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핵심감정 극복과정에 대한 심우도(尋牛圖) 그리고 무아(無我)·연기(緣起)적 성찰

        이희백(Lee Hee-Back)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8 동서정신과학 Vol.21 No.1

        본 연구는 핵심감정 극복 과정을 심우도(尋牛圖)의 깨달음의 과정(10단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현대서양정신치료의 치료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단계인 7단계까지 본 연구자의 공부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핵심감정의 극복이라는 특정주제에 대하여 연구자의 성장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과 그 의미를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가장 적합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자기-내러티브 탐구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핵심감정의 극복은 서양 정신치료 방법으로 완전히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핵심감정의 극복을 위해 위빠사나 명상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핵심감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핵심감정이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느끼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자의 핵심감정 극복 과정에서 기존의 이론과 차이가 있었던 점은 핵심감정의 시작이 태아 시절부터 라는 점과 이를 완전히 치유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핵심감정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서는 태아시기에 대한 치료 작업 뿐 만 아니라 태어난 이후, 삶의 과정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고착(fix) 되어 있는 시점의 감정들을 모두 이미지 하여 표현하고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공감적 작업을 하여야 완전히 해결 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태아 때부터 시작하여 과거의 나(‘그때 그 아이’)의 이미지 형상을 내면에 띄어두고 작업하는 것이 치유과정에서 훨씬 효과적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핵심감정의 완전한 해결은 완전히 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순수한 마음과 자신의 내면 감정과 ‘그때 그 아이’를 정확히 만나고 공감하고 공감적 반응을 온 마음을 다해서 하는 정성, 그리고 ‘그때 그 아이’가 완전히 치유되었다는 확신이 떠오를 때 까지 끝까지 끈기 있게 해 나갈 때, 완전한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을 체험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감정은 극복하였으나 핵심감정 공부와 심리학적 치료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 진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원래 이에 답하는 것이 핵심감정 공부의 목적이 아니다 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8단계부터는 핵심감정이라는 개념적 틀을 벗어나 존재의 근원에 대한 질문으로 방법론을 완전히 바꾸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참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과 에고(ego 개체 즉 이 몸과 마음이 나라는 착각)의 작용에 속지 않고 참나를 깨닫기 위해 “이것이 누구에게서 일어났는가?”를 전체성(절대, 참나, 진아, 본래성품, 무극)의 관점에서 질문하여 무아(無我)와 연기(緣起)의 진리를 체득하여야 ‘개체(個體)로서의 나’라는 착각으로 인해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존재적 불안과 고(苦)를 완전히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8-10단계에 대한 저자의 체험은 다른 논문에서 밝히고자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en Ox Herding Pictures(尋牛圖) and selfless(無我)`The Dependent Arising(緣起) theory reflection on overcome process of nuclear feeling. In this study, the self-narrative inquiry method was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most appropriate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research`s own growth process on a specific topic of overcoming the nuclear fe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e have experienced that the overcoming of nuclear feelings has a limit to be completely solved by western psychotherapy method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it is most effective to use the Vipassana meditation method together to overcoming of nuclear feelings. In order to overcome the nuclear feelings,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e what their nuclear feelings are. The researcher`s nuclear feelings overcorrection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ory in that the biginning of the nuclear feelings was from the time of the birth of a child and it was an experience that could completely heal it. In addition to this, in order to complete the nuclear feeling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treat the fetal period, but also to empathize, empathize and comfort all the emotions that have been fixed since the birth. And I have found that starting from the birth of the fetus, and working on my image of the past is a much more effective approach in the healing process. The complete solution of the nuclear feelings is a pure heart that I must solve my problem completely, my own emotions, and then I meet with the child exactly, empathize and empathize with the wholehearted mind, and then the assurance that the child is completely healed I have experienced that complete resolution is possible when persevering until the end. Finally, I overcome the nuclear feelings, but I found that did`t answer the question Who am I? , What is the truth? . From the 8th step, the methodology must be completely changed in such a way as to leav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nuclear feelings and ask about the origin of existence. In order to realize the truth, we have to inquire and deeply inquire who this has happened to . Steps8 through 10 will be studied in other papers.

