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19세기 《해상군선도(海上群仙圖)》 병풍의 도상 및 양식 분석

        김준선 미술사학연구회 2023 美術史學報 Vol.- No.60

        〈The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 crossing the sea(海上群仙圖)〉 is a category of 〈the painting of Daoist Immortals(神仙圖)〉, and refers to a picture depicting a group of immortals on the sea. 〈The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 crossing the sea〉 is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painting of eight immortals crossing the sea(八仙過海圖)〉. However, in 〈The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 crossing the sea〉, there are many cases where, in addition to the eight immortals, those who played a role of relief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drawn together, and the number and type of immortals appearing in each work show slight differences. It is also seen as part of 〈the painting of Xi Wang Mu’s Banquet(群仙慶壽蟠桃會圖)〉, which contains the scene of a banquet praying for the longevity of Xi Wang Mu. In the picture, the immortals are drawn as they are invited to the banquet of Xi Wang Mu, cross the river, and perform magical tricks with their corresponding features. Currently, there are about 20 pieces of 〈the painting of a group of immortals crossing the sea〉 from the Joseon Dynasty. Among them, a total of 7 pieces, including 6 folding screen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cooperated work by Jo Seokjin (趙錫晋, 1853-1920) and An Jungshik (安 中植, 1861-1919),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The wor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iconographic similarities, and they were divided into Kim Hongdo, Baek Eunbae, and Jang Seungeop’s category. In Kim Hong-do’s works, there are various types of immortals that appear, and the natural movements and shading techniques stand out. Since then, Baek Eunbae’s works have gradually simplified the iconography and begun to be schematized repeatedly. Lastly, ta cooperated work shows a different form from the existing one, influenced by the Qing Dynasty painting style newly introduced in the 19th century. 〈해상군선도(海上群仙圖)〉는 〈신선도(神仙圖)〉의 한 범주로, 바다 위 신선의 무리를 그린 그림을 일컫는다. 원말명초(元末明初)의 잡극(雜劇)인 『쟁옥판팔선과해(爭玉板八仙過海)』의 ‘팔선과해 각현신통(八仙 過海 各顯神通)’이라는 구절이 연원이 되어, 여덟 명의 신선을 주인공으로 하는 〈팔선과해도(八仙過海圖)〉와 그 개념이 혼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해상군선도〉에는 팔선(八仙) 외에도 조선시대 기복적인 역할을 했던 이들이 함께 그려진 경우가 많으며, 작품마다 등장하는 신선의 수와 종류는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또한 서왕모(西王母)의 장수를 기원하는 반도회(蟠桃会)의 장면을 담은 〈군선경수반도회도(群仙慶壽蟠桃會圖)〉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그림에서 신선들은 서왕모의 잔치에 초대를 받고 약수(藥水)를 건너며, 각기 해당하는 지물을 지닌 채 신통한 재주를 부리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현재 조선시대 〈해상군선도〉는 20여 점 내외로 파악된다. 이 중 조선후기 제작된 병풍 6점과 소림 조석진(趙錫晋, 1853-1920)·심전 안중식(安中植, 1861-1919)의 합작도(合作圖)까지, 총 7점을 대상으로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품들은 도상적 유사성에 따라 세 유형으로 분류했으며, 이를 김홍도와 백은배, 장승업 계열로 나누었다. 김홍도의 초년작에 해당하는 제1유형은 등장하는 신선의 종류가 다양하며, 자연스러운 동세와 음영법이 눈에 띄는 작품이다. 또한 단원계열의 도상을 후대 반복해 그리고, 이를 외교의 수단으로 사용했던 작품이 발견된 점 또한 흥미롭다. 이후 백은배의 시기에 이르러서는 점차 도상이 간소화되고 반복적으로 도식화되기 시작했다. 제2유형의 병풍들은 보다 후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기년작인 백은배의 병풍 및 그의 또 다른 〈신선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현재 단원의 전칭작과 작자미상으로 전하는 작품들을 임당의 필치로 추정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3유형은 백은배의 작품과 동시기 제작되었으나 19세기 새롭게 유입된 청대화풍의 영향을 받은 기존과는 다른 형식의 〈해상군선도〉를 보여준다.

