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남기민(Ki Min Nam),권현숙(Hyun Sook Kwo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8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을 독립변수로, 수급자 관점인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을 종속변수로,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2개월간 충청북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 중 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는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의 하위변수중 인적환경은 요양보호사의 자기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환경의 하위변수 중 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업무전문성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은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환경의 하위변수 중 인적환경과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직무환경 중 인적환경 및 물리적 환경과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업무전문성과 요양보호사의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의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들의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무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게을리 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on client-oriented tendency of care workers in facilities for the elderly focusing on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s mediators. We surveyed care workers working in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ocated in Chungcheongbuk-do for two-months from May to July, 2012 to collect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s of human environment, reward system and physical environment of working environment on client-oriented tend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 of human environment of working environment on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s of human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job expertise of working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on client-oriented tend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human environment and client-oriented tendency was founded. Also,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human environment or physical environment and client-oriented tendency was founded,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job expertise and client-oriented tendency was founded. Therefore, the alternatives for the increase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through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중국 환경보호법의 최근 동향 —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한승훈 한국환경법학회 2018 環境法 硏究 Vol.40 No.1

        Chinese government has introduce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in the amended constitution in 1978 stating “The state must protect its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where it also should regulate and prevent pollution and other damages to the environment” for the first time after constitution, where upon this law the environment protection law has been formally signed into the constitution in 1989 after the start of demonstration of the law in 1979. In addition to the national legislation, China has been participating in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signing international agreements for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for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society. The new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revised in April 2014 base its legislation ideology on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Civilization” and has been greatly revised and enacted from the previous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which can be seen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ovement in China's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history. The new environmental protection law's main characteristic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re are five basic principles of regulation while having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Civilization” as the legislation basis, which are keeping priorit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recaution crucial, integrated management, public participation and liability for damage. Secondly, the main agent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been expanded overall from corporates, operators and manufacturers to government and the public, including many other social communities. Thirdly,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rienced a positive turning point where environmental protection management institution can order seizure and sealing of corporates when viol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occurs, environmental protection field has been included i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officers of China and environmental investigation measurement offices being built around the nation with the new legislation. Fourthly,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the corporates has been reinforced as government can impose fine on corporates with fines calculated on a daily basis, can suspend production, operation, order closure of business or execute confinement transferred by the police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gulation they violate.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institute, environmental investigation measurement institutes, environmental investigation equipment or facility related institutes will be jointly held responsible to the violated corporates they are involved with, and the public officers involved can be demoted, released from position or dismissed from the workplace where advisory resignation can also be imposed on the public officer that has significant responsibility. Lastly, citizens of China, corporates and other organizations can obtai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articipate and supervise in environmental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gislation, which holds regulation on the government and corporates about public disclosure of information and on the specific conditions about the environmental NGOs. The new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has been reformed for the first time after 25 years and it is renowned for being the most strict in its history with the Chinese government strongly pushing forward the related legislation and law enforcement. However, the fact that minor flaws and defects exist cannot be denied. This thesis/paper includes research focused on the problems and resolutions of the decentralization of environmental authority i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effective business cooperation between environmental management institutions, reinforcement on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stitutions, maladjustments and execution power of China's 중국은 1978년에 수정된 헌법에서 “국가는 환경과 자연자원을 보호하고, 오염과 기타 공해를 예방 및 관리한다”라고 규정하여 최초로 환경보호를 헌법에 도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979년 환경보호법을 시범적으로 도입한 후 1989년에는 환경보호법을 정식으로 입법하였다. 또한 중국은 국내 입법을 비롯하여 국제회의 참석과 국제협정 체결을 통해 국제사회와 환경보호를 위해 다양한 협력을 하고 있다. 2014년 4월 개정된 신환경보호법은 “생태문명 건설”을 입법 이념으로 하여 기존의 환경보호법을 대폭 수정하여 제정하였으며 중국 환경보호법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신환경보호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문명 건설을 입법 이념으로 하면서 환경보호 우선원칙, 예방위주원칙, 종합관리원칙, 대중참여원칙, 피해책임 및 배상원칙등 5대 기본원칙을 규정하였다. 둘째, 환경보호 주체가 기업과 생산 경영자에서 정부기관, 대중, 기타사회 단체까지 포함 시켜서 환경보호의 주체들이 전반적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환경관리 기관이 환경 위법행위 적발시 봉인ㆍ압류할 수 있고, 공무원 인사 고과에 환경보호 분야를 포함 시켰으며, 전국적으로 환경조사 측정소를 설치하면서 환경관리와 감독의 방식이 전환하게 되었다. 넷째, 기업에 대해서는 1일 기준 벌금 부과, 공장의 영업정지와 폐업, 구류 처벌등을 할 수 있고, 공무원에 대해서는 직급 강등, 직위해제, 면직 및 권고사직도 가능할 수 있을 정도로 기업과 정부에 대한 환경 책임이 상당히 강화되었다. 다섯째, 공민, 법인 및 기타 조직은 법에 근거하여 환경정보를 획득 할 수 있고 환경보호에 대한 참여 및 감독이 가능하며, 정부와 기업의 정보공개 규정을 두고 있으며 환경사회단체(NGO)의 구체적인 조건도 명시하였다. 25년 만에 개정된 신환경보호법은 역사상 가장 엄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면서 중국 정부가 관련 입법과 법집행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지만 부족한 부분들이 있는 것도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환경보호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 KCI등재

