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왕후와 가야불교` 연구에 대한 분석과 방향모색

        장재진 ( Jang Jae-j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허왕후에 대한 기록은 『三國遺事』 「駕洛國記」와 「金官城 婆娑石塔」 조에서 언급된다. `허왕후`에 대한 존재성 그리고 가야문화와 함께 언급되는 가야 불교에 대한 내용은 역사와 설화 또는 신화의 영역을 오가며 가치의 문제와 함께 진실공방으로 대두었다. 『三國遺事』에 기록된 허왕후에 대한 실존의 문제는 가야의 성립과 배경,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기원 그리고 인도불교의 남방전래설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겠다. 대부분의 설화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해서 성립되며 이것이 전승되는 과정에서 각색 및 윤색이 될 수 있다는 가정은, 항상 설화의 원형이 무엇일까에 대한 의문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학문의 방법이 다른 것에서 야기되는 문제는 또 다른 논란을 도출시킨다. 그래서 끊임없는 담론의 장에 대두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학문적 배경과 다른 논리적 정당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연구와 함께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대한 관심의 표출이 반영된 단행본과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고는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대한 여러 종류의 연구를 분류하고 이때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앞으로 전개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역사에 대한 논증과 고증을 통해서 사실과 진실을 규명하고자 하는 방법은 중요하다. 하지만 사실이라고 여겨지는 것과 사실은 확연히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허왕후 도래 그리고 불교의 전래`와 같은 역사적인 사실이라고 여겨지거나 아니라고 부정할 수 있는 논쟁에 직면했을 때 역사주의자들의 담론에 갇혀버린 결과를 야기하기도 한다. 허왕후 출신지에 대해서는 기원전 3세기 인도의 갠지스강 중류지대에 있었다고 알려진 불교왕조 아요디아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이 내용은 『三國遺事』의 阿踰陀國의 허왕후 도래설과 일치한다. 그리고 허황옥과 불교 혹은 가락국 성립 초기의 불교전래 문화와 관련된 견해는 기원 1세기 초 인도에서 동남아시아를 거쳐 가락국 불교가 전래 및 유포되었다는 설, 허황옥의 불교 전래에도 불구하고 가락국에는 불교가 수용되지 않았다는 설, 허황옥의 도래와 불교 전래는 전혀 상관성이 없으며, 불교의 가락국 전래가 5세기경 인도 방면이나 백제 또는 남중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허왕후`에 대한 연구는 `학술 및 학위논문`, `동향 연구보고서 및 정기간행물`,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 `신화나 설화적 관점의 자료`, `소설류`, `학생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저서`, `답사·취재·연재 및 수필 종류의 자료`, `여성학의 관점`, `언어적 고찰`, `성(性)의 역사`, `차 문화`, `철기문명` 등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졌다. 허왕후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다양한 방식과 종류의 결과물을 도출했다. 이러한 관심과 노력이 있었지만 더 완성에 가까운 연구물이 나오려면 융·복합적인 연구방향과 방법론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역사적 사실을 밝혀내고자 함에 있어서 특정 문헌에 대한 연구자의 연구방법론이나 입장만으로는 다른 견해와 방법론을 가진 연구자를 설득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신화와 설화 그리고 역사의 경계가 모호하게 넘나든다고 여겨지는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있어서는 융·복합적인 연구방법을 통해서 부족했던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cords of Hwanghue-heo were mentioned in the “Samguk-yusa”. The existence of `Hwanghue-heo` and the contents of Gaya Buddhism mentioned together with Gaya culture have been argued with their values through the history, fables or myths.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Hwanghue-heo` recorded in the “Samguk-yusa”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background of Gaya, the origins of Gimhae Kim and Gimhae Heo, and the southern civilization of Buddhism in India. Most of fables are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the assumption that they has been transformed and embellish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can always lead to questions about what the prototype of fables is. There have been also various books and studies based on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and different logical justifications, as well as monographs and research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way in which academic methods are different, lead to another controversy, which motivates us form a place of continuous discourse. In this article, we attempt to provide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kinds of previous studies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and propose a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t is important to try to identify facts and truths through demonstration and confirmation of history. But the facts and facts that are treated as facts are different. Nonetheless, we are confined to the discourse of historians when confronted with a debate that can deny or consider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coming of imperialism and the coming of Buddhism”. The current study on `Hwanghue-heo` is based on `scholarship and thesis`, `trend research report and periodicals`, `research approach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materials from myths or narrative viewpoints`, `novels`, `History of Women`, `History of Sex`, `Tea Culture`, and `Iron Civilization`. This interests in `Hwanghue-heo` have brought into various ways and kinds of results so far, however, the research direction and the methodology could not be combined in order to investigate it in a comprehensive wa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persuade a researcher with a different point of view and methodology on a specific document in attempting to reveal historical facts. The analysis and proposal a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will make it possible to complement such deficiencies through `fusion` and `complex` research methods on `Hwangwanghui` and `Gaya Buddhism`, which are considered to be blurred by the boundaries between myth, narrative and history.

