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복경제학과 불교 : ‘관계’ 개념을 중심으로

        이상호(Lee, Sang ho),김성옥(Kim, Seong ock) 보조사상연구원 2021 보조사상 Vol.60 No.-

        행복경제학은 관계재 개념을 통해 시장경제에 대한 도덕철학적 비판이자, 시장경제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적 논의를 내포한다. 시장을 통한 부의 확대는 개인과 그 사회를 행복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개인과 사회를 불행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동한다. 그래서 행복경제학은 사회경제질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으로 호혜성에 바탕을 둔 사회적 경제 영역과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시장경제 영역의 조화 혹은 공존을 모색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관계재의 생산‧소비 행위가 이윤추구행위의 폭주를 제어하면서 양자 사이에서 조화와 균형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 행복경제학이 불교 혹은 불교경제학과 만날 수 있고, 만나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불교의 연기설은 사물과 존재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중심으로 사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연기설에 주목하는 불교경제학은 ‘관계재’ 개념에 바탕을 둔 행복경제학과 상당한 유사성을 갖는다. 또한 불교경제학에서 자리와 이타의 조화, 즉 중도는 단순히 탐욕에 대한 경계에 그치지 않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에게도 이로움을 가져오는 비교적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이는 곧 불교와 불교경제학이 우리의 사고방식을 물질주의적이고 개인적인 관점에서 관계중심적 관점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자리와 이타의 조화와 함께 ‘등가교환에 기초한 이윤추구행위와 호혜성에 기초한 관계재의 생산 및 소비 행위의 조화’까지 확보하도록 도와주는 현실적인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conomics of Happiness is a moral philosophical critique of the market economy through the concept of relational goods, and it implies an alternative discussion that can surpass the market economy. The expansion of wealth through the market can make individuals and their society happy, but beyond a certain level it acts as a factor that makes individuals and society unhappy. Therefore, Economics of Happiness seeks the harmony or coexistence of the social economy field based on relational goods and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field pursuing private interests as a plan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conomic order. However, in a capitalist market economy, it is not easy to secure harmony and balance between the production-consumption behavior of relational goods and capitalist profit-seeking behavior, while controlling the runaway of profit-seeking activities. This is why Economics of Happiness can and should meet Buddhism or Buddhist economics. Buddhist theory of interdependence is characterized by thinking centering o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ings and beings. Buddhist economics, which pays attention to such theory of interdependence has considerable similarities with Economics of Happiness based on the concept of “relational goods”. In addition, in Buddhist economics, the harmony of self-interest and other s, that is, the middle way, is not just a mere temperance of greed, but can be a relatively rational choice that brings benefits to oneself in relation to others. The above discussion suggests that Buddhism and Buddhist economics lead us to shift our way of thinking from a materialistic and individual perspective to a relationship-oriented perspective, and may serve as a realistic opportunity to help secure not only the harmony of self-interest and other s but also the harmony of profit-seeking behavior based on equivalent exchange and production-consumption behavior of relational goods based on reciprocity.

      • KCI등재

        현대사회와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의 행복이론__라다크 사례와 행복의 경제학을 중심으로__

        김진영 ( Chin Young Kim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4

        행복경제학의 대가인 헬레나 노르베르 호지는 물질적 풍요로움이 인간에게 근본적인 행복을 가져다주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진정한 행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세계화를 벗어나 지역화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도 라다크(Ladakh)의 사례를 통해 세계화 폐해에 대항하는 지역성회복 운동을 펼치고 있는 호지는 『오래된 미래『라는 저술의 역설적인 제목처럼 오래된 라다크의 문화 속에 우리 인류가 지향해야 할 미래의 모습이 있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라다크의 전통 사회로부터 배워야 하는 것은 자립과 자존감, 검소함, 조화와 지속성, 내면적인 풍요로움 같은 것들로서, 이미 지나간 ‘오래된’ 것에 우리가 찾는 ‘미래’가 있으며,그것이 진정한 ‘행복’이라고 보았다. 지역화(Localization) 이론으로 무장한 호지는 세계화를 주도하는 대기업의 횡포와 정치적 함의를 공격하면서 경제적 지역화가 우리에게 선한 행복을 제공한다는 이론을 『행복의 경제학『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오래된 미래『를 통해 그녀의 『행복의 경제학『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행복의 경제학『을 통해 드러난 지역공동체의 현대적 의미와 상호부조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하려 한다. 더불어 그 속에 진짜 행복과 복리가 있다는 ‘행복’에 대한 성찰과 그 의미를 조 명해 보고자 한다. Master of Economics, Helena Norberg-Hodge is a material abundance does not bring happiness to human beings the fundamental point, and true happiness in order to realize globalization argue that move off the localization. Addition,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dia``s Ladakh through an instance of the verification. This paper seeks to highlight the unconditional happiness through technological civilization declined and traditional society is not caused by a regression. Hodge``s Ancient Future as seen in the writings of the paradoxical title, old Ladakh``s culture should not be our humanity in the future. We need to learn from traditional communities of Ladakh is the independent spirit, frugality, social harmon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things like internal richness, there we find on the Ancient Future in the future. Since Dr. Hodge is the tyranny of the big corporations and the globalization of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economic localization, we are happy to offer a theory of that line. This paper is Ancient Future through her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 The Economics of Happiness, and the economics of happiness modern high profile communitiesthrough meaningful and rediscovering the value of mutual aid. I find the value and meaning of a real happiness and real in the welfare economics of ‘happiness’ in the modern society.