      • KCI등재후보

        정신역동적 핵심감정집단상담의 태아기재경험기법에서 내담자들의 교정적 정서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강민성(Kang Min-Seong)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8 동서정신과학 Vol.21 No.1

        본 연구는 정신역동적 핵심감정집단상담의 태아기(자궁)재경험기법에 참여한 20명의 내담자들의 언어표현, 핵심감정 그리고 교정적 정서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이다. 축어록을 분석하여 교정적정서경험을 핵심감정의 형성배경, 핵심감정, 파생감정, 상담자의 공감적 반응, 공감적 반응에 대한 내담자의 감정경험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내담자들의 핵심감정은 불안, 공포, 부담감, 억울함, 허무, 두려움, 외로움, 화, 적개심, 슬픔, 열등감이며 핵심감정의 형성배경인 산모와 주변환경의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 파생감정은 핵심감정에 뒤 따라 나타나서 표현되거나 산발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경쟁, 질투, 소외, 그리움, 무기력이다. 상담자와 주변 참가자들의 공감적 반응은 핵심감정과 그 형성원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관심, 배려, 환영, 알아줌, 있는 그대로 수용과 같은 공감적 반응은 대부분 사례에서 관찰된 보편적인 공감적 반응이다. 상담자의 공감적 반응에 대한 내담자의 감정경험은 기쁨, 웃음, 성숙, 가벼워짐, 고마움, 편안함, 울음(카타르시스), 시원함, 당당함, 수용, 안아줌, 요구, 충족감, 자신감, 통찰 등이다. 또한 핵심감정과 관련된 498개 표현을 추출하였고 이를 16개 핵심감정 영역으로 분류하여 내담자들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였다. This study is the cultural descriptive one on corrective emotion experience of clients who participated in fetal period re-experience technique of nuclear feeling counseling. nuclear feeling-related 498 expressions were extracted from clients consisting of 20 men and women at age 10s~50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63 properties, 16 nuclear feelings, 4 types, and 2 groups. Classified scopes were divided into prior and post to write the nuclear feeling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s a diagram and discovered the meaning of clients’ experience and change. As a result of quantifying this change, the relief rate of 58.09% appeared in nuclear feeling type representing the aggression, relief rate of 33.33% in nuclear feeling type representing depression, relief rate of 53.39% in nuclear feeling type representing fear and panic state, and relief rate of 46.41% in nuclear feeling type representing the anxiety state. 465 nuclear feeling properties were detected beforehand in total cases and 229 ones were resolved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 and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relief rate of 49.24% appeared for nuclear feeling in fetal period re-experience technique of nuclear feeling counseling.

      • KCI등재후보

        뿌리감정상담: 간이심리검사를 활용한 학교상담 - 정신역동과 핵심감정에 대한 긍정심리학적 접근 -

        강민성(Kang Min-Seong)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9 동서정신과학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제가 저연령화 되어가고 있는 현 시점에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기법을 제시하려 한다. 이 기법은 긍정심리학, 정신역동, 핵심감정에 기반을 두고 정의된 뿌리감정이라는 무의식적 긍정감정으로 접근 한다. 뿌리감정은 핵심감정의 이면(裏面)으로 행복과 기쁨의 감정을 느끼는데 영향을 주며 무의식적으로 진정으로 원하고 바라는 감정(emotion) 혹은 심리상태(mental state)이다. 이 뿌리감정으로 접근을 시도하는 상담기법을 ‘뿌리감정상담’이라고 하며 이 상담기법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저항과 방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긍정적이라고 여겨지는 원하고 바라는 감정인 뿌리감정으로 접근한다. 둘째, 그 이면(裏面)의 핵심감정을 진단하고 언어화한 후, 핵심감정에 대한 심층공감의 문장(나를 살리는 말, 힘이 되는말)을 제시하여 정신치료의 기반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뿌리감정으로 향하는 것이 좌절되었을 때, 그리고 핵심감정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강점과 장점을 제시하여 자아성장과 자아실현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뿌리감정 상담은 ‘접근, 치료, 예방, 성장’이 유기적으로 함께하는 상담기법이며 간이검사지(활동지)로 접근이 쉽도록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counseling techniqu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hen social problems are getting older. This counseling approach approaches the unconscious affirmations of rooted emotions, which are defined based on affirmative psychology, psychodynamics and core emotions. The root emotion is the core emotion that affects the feeling of happiness and joy, and is an unconsciously desired and desired emotional or psychological state. The counseling technique that attempts to approach this root emotion is called “Root emotion counseling.” The process of this counseling technique is as follows. First, we approach the root sentiment, the desired and desired emotion that is considered positive to minimize the client s resistance and defense. Second, after diagnosing and linguizing the core emotions behind them, the foundation for psychotherapy is prepared by presenting in-depth sentences about the core emotions. Finally, it is helpful to self-growth and self-realization when it is frustrated towards rooting and to present the strengths and advantages developed to overcome the core feelings. Root sentiment counseling is a counseling technique in which approach, treatment, prevention, and growth is organic and facilitates access to the simple test paper(activity sheet).