      • KCI등재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 시(詩)의 시세계 연구 -허백미(虛白美)가 드러난 작품(作品)을 中心으로-

        박종순 ( Jong Soon Par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본고는 허백정 홍귀달의 시세계를 구성하는 미학적 중추를 탐색하는 작업이다. 연구 결과, ‘허백’의 의미가 하나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시세계를 관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허백정이 지은 비명이나 묘지 등은 당시에 이미 ‘문장에 법도가 있다’, ‘곱고도 굳세다[麗而健]’라고 평가되었는데, ‘문장에 법도가 있다’는 것은 전형적인 형식을 잘 지켰다는 것을 의미하고, ‘곱고도 굳세다’라는 것은 표현이 화려하면서도 내용의 전달에 충실했음을 의미한다. 허백정은 조선 초기의 시단에서 사림파와 관각파의 양면을 공유하고 있다. 문형을 지낸 사실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관료문인으로서 격식을 갖춘 전형적인 시문을 지을 수 있는 능력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강호에서 혼자 누리는 자유롭고 고독한 삶을 추구하는 작품도 지었다. 이러한 이중성은 그의 시문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허백의 개념을 미학적 관점에서 살펴볼 때, 그의 시세계에서 중요한 개념인 ‘虛靜’과 ‘天眞’의 이미지가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그리고 작품을 분석해 본 결과, 겸허한 심중의 독백, 유유자적한 경지의 술회, 안빈낙도의 추구 등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그의 시세계가 이러한 미학적 배경에서 형상화되었다. Hong, gwui-dal was a celebrated poet in early Joseon Dynasty. To investigate the esthetic pivot which composed his poem world, we can find that ‘Heobaek[虛白]’ got settled thereinto. Significance of ‘Heobaek’ was the source that enabled the creation of poem, which went through his poem world. Basically he was prepared with the ability to compose typical poem and sentence equipped with formality as bureaucrat literary person at that time. However, on the other hand, he composed a work which pursued free and lonely life to enjoy alone in the nature. This duplicity had a significant meaning in his poetic literature. The word ‘Heobaek’ came from 『Chuang-tzu』. The meaning of it was the expression of will to aim for the life which could reveal the nature of an object as it is in the emptied mind state just as ‘A bright light shines in an empty room’. When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Heobaek’ in terms of esthetics, we can see that the image of ‘Heojeong[虛靜]’ and ‘Cheonjin[天眞]’ came from this. Also,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work, we could determine that the poem world such as monologue within the modest mind, reminiscence in the stage of living in easy retirement, pursuit for being content with one’s lot, etc. was embodied in this esthetic background.

      • KCI등재

        ‘사랑의 신’의 양면성: 에리히 노이만의 위대한 어머니 여신 이론으로 읽는 샬롯 퍼킨스 길먼의 『허랜드』

        박선화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1 문학과종교 Vol.26 No.2

        본 논문에서는 에리히 노이만의 위대한 어머니 여신 이론에 비추어 샬롯 퍼킨스 길먼의 『허랜드』에 재현된 길먼의 종교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허랜드』는 ‘사랑의 신’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모신이 처녀 출산을 하는 허랜드에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젖어 있는 미국 남성들이 방문하는 것으로 전개된다. 처음에 밴딕은 여성만의 나라 허랜드의 처녀생식에 놀라고 이어서 허랜드의 놀라운 기술발전과 제도 및 훌륭한 운영방식에 감탄한다, 하지만 밴딕은 남성 중심의 기독교가 내세우는 부정적 양상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모신을 중심으로 하나의 생물학적 성으로만 구성된 이상사회를 지향하는 허랜드에 내재화된 모순을 읽어낸다. 이런 점에서, 허랜드는 미국과 같은 양성 사회에서의 종교적 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상상한 장소이기도 하지만, 역으로 모신을 중심으로 출산을 통제하는 우생학적 양가성이 드러나는 장소로 부각된다. 이에 의해 『허랜드』에서 차별을 극복하고자 하지만 오히려 위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길먼의 모신이 드러내는 양면성을 짚어볼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arlotte Perkins Gilman’s religious perspective as portrayed in her Herland from Erich Neumann’s theory of the Great Mother. In Herland, male Americans explore Herland where Mother goddesses with ‘Loving Power’ are capable of virgin birth. At the outset, Vandyck is impressed by its parthenogenesis, and then the advanced technology, systematic organization, and excellent management of the female community. Accepting several negative aspects of his country’s Christianity, he however begins to realize the contradictions internalized in Herlanders which result from establishing their own utopia. In this, Herland is seen as an imagined place to overcome the differentiation of patriarchal Christianity, but reversely Herland reveals its ambivalence of eugenics by controlling their fertility and furthermore maintaining their hierarchal system.