      • KCI등재

        한양대학교박물관 소장 <海上群仙圖> 연구

        배원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9 고문화 Vol.73 No.-

        Saints Crossing the Sea shows a group of saints that have each own unique value in terms of praying for good luck. The artists seem to have wanted to wish for more diverse kinds of fortune at a time by putting in a group of several saints instead of one or two with certain abilities. Housed at Hanyang University Museum, the painting is the joint work between Jo Seok-jin and Ahn Jung-shik, the number of whose joint works is not very big. Among the few joint works, the painting is regarded as one of their masterpieces and the fruit of their devoted work. On the canvas, there are the names of each icon, poems to describe them, and the motivation for and the date of painting. Those records grant the painting huge value since they provide some hints about the phenomenon of the work and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kind of painting those days. The analysis results of its icons and style reveal that Jo painted the background and Ahn the figures and wrote the title. On the right of the title are the two painters' four red rectangular seals. What's also interesting about the painting is that it presents new icons not seen from the old paintings of saints crossing the sea. In the painting, the two artists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the Shanghai School while following Jang Seung-eop's style in many ways. It's pointed out that Jo and Ahn created works that were connected to the style of Jang and that of the Shanghai School. Their Saints Crossing the Sea shows closer connections to the Shanghai School than Jang's style, which suggests that the two artists graduated from Jang's style that they had learned as students. Their Saints Crossing the Sea claim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nherited the tradition of Chosun's paintings of saints crossing the sea, which kind of painting had been constantly created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the dynasty, and that it's a good example of Taoist and Buddhist figure paintings with the powerful reflection of Korean traits. 海上君仙圖는 여러 신선들이 물 위에 떠 있거나 渡海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신선들은 각각 특정한 기복적인 의미들을 갖고 있는데, 어떤 능력을 지닌 신선 하나나 둘보다는 여러 신선들을 무리지어 그려 넣음으로써 보다 다양한 복을 한꺼번에 받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오게 된 유형의 작품이다. 한양대학교박물관 소장 <海上君仙圖>는 조선 말, 근대화단으로 연결되는 가교 역할을 담당했던 조석진과 안중식의 합작품으로, 이들이 합사한 작품은 전해지는 수가 거의 없으며, 병풍 형태나 단일 신선도의 형태가 아닌 大作으로 그려져 더욱 주목된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조석진과 안중식의 최초 기년명 작품보다 시대가 앞선 것으로 두 화가의 기년명 작품의 상한연대를 1892년까지 올려볼 수 있게 되었다. 화면에는 각 도상의 이름과 이를 설명하는 題畵時 등이 덧붙여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제작 동기와 제작연대를 기록하고 있어 작품의 現狀과 당시 그려지던 해상군선도의 화풍상 특징을 파악하기에 높은 가치를 지녔다. 또한 ‘雲草’에게 그려준 작품이라는 점을 명시해 놓아 이 그림이 壽福의 의미를 담아 선물로 제작된 그림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운초’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玄檃이 현재로서 가장 유력한 인물로 추정된다. 작품에서 보이는 도상과 양식을 분석한 결과 산수배경은 조석진이, 인물과 畵題는 안중식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상군선도>에는 장승업 및 해파 화풍이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任伯年의 스승이자, 선배격인 任熊 화풍의 영향을 많이 받은 모습이다. 한양대학교박물관 소장 <해상군선도>는 조선 중기이래로 후기, 말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제작되어 온 조선시대 해상군선도의 전통을 잇고 있는 작품이자, 한국적 특징을 반영한 도석인물화의 한 예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 KCI등재

        현대패션에 나타난 물의의미

        임영자(Young Ja Lim) 한국복식학회 1999 服飾 Vol.43 No.-

        Water allows us to have artistic experiences of searching for the source of hints and techniques by bring about the emergence of the new representation, new themes and new forms of arts. The water that holds a great deal of hidden meaning shape the imag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what mental relationship the concept of water had the mental phenomenon of water in Hea-sang-kun-sun-do in terms of the event of contemporary fashion, in the present -day age. This means the stream of thought to grope a new paradigm of multi-culturism that claims the coexistence of East and West civilizations in the contemporary civilization. The meaning of water is developed fabrics connected with the water and the water emerge the issue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concept of water as the meaningful concept is used as the tool to represent a certain issue in silhouette and fabrics not only the introduction as substantial water into fashion giving the fashion designer`s emotion to shape and representing the fashion designer`s aesthetic needs by emphasizing with the desig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