      • KCI등재

        “노예 의지”에 담긴 함의와 핵심감정의 신학적 위치

        노승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9 복음과 실천신학 Vol.51 No.-

        이 논문은 Augustine 신학 안에 있는 긴장을 통해 노예의지가 지닌 종교개혁 당시의 신학적인 위치를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노예의지가 오늘날에는 핵심감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핵심감정 은 노예의지를 개인이 지닌 특성을 따라 정의하게 해준다. 핵심감정은 종교개혁 신학의 위치를 분명하게 드러내준다. 또한 핵심감정은 주지 주의적인 자연신학의 함정과 극단적 주의주의 신학의 병폐를 드러내며 노예의지가 지닌 신학적인 위치를 분명히 해준다. 핵심감정은 성장과 정에서 획득한 습관이지만 믿음은 초자연적으로 주입된 습관이다. 그 리고 이 습관들은 몸과 영혼의 추동의 결과며, 이 추동들이 만든 정신 적 표상이 인격주체의 토대가 된다. 본 논문은 이성과 의지의 토대가 마음이며 이 마음은 감정 추동의 결과라는 점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핵심감정이 빚어낸 비참을 제대로 직면하고 그 토대 위에 믿음이 세 워질 때, 이 핵심감정과 믿음이 통섭이 일어날 때, 진정한 의미의 신앙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probes the theological location of Bondage of the Will in the Reformation through the tension in Augustinian theology. But it also shows that a Bondage of the Will can be interpreted as a nuclear feeling today. Nuclear feeling defines a Bondage of the Will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he Bondage of the Will could show clearly the theological positions of the Reformed theologies. It can also catch the trap of natural theology of tendency of intellectualism and the corruption of extreme Voluntarist Theology and clarify the theological location of the Bondage of the Will. The Bondage of the Will as a Nuclear feeling is a habit (or habits) acquired during human growth process, but faith is supernatural infused habits. And these habits are the result of the derives of the body and soul, and the psychic representations made by these derives are the basis of the personal subject. In this paper, it is meaningful that the foundation of reason and will is the mind and that this mind is the result of affective derive. Encountering the miseries arising from Nuclear feeling, faith can be establishing itself on the basis of these experiences; so as the results of it faith and Nuclear feeling could get some perspectives of consilience, then true growth of faith can be expected. This study will trace these processes.