      • KCI등재

        샬롯 퍼킨스 길먼의 『허랜드』가 그리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김미정(Mijeong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0 비평과이론 Vol.25 No.3

        페미니즘은 지배 논리 혹은 다수의 논리에 의해 억압되거나 배제된 자들의 침묵당한 목소리들을 회복시키고 함께 연대하여 폭력적인 사회구조를 바꾸어 나가는 것을 지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더 이상 변화가 불가능한 하나의 완벽한 닫힌 세계가 아니라, 수 없이 다양한 목소리들과 존재 방식들이 서로 부딪히고 갈등하는 불안정성을 감수하고서라도 함께 공존하며 끊임없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열린 세계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이상향을 그리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문학의 현대적인 의의 또한 현실과 동떨어지고 더 이상의 변화의 가능성이 없는 완벽한 세계를 말하기 보다는, 이상적 사회상을 성취하는 ‘과정’ 자체에 의미를 두고, 바람직한 미래사회를 향해 계속 진행 중인 공동체적 실천을 키우는 영양분이 되어주는 데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최초의 본격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소설로 손꼽히는 샬롯 퍼킨스 길먼의 『허랜드』를 분석한다. 우선 길먼이 『허랜드』를 쓰던 당시 사회적/시대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그녀가 주장한 ‘모성의 사회화’가 무엇이며, 왜 사회개혁의 논리로 ‘모성(애)’를 강조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많은 후대 비평가들이 지적하는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길먼의 『허랜드』가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를 향한 선구적 목소리를 내고 있다면, 그녀의 글쓰기가 왜 엘렌 식수(Hélène Cixous)와 뤼스 이리가레(Luce Irigaray)가 설파한 정치적 실천행위로써 여성적 글쓰기(feminine writing)로 해석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왜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이론에서는 기존 사회의 억압적 규범/규율체계에 저항하여 수많은 ‘탈주선’을 생성시키는 창조적 작업일 수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허랜드』에 내재해 있는 디스토피아적 요소들을 이론적인 맥락에서 살펴본 후,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먼이 추구하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가 닫힌 정적 세계가 아닌 유동적으로 열린 공간, 혹은 그 ‘열림’을 향한 지속적인 운동을 뜻한다면, 결론적으로 『허랜드』의 현대적 의미와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의의를 짚어볼 것이다. Considering that feminism aims to restore the muted and silenced voices of those oppressed, marginalized, or excluded by the logic of the majority, and to change the violent social structure by banding together in solidarity, the feminist utopia should not be a complete closed world where any change is no longer possible, but an open world where countless different voices and ways of existence collide and coexist with each other, enduring instabilities and conflicts and always changing fluidly. Therefore, feminist utopian literature has the modern significance when it nurtures and nourishes ongoing communal practices for a desirable future society, putting more weight on the ‘process’ of achieving it, rather than merely talking about a perfect world that is far from reality and has no potential for change. In this context, this paper first explores what Charlotte Perkins Gilman argued for the socialization of motherhood and why she emphasized motherhood as the logic of social change by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drop of Herland. If Gilman’s Herland is a pioneering voice for a feminist utopia despite its limits pointed out by many later critics, this paper argues why her writing can be interpreted as ‘feminine writing’ as a political practice preached by Hélène Cixous and Luce Irigaray, and how it can be a feminist performance that creates numerous ‘lines of flight’ resisting the repressive norm of disciplinary society in terms of Gilles Deleuze’s theory. Lastly, after examining the dystopian elements inherent in Herland, if the feminist utopia pursued by Gilman is not a closed static world, but a fluidly open space, or a continuous movement toward the ‘openness,’ this paper points out the significance of Herland and its utopian imagination in the modern sense.

