” positioning him as one of the leading masters of Muromachi period.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understanding of “Sesshu - and Sesson” is present-day phenomenon and that Sesson is the formidable beneficiary of The Lineage of Eccentrics.

      • KCI등재

        선종의 법맥의식과 전등사서의 형성

        김호귀(Ho Gui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8

        중국선의 시작은 보제달마(菩提達磨)로부터 비롯된다. 그것은 오늘날 전승되어 온 선종이 보리달마의 법손들에 의하여 형성되고 발전되었으며 전승되었기 때문이다. 중국선종이 오늘날까지 건재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전개의 이면에 다양한 요소들이 깃들어 있다. 인도의 선법에서 중시되었던 차제(次第)및 점수(漸修)의 선법이 중국선종에서는 차제와 점수 이외에도 돈교법문(頓敎法門)을 바탕으로 하는 조사선법(祖師禪法)의 발전이 큰 몫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가장 큰 영향은 아무래도 조사의 법맥을 형성하고 내세우며 홍보하면서 자파의 권위 및 존재를 부각시키려는 노력이었다. 그 중심에 위치한 개념이 곧 전등계보(傳燈系譜)의 형성 이었다. 본격적인 전등계보의 형성은 혜능과 신수의 법손들에 의하여 각자의 정통성을 주장하려고 내세웠던 문중이 자긍심으로부터 비롯되었지만, 그 이전에도 이미 소박한 법맥의 전승 내지 주장이 있었다. 먼저 중국에서 형성되었고 전개되었던 선종에서는 그 권위와 정통성을 멀리 인도에서까지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달마다라선경(達摩多羅禪經)}과 {부법장인연전(付法藏因緣傳)}을 비롯한 소위 선경(禪經)에다 그 근거를 두고 몇 가지 법맥의 유형을 만들어갔다. 따라서 인도의 석가모니에게 정법안장의 근원을 두고 그 법맥을 계승했다는 전등계보가 형성되었다. 이로써 인도선법에 대한 전등부법설(傳燈付法說)의 조사는 『달마다라선경』의 9조사설로부터 비롯하여 『부법장인연전』의 23조사 혹은 24조사설로 발전되고, 이것이 마가지관(摩訶止觀)으로 수용되었으며, 다시 좌계대사비(左溪大師碑)에서 29조사설로 확대되었다. 다음으로 북종선의 전등계보로서는 기존의 인도와 관련된 전등계보를 계승하여 {릉가경(楞伽經)}의 전수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이 돋보인다. 그 계보는 {달마다라선경}(411) → {부법장인연전}(472) → {法如禪師碑文}(689) {능가불인법지}(?) {전법보기(傳法寶紀)}(712-713) → {릉가사자기(楞伽師資記)}(713-716)이다. 다음으로 남종선의 전등계보로서는 하택신회(荷澤神會)의 노력에 힘입어 남종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북종의 전등계보를 발판으로 활용하여 그 위에 남종의 전등계보를 완성하였다. 그 계보는 {달마다라선경}(411) → {부법장인연전}(472) → {전법보기}의 비판으로 등장한 {보제달마남종정시비론(菩提達摩南宗定是非論)}(732) → {좌계대사비}(754) → {능가사자기}의 비판으로 등장한 {력대법보기(曆代法寶記)}(774) → {조계대사전(曹溪大師傳)}(781) → 돈황본 {단경(壇經)}(780-800) → {보림전(寶林傳)}(801)이다. The beginning of China seon sects from Bodhidharma in early 6c. Nowaday allseon sects of the East Asia are descendants of Bodhidharma. In early seon sects,they made of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light from India seon thoughts toChines seon sects. The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light means the EyeStore house of the Dharma. So the Eye Store-house of the Dharma isenlightenments of Buddhism. The Dharma light a figurative expression ofenlightenments. And the books about Dharma light originatedeach other of seonsects. In early seon sects of China, the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 light isbased on the Sutras and analects including the Damoduoluochanjing(達摩多羅禪經)- nine patriarchs Fufacangyinyuanchuan(付法藏因緣傳) - twenty three patriarchs. The Northern seon-sect that expounded by Shen-hsiu disciple of Ta-manHung-jen made of the Damoduoluochanjing(達摩多羅禪經) - nine patriarchs → Fufacangyinyuanchuan(付法藏因緣傳) - twenty three patriarchs → Lengqieforenfazhi(楞伽佛人法志) → Chuanfabaoji(傳法寶紀) - seven patriarchs → Lengqieshiziji(楞伽師資記) - seven patriarchs. The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light in Northernseon sect rooted in Lengqiejing(楞伽經). The southern seon sect that expounded by Hui-neung disciple of Taman-Hungjen and Shen-hsiu made of the Putidamonanzongdingshifeilun(菩提達摩南宗定是非論) - thirteen patriarchs → Lidaifabaoji(曆代法寶記)-twenty seven patriarchs→ Caoxidashichuan(曹溪大師傳) - thirty three patriarchs → Tanjing(壇經) thirtythree patriarchs → Baolinchuan(寶林傳) thirty three patriarchs. The pedigrees oftransmit the Dharma light in southern seon sect rooted in the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light of Northern seon sect.