      • KCI등재후보

        공포감정을 핵심감정으로 가진 사람들의 특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이희백 한국교육치료학회 2014 교육치료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공포감정을 핵심감정으로 가진 사람들의 심리적 특징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6개의 상담사례를 집합적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포 핵심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심리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감정적 반응에서는 자신이 죽을지도 모른다는 감정이 중심 감정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가족에 대한 심리적 반응은 부모에 대한 무서움 감정과 동시에 복수심과 적개심 그리고 강한 죄책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동기 가족관계에서의 경험들을 분석해보면 흉기를 동반한 강력한 폭력노출 경험, 음주상태에서 자녀의 신체 가해, 어머니의 무기력, 폭력의 반복상태 등으로 인해 모든 것이 끝장날 것 같다는 감정들로 요약할 수 있다. 공포 핵심감정을 가진 사람들의 개별적 또는 공통적 행동적 특징을 분석해보면 ‘이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고 싶다, 살고 싶다 ’로 요약할 수 있다. 일 또는 학업에 대한 반응으로는 실패하면 끝이라는 절박한 심정이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에 대한 엄청난 집중과 압박감, 실패에 대한 강한 공포와 큰 좌절감, 타인의 반응에 대한 민감성, 수행과정에서의 능력의 저하로 요약할 수 있다. 대인관계에서의 반응으로는 타인의 반응을 자기 존재의 거부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최종적 방안으로 자기 존재의 소멸인 자살을 생각하지만 죽음에 대한 강한 공포 또한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6명 모두 아동기 가족관계 경험에서 부부갈등의 과다한 가정폭력에 노출되어 심리적·신체적 고통을 경험한 결과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가족원과의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반복적으로 재 경험되고 있어, 아동기 때 형성된 공포 핵심감정으로 인해 계속적인 고통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nuclear feeling of phobia ke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a variety of viewing in terms of looks. In order to achieve the this study, researchers counseling cases are collectively qualitative six ca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ology. Result of people with the nuclear feeling of phobia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reactions that commonly experience an emotional reaction, they may die is acting as a center of emotions and feelings. Psychological reactions were analyzed for the family to have feeling and fear at the same time for the parents of revenge and hostility, guilt at the same time strong. The analysis of experiences in childhood accompanied by a strong body of experience and exposure to violent and the murder weapon drunk and helpless due to the mother`s state of violent emotion repeat everything seems to me that the collapse will occupy center can be summarized. The analysis of comm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the nuclear feeling of phobia can be summarized as wanting to live free from the pain of death. This reaction is desperate for work or study that does not occupy the center of the absolute failure. Therefore, in order not to be a huge focus on failure, excessive pressure on the job, a strong fear of failure, frustration due to the big failure, can be summed up in excessive degradation of sensitivity, for others the course of the reaction. Interpersonal reaction tendsto interpret the reactions of others, in the presence of a magnetic rejected. Corresponding methods are thought to suicide, but eventually destroyed the suicide was analyzed to experienced a strong fear of death. These reactions are revealed in reaction to childhood family experiences all six people are exposed to excessive violence in the course of marital conflict as a result of psychological or physical pain is a major cause. This experience is now being repeated in the family circle and interpersonal, the nuclear feeling of phobia fomed in childhood continue to suffer due to,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핵심감정 체크리스트 타당화 연구

        김선형(Kim, Seon Hyoung),박재우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0 동서정신과학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핵심감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김경민(2019)의 핵심감정 체크리스트(Nuclear Feeling Checklist)를 척도화하여 타당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핵심감정 체크리스트를 타당화하기 위하여 Likert 척도형식으로 변환하였고, 20세 이상의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 간 상관분석, 수렴타당도, 공시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공포’, ‘무기력/열정적인’, ‘불안’, ‘경쟁심’, ‘적개심’, ‘화/친밀감’, ‘질투’, ‘소외’의 8개의 요인구조가 확인되었다. 둘째, 재구성된 핵심감정 척도는 적절한 수준의 내적 합치도를 보였으나 ‘질투’는 내적 합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제외되었고, 대부분의 요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NRS와 해당되는 각 하위요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넷째, 요인별 요인부하값이 높은 순서대로 5문항씩 추출하여 단축형을 구성하였으며, 전체 문항의 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져 공시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핵심감정 체크리스트를 새로운 요인구조의 척도로 재구성하여 타당화하였다. 또한, 핵심감정의 건강한 면을 척도에 포함한 점 및 단축형 척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Nuclear Feeling Checklist. In order to validify the existing Nuclear Feeling Checklist, firstly it was converted to a Likert scale format and collected data from 400 adults over the age of 20. As the result, factor analysis showed eight factors (i.e. fear, helplessness/enthusiastic, anxiety, competitiveness, hostility, anger/intimacy, jealousy, alienation) and the reconstructed Nuclear Feeling Scale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was confirmed with the data obtained from 234 respondents out of the previous 400 whic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factor and NRS.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the shortened version was formed and it was verified by showing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hortened and full item scale. The Nuclear Feeling Scale which is validated and shortened in the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in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actices.