      • KCI등재

        허정숙의 여성론 재구성

        권수현(Kwon Soo-Hyun)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1

        1920~30년대 사회주의 여성운동가로 활동했으며 해방 이후에는 북한에서 여성 엘리트로 활동한 허정숙은 조선의 특수성을 고려한 여성론을 주장, 한국적 페미니즘의 토대를 마려하는 데 기여한 이론가 중 한 명이다. 허정숙의 여성론은 기본적으로 조선여성은 봉건적 억압과 자본주의 억압이라는 이중억압을 받고 있으며 이 두 가지 억압에서 모두 해방될 때 여성의 완전한 해방이 이뤄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녀는 계급해방 이전에 성적해방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보았고, 이를 위해 여성들만의 독자적 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녀는 조선여성의 인식이 아직까지 봉건적 관념에 얽매여 있으며 이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조선여성 자신의 개성에 대한 의식적 각성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하며 따라서 독자적 여성운동이 여성계몽운동에 집중할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여성운동의 방향이나 방법은 허정숙의 조선여성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에서 출발한다. 그녀에게 인간은 감정을 통해 삶의 고통을 느끼고 그러한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번민하는 존재이다. 그런데 조선여성은 자본주의와 봉건제라는 이중 억압 하에서 감정도 갖지 못한 ‘노예’와 같은 존재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그녀는 조선여성이 인간이라는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삶에 대한 예민한 감정, 감정에 대한 자각을 가질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각 이후에는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상의 작은 억압에서부터 저항을 시작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운동과 여성지식인들은 조선여성들이 이러한 억압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여성들을 계몽하는 책임을 맡는다. 허정숙의 여성론은 ‘한국적’ 페미니즘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민족해방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더 이상 진전되지 못했다. 또한 여성운동과 결별한 이후 그녀는 자신이 주장했던 여성론과 상반되게 봉건적 체제 하에서 반평생을 살아가는 모순적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는 허정숙 개인이 원래 이중적이고 모순적이었기보다는 허정숙이 살았던 시대의 이중성과 모순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Heo Jeong-sook, who worked not only as a socialist feminis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20s~1930s but also as an elite in North Korea. I reconsider her thought of emancipation of women no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ut from theoretical one. Heo Jeong-sook thought that because Chosun women were under several repressions (feudalism, patriarchy, capitalism, and colonialism), independent women’s movements would be needed for both sexual and class emancipations. There is ontological consideration about Chosun women in Heo Jeong-sook’s thought. At that point in time, the status and the state of Chosun women were lower than men and not treated like human beings, therefore, she labeled them as slaves. In her view, human beings were able to be concerned about lives of suffering and try to escape from such sufferings which could be felt by humans with senses. Therefore, she insisted on realizing Chosun women’s own keen senses and resisting the daily oppressions. Also, She stressed that Chosun women’s movement organization should act independently from male-centered class struggles organizations for women’s sexual emancipation. However, she acknowledged that women’s movement should join class struggle in the long run for completing perfect emancipation of women. Heo Jeong-sook worked as an official worker from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North Korea system until her death. She was elevated to a higher rank compared with other North Korean elite women and was commended as a woman revolutionary. However, her previous role as a socialist feminist and a fighter of oppression changed significantly. Instead, Heo Jeong-sook was a person who had a blind faith and vowed allegiance to Kim Il-sung and Kim Jung-il. Her lives between the colonized Chosun Dynasty and North Korea were totally different and opposite. She was not a person who had a twofold and self-contradictory character but a mirror of the Korean peninsula’s periodical contradiction where she lived.