      • KCI등재

        ‘同祖’계보의 변화를 통해 본 王仁, 王辰爾系 씨족

        서보경(Seo, Bo-Kyung)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3 No.-

        『일본서기』에 ‘왕인과 왕진이의 후손’이라 기재된 가와치노후미(西文)씨 일족이 『속일본기』와 『신찬성씨록』의 계보 기록에는 ‘漢高帝(祖)의 후손인 왕인’과 ‘백제 貴須王의 후손인 진이’의 후손이라 적혀 있다. 이와같이 왕인과 왕진이계 씨족의 조상전승이 다르게 기재된 것은 왕인계 후미(文), 다케후(武生)씨와 왕진이계 츠(津), 후네(船), 후지이(葛井)씨 등이 각기 改姓을 정당화하기 위해 『일본서기』 단계에 기재된 조상 위에 새로운 시조를 더하여 계보를 조작한 데 그 원인이 있다. 또한 延曆年間에는 왕인계 후미, 다케후씨와 왕진이계 츠, 후네, 후지이씨 등의 ‘改姓請願’이 허가되었다. 고대 일본 사회에서는 ‘改姓請願’이 인정되면 각 씨가 주장한 계보는 공적인 문건이 되었다. 따라서 이른바 ‘始祖加上’을 통해 왕인계 후미, 다케후씨 등은 중국계 이주 씨족이 되고, 왕진이계 츠, 후네, 후지 이씨 등은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분류되어 『신찬성씨록』에 게재되었다. 또한 교키(行基)와 구다라노코니키시(百濟王)씨는 쇼무(聖武)천황의 대불조영 사업을 매개로 계보상의 「同祖」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大僧上舍利甁記」의 명문에 기재된 ‘와니(王爾, 王仁)가 백제 왕자’라는 계보가 공인되었다. 따라서 왕인계 가와치노후미씨가 ‘한 고조의 후손’이라는 계보는 개성을 청원하는 단계의 ‘시조가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왕인, 왕진이계 씨족의 개성청원이 이루어진 연력년간에 백제계 도래씨족으로 최고의 위상을 보유한 씨족은 왕진이계 츠노무라지(津連)였다. 특히 간무(桓武)천황의 측근으로 활동한 츠노무라지마미치(津連眞道)는 『속일본기』 편찬 작업에 임하면서 후지와라(藤原)씨와 구다라노코니키시씨와 연결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매개로 하여 백제계 이주씨족의 후손인 츠노무라지마미치는 백제 왕족과 계보상의 「同祖」 관계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 왕진이계 가와치노후미씨는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공인되어 『속일본기』와 『성씨록』에 기재되었다. 요컨대 왕인과 왕진이계 가와치노후미씨는 근접한 지역에서 ‘의제적 동족’ 관계를 형성하며 ‘문필’에 관한 소양을 갖춘 관인으로 출사할 때나 대학에 입학할 때, 조정의 필요에 따라 동원될 경우는 가와치노후미씨 일족으로 움직였다. 그러나 이들은 ‘문필’이라는 유사 직종에 종사하며 賜姓, 敍位, 任官의 경우만 아니라, 봉사의 기원을 기록한 씨족계보의 기술 내용에 이르기까지 각 씨의 격을 높이기 위한 경쟁을 지속하며 고대 일본의 관인사회에 적응해 나간 존재이기도 했다. The family of KawachinoHumiuji(西文氏), which is recorded as the descendent of Wani(王仁) in NihonShoki(日本書紀), is recorded as the descendent of Emperor Gaozu(高祖) of the Han(漢) and the descendent of the Baekje royal family, respectively, in ShokuNihongi(續日本紀) and Shojiroku(姓氏錄).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y the clans sharing the common ancestry put up different founders. Thus, this study analyzed Kaisei(改姓) applications in the records of Keifu in ShokuNihongi and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the original texts. The difference between Keifu(系譜) in NihonShoki and the contents in ShokuNihongi is the consequence of changing Keifu by adding another ancestor to the original earliest ancestor in order to justify Kaisei. The fabrication of Keifu for giving authority to the origin was a social phenomenon common in both Torai(渡來) and non‐Torai(非渡來) people through the age of Nara. If Kaisei is accepted, the Keifu maintained by each Uji is acknowledged as an official document. Among the clans of KawachinoHumiuji, accordingly, Wani, Humi(文), Takehu(武生), etc. became Chinese Torai people, and Ojinni(王辰爾), Tu(津), Hune(船), Hujii(葛井), etc. became Baekje Torai people. In this way, the clans came to have different origins. When the GyokiKeifu(行基系譜), in which Wani was recorded as a Baekje royalty, is analyzed,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result of Keifu fabrication. Because the Baekje royalty should admit Wani as one of the royal family members in order for the Keifu to be officially recognized, this study traced the association between Gyoki and Kudaranokonikisishi(百濟王氏).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wo were connected through the medium of the project for creating a great statue of Buddha by ShomuTenno (聖武天皇). Based on diplomatic relations among the clans of KawachinoHumiuji, however, the recognized Keifu was maintained not by Humi and Takehu but by TunoMurajiMamichi(津連眞道). In addition, TunoMurajiMamichi and Kudaranokokisishi we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KammuTenno. After all, KawachinoHumiuji is a clan organized constructively based on the commonalities that they immigrated from Baekje, they carried out similar jobs of Humihito(史), and they followed Buddhism. They sometimes moved together under the name of KawachinoHumiuji if necessary, but basically maintained a competitive relationship as they were engaged in similar business of writing. As a result, the family of Tu, Hujii and Hune maintained the superiority over other family, and Tu won the glory of being incorporated into the Baekje royalty, the highest Keifu of clans originating from Baekje.

