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수피해예상지역을 고려한 홍수위험도 산정기법 개선방안 연구

        홍승진,주홍준,김경탁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자원 관련 최상위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활용했던 홍수위험도 산정 기법인 홍수피해잠재능 (PFD)와 홍수위험도지표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방법론 모두 치수위험성을 평가하는 항목이지만 자료 활용에 대한 문제점과 특정지역에 발생한 피해를 평균개념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신뢰성에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항목별 분석을 위한 분석자료 및 방법의 개선, 2) 홍수범람예상지역을 홍수피해범위로 제한하여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기법의 개선 및 최근 제공되는 GIS 자료를 홍수피해예상지역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기존 분석기법과 개선된 방법을 CASE별로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otential Flood Damage(PFD) that a flood risk assessment technique used in the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comprehensive plan for water resources, which is a top-level plan related to domestic water resources and Flood Risk Indices. Both methods are used to evaluate flood control risks.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reliability because the problem of data utilization and the damage that occurred in a specific area are applied as an average concept. Therefore, this study improved the method for analysis by components and the flood inundation area was limited to flood damage area. Also,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and the application of the recently provided GIS data to the flood damage prediction area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existing method.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and the improved method were applied to the test watershed by each case.

      • KCI등재

        홍수취약성을 고려한 치수 투자우선순위 결정 방안

        주홍준(Joo Hongjun),김수전(Kim Soojun),이명진(Lee Myungjin),김형수(Kim Hungsoo)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내에서 치수 투자우선순위를 효과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홍수취약성 평가 방법으로 홍수피해잠재능(PFD)과 홍수위험도 지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대상 지역의 홍수 취약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치수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개선된 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을 이용하고자 기존을 비롯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및 엔트로피 이론에 의한 요소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대상 유역별 최종 홍수 취약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홍수 취약성 지수를 바탕으로 유역별 치수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었으며, 치수 사업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홍수 취약성의 변화 경향성과 사업의 기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홍수취약성이 높은 유역의 취약성 개선 효과와 함께 유역 전반에 걸쳐 취약성 불균형의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determine effectively investment priority for flood control in a region. Potential flood damage(PFD) and flood risk indices were proposed from the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They have been used as the methods for assessing flood vulnerability. This study estimates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in each sub-basin after calculating weights on factors of the methods by using existing metho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entropy theory. Based on the estimated index, investment priority of flood control in the basin was determined. The tendency of flood vulnerability and the expected effect of business was analyzed through the scenarios on applying flood mitigation projects. As a result, it was expected that the imbalance of the vulnerability was reduced in the watersh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vulnerability in the sub-basins which had the high flood vulnerability.

      • KCI등재

        홍수위험지도 활용을 위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홍수취약도 분석

        김태형 ( Tae Hyung Kim ),한건연 ( Kun Yeun Han ),조완희 ( Wan Hee Cho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3

        오늘날 홍수재해의 특성은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점점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고, 예측이 불가능한 기상이변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에 따른 댐 및 제방 등의 수공구조물 붕괴, 또는 내수배제 불량 등으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침수범위의 예측 및 분석을 통한 홍수위험지도 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실제로 국가 차원의 홍수위험지도가 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있어서 단순한 위험성(hazard)의 개념이 아닌 위험도(risk)개념으로의 확장을 위해 홍수에 노출된 지역의 인구수, 경제적 활동의 형태, 홍수가 발생했을 때 2차적 피해를 불러올 수 있는 설비 등을 나타내는 홍수 취약도(flood vulnerability)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고, 낙동강 유역에 적용하여 행정구역별로 세분화된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취약도 지표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된 결과는 각지자체 및 관련부처에서 효율적인 방재대책 수립 및 치수방재사업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정량적 자료 및 중요한 가치판단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damages have been increasingly strengthened and take the form of unpredictable and unusual weather phenomena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climate anomalies. To prevent inundation damage caused by breach of hydraulic structure such as dam or levee, and trouble of drainage of inner basin, the prediction necessity of flood inundation area, flood risk analysis, and drawing flood risk maps have been on the rise, and the national flood risk maps have been produced.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which represents population living within flood-affected areas, types of economic activities, facilities affected by flood, in order to extend flood risk mapping from simple hazard concept into risk based idea. By applying it to Nakdong River basin, the flood vulnerability indices were estimated to draw flood risk maps subdivided into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establish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priority decision of disaster prevention project.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f the Adequacy of Urban Evacuation Centers Using Index-based Flood Risk Assessment

        RUBIO CHRISTABEL JANE,유인상,김하룡,김상단,정상만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2

        With frequent intense flood events in recent years, reliable flood risk assessment has become a critical component of flood mitigation.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adequacy of pre-determined evacuation centers using a multi-criteria flood risk map that considers urban-specific indicators such as physical,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riteria.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was used as the multi-criteria decision technique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each criterion. These criteria weights were used to spatially map the flood risk index using an overlay function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ith the flood risk index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ranging from very low risk to very high risk. Then, 202 pre-determined evacuation centers from the Disaster Response Operations Monitoring and Information Center (DROMIC) were plotted on the developed flood risk map. Very high risk areas were found mostly in the City of Manila. This could be attributed to its very high exposure index values. The highest number of evacuation centers were found at Valenzuela where flood risk ranges from moderately low risk to moderate high risk. Only two evacuation centers were declared within Quezon City where flood risk ranges from very low risk to moderately high risk. Remarkably, there were no declared evacuation centers in Pasig and Pateros. The approach in this study is merely one of several flood risk assessment applications. Results from this study can assist the government agencies responsible in assessing the sufficiency and reliability of pre-determined evacuation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