      • KCI등재

        '나'에서 '우리'로: 허정숙과 근대적 여성주체

        이소희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4 No.-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ing process of Heo Jeong-Sook’s focus on the women’s movement from the “I” of each Joseon woman’s personal self to the “we” of the whole of Joseon women’s modern subjectivity in the colonial Joseon society of the early 1920s. It focuses on Heo Jeong-Sook’s points of view on the subject of modern woman as influenced by socialist feminism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colonial Joseon from 1920 to 1926, just before she left for the USA in May 1926. As a feminist activist, Heo Jeong-Sook was first involved in the women’s education movement in 1920-1921, because women’s education was necessary for the transformation of family and home and, finally, it would lead to the transformation of colonial Joseon society. In 1921-1924 she learned socialism in Shanghai in China and participated passionately in the socialist women’s movement through socialist organizations. After working as a newspaperwoman in Dong-A Ilbo in early 1925, she could understand the hostile life-circumstances of all Joseon women, whereby they were doubly treated as slaves, both personally and economically. She wrote her own feminist ideology for the modern woman in the contemporary feminist magazine New Woman in 1925-1926. She urged that Joseon women should struggle not against men or their husbands, but against traditional customs and the everyday lifestyle. She thought that, because Joseon women were under multiple repressions such as feudalism, patriarchy, capitalism and colonialism, the independent women’s movements would be necessary for both sexual and class emancipation in those days. She therefore insisted on revitalizing the keen senses of Joseon women with individual selfhood by resisting the daily patriarchal oppressions. As a kind of cultural icon of the subject of modern woman, she adopted the practice of cutting her long hair along with other socialist feminists, which brought a sensational cultural shark into colonial Joseon society. Based on socialist feminism, Heo Jeong-Sook sought ways of raising feminist consciousness among Joseon women, and finding out what kind of feminist strategy could be effective for the modern woman and efficient for the women’s movement in the early 1920s. 본 연구는 신여성들 중에서도 가장 논쟁적인 인물, 허정숙이 공적인 지면에 발표한 구체적인 자료들과 그의 여성운동 활동 궤적을 미시적으로 읽어냄으로써 그가 추구했던 근대적 여성주체의 개념과 변화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허정숙 관련 연구는 “붉은 연애”와 사회주의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대부분이지만 본 연구는 허정숙을 “조선의 여성주의 운동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1920년 여름 그가 <조선여자교육회> 활동에 가담한 시기로부터 1926년 5월 미국여행을 떠나기 전까지이다. 허정숙은 이 시기동안 조선 여성들이 “이중 노예”의 생활에서 “개성”을 가진 “근대적 여성주체”로 변환할 것을 주장했고 그 자신이 단발 등의 행위를 통하여 문화적 여성운동을 직접 실천했다. 1920년 여름부터 조선 최대의 여성교육운동 단체인 <조선여자교육회>를 통하여 계몽주의 여성운동에 참여하였고 1922년 이후 상해에서 사회주의 사상에 입문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사회주의 여성운동으로 방향 전환을 하였다. 1924년 5월 <조선여성동우회>의 창립 발기인으로, 또 1925년 1월 <경성여자청년동맹>에도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하였으며 특히 1925년 3월 8일 조선 최초의 “국제부인데이” 기념행사도 주도하였다. 1924년까지는 “나” 여성사회주의자 허정숙으로서 “여성해방은 경제적 독립이 근본”이라는 점을 선언적으로 주장하였으나 1925년 1월 입사한 『동아일보』에서의 경험은 식민지 조선사회의 현실과 “우리” 조선 여성의 여성문제를 더욱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경험은 허정숙이 식민지 조선사회의 현황을 진단하여 여성문제 해결을 위해서 어떤 사회적 조건을 만들어내야 하는가에 대해서 미래지향적 관점을 갖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 1925년 하반기부터 『신여성』에 발표된 허정숙의 글들은 주로 “우리 조선여성”들이 어떻게 근대적 여성주체로 나아갈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조선여성의 개인적 자아 “나”와 조선여성 전체 “우리”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우리 조선여성”들이 함께 개선해 나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즉 조선여성 개개인이 봉건적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 각자가 처한 상황에서 “자아”를 인식하고 “번민”하여 “근대적 여성주체”로 전환하고 “우리의 OOOO의 결함에 대해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세우자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주의 이념으로 무장된 여성사회주의자로서의 면모보다는 “우리 조선여성”이 처해있는 봉건적 일상생활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을 추구하는 “조선의 여성주의 운동가”로서의 면모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봉건에서 근대로 이행하던 시기인 1920년대 초ㆍ중반 “조선의 여성운동가” 허정숙은 조선여성 개개인 “나”의 차원에서 개성적인 여성주체가 되는 의식혁명으로부터 조선여성 전체 “우리”가 근대적 여성주체로 나아가기 위해서 사회 구조적인 개혁에 힘쓸 것을 주장하였다.