        북한의 자연환경 보전 법제 및 보호지역 현황 고찰

        허학영,유병혁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1

        북한의 정권 수립 초기인 1970년대 초까지는 자연환경과 관련된 직접적인 법제가 마련되지 못하였고, 1977년 토지법 제정을 통해 토지보호, 보호구역, 산림조성 및 보호 등 자연환경 보호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북한 환경법제의 발전 단계는 환경보호법 제정(1986년)과 함께 그 근간을 갖추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 헌법 개정(1992년)을 통해 “국가의 책무로서 자연환경의 보존·조성”을 규정하였고, 그 이후 “환경보호법”을 기본법으로 다양한 분야의 하위법령을 제정하여 분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지역의 경우 초기에는 위원회 결정 등으로 보호지역을 지정·관리하다가, “환경보호법”을 통해 다양한 법정 보호지역 지정 근거를 마련한 후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법(1995)”, “자연보호구법(2009)” 등으로 관련법 들이 세분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자연보호구의 유형으로는 생물권보호구, 원시림보호구, 동물보호구, 식물보호구, 명승지보호구 등이 있다. 국제적으로 알려진 북한의 보호지역은 생물다양성협약 “제2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및 행동계획(2007년)”에서 326개 소가 있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2018년 보호지역 UN-list에는 31개소만 등록되어 있어 북한의 보호지역 기초정보 구축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북한의 자연 보전체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 대북제재(UN 안보리, 미국) 상황 속에서 멸종위기생물 보호와 환경오염회복 등 환경보호활동 등이 제재 예외 대상인 것을 감안한다면 자연환경 분야에서 실현 가능한 남북협력 사업 발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id not have direct legislation on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until the early 1970s when the regime was still in the early stage. The Law on Land was enacted in 1977 to provide the legal basis for prot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land protection, protection zones, and forest formation and protection. The enactment of the Law on Environmental Protection in 1986 made progress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the DPRK.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92 stipulated "the preservation and cre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Based on the Framework Law on Environmental Protection, subordinate statutes in various fields were enacted after the1990s. While the committee designated and managed the protected zones in the early days, the Framework Law on Environmental Protection established the ground for the designation of legally protected areas, and the Law on Protection of Scenic Spots and Natural Monuments enacted in 1995, and the Law on Environmental Protection enacted in 2009 provided the details. Furthermore, the types of nature reserves include biosphere reserves, primeval forest reserves, animal reserves, plant reserves, and scenic reserves. The 2nd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established in 2007 based o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CBD) stated 326 protected zones in the DPRK. However, the 2018 United Nations list of Protected Areas shows only 31 registered zones, indicating the need to establish basic information on protected areas in DPRK.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conservation system in the DPRK. Considering that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such as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and recovery of environmental pollution are subject to exceptions under the curren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UN Security Council, the United State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identifying possible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in the field of the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

