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판매원 속성과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유경남,이왕탁 한국전산회계학회 2014 電算會計硏究 Vol.12 No.2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소비자가 지각하는 판매원 속성인 호감성과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과 판매원 속성과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에서 판매원의 고객지향성과 전문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판매원의 호감성과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문화마케팅의 구성요소인 문화판촉이 호감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지원은 호감성과 신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통합은 판매원의 호감성이나 신뢰성에 정(+)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감성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브랜드자산의 구성요소인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성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브랜드자산의 구성요소인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호감성/신뢰성과 브랜드자산의 관계에서 고객지향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에서는 호감성과 브랜드 이미지, 호감성과 브랜드 충성도 그리고 신뢰성과 브랜드 이미지, 신뢰성과 브랜드 인지도, 신뢰성과 브랜드 충성도의 모든 관계에 판매원의 고객지향성이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호감성/신뢰성과 브랜드자산의 관계에서 전문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에서는 호감성과 브랜드 이미지, 신뢰성과 브랜드 인지도, 신뢰성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 판매원의 전문성이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

        유경남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Emotion and Resistance of the Public in 5・18 UprisingKyoungnam Yoo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 public for 5・18 Uprising in 1980, and especially, those in which, the various activities emerged from the public. Also, the regional public’s self-knowledge and the meaning of the practical resistance will be evident by Jack Barbalet’s concepts, “emotional climate” and “collective emotion”. While protesting, the public, in the emotional atmosphere of “fear” and “anger” caused by the “death”, formed the collective emotion through the collective response. Through their emotional dynamics, they transformed not only the negative emotion into the resistance, but also, from passive into active subject by themselves. In the face of another incidence of death, the last resistance in Jeonnam Provincial Office on May 27 was the watershed of the emotional dynamics ‘after’ May Movement, as other emotional transition, selective emotion. Key Words: 5・18 Uprising, Death, Resistance, Emotions, Collective Emotion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유 경 남** 요약: 본 논문은 1980년 5・18항쟁 시기 우발적인 사건들의 연쇄반응 속에서 대중의 다양한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 동학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잭 바바렛(Jack Barbalet)의 “감정적 분위기(emotional climate)”, “집합 감정(collective emotion)” 개념을 통해 항쟁 시기 지역민의 자기인식(self-knowledge)과 실천적 저항의 의미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당시 시민들의 ‘죽음’이라는 사건이 야기한 “공포”와 “분노”의 감정적 분위기 속에서, 집단적 대응을 통해 집합 감정을 형성하면서, “공포・분노”의 감정이 저항의 감정으로 수동적 주체가 능동적 주체로 변화하였다. 특히 5월 27일 전남도청 최후 항쟁은 또 다른 죽음의 사건 앞에서 다른 선택, 감정적 전환, 선택적 감정의 분화지점으로써, 항쟁 ‘이후’ 오월 운동의 감정 동학의 분할점이었다. 핵심어: 5・18항쟁, 죽음, 저항, 감정, 집합 감정 □ 접수일: 2022년 1월 22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 광주광역시 ‘5・18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전임연구원(Researcher, Chonnam National Univ., Email: ondalpo@gmail.com)

      • KCI등재
      • KCI등재

        간내 동맥분지 해부학적 고찰

        유경남 대한영상의학회 198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4 No.6

        Hepatic angiography has been used in the diagnosis of a wide variety of diseases of the liver. This study was an analysis of pattern of branch and segmental anatomy of intrahepatic artery in 100 patients who received hepatic arteriography. Of 100 patients CT in 22 patients and US in 2 patients were compared to the angiograph for evaluation of segmental anatomy and superselective arteriography was carried out in 2 cadaveric livers for spacial anatom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epatic artery divides into a right and a left hepatic arteries. 1. Right hepatic artery has six branches : anteroinferior anterosuperior posteroinferior posterosuperior lateral and central branches. 2. Left hepatic artery has two segmental branches : medial and lateral branches.

      • KCI등재

        소뇌와 뇌간경식의 혈관영역 전산화단층촬영소견

        유경남 대한영상의학회 198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4 No.2

        Of 11, 779 consecutive CT examinations of the head 74 patients of infarctions in cerebellum and brainstem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o define the most typical distribution of infarctions in the different vascular territories. More limitation for Knowledge of vascular terriories in this area is noted but many cases reveal characteristic findings consistant with one vascular territory. Of 74 cases 41 were male and 33 were female and the age ranged from 2nd to 8th decades. Of 74 cases the lesion of PICA territory was observed in 29 cases(38%) SCA territory in 26(36%) brainstem in 25(34%) and watershed zone in 14(19%) Twenty-one case have infarctions of two different vascular territories. The SCA territory is the most extensive territory and includes the largest part of the deep white matter.