      • 『符都誌』에 나타난 韓國仙道의 ‘一·三論’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선도문화 Vol.2 No.-

        『Budo-ji符都誌』consists of two parts. The former part is the ontology and the historical view of Korean Sundo. The latter part is the origin of human history and Korean history viewing through the historical view based on Korean Sundo. According to the historical view of『Budo-ji』, the age of Mago-sung麻姑城 that the progenitors of the human race had completed to their mission that is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universe, was indicated to the ultimate model for human to pursue. The historical view to pursue the revolution to the age of Mago-sung could be called to the historical view of Bokbon(復本: the revolution to the root). In Korean Sundo, it has been conceived that 'One'(Il一: Oneness, the whole, God: ) has an inclination to repeat endless periodicity of birth and death. Also『Budo-ji』has the theory on the periodicity, it is the theory on Sun-chun先天(the preceding periodicity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and Hu-chun後天(the following periodicity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When we investigate flows of Sun-chun先天 or Hu-chun後天 minutely,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these periodicity is just the process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that is Chun(天: Information or Naught無·空 : Huh-dal-sung虛達城), Ji(地: Material : Sil-dal-sung實達城), and In(人: Energy : Ki氣 : Mago-sung麻姑城), is harmonized to revealed to the concrete being or the concrete universe. In『Budo-ji』, the process that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is harmonized to revealed to the concrete universe or the concrete being, wa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Also this process was explained with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and the theory on Eum-Hyang(音響論). According to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Ruh(呂) acts first, and then Yul(律) acts in the second place. As Yul(律) acts, the being or the universe can be revealed itself concretely. The acting aspect of Ruh(呂) was conceptualized to Eum(音) and the acting aspect of Yul(律) was conceptualized to Hyang(響). Therefore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and the theory on Eum-Hyang(音響論) are different expressive methods about the same theory. In conclusion, Ruh(呂) or Eum(音) means the possibility of revelation to the being or the universe. Yul(律) or Hyang(響) means the consequence of revelation to the concrete being or the concrete universe. In『Chunbu-kyung天符經』and『Samil-singo三一誥』, there is the original form of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of Korean Sundo. We can find just the same theory in 『Budo-ji』. 『부도지』는 내용상 제1부 ‘存在論 및 史觀’ 부분 및 제2부 ‘인류사 및 한국사의 시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부에서는 한국선도 고유의 존재론이 ‘神話’의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 속에 한국선도 고유의 역사 인식, 곧 ‘仙道史觀’이 내포되어 있다. 『부도지』의 ‘선도사관’에서는 麻姑城 시기, 곧 人祖들이 존재계의 질서를 안정시키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였던 시기를 인류사의 기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인조들이 마고성에서 分居해 나온 이후에는 한결같이 ‘復本’의 기준을 적용하였다. ‘復本’의 ‘本(근본)’이란 ‘마고성에서의 인조들의 근본(本) 상태’라는 의미로, 여기에서 마고성 시기를 이상시하는 역사 인식이 단적으로 드러나 있다. 『부도지』의 선도사관에서는 ‘復本’의 기준이 너무나 선명하여 ‘復本史觀’이라고 이름할 수 있을 정도이다. 제2부는 人祖들의 麻姑城 分居 이래 ‘復本’의 상징물인 ‘天符’가 黃穹氏 → 有因氏 → 桓因氏 → 桓雄氏 → 任儉氏 → 夫婁氏 → 浥婁氏로 이어지는 7世 7천년간의 역사이다. 한국선도에서 ‘존재(계) 자체’인 ‘一()’은 무수한 생멸의 주기를 반복하는 속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는 ‘週期論’으로 이름해 볼 수 있다. 『부도지』역시 ‘先天·後天論’이라는 ‘주기론’을 취하고 있다. 선천과 후천 사이에 ‘朕世’가 설정되어 있지만 과도기에 불과하며 ‘선천’이나 ‘짐세’는 ‘후천’을 논하기 위한 전제로서 잠깐 이야기될 뿐이다. 분량이나 내용 면에서 전적으로 후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부도지』는 존재계의 무수한 주기 반복의 역사 중에서도 ‘후천’으로 이름한 특정 주기의 역사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선천이나 후천 주기의 세부적인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이들 주기는 존재의 세 차원인 ‘虛達城·麻姑城·實達城’ 三元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발현되는 과정에 다름아님을 알게 된다. 한국선도에서는 ‘존재(계) 자체’인 ‘一(신)’을 이루고 있는 존재의 세 차원으로서 天(정보 또는 無·空), 地(질료), 人(에너지)을 제시하고 있는데,『부도지』에서는 이를 虛達城·麻姑城·實達城으로 표현하고 있다. 天(정보)이 갖고 있는 ‘無性·空性’을 범주화하여 ‘虛達城’으로, 地(질료)가 갖고 있는 ‘물질성·구체성’을 범주화하여 ‘實達城’으로, 人(에너지)이 갖고 있는 ‘三元造化의 중심으로서의 운동성·창조성’을 ‘麻姑’라는 여신으로 의인화하고 또 이를 麻姑城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구현되는 과정은 몇 단계의 소시기로 구분되는데, 이 과정은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발현되는 과정이 麻姑城 차원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 이유는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 중에서도 마고성 차원이 삼원을 움직이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는 한국선도의 一·三論에서 天·人·地 삼원중 특히 人 차원에 삼원조화의 중심 역할을 부여하는 특징에 다름아니다. 一週期 내에서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구현되는 과정은 ‘呂律論’(‘音響論‘)으로도 설명되고 있다. 呂律論의 경우, ‘呂’가 먼저 작용한 다음 ‘律’이 작용하며 ‘律’의 작용과 함께 비로소 존재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呂’는 현상의 존재계가 형성 ...