        환경권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보호 의무와 법리적 시각 변화

        심민석(SIM, Min Seok)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2

        유럽인권재판소는 자유권과 사회권을 이분법적으로 양분하여 판단하고 있지 않다. 이는 자유권과 사회권의 구별이 점차 흐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공법관계와 사법관계의 구별도 점차 흐려져 왔다. 사실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은 국제인권법에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에 우리 법리적 시각도 변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모든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완벽하게 입법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법령에 규정된 범위 내에서 환경권을 보호한다는 것은 환경피해에 대한 권리구제의 사각지대를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며, 환경권을 경시하거나 간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권은 사인 간에도 직접적인 효력이 있는 구체적 권리로 인정되어야 하며, 주관적 공권성을 인정해야한다. 이에 따라 원고적격을 확대하고 본안에서 환경피해에 대해 면밀히 사법심사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유럽인권법원은 국가에게 환경문제에 있어서 국가의 적극적 보호의무를 부여하면서 국가가 충분한 보호 조치를 실행했는지 여부에 따라 유럽인권협약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환경권과 관련한 입법부작위에 있어서 “충분한 보호조치 원칙”이 아닌 “과소보호 금지의 원칙”을 사법심사의 기준으로 삼고 있어서, 재판관에 따라 견해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헌법재판소는 “과소보호 금지의 원칙”을 사법심사의 기준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국가의 적극적 보호 의무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든가 아니면 국가의 적극적 보호 의무가 고려된 “충분한 보호조치 원칙(가칭)”을 사법심사의 기준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례를 보면, 3명의 재판관은 “과소보호 금지의 원칙”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국가의 적극적 보호의무를 소극적으로 고려하여 합헌 결정을 하였고, 4명의 재판관은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헌법불합치 판결을 내렸기 때문이다. 다만, 앞에서 살펴본 결정례는 위헌 정족수 미달로 합헌결정이 내려진 것은 매우 아쉬운 일이다. 또한, 국가의 기본권에 대한 적극적 보호 의무를 실행하게 할 수 있는 의무이행소송과 예방적 금지소송을 행정소송법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ttee does not judge the right of freedom and social rights by dividing according to the dichotomy. This mean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ight of freedom and the right of society is gradually blurring,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law and the civil law has gradually been blurred. In fact, this change is clearly seen i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Act, and this change seems to be intended to protect rights in practice. Our legal perspective should be changed in this chang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legislate perfectly in all environmental issues. Therefore, protecting environmental rights within the scope of the legislation is to recognize the blind spot of the right to relief for environmental damage by oneself and to neglect or overlook the environmental rights. Therefore, environmental rights should be recognized as a concrete right and subjective public righ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pand ‘standing to sue’ and whether or not the environmental infringement is recognized should be judged in lawsuit on the merits. And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recognize environmental rights as a concrete right that are directly effective among individuals. The Constitutional Court employs ‘principle of prohibition of insufficient protection’ as a standard of judicial review in legislative omission related to environmental rights, bu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opinions according to judges, so when judging this, the active protection obligation of the state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mandatory action lawsuit to Administration Litigation Act, which allows the active protection obligation of the state to be implemented. However, even if a mandatory action lawsuit is introduced, only a disposition can be ordered, an act of fact(e.g. installation of sound absorbing walls, safety measures, prevention measures etc.) can’t be ordered. Therefore, even if a mandatory action lawsuit is introduced, it is necessary legislation that can order an act of fact.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Aticle 37(Environmental protection) provides that “A high leve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must be integrated into the policies of the Union and ens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reflects the level of European Union consciousnes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reflects the level of EU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other words, how well the environmental rights are legally protected depends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of the state and its people. Our environmental rights should still grow further.