      • KCI우수등재

        애덤 스미스의 행복이론: 행복경제학과 시민경제론의 기원

        김광수 한국경제학회 2018 經濟學硏究 Vol.66 No.1

        This paper aims to address Adam Smith’s frontier view of happiness and economics, which has recently been raised since the so-called Easterlin’s Paradox. At the outset, we take a historical look at several major theories of happiness in philosophy and psychology, from which two theories of happiness economics have arisen. Next we examine, in detail, Smith's approach to happiness in light of his moral philosophy, and cast some light on his opinion that true happiness consists in agreeing with sympathetic sentiments of impartial spectators. We then suggest that, while in his moral philosophy a hybrid (subjective and objective) approach to happiness is taken as a whole, his basic theory of happiness is largely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Aristotelian objective list theory. We conclude that Smith’s view of happiness in moral philosophy is a precursor of modern civil humanism and happiness economics, in that the value of reciprocity among agents is regarded, above all, to be important in socio-economic transactions. 본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출현한 행복경제학에 관한 스미스의 선구적 견해를 총체적으로 조명한다. 행복이론과 행복경제학에 관한 학설사적인 주요 흐름을 우선개관한 후, 스미스의 행복과 경제학에 관한 관점을 상세히 고찰하며 그 이론의 핵심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예증한다. 스미스에 따르면, 첫째, 행복은 본원적인욕구의 충족에서 비롯되며, 또한 자유와 재산 같은 외부적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둘째, 진정한 행복은 욕구의 충족이 객관적 기준(공정한 관찰자의 동감)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도래한다. 셋째, 객관적 목록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도 마음의 구조나 욕구의 특성에 따라서 행복의 질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미스의 행복이론에서 주관주의적 그리고 객관주의적접근법이 모두 활용된다. 둘째, 스미스의 행복과 경제학에 관한 관점은 기본적으로 사회경제활동에서 상호성의 가치를 무엇보다 중시한다는 점에서 현대 시민경제론과 사회적 경제의 지성사적 기원을 형성한다.

      • KCI등재후보

        범죄 및 형사정책에 대한 행태법경제학적 접근

        고학수(Haksoo Ko)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16

        범죄행위 및 형사정책에 관한 현대 법경제학은 합리적 선택이론에 기초한 합리적 개인을 범죄행위에 있어서의 행위 및 판단의 주체로 상정하고 있다. 이 논문은 최근에 많은 연구결과가 축적된 행태법경제학의 결과에 기초하여, 잠재적 범죄자를 포함한 개인의 행동양태가 합리적이지 않을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할 경우의 범죄행위에 관한 법경제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합리적 선택이론에 기초한 이론과 달리, 행태법경제학에서는 개인이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편향을 보이고 오류를 범하는 존재인 것으로 본다. 다른 한편, 행복에 대하여 지난 10여년 동안에 새로운 심리학 및 경제학적 접근이 시도되어 왔다. 행복학의 연구결과에는 형사법의 집행과 관련해서도 유용한 시사점을 주는 것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근래의 행태법경제학 및 행복학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생각해 보면 형사정책의 범죄행위 억제기능을 강조해 온 기존의 법경제학 분석틀에 일정부분의 수정을 하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 잠재적 범죄자가 가진 법에 관한 지식과 정보의 한계, 합리적 판단의 가능성 측면에서의 한계, 그리고 범죄행위로 인한 기대편익과 그로 인한 기대비용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의 한계 등으로 범주를 나누어서 기존의 이론틀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집행당국과 잠재적 피해자의 행위양식에 대해서도 새로이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model based on the rational choice theory, recent studies of law and economics take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that an individual's behavioral patterns may not always be rational. Thus, in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analyzing systematic biases and errors that individuals show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Also, in recent years, ac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egarding happiness or hedonics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economics. Drawing on these research results from related areas, this article examines what implications could be garnered for the law and economic analysis of crimes and criminal law enforcement. It is argued that the deterrent power of criminal law enforcement may not be as strong as the conventional model suggests. More generally, it is argued that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existing theories on criminal law and policy based on the findings that there are limits to: a potential criminal offender’s knowledge about the law; individuals’ ability to make rational decisions; and individuals’ capability to calculate expected cost from committing a crime.