      • KCI등재

        허왕후의 가락국 도래 행처와 행로 파악 - 지명 중심으로 -

        이정용 한국지명학회 2018 지명학 Vol.29 No.-

        This study, as accorded in 「Heo Empress’s arrival folktale」, is to grasp the arrival-places and the path in Garak’s area when Heo Empress came to Garak Kingdom. In 「Heo Empress’s arrival folktale」 is recorded the ancient place-names like ‘Mangsando(望山島), Seungjeom(乘岾), Gichulbyeon(旗出邊), Byeolpojin(別浦津), Gogyo(高嶠), Jupochon(主浦村), Neunghyeon(綾峴)’, also is recorded Manjeon(幔殿) which is able to consider as a place name. On describing this study, I put first the geographical documents of the place names in 「Heo Empress’s arrival folktale」, and predicate to be true the geographical document. If it were unless not for doubt on the geographical document, because we must admit it to the truth. And in that place names in 「Heo Empress’s arrival folktale」 is the ancient linguistic being, I searched for the morphological understanding on keeping in mind to the borrowed chinese-character. On guessing the meaning of place names, I leaned on the mythical recognition of the ancient times and the ancient perception for ‘the space, topographical features, the natural objects on the ground’. It is because that the cultural perception of the time is also realized in the sense of place-names. Under such premise, I sought a geographical and linguistic understanding of the old place names. I could agree with the previous opinion that Mangsando(望山島) is Jeonsan-village of Samjeong-dong in Gimhae-si. And I could identify that Seungjeom(乘岾) is Imhosan in Gimhae-si, that Gichulpyeon(旗出邊) is Jomangang’s area of Suka-dong in Gimhae-si, that Byeolpojin(別浦津) is Jomangang’s area of Fungyu-dong and Myeongbeop-dong in Gimhae-si, that Gogyo(高嶠) is Mujeomgogae of Imhosan’s and Hambaksan’s side in Gimhae-si, that Manjeon(幔殿) is Bonghwangdae of Hoihyeon-dong in Gimhae-si. And unlike the previous view, I suggested that Jupochon(主浦村) and Neunghyeon(綾峴) were only a chinese language idealized ‘to commemorate Heo Empress’. Heo Empress’s path is deduced to be in order as follows. She showed up at Jomangang’s area in Suka-dong and entered Garak’s area with a tidal river, which were the prototypes of the Jomangang, as a ship-way. And she got off the ship on Jomangang’s area in Pungyu-dong and Myeongbeop-dong, then moved to the land route and arrived in Bonghwangdae via Mujeomgogae, and then reached Garak’s palace. 본고는 허왕후 도래설화에 명기된 바에 따라 허왕후가 가라국에 도래할 때 가락국 경내의 행처와 행로를 파악하는 것이다. 허왕후 도래설화에 등장하는 지명은 ‘望山島 乘岾 旗出邊 別浦津 高嶠 主浦村 綾峴’이며, 지명에 준할 수 있는 幔殿이 있다. 본고의 논지를 전개함에 있어서, 허왕후 도래설화에 등장하는 지명에 대한 지리적 기술을 우선시 하고 사실적인 것으로 전제하였다. 옛 자료에 대해 합리적 의문이 제시되지 않는 한 그렇게 인정되어야 한다는 점에서다. 다음으로 허왕후 도래설화에 나오는 지명이 이른 시기의 언어적 존재라는 점에서 차자표기법을 염두에 두어 형태적 이해를 모색하였고, 지명의 의미를 헤아림에 있어서는 고대의 신화적 인식체계와, 이를 바탕으로 한 ‘공간, 지형, 지물’에 대한 옛 인식에 의지하였다. 당대의 문화적 인식은 지명의 의미로도 구현된다는 점에서다. 이러한 전제에서 옛 지명에 대한 지리적 언어적 이해를 모색하여, 望山島가 오늘날 전산 마을에 비정된다는 선견에 동의할 수 있었고, 乘岾을 오늘날 ‘임호산’으로 旗出邊을 오늘날 ‘수가동 일원의 조만간 강역’으로 別浦津을 오늘날 ‘풍유동과 명법동 일원의 조만강 강역’으로 高嶠를 오늘날 ‘무점고개’로 幔殿을 오늘날 ‘봉황대 일원’으로 각각 비정하였다. 그리고 別浦津의 이칭인 主浦村과, 高嶠의 이칭인 綾峴은 관념화된 한자어 지명에 불과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여 선견과 달리하고 있으며, 허왕후가 오늘날 수가동 일원의 조만강 강역에서 모습을 드러낸 후 조만강의 원형이었던 옛 갯골을 뱃길로 삼아 가락국 경내로 진입하여 오늘날 풍유동과 명법동 일원의 조만강 강역에서 하선한 후 육로로 이동하여 무점고개를 거쳐 봉황대에 머문 후 가락국 왕궁에 이르렀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