      • KCI등재

        베트남의 환경보호법에 대한 고찰

        조은래 ( Cho Eun-rae ) 한국환경법학회 2018 環境法 硏究 Vol.40 No.2

        베트남은 최근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환경오염과 폐기물의 증가, 자연자원의 악화 등의 환경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환경에 대한 규제가 불충분했다는 인식하에, 환경보호와 규제에 대한 환경관련 법령들을 정비하고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기업들에 대한 감시 및 단속을 강화하고 환경 규제를 엄격히 하고 있다. 2014년 환경보호법의 개정에서 한국, 일본, UN 등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아 선진적인 개정작업을 하였다. 개정 환경보호법의 내용들은 2013년에 개정된 베트남 헌법 제43조의 환경권과 제63조의 국가의 환경보호 정책수립, 환경보호활동의 장려, 환경손해에 대한 책임 규정의 의미를 명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대체로 환경법의 기본원칙들과 함께 환경보호 기본계획과 환경영향평가, 기후변화의 대응과 자연환경(수질, 토양, 대기), 경제활동에서의 환경보호, 폐기물의 관리, 환경오염의 처리와 복구 및 개선, 환경보호 비용과 기금, 환경분쟁의 해결 및 환경손해배상 등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에 투자하는 외국기업들에게 투자허가 신청과 동시에 환경부에 환경영향평가보고서를 제출하여 환경 인증서를 받게 함으로써 그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2015년에 세계의 온실가스 감축활동에 베트남이 참여하는 로드맵 및 방법에 관한 정령을 신설하였다. 또한 환경보호법에서도 기후변화의 대응에 대한 규정을 명문화하고 있다. 이는 선진적인 환경법 수준을 보여주는 면이라고 할 수 있다. 베트남의 오염물질의 규제 기준치는 서양의 국가처럼 가장 엄격한 기준을 도입하고 있으며, 폐기물의 정의에서 폐수와 가스 등을 위험성이 있는 물질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그리고 환경오염 대책에 관한 규제와 기준은 잘 정비되어 있다. 특히 폐기물의 관리에 있어서 폐수의 관리와 배기가스, 소음, 진동 및 방사능의 관리를 개별적으로 다루지 않고 환경보호법에서 일률적으로 정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환경오염과 환경사고의 처리 및 피해에 있어서 환경사고의 원인자와 피해자 그리고 국가라는 3자간의 관계를 규율하고 있다. 환경손해와 책임에 있어서도 환경손해의 개념이 명확하며, 환경손해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가 각 기업에 대하여 환경손해에 대한 책임보험의 가입 권장과 특정의 조직과 개인에게 의무가입을 규정한 것은 매우 진보적인 규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법제도의 집행 측면에서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즉 경제성장과 경제 개발이 우선되기 때문에 환경보호의 개념이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 부처 간의 권한의 중복과 책임의 불이행도 적지 않다. 그 외에 사업 주체가 수익성을 위해 환경 대책을 충분히 실시하지 않은 채 사업 활동을 하고 있으며, 환경관리에 대한 인재의 육성, 환경보호 재원의 확보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환경정책의 변화와 환경 법규의 빈번한 개정은 베트남 현지에서 투자 활동을 하는 외국의 기업, 특히 우리나라의 기업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동향을 파악하고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환경보호법의 기본적인 내용과 정책들을 파악하고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urrent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is one of the urgent problems in Vietnam. The serious air pollution problem usually occurs especially in large urban areas. Transport activities are a major source of air pollution in big cities in Vietnam, From this situation, the Vietnamese government an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ave issued and amended many laws, regulations, and specific decrees to limit the release of pollutant to the environment. Vietnam has amende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EPL) in 2014 and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since January 1, 2015. The revised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specify the meaning of the provisions of Article 43 and Article 63 of the Vietnam Constitution. This Law provides statutory provision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measures and resources used for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rights, powers, duties and obligations of regulatory bodies, agencies, organizations, households and individuals who are tasked with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task. And this law generally provides the Planning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rotection in economic activities, waste management, costs and fund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settlement of environmental disputes, and compensation for environmental damages. All activities relating to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must be harmoniously connected with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is regulation shows the advanced level of environmental laws. Foreign companies investing in Vietnam should apply for an investment permit and submit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obtain an environmental certificate. The regulatory standards for pollutants in Vietnam are adopting the most stringent standards, just like the European Un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definition of waste includes wastewater and gas as hazard substances. Regulations and standards regarding measur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re well established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In terms of environmental damage and liabilit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damage is clear and the individual’s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damage is clarified. In addition, it is very progressive that the state encourages each company to join liability insurance for environmental damages. In reality, however, there are many challenges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legal system. Since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re priorities in Vietnam,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s not fully considered. Also, there is redundancy of authority between departments and failure of accountability as well. Businesses operators are carrying business activities without implementing sufficient environmental measures for their profitability.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the securing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unds remain as challenges for Vietnam’s environmental management. Since the changes in environmental policy and frequent revision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have a great impact on foreign companies investing in Vietnam,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ir trends and understand their structure. Therefore, we must understand the basic content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when it comes to investment and business activities in Vietnam.