      • KCI우수등재

        교육 연구방법으로 계보학의 가능성과 의의

        유주영(Ju Young Yoo)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 연구방법으로서 계보학의 가능성과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계보학의 개념과 특징을 분석하고 교육 연구방법으로서 계보학의 활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계보학은 현재의 개념에 대한 지식이 구성된 유래를 추적하여 변화를 분석하는 작업이다. 계보학은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지식이 자연발생적이지 않고, 권력관계가 담겨 있다는 것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특히, 교육 연구방법으로 계보학을 활용한다면 교육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의 지식 변천을 분석함으로써 개념적 재구성과 실천적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교육 연구방법으로서 계보학을 활용하는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인 모종의 개념에 의문을 던지며 균열을 생성한다. 둘째,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시・공간적으로 넓고 방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셋째, 분석 단계에서는 개념을 해체하고 비판하면서 분석한다. 넷째, 해석 단계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성을 염두에 두고 해석한다. 다섯째, 글쓰기 단계에서 연구자는 끊임없이 반성하며 연구를 수행한다. 교육 연구를 수행할 때 계보학 연구방법을 활용한다면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교육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을 것이고,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미시적으로는 교육학자, 교육 실천가, 학습자 등 교육과 관련된 주체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고, 거시적으로는 교육 시스템의 혁신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 This paper analyz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genealogy, and explored examples of research using genealogical methodology. Through thi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 are discussed and strategies for utilizing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tool are suggested. Genealogy is the work of tracing the origins of knowledge about current concepts and of analyzing changes. It is a tool that can analyze that the knowledge we take for granted is not spontaneous but contains power relations. In particular, if genealogy is used as an educational research tool, it will be possible to be of help in conceptual reconstruction and practical development. The strategies for using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starts by raising questions about the concept. Second, in order to collect data, a wide and vast amount of data is collected. Third, during the analysis, concepts are deconstructed and critically analyzed. Fourth, interpretation is done with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in mind. Fifth, in the writing stage, the researcher constantly reflects on themself. If we use genealogy when conducting educational research, we will be able to seriously reflect on the educational problems we are currently facing, and this will help us come up with new alternative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dividual growth and to innovative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 KCI등재