      • KCI우수등재

        행복과 사회적 경제: 시민경제학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이상호 ( Sang Ho Lee ) 한국경제학회 2020 經濟學硏究 Vol.68 No.1

        시민경제학은 관계재에 바탕을 둔 행복경제학을 제시함으로써 이스털린의 역설에 대한 하나의 답변을 제공한다. 다만 시민경제학은 관계재가 생산ㆍ소비되는 사회적 경제 영역을 중시하면서도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의 사익추구 행위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사회적 경제 영역을 복원하도록 허용하기보다는 오히려 구축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시민경제학의 타당성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사회적 경제의 공존 가능성 여부에 달려 있을 것이며, 관계재에 바탕을 둔 행복경제학 또한 두 영역의 공존 가능성에 따라 논리적ㆍ현실적 타당성 여부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것은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작동되는 상황에서 사회적 경제 영역을 어떻게 복원ㆍ확산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ivil Economy provides an answer to Easterlin's paradox by suggesting economics of happiness based on relational goods. It emphasizes the social economic sphere in which relational goods are produced and consumed, but does not deny the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of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However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is more likely to crowd out rather than allow the restoration of the social economy sphere. If then, the validity of the civil economy will depend on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capitalist market economy and social economy. And the same will be true of the logical and realistic validity of the economics of happiness. Ultimately, this issue can be summarized as a question of how to restore and spread the social economy sphere within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 KCI등재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역할

        이학준,허식 한국문화경제학회 2018 문화경제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on happines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has a positive impact on individual happiness, because cultural activities cause entertainment and social contacts with people. Furthermore, the levels of income and education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high and low groups. Noteworthy is that the low-income and less-educated groups show lower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an those in the high-income and well-educated groups, But the utility magnitude gained through cultural activities is higher. This implies that opportunity costs arising from financial and time constraints are greater in the low-income and less-educated groups than in the high-income and well-educated groups. Finally, for the low-income group, the marginal utility is reduced when spending on cultural activities exceeds certain levels, which means there exist a budget constraint for the low-income group. 본 연구는 서울시민의 행복결정요인에 있어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영향력을 파악하기위해 「2014 서울서베이」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는 개인의 행복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 자체에서 즐거움이 발생하며 향유 과정에서 또한 타인과의사회적 접촉이 유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어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수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을 고·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특이한 점은 저소득·저학력 집단은고소득·고학력 집단에 비해 문화예술소비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를 통해 얻는 효용의 크기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금전 및 시간적 제약에서 비롯하는 기회비용이 고소득·고학력 집단에 비해 저소득·저학력 집단에서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소득 집단의 경우,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지출금액이 일정수준을 초과하면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문화예술활동참여에 있어 저소득 집단에서 금전적 제약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행복학, 공리주의, 숙의민주주의

        김명식(Myungsik Kim)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1

        오늘날 행복에 대한 담론, 이른바 ‘행복학’이라는 분야가 나타나고 있다. 행복학은 행복은 무엇이고, 사회 차원에서 행복을 어떻게 증진시킬 것인가라는 윤리학과 정치철학의 쟁점을 던지고 있다. 이 문제는 공리주의 이론의 핵심주제였고, 내부의 논쟁과정에 그대로 나타난다. 벤담과 밀의 양적 공리주의와 질적 공리주의의 갈등, 평등주의와 엘리트주의의 갈등, 그리고 공리의 계산을 둘러싼 공리주의 내부의 갈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런 갈등은 가치다원주의 사회에서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글은 숙의민주주의 정치 이념이 사회적 차원의 의사결정에서 이런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Today, happiology, the discourse on happiness has emerged into the world. Happiology raised the ethical and political issues of what happiness is, and how we should promote it socially. This problem was a key theme of utilitarian theory and it appeared in the process of its internal debate. It is the Bentham and Mill"s conflict between quantitative utilitarianism and qualitative utilitarianism, between egalitarianism and elitism, and utilitarian’s internal conflict surrounding the utilitarian calculation. These conflicts are likely to be exacerbated in the society of value pluralism. This article will argue that the political idea of deliberative democracy can provide them echanism to mitigate the conflicts in the social decision making.