      • KCI등재

        중국의 환경보호법에 대한 소고

        조은래 ( Eun Rae Cho ) 한국환경법학회 2015 環境法 硏究 Vol.37 No.3

        최근 중국 정부는 2014년에 환경보호법을 개정하여 환경목표를 강화하는 등, 강력한 환경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즉 그동안 오염기업에 대한 미약한 처벌로 구속력이 없다는 비판을 반영하여, 기업의 환경 관련 위법행위를 횟수가 아닌 일수를 기준으로 처벌하고, 처벌의 상한선을 없애는 등 처벌의 강도를 크게 강화하였다. 개정된 환경보호법의 주요 내용은 생태 레드라인의 체제를 정비하고, 오염물질의 총량규제, 환경 모니터링 및 환경영향평가, 행정구역을 넘는 지역공동예방 시스템 등 환경보호의 기본제도를 구비하였다. 또한 환경보호와 감독 관리를 둘러싼 정부의 책임을 더욱 명확히 하였으며, 환경오염 및 개선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환경에 대한 불법행위에 법적 제재가 엄격하게 되었으며, 정부와 기업의 환경관련 정보공개와 국민의 참여, 환경보호에 대한 감독 관리를 둘러싼 일련의 규정들을 정하고 있다. 개정 환경보호법에서는 환경오염 대한 행정적 조치와 책임 규정 등에 있어서는 구환경보호법보다 진일보한 면들이 있으나, 환경오염의 책임에 대하여는 다른 법에 위임하고 있다. 즉 중국의 권리침해 책임법의 관련규정에 따라 환경오염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그리고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무과실책임은 우리나라의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동불법행위에 의한 환경오염의 책임에 있어서도 연대책임을 지는 것도 유사하지만, 오염기여도에 따라 책임의 분담을 확정하도록 한 분할책임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새로운 환경보호법의 시행으로 인하여 기업들의 환경보호 설비교체가 가속화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폐수처리설비, 정화장비 등 관련 설비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는 기업들의 비용부담의 증가로 이어져, 상당한 경영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기업들은 중국 내 사업장의 새로운 환경보호법의 내용에 대한 준수 사항들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조항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기업의 환경보호업무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환경보호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및 시행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요컨대 향후 환경보호법의 원칙과 방향성에 대하여는 하위법령 및 지방법령 등으로 구체화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이러한 하위법령 및 지방법령의 책정상황 등의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고 대응하여야 한다. 특히 실무상에서 기업은 환경측정 데이터의 보고의무를 지는데, 이때 환경측정 데이터의 변조 및 허위기재 등에 유의하여야 한다. On April 24, 2014, China revised its Environmental Protection Law(EPL). The amended Law, adopted at the 8th Meeting of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Twelfth National People``s Congres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April 24, 2014, is hereby promulgated and shall enter into force on January 1,2015. Chinese legislators have passed the first amendments to the country’s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in 25 years after enactment of the original 1989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promising greater powers for environmental authorities and harsher punishments for polluters. And the government``s environmental agencies will be allowed to enforce strict penalties and seize property of illegal polluters. Compared to the original 47 articles in six chapters, the 2014 EPL has significantly grown in size, now consisting of 70 articles in seven chapters. This Law is formulat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and improving environment, preventing and controlling pollution and other public hazards, safeguarding public health, promoting ecological civilization improvement and facilitating sustainable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le development. Along with population control, as represented by the one-child policy, China has made environmental protection one of its state policies and shows a determination to take positive action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 polluter should be responsible for treating pollution, developers should be requir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those who cause pollution should be penalized. In addition to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ill also revise other major pieces of environmental legislation, including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Law, Water Pollution Prevention Law and Soil Pollution Prevention Law. The important contents of this law are as follows.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is a basic national policy for China. The competent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under the State Council shall establish national standards for environment quality. The State shall establish and improve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Compilation of draft development plans and construction of projects with environmental impacts shall be subject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law. Development plans withou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law are prohibited to be implemented. Construction projects withou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law shall not commence to construct. The State shall establish and improve ecological protection compensation mechanism. The State shall promote clean production and resources recycling. Citizens, legal persons and other organizations shall have the right to obtain environmental information, participate and supervise the activities of environment prot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aw. And Where an enterprise, public institution or other producer or business operator is fined due to illegal discharge of pollutants, and is ordered to make correction, if the said entity refuses to make correction, the administrative organ that makes the punishment decision pursuant to the law may impose the fine thereon consecutively on a daily basis according to the original amount of the fine, starting from the second day of the date of ordered correction. Those who cause damag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destruction shall bear tort liability in accordance with provisions of Tort Liability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short, Companies will need to be more careful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laws and regulations of China.