      • KCI등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경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In-depth Analysis of the Job Performance of FlightAttendants’ Emotional Labor and Emotion ExhaustionKyunghee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motional demands required from flight attendants affects their mental health and overall quality of their work, specifically;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performance. The research method surveyed flight attendants for K Airlines in Korea from March 1st, 2022 to June 30th, 2022. The results from the formal study shows that 1) deep acting of flight attendants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hat surface act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2) deep acting was shown to have no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surface acting was shown to have no effect of negative (-) on job performance. 3) emotional exhaustion was shown to have no effect on job performance. Through research, airlines have been able to see that the service of flight attendants, through standardized service manuals affects the service of the flight attendants, so that the deep acting of the individual affects the emotional exhaustion. Therefore, airlines will need support to ensure a certain degree of autonomy on board to manage emotions; so that they do not affect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Key Words: Airline Service, Flight Attendant, Emotional Labor, Emotional Exhaustion, Job Performance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조 경 희* 연구 목적: 항공사 객실승무원서비스 과정에서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인 내면행동과 외면행동이 감정소진과 직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국내 K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수한 230부 중 유효한 219부를 실증분석에 활용였다. 연구 내용: 이론적 배경을 통해 설정한 가설 5가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분석결과는 첫째, 내면행동은 감정소진에 부(-)의 영향 주지 않았고, 표면행동은 감정소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내면행동은 직무성과에 정(+)을 영향을 주었고, 표면행동은 직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감정소진은 직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항공서비스는 다양한 고객을 마주하는 직업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실승무원들은 감정교육과 자기감정 관리를 통해 감정소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서비스에 임하는 직업적 마인드가 높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항공사는 고객들을 직접 만나고 서비스하는 직원들의 편안한 삶을 위한 감정관리를 위해서는 기내에서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보장함으로써 승무원들의 감정을 위한 감정관리 프로그램 등의 운영을 통해 서비스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하는 회사의 지원이 필요하다. 핵심어: 항공서비스, 객실승무원, 감정노동, 감정소진, 직무성과 □ 접수일: 2022년 7월 28일, 수정일: 2022년 8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동신대학교 교수(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skyn2000@hanmail.net)

      • KCI등재

        감정과 관련된 문법소의 기능에 관한 연구

        문병열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감정과 관련된 문법소의 기능에 관한 연구문 병 열* 요약: 이 연구는 뇌 과학의 관점에서 감정을 정의하고 분류하여 이와 관련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뇌 과학의 관점에 따르면, ‘감정’은 과거 경험에 기반하여 외부의 사태에 대해 변연계에서 내리는 판단이며 감정 반응이 뒤따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를 통해, 우리는 ‘감정 판단’과 ‘감정 반응’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선행 연구에서 감정 양태를 세우지 않거나 그 하위 체계를 상정하지 않은 것은 이들을 구별하지 않은 까닭이다. ‘설렘, 기쁨, 공포, 슬픔’ 등은 감정 판단의 결과로 문법 범주 ‘양태’와 관련되며, ‘감탄, 놀람’ 등은 감정 반응으로 문법 범주 ‘감탄’과 관련된다. 또한 변연계 공명이라 불리는 특이한 감정 반응인 ‘공감’은 생리 반응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감정 반응’의 특성을 보이지만 상대방의 감정을 추론한다는 점에서 ‘이성적 판단’의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감정 판단’과 ‘감정 반응’이 구분되는 감정 양태 체계를 세울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감정과 관련된 한국어 문법소의 체계적 기술이 가능해졌다. 향후 감정 양태 체계에 속하는 개별 문법소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좀더 세밀한 기술과 설명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핵심어: 뇌 과학, 감정 판단, 감정 반응, 양태, 감탄 □ 접수일: 2022년 5월 26일, 수정일: 2022년 6월 13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한남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과 교수(Professor, Hannam Univ., Email: bym@hnu.kr) A Study on the Functions of Grammartical ElementsRelated to EmotionsByungyul Mu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functions of Korean grammatical elements related to emotions by defining and classifying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brain scienc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emotion’ can be defined as a judgment made by the limbic system about an event based on past experiences, and followed by an emotional response. This definition allows us to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judgment’ and ‘emotional response.’ The reason that the previous study did not establish the emotional modality or postulate its sub-system is because it did not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judgment’ and ‘emotional response.’ ‘Excitement, joy, fear, sadness’, etc. are related to the grammatical category ‘modality’ as a result of emotional judgment, and ‘admiration, surprise’ and the like are related to the grammatical category ‘exclamation’ as an emotional response. In addition, ‘empathy’, a peculiar emotional response called limbic resonanc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response’ in that it is a kind of physiological response, but it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rational judgment’ in that it infers the emotions of the other pers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system of emotional modality in which ‘emotional judgment’ and ‘emotional response’ are distinguished, and through this, a systematic description of Korean grammaical elements related to emotions became possible. It is expected that more detailed descriptions and explanations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individual grammaical elements belonging to the emotional modality system will be made in the future. Key Words: Brain Science, Emotional Judgment, Emotional Response, Modality, Exclamation