      • KCI등재

        광주5월항쟁 시기 ‘광주’의 표상(表象)과 ‘광주민주시민’의 형성

        유경남 호남사학회 2009 역사학연구 Vol.35 No.-

        1980년 5월의 광주항쟁은 이후 남한 역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광주항쟁은 1987년 6월 항쟁 및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 영향을 주었고, 이에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는 광주항쟁의 지역성에 초점을 맞추어 항쟁의 원인과 배경,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지만, 광주시민이 항쟁에 참여하게 되는 의식과 동기에 대한 부분은 미흡했다. 이에 본고는 광주항쟁시기 신문, 유인물 등을 구성하는 ‘텍스트(text)’에 주목하였다. 특히 항쟁 당시 유인물과 같은 ‘대안언론’은 지역민 사이에서 폭 넓게 공유되었으며, 자신들의 행동과 명분, 그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기 때문에 항쟁시기 지역민의 동향을 잘 보여주었다. 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 계엄군의 폭력으로 시작되었고, 대학생을 포함한 지역민 전체로 확산되었다. 여기에는 계엄군과 지역민의 대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historical event)’이 상황을 격화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지역민은 공공언론의 사실(事實)보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사실(事實)’인 유언비어를 더 믿었으며, 항쟁의 확산에 촉매제 역할을 했다. 지역민이 유언비어를 믿었던 이유는 유언비어가 전하는 내용이 당시 지역민의 정서를 잘 대변해 주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유언비어와 유인물은 광주를 ‘가족이 피 흘리고 죽어가는 죽음의 공간’으로 재현하였고, 계엄군과 정부는 광주를 ‘간첩과 폭도가 활보하는 폭력의 공간’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광주’지역의 표상을 통해 계엄군과 정부는 항쟁을 ‘광주만의 일’로 폄하‧한정하려 했고, 지역민들은 항쟁의 상황을 알리고자 노력했다. 항쟁이 확산‧전개되면서 ‘광주’를 표상하는 내용도 변화했다. 지역을 ‘폭력의 공간’이라고 표상했던 계엄군과 정부는 광주를 ‘난동으로 인한 피해의 공간’으로 형상화했는데, 이것은 ‘피해를 구원한다’는 진압의 명분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 때문이었다. 지역민도 궐기대회를 통해 광주를 ‘죽음의 공간’에서 ‘불의에 대해 정의감으로 항거하는 저항의 공간’으로 형상화했는데, 이것은 광주항쟁시기 형성된 지역적 분위기의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광주항쟁의 상황 속에서 지역민은 자신들에 대한 다양한 호명방식들 중에서 궐기대회와 같은 담론 형성과정을 통해 ‘광주민주시민’라는 항쟁의 주체로 받아들였고, 이를 “광주시민”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지역민의 연설을 분석해 보면, 광주시민에도 차이가 있었다. 다시 말해 수습대책위원회가 지칭하는 시민은 계엄군과 정부가 지칭하는 시민과 비슷한 ‘국가에 순응하는 시민’이었고, 투쟁‧선전가들의 시민은 현 정부를 부인하고 계엄군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민주시민’이었다. 이와 다르게 지역민은 자신과 ‘국가’와의 관계를 인정하면서도, 지역의 역사적 경험을 근거로 불의에 항거하는 ‘정치적 주체인 광주시민’으로 호명하기도 했다. 다시 말해 광주항쟁 시기 지역민들은 담론의 형성과정 즉, ‘광주’지역에 대한 표상(表象)들의 경쟁 속에서 광주시민을 지역적 주체이자 정치적 항거의 주체인 ‘광주민주시민’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The Gwangju Uprising in May 1980 has influenced the history of South Korea ever since and plenty of research has been made about the event. The studies made great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the causes,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uprising by focusing on its locality, but fell short of inquiring into the thoughts and motives with which Gwangju citizens took part in the uprising. According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text' that made up the newspapers and printed matter in the days of the Gwangju Uprising. In particular, 'alternative media' like printed matter at the time were widely read by the local people and talked about the actions, causes and meanings of their struggle. The media indicated well what the local people did during the uprising.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made an analysis into the 'representation' shown in the text of the media during the uprising. The Gwangju Uprising began to spread among all the local people including college students because of the violence perpetrated by the martial law soldiers. Sometimes, ‘historical event’ that took place in the course of demonstrations and subsequent suppressions led to historical ones. Additionally, the local people trusted in the 'rumors of verbal communication' more than the facts propagated by the public media because the rumors represented how the local people were feeling in the tumultuous situations.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represented 'Gwangju' as a violent region where spies and mobsters rampaged while the rumors and printed matter shared by the local people represented it as a region of death where their families were bleeding and dying. By depicting the images of 'Gwangju'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ried to downgrade the struggle and reduce it to an incident in Gwangju; and the local people made their endeavors to communicate and spread it by making the situations known. Besides, the expansion and widening of the uprising caused the images of 'Gwagnju' to transform.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which depicted it as a region of violence, began to symbolize it 'as a region victimized by violent actions'. This was to establish the cause of 'save the city from damage' before they reoccupied it. In the meantime, the local people changed the image of the city from 'a region of death' to 'a region of resistance against injustice', which was the very end result of the Gwagnju Uprising. Out of many names given to them by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he settlement committee and the propaganda groups, the local people chose to call themselves "the Gwangju citizens" while they agreed that the main players of the struggle were the Gwangju democratic citizens. But an analysis of the speeches delivered by the local people showed they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Gwangju citizens." In other words, whereas the citizens called by the settlement committee had the same meaning as those called by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he citizens addressed by the struggling propagandists meant the democratic citizens who negated the current government and actively resisted against the military authority. The local people, taking a different perspective, called them as politically active Gwangju citizens who had been fighting against injustice taking into account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while they still saw some connections between themselves and the nation. In other words, the local people at the time began to perceive themselves as both the local agency and 'the Gwangju democratic citizens' of political resistant agency among the competitive representations about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