        동일성 원리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에서의 계보학의 의미

        윤삼석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1 No.-

        본 논문은 아도르노 철학에서 이루어지는 ‘동일성 원리에 대한 비판’을 ‘계보학’으로써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계보학이 아도르노 철학에서 지니는 의미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세 단계의 과정으로 전개된다. 첫째 단계는 비판 대상을 추출하는 작업인데, 여기에서는 동일성 원리의 두 차원으로서 관념론적 차원의 동일성과 사회적 차원의 동일성이 제시되고, 이를 통해 비판 대상으로서 관념론적 동일성의 두 테제인 ‘정신의 우위’와 ‘정신의 즉자성’ 및 ‘정신의 독립성’이 정립된다. 둘째 단계는 계보학 자체의 의미와 요소들에 대한 탐색 작업인데, 여기에서는 니체의 계보학을 통해 계보학 자체의 의미, 즉 가치의 반(反)-가치적 근원을 폭로함으로써 가치를 ‘근본에서부터 비판’한다는 의미가 규명되고, 이러한 비판에 내재하는 계보학의 두 요소인 ‘사회-역사적 차원’과 ‘생리-심리학적 차원’이 도출된다. 셋째 단계는 계보학의 의미와 요소들을 통해 관념론적 동일성의 테제를 재구성하는 작업인데, 여기에서는 정신이 ‘교환원리’라는 사회-역사적 상황 및 조건과 매개되어 있다는 사실을 통해 정신의 즉자성 및 독립성이 비판되고, 또한 정신이 ‘자기보존’이라는 자연적이고도 본능적인 생의 원리와 그 요소들로부터 유래했다는 점을 통해 정신의 우위가 비판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아도르노 철학에서 계보학은 구성적 주체성에 대한 비판이라는 ‘부정적 의미’뿐만 아니라 유한성이라는 주체의 새로운 규정을 제시한다는 ‘적극적 의미’ 또한 지닌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Die vorliegende Arbeit hat zum Ziel, 'die Kritik am Identitätsprinzip' bei Adorno durch 'die Genealogie' zu rekonstruieren, und dadurch den Sinn der Genealogie bei der Philosophie Adornos zu suchen. Dafür besteht die Arbeit aus drei Prozeße. Der erste Prozeß ist die Arbeit, die Gegenstände der Kritik herzuleiten. Dabei setzen wir die idealistischen Identität und die sozialen Identität als zwei Dimensionen des Identitätsprinzips, dadurch leiten 'den Vorrang des Geistes' und 'das Ansichsein des Geistes', d. i. 'die Unabhängigkeit des Geistes' als die Gegenstände der Kritik her. Der zweite Prozeß ist die Arbeit, den Sinn der Genealogie und deren Elemente auseinanderzusetzen. Dabei stellen wir 'die radikalen Kritik' an den Werte durch die Enthüllung des gegen-wertigen Ursprungs derselben als den Sinn der Genealogie selbst Nietzsches fest, und leiten ihre zwei Elemente, d. i. 'sozio-historische Dimension' und 'physio-psychologische Dimen- sion' her. Der letzte Prozeß ist die Arbeit, zwei Thesen der idealistischen Identität durch die Genealogie zu rekonstruieren. Dabei bestätigen wir, daß zum Teile das Ansichsein des Geistes d. i. die Unabhängigkeit des Geistes dadurch kritisiert wird, daß er durch das ‘Tauschprinzip’ als die sozio-historischen Bedingung vermittelt ist, zum Teile daß der Vorrang des Geistes dadurch kritisiert wird, daß er aus der ‘Selbsterhaltung’ als dem Prinzip des naturalen und instinktiven Lebens und ihren Elemente stammt. Schließlich erhellt es sich daraus, daß die Genealogie bei Adorno nicht nur 'den negativen Sinn' der Kritik an der konstitutiven Subjektivität sondern auch 'den positiven Sinn' der Aufweisung der neuen Subjektsbestimmung, d. i. Endlichkeit des Subjekts hat.