      • KCI등재

        J. L. Moreno의 역할감정이론을 기반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고찰

        손보경,황헌영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arents’ “core emotions” with Moreno's program based on parents' “role emotions.” The treatment of "core emotions" stems from psychodynamic theories, that parents' core beliefs formed at infant and unresolved negative emotions affect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role emotion" found in Moreno's theory has a tremendous influence on parenting skills 'here and now.' The role-based strategy of parenting, which focuses on current emotions rather than past emotions, is expected to be more efficient, as it notes the purpose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Studies have found that most education programs on better parenting are more effective when role-emotions are handled rather than core emotions. This role-based understanding of parental emotion will boost the effectiveness of parenting-training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existing programs based on the treatment of parents’ core emo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Moreno의 역할이론을 토대로 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감정 다루기를 위한 이론적 기초와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정서다루기에서 ‘핵심감정’은 정신역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부모의 유아기적 부정적 감정이 미해결된 과제로 남아 현재의 삶 속에서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반면 Moreno의 이론에서 발견되는 ‘역할감정’은 자아가 현실에 주어진 역할을 직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감정을 다룬다. 부모의 역할감정은 과거에 한정된 핵심감정에 비하여 과거는 물론 현재와 미래의 정서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한다. 본 연구는 Moreno의 역할이론과 역할감정 개념을 고찰하여 현재 널리 실행되는 주요 부모교육 프로그램(HPT, PET, STEP, APT)이 제시하는 부모의 감정 다루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모가 실제로 자녀와의 역할 관계에서 경험하는 감정처리를 부모훈련 프로그램 가운데 실시하여 부모의 긍정적인 정서를 개발하고 역할기능을 활성화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이 ‘핵심감정’에 기초한 부모 감정 다루기의 한계를 넘어서는 대안으로서 부모의 역할감정 다루기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

        유경남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Emotion and Resistance of the Public in 5・18 UprisingKyoungnam Yoo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 public for 5・18 Uprising in 1980, and especially, those in which, the various activities emerged from the public. Also, the regional public’s self-knowledge and the meaning of the practical resistance will be evident by Jack Barbalet’s concepts, “emotional climate” and “collective emotion”. While protesting, the public, in the emotional atmosphere of “fear” and “anger” caused by the “death”, formed the collective emotion through the collective response. Through their emotional dynamics, they transformed not only the negative emotion into the resistance, but also, from passive into active subject by themselves. In the face of another incidence of death, the last resistance in Jeonnam Provincial Office on May 27 was the watershed of the emotional dynamics ‘after’ May Movement, as other emotional transition, selective emotion. Key Words: 5・18 Uprising, Death, Resistance, Emotions, Collective Emotion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유 경 남** 요약: 본 논문은 1980년 5・18항쟁 시기 우발적인 사건들의 연쇄반응 속에서 대중의 다양한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 동학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잭 바바렛(Jack Barbalet)의 “감정적 분위기(emotional climate)”, “집합 감정(collective emotion)” 개념을 통해 항쟁 시기 지역민의 자기인식(self-knowledge)과 실천적 저항의 의미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당시 시민들의 ‘죽음’이라는 사건이 야기한 “공포”와 “분노”의 감정적 분위기 속에서, 집단적 대응을 통해 집합 감정을 형성하면서, “공포・분노”의 감정이 저항의 감정으로 수동적 주체가 능동적 주체로 변화하였다. 특히 5월 27일 전남도청 최후 항쟁은 또 다른 죽음의 사건 앞에서 다른 선택, 감정적 전환, 선택적 감정의 분화지점으로써, 항쟁 ‘이후’ 오월 운동의 감정 동학의 분할점이었다. 핵심어: 5・18항쟁, 죽음, 저항, 감정, 집합 감정 □ 접수일: 2022년 1월 22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 광주광역시 ‘5・18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전임연구원(Researcher, Chonnam National Univ., Email: ondalpo@gmail.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