      • KCI등재

        생존과 글쓰기 : 여성 사회주의자의 자기서사

        장영은 ( Jang Yeong-eu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7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5 No.2

        동아일보 최초의 여기자이자 개벽사에서 발간한 잡지 신여성의 편집인이었으며,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각국의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었던 허정숙은 식민지 시기에는 주세죽, 고명자와 함께 사회주의 여성 운동가 트로이카로 불리며 활동했고, 해방 이후 북한에서 여성 엘리트로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여섯 번 역임한 경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녀 스스로 자기 삶에 대한 이야기를 남긴 적은 없었다. 허정숙은 식민지 조선에 콜론타이의 연애 사상을 소개했을 뿐 아니라 남성 사회주의자들과의 연이은 결혼과 이혼 출산 등으로 조선의 콜론타이로 불리었지만, 콜론타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지점을 그녀 생애 전체를 통해 나타냈다. 바로 콜론타이가 자신의 삶을 자전적 소설, 자서전 등의 형식을 통해 스스로 이야기한 것과 달리 허정숙은 스캔들의 주인공이 되었을 때에도 자기 생애에 대해 단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허정숙을 비롯한 여성 지식인의 자기 서사 부재는 민족이나 계급 문제를 통한 체제 비판적 담론이 검열제도에 의해 억압되고 지식인의 자기 서사가 부진했던 상황에서 발생한 식민지적 특수 상황의 산물이었다고 분석할 수도 있다. 하지만 허정숙이 여성 사회주의자로 생존하기 위해 자기 서사 부재를 현실적으로 선택했다는 관점으로 콜론타이와 허정숙의 생애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 속에서 허정숙과 콜론타이 모두 혁명 이후 분배와 인정 체계에서 모두 소외되었다는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Heo Jeong Sook, the first woman journalist in Dong-a Daily, editor of magazine New Women published by Kaebyeoksa, who was able to speak fluent Chinese, Russian, English by studying abroad in China, Russia and US was named Troika of socialist women activists along with Joo Se Jook and Ko Myeong J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erved as council member of supreme people’s assembly after liberation in North Korea for 6 years, but never once did she talk about her own life. She not only introduced Kollontai’s dating philosophy to Korea, but also was called Joseon’s Kollontai due to her series of marriage, divorce and childbirth with socialist men, but she lived a totally different life from Kollontai. Unlike Kollontai, who told the story of her life through autobiographical novel or autobiography, Heo never mentioned about her life even when she was in the center of scandal. Lack of self-narration of women intellects including Heo seems to be the result of suppressed discussion about system criticism by censorship or the result of unique situation of colonial period.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that Heo chose not to narrative herself in order to survive as female socialist, there is a common point in the process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Heo and Kollontai that both Heo and Kollontai were excluded from distribution and recognition after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