      • KCI등재

        신찬성씨록과 고대 일본의 계보(系譜)와 계도(系圖)

        이근우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8 No.-

        현재 전하고 있는 신찬성씨록은 초략본이기 때문에 그 전모를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대 일본의 계보와 계도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 결과, 고대 일본의 계보나 계도에서 확인되는 친족 개념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출자 집단 논리와 크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현재 한국의 족보에서 볼 수 있는 부계 원칙을 고대 일본 사회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정치 수장의 직위를 승계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부자 관계가 아니라 광범위한 친인척이나 사위가 그 직위를 승계할 수 있었다. 신라의 경우 사위에게 왕위를 물려준 사례가 있다. 남해왕의 사위 탈해가 왕위에 올랐고, 미추도 점해왕의 사위였다. 또한 쇼토쿠태자와 다치바나를 중심으로 한 계보에서도 볼 수 있듯이, 두 사람의 부모와 그 부모를 함께 기록하는 등 부계・모계 모두를 표기한 계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손들은 다시 부계 및 모계 가족 모두에게 자신이 각 집단의 구성원임을 주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모노노베노모리야(物部守屋)가 있다. 게다가 모리야의 직계 후손이 아닌 도쿄(道鏡)도 모리야를 통해 대신(大臣)의 지위에 오르려 했다. 이는 일본 고대의 우지(氏)가 현실적인 혈연관계를 반영하기보다는 강한 정치적 의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화기계도(和氣系圖)를 살펴보았다. 이 계보는 이나기노오비토(因支首)의 계보를 바탕으로, 먼저 이요와케노키미(伊豫別君) 등의 계보가, 마지막으로 일본서기 등에서 볼 수 있는 다케쿠니코리와케의 계보가 합쳐졌다. 따라서 계보의 경우 시조를 중심으로 한 정연한 혈연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관념적인 시조나 동일한 직장을 매개로 결합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우지의 중요한 기능은 직위와 직능의 기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신찬성씨록의 내용을 연구할 때, 고대 일본 우지의 이러한 특징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잘 알려진 계보를 가상(加上)한 경우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채무관계를 통한 기억과 망각 그리고 양심의 가책에 대한 계보학적 분석 - 니체의 『도덕의 계보』와 소설 『너의 이름은。』을 중심으로