      • KCI등재

        무역확대와 환경보호정책의 공존

        김선옥(Sun ok Kim) 한국국제상학회 2016 國際商學 Vol.31 No.2

        WTO 체제에서 지향하는 무역자유화의 확대 ․ 촉진 정책은 환경보호 정책과 상충되거나 접촉되는 경우가 있다. WTO 이전의 GATT시대에는 자유무역촉진의 관점에서 환경보호를 위해 GATT의 일반원칙을 예외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엄격하게 해석하였으나, WTO 체제에서는 WTO에 대한 환경NGO 등의 이해를 얻기 위해 환경 및 고용문제 등을 포함하는 비무역적인 관심사항에 대해서 배려하고 있고, 일반원칙의 예외도 완화하여 적용하고 있다. 무역과 환경의 입장을 존중하면서 두 정책적인 가치를 공존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해 나가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비중을 두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해 가는데 있어 고려할 수 있는 사항을 세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환경보호정책을 추구하기 위해 만든 국내기준이 외국제품에 대해 차별적으로 운용되지 않고, 시장접근의 기회를 자유롭게 보장할 수 있다면 환경보호정책과 자유무역정책은 상호 지원하는 방향에서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환경을 보호하고 보전하기 위한 목적에서 다른 가맹국의 환경정책이나 관행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국가 간의 협조나 협의를 활용하여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자유무역정책과 환경보호정책 간의 조화를 도모하면서 또한 질서 있는 국제관계를 형성해 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무역의 지속적인 발전과 환경보호의 양립이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있어 무역확대를 통하여 환경보호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러한 방안을 환경보호정책을 위해 직접 사용하게 되면 무역확대정책과 환경보호정책은 서로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유무역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자유무역의 추구는 환경 혹은 영속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자세로 이행해야 한다는 원칙을 확립하고, 환경보전이나 영속성의 유지를 위해 무역도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Purpose : This paper aim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harmonization between the policies of free trade and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since such policies. The policy of trade liberalization which the WTO pursues may be in conflict with environmental conservation.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Research methodology adopted in this paper is the qualitative approach. This paper is to review legal principles and provisions of the WTO regulations on free trade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and to apply them to the actual case fields through the case study. Results : We can see the possibility of harmonization between the policy of trade liberalization and the policy of the preservation of environment. Conclusions : First, it is not operating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policies as discriminatory policies against foreign products. If each country could freely guarantee opportunities for market access, it will be possible to maintain harmonious relationships themselves. Second, to addres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ssues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it needs to explore the ways that could lead to posi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through expanding trade. Third,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viewpoint about free trade and environmental issues, from free trade without obstacles to environment preservation to free trade for promotion of environment protection. It is required, through a conversion of thinking, to expand trade in order to accelerate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 KCI등재