      • KCI등재

        이스털린 역설과 관계재

        김균 한국사회경제학회 2013 사회경제평론 Vol.- No.42

        시장의 물적 생산력이 인간의 삶을 행복하게 만든다는 생각이 시장을 긍정하는 사고의 밑바탕에 깔려있다 그런데 최근의 행복경제학 연구는 상품 또는 소득이 곧장 행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른바 이스털린 역설이 바로 그것이다. 이 이스털린 역설을 해명하는 설명 방식으로는 설정값(set-point) 이론, 상대적 지위 (relational position)론 등이 있다. 최근의 세 번째 설명방식은 관계재 이론인데, 이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 등 고대철학의 오이다이모니아(eudaimonia)론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이에 의하면 소득을 위한 시장참여의 확대가 인간 간의 교류 즉 관계재 생산/소비를 줄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래서 소득이 늘더라도 오이다이모니아적 행복은 축소된다는 것이다. 또 관계재론은 복지정책 및 사회적 경제 영역의 확대를 이론적으로 지지한다. One of important reasons for approving the market system is the belief or assumption that physical productivity of market serves human well-being. However recent economics of happiness literature shows that commodities or incomes do not necessarily improve happiness. This argument is known as the Easterlin Paradox. Several hypotheses attempt to explain this Paradox. They are basically the set-point theory, the relative position theory, and the relational goods theory. The third, relational goods theory is related to the eudaimonia tradition. According to this theory, market participation for income earnings reduces time for human interchange between friends, family, lovers and the like, and thus this is a sort of opportunity cost sacrificed for earning incomes. The relational goods theory also supports the welfare policy in general and the expansion of social economy.

      • KCI등재

        행복경제학적 분석을 적용한 인간중심적 자연관과 생태중심적 자연관의 비교

        조승헌 ( Seung Hun Joh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경제적 가치와 환경가치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행복경제학적 접근을 적용하여 자연관과 효용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한다.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본 분석에서는 자연관에 따라 행복함수 형태가 다르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인간중심적 자연관``의 가치체계는 경제가치중심이며 환경, 신뢰와 같은 비물질가치 요소가 무시할 정도로 낮은 것임을 통계적 유의도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둘째, ``생태중심적 자연관``은 경제를 포함한 환경, 사람신뢰를 동시에 고려하는 중층적 가치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의 가치체계에 따르면 인간의 편의와 경제적 가치에 치우친 행위는 행복극대화 관점에서 합리적이지 않다는 점을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다. The goal of current study is to carry ou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perspectives and their corresponding utilities by taking integrated approach combining economic values with environmental on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the structures of happiness function differ according to nature perspectives. The anthropocentric-nature perspective is centered on economic value. Whilst, environment and social trust play an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ole in deciding happiness levels. Secondly, the eco-centric perspective possesses a multi-facted structure of happiness function composing of income, environment, and social trust. In this vein, it is no reasonable behavior, from happiness maximization view, to focus on economic value vis-a-vis use value.

      • KCI등재

        소득, 물질주의와 행복의 관계

        이민아(Min-Ah Lee),송리라(Ri-Ra Song)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소득수준과 물질주의 가치관이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한 2009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지만 물질주의 가치관은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물질주의 가치관을 가진 응답자, 즉 인생을 살아가는데 중요한 요소로 돈을 선택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를 가졌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물질주의 가치관이 응답자의 소득수준에 따라 차별적 효과를 갖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즉, 소득이 상승하더라도 물질주의 가치관이 갖는 부정적 효과는 감소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성장과 이윤획득을 최우선으로 하는 한국사회에서 과연 돈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가 행복에 긍정적인가에 대한 사회적 성찰과 논의가 필요함을 함의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if and how household income and attitude toward money (materialism) affect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collected in 2009 was used for the study. The findings show that materialism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s while household incom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outcomes. Interestingly, in contrast to existing studies, household income does not have an interaction effect with materialism, which means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materialism on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do not decrease even as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increa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reflective discussion and social debate on Korean society, in which economic achievements and development have been the most valued,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