        김선희,최종문 한국니체학회 2017 니체연구 Vol.32 No.-

        주지하다시피 니체는 『도덕의 계보』의 「서문」 1절을 저 유명한 “우리는 자기자신을 잘 알지 못한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함으로써 결국 우리 자신에게 우리자신이 익명적 존재임을 고지한다. 따라서 니체는 우리가 누구이며,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도덕은 어디에서 왔으며, 그것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력을 어떤방식으로 행사하고 있는지에 대한 답변을 이 책에서 집중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도덕에 대한 이와 같은 계보학자의 연구대상인 익명화된 도덕이 바로 그의미를 해독하기 어려운 ‘상형문자’임을 고지하고 있다. 나아가 그는 이 상형문자와 같은 도덕이 작동하는 중심기관인 양심과 양심의 가책을 「제2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그와 유사한 것들」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양심의 가책이라는 기관의 형성이나 유지와 관련하여 가장 치열한 과정을망각과 기억 사이의 긴장감에서 찾고 있다. 이 전체 과정을 드러내기 위하여 니체는 제2논문 1절에서는 ‘약속할 수 있는 동물’의 유래를, 2절에서는 ‘책임’의 유래를, 3절에서는 ‘기억술(Mnemotechnik)’의 유래를, 그리고 4절부터 드디어 그모든 것의 발생의 최종 목적인 ‘죄의식’, ‘양심의 가책’에 대한 음울한 유래를 드러낸다. 니체의 계보학적 방법은 근거에 대한 검토 없이 주어진 도덕을 긍정하거나 부정할 때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양심의 가책의 근거와 가치를 검토하는 것을 돕는다. 이로써 우리가 우리의 행동의 숨은 원인인 양심의 가책을 절대화하여 맹목화하는 경향성으로부터 거리를 취하는 것을 돕는다. 우리의 삶에는 양심의 가책의 정당성에 대한 검토가 아니라 그것의 짓눌림으로 인한 고통의 무게를어찌할 수 없어서 양심의 가책에 순종하며 살아가는 허무주의적 순간들이 있다. 니체의 계보학적 물음은 양심의 가책의 기원을 탐구하고 주어진 가치나 관습의가치를 묻는 작업을 통하여 상형문자와도 같은 양심의 가책의 의미를 계보학적으로 해독해나감으로써 그것이 삶에서 갖는 의미 여부와 정도를 가늠하게 한다. 이 글의 본론 1절은 『도덕의 계보학』의 「서문」 과 「제1논문: ‘선과 악’. ‘좋음과 나쁨’」 그리고 「제2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그와 유사한 것들」을 중심으로 니체의 계보학과 양심의 가책의 관계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편으로는 최고의 가치의 탈가치화 현상으로서 허무주의 현상에 대한 분석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양심의 가책에 대한 계보학적 진단을 채무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개할 것이다. 그리고 2절에서는 1절의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소설『너의 이름은。』에 드러나는 양심의 가책을 분석할 것이다. 특히 이 마을을 지배하는 신앙인 ‘무스비’를 중심으로 기억과 망각 그리고 양심의 가책의 관계를분석하며, 다시 이를 채무관계를 통하여 분석할 것이다. 이로써 포스트 모더니즘적 전통에서 수용되었던 계보학적 방법이 주로 기존 가치의 무의미를 폭로하는 해체적 경향성이 강했다면, 본 논문은 망각으로 인해 무의미화된 가치의 가치 여부와 내용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As everyone knows, Nietzsche starts ‘Preface’ Section 1 of Genealgogy of Moral with the well-known sentence “We do not know ourselves well.” and informs us that we ourselves are an anonymous existence. Therefore, Nietzsche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s of Who are we?, Where the morality dominating us came from?, and What kind of influence and with what type of method it casts on our life intensively in this book. And he also notifies that the anonymized morality which is the object of research of genealogists about morality like this is just ‘hieroglyphics’ difficult to decode the meaning. Further, he covers the scolding of conscience which are the main organ where the moralities like this hieroglyphics work in 「2nd Thesis: ‘Guilt’, ‘Scolding of Conscience’ and the similar things」 intensively. He searches for the fiercest process in respect of the formation or the maintenance of the organs of this scolding of conscience in the tension between oblivion and memory. In order to reveal this overall process, Nietzsche discloses the origin of ‘an animal to promise’ in Section 1, the origin of ‘responsibility’ in Section 2, the origin of ‘Memory technique(Mnemotechnik)’ in Section 3, and finally from Section 4, he reveals a gloomy origin as to ‘guilty sense’, ‘scolding of conscience’ which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all occurrence. Nietzsche’s genealogic method helps to review the ground and value of the conscience forming the scolding of conscience(schlechtes Gewissen) which exercises a decisive influence when affirming or denying the morality given without checking the ground. Herewith it helps us take the distance from the tendency to absolutize and blind the scolding of conscience which is a hidden cause of our behavior. In our life, we meet a nihilistic moment when we live obeying the conscience not controling the weight of agony owing to being pressed down instead of checking justification of the scolding of conscience. Nietzsche’s genealogic question encourages us to inquire the origin of the pang of conscience, decode the significance of the pang of conscience like hieroglyphics genealogically through the work to ask the given value or the value of custom and weigh up its meaning and extent in life. In Section 1 of the body of this thesis, we intend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s genealogy and the scolding of conscience focused on ‘Preface’ of Genealgogy of Moral and ‘Thesis 1: ‘Good and Evil’. ‘Goodness and Badness’’ and ‘Thesis 2: ‘Guilt’, ‘Pang of Conscience’ and the similar things’. For this study, on one hand, we’ll deploy this Section through the analysis on a nihilistic phenomenon as the devalorization phenomenon of the top values, and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liability relation with genealogical diagnosis about the scolding of conscience. And in Section 2, we are going to analyze the pang of conscience revealed in Novel Your Name。 based on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Section 1. Especially, we’ll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memory, oblivion and pang of conscience with the center of musubi(“むすび) which is the religious belief governing this village, and analyze this through the liability relationship. While a genealogic method accepted in post-modernistic tradition had a strong deconstructive tendency which reveals mainly the meaninglessness of previous values, this thesis deployed through Novel Your Name。 examine into the existence of values and its content become meaningless owing to obliv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