        환경법상 협동원칙의 실현요소로서 환경보호단체의 참여권과 환경정보접근권

        김봉철(KIM, Bong-Cheol)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16 No.1

        환경법상 협동의 원칙은 환경보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와 시민사회가 상호협력 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의미한다. 환경법상 협동의 원칙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협력과 참여를 필요로 한다. 국가의 환경정책형성에 있어서의 개별적인 시민들의 참여가 가장 이상적인 환경법상 참여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개개의 시민이 환경에 관한 동일한 인식과 보호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고, 환경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여 조직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칫하면 환경정책에 있어서의 의사결정의 비효율성,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부족, 더 나아가 환경과 개발 사이에서의 사회전반적인 갈등과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정한 수준의 전문적인 환경지식을 가지고, 일반 시민들에게 그 가입이 개방되어 보다 더 객관적인 입장에서 환경문제에 관한 개별 시민들의 의사를 조직화할 수 있는 환경보호단체의 참여가 요구된다. 독일연방자연보호법과 환경관련 개별법들은 환경보호단체에게 의견표명권, 문서열람권, 이의제기권 및 관련 논의절차참여권을 부여하여 연방 또는 주의 개별적인 환경정책 형성과정에 참여시키고 있다. 환경법상 참여의 한 형태로서의 환경보호단체의 참여는 환경보호에 있어서의 협동의 원칙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실현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환경영역에서의 참여민주주의를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환경법상 협동의 원칙은 환경정책의 형성과정에서의 환경보호단체의 참여를 보장하는 것을 넘어, 이들에게 환경정보로의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하고 확대할 것을 요청하는 원리이다. 국가 등 행정주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환경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 및 수집이 가능한 경우에만 환경보호단체는 환경정책의 형성과정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독일 환경정보공개법은 환경보호단체에게 환경정보접근권을 명문으로 부여하고 있고, 더 나아가 국가 등 행정주체의 환경정보보급의무도 규정하고 있다. 우리의 환경법제에서 환경법상의 협동원칙을 효과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행정절차법 및 환경영향평가법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이해관계인의 의견제출권과 의견진술권을 공익적 환경보호단체에게도 확대하고, 관련법령에도 환경보호단체의 개별적인 참여권을 규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독일처럼 독립된 형태의 환경정보공개법을 제정하여 공개대상이 되는 환경정보의 범위를 확대하고, 국가 등 행정주체의 환경정보보급의무를 명확하게 규정하여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요구된다.

      • KCI등재

        중국의 환경보호 공중참여제도에 관한 연구

        김성희(JIN SHENG JI)(金聖姬)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圓光法學 Vol.33 No.2

        중국은 20세기 중반 환경영역, 민주주의 정치영역 그리고 환경법학 영역에서 일련의 큰 변화들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변화들은 공중참여가 환경보호의 필연적인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촉구하였다. 196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날로 고조되어 가는 환경보호 운동으로 인하여 환경문제는 인류사회가 보편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주제가 되었고 공중참여는 점차 행정영역으로 들어왔으며 새로운 공중참여운동을 일으켰다. 즉 정책수립과 결정과정에서 시민의 참여를 중시하고 정책집행 과정에서도 시민의 참여를 강조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참여는 더 이상 “엘리트”들만의 참여가 아닌 일반시민의 참여를 뜻한다는 점에서 이전과 상당히 다른 양상을 띠게 되었다. 70년대 초에 이르러서는 세계 많은 나라들의 환경규제의 주된 흐름은 ‘명령-규제(命令-控制)’방식이었고 이러한 방식은 환경오염을 규제함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인류의 환경보호 의식이 나날이 향상되고 정부의 직능(职能)이 변화됨에 따라 환경문제는 다시 두드러졌고 80년대에 이르러서는 명령-규제방식의 환경통치수단은 더 이상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을 실현할 수 없게 되었다. 비록 많은 나라들에서 환경법에 환경권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지만 90년대에 이르기까지 환경권의 실체성은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로 인하여 90년대 이후로 국제사회에서 환경입법은 공중의 환경 정보권, 환경 참여권, 환경 구제권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1988년 UN의 유럽경제위원회가 덴마크의 오르후스에서 통과한 《오르후스협약》은 환경보호 공중참여권에 대하여 가장 완벽하게 규정한 국제 환경입법이다. 그러나 중국 《환경보호법》에서 이와 관련된 제도의 규정을 살펴보면 매우 부족하고 대부분의 환경입법은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중참여의 정의, 주요내용, 이론적 기초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평가하며 현재 중국의 환경보호 공중참여에 관련된 입법규정과 구체적인 실천과정을 살펴보고 공중의 환경 정보권, 환경 참여권, 환경 구제권에 대하여 고찰하며 궁극적으로는 중국의 현재 환경보호 집행부재의 현황에 비추어 중국의 환경보호 공중참여권의 법적보장체계에 대한 개선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In mid-20th century, a series of changes have taken place in the area of environment, democracy and environmental law. Such changes have promoted public participation, which is deemed an inevitable choice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rom the late 1960s’, because of the growing environmental protection movement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of human society as a whole. Public participation has exerted much influence on the administrative field, and accordingly, new public participation movement was launched. Much emphasis is put on public participation in the stages of policy formul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Such participation in a modern sense differs from that in the previous era, as it refers to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not of the small group of “elites.” In the early 1970’s, many countries employed the “command-control” system of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this method functioned well in limiting environmental pollution. However, with the heightened environmental protection consciousness and the change of government function, the environmental issues again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1980’s, the means of environmental control which followed “command and control” model was found not so effective in achieving the coordinated development of economic growth an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lthough environmental laws of many countries did have provisions on environmental right, the environmental rights was not fully protected until 1990’s. Therefore, since 1990’s, the international trend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legislation was to focus on the public’s right to have proper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 issue, the right to environmental relief and so on. The Aarhus convention, which was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in Aarhus in 1988, is deemed the most comprehensiv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egislation for the protection of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 issues. However, the relevant provisions in China’s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are far from perfect, and most of the environmental legislation in China do not seem to play its due role.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and further evaluate the definition, main contents, and the basic theories of public participation; then I will introduce relevant statutes and specific process regarding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rotection in China,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right, environmental participation right, environmental relief right. Later I will analyz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China; I will discuss what China can and should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the Aarhus Convention, focusing on the legal system guaranteeing the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rotection.

      • KCI등재

        전시 환경의 보호와 그 한계

        이용호(Yong-Ho LEE) 대한국제법학회 2002 國際法學會論叢 Vol.47 No.2

        오늘날 지구촌의 환경오염은 매우 심각한 상태인 바그에 대한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전쟁(무력충돌)으로 인해 야기되고 있음은 주목할 부분이다. 특히 무력충돌과정에서 야기되는 전횡적이고 무차별적인 환경파괴는 별도의 환경파괴기술 내지 의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무력충돌 그 자체가 바로 환경파괴라는 점에서 전시 환경의 보호문제는 현대 국제법이 해결해야 할 가히 절대적 과제중의 하나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부응하여, 국제사회는 이미 베트남전쟁을 계기로 전시 환경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반성한 바 있으며, 그 이후에 형성된 일반적 전쟁반대론 및 환경문제에 관해 높아진 인식을 바탕으로, 전시 환경의 보호에 관한 규범화 노력을 계속하여 왔던 것이다. 그 결과 무력충돌에 있어서 환경의 파괴를 직접적으로 제한하는 환경변경기술의 군사적이용금지협약과 제1추가의정서를 비롯한 많은 문서를 체결하였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 환경의 효율적 보호는 여러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되며, 그러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할 때 종국적으로 전시 환경의 효과적 보호가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노력으로서 보다 완비된 전시 환경의 보호에 관한 법규범체제를 정립한다는 목표하에서, 다음의 몇 가지 측면을 고찰하고 있다. 첫째 전시 환경보호의 연혁을 고찰하고, 둘째 전시 환경보호의 규범체계를 정리ㆍ검토하며, 셋째 도출된 환경보호를 위한 규범체계가 갖는 한계를 지적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전시의 환경보호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In these days, the world community is faced with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n wartim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therefore, try for protecting environment in wartime. Since the Vietnam Wa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tried to conclude treaties about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in wartime on the ground of general anti-war fervor and growing environmental awareness. Among those, the Environment Modification Convention and the 1977 Additional Protocol I are the most important treaties. However, there are still a number of problems of the wartime environment protection. This article ① deals with the history of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in wartime, ② analyses the normative regime about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in wartime, ③ analyses the limits of the normative regime for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in wartime, ④ suggests the plan for effective protection of environment in war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