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양대학교박물관 소장 <海上群仙圖> 연구 = Study on Saints Crossing the Sea at Hanyang University Mus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89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ints Crossing the Sea shows a group of saints that have each own unique value in terms of praying for good luck. The artists seem to have wanted to wish for more diverse kinds of fortune at a time by putting in a group of several saints instead of o...

      Saints Crossing the Sea shows a group of saints that have each own unique value in terms of praying for good luck. The artists seem to have wanted to wish for more diverse kinds of fortune at a time by putting in a group of several saints instead of one or two with certain abilities.
      Housed at Hanyang University Museum, the painting is the joint work between Jo Seok-jin and Ahn Jung-shik, the number of whose joint works is not very big. Among the few joint works, the painting is regarded as one of their masterpieces and the fruit of their devoted work. On the canvas, there are the names of each icon, poems to describe them, and the motivation for and the date of painting. Those records grant the painting huge value since they provide some hints about the phenomenon of the work and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kind of painting those days.
      The analysis results of its icons and style reveal that Jo painted the background and Ahn the figures and wrote the title. On the right of the title are the two painters' four red rectangular seals.
      What's also interesting about the painting is that it presents new icons not seen from the old paintings of saints crossing the sea. In the painting, the two artists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the Shanghai School while following Jang Seung-eop's style in many ways. It's pointed out that Jo and Ahn created works that were connected to the style of Jang and that of the Shanghai School. Their Saints Crossing the Sea shows closer connections to the Shanghai School than Jang's style, which suggests that the two artists graduated from Jang's style that they had learned as students. Their Saints Crossing the Sea claim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nherited the tradition of Chosun's paintings of saints crossing the sea, which kind of painting had been constantly created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the dynasty, and that it's a good example of Taoist and Buddhist figure paintings with the powerful reflection of Korean trai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海上君仙圖는 여러 신선들이 물 위에 떠 있거나 渡海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신선들은 각각 특정한 기복적인 의미들을 갖고 있는데, 어떤 능력을 지닌 신선 하나...

      海上君仙圖는 여러 신선들이 물 위에 떠 있거나 渡海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신선들은 각각 특정한 기복적인 의미들을 갖고 있는데, 어떤 능력을 지닌 신선 하나나 둘보다는 여러 신선들을 무리지어 그려 넣음으로써 보다 다양한 복을 한꺼번에 받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오게 된 유형의 작품이다.
      한양대학교박물관 소장 <海上君仙圖>는 조선 말, 근대화단으로 연결되는 가교 역할을 담당했던 조석진과 안중식의 합작품으로, 이들이 합사한 작품은 전해지는 수가 거의 없으며, 병풍 형태나 단일 신선도의 형태가 아닌 大作으로 그려져 더욱 주목된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조석진과 안중식의 최초 기년명 작품보다 시대가 앞선 것으로 두 화가의 기년명 작품의 상한연대를 1892년까지 올려볼 수 있게 되었다.
      화면에는 각 도상의 이름과 이를 설명하는 題畵時 등이 덧붙여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제작 동기와 제작연대를 기록하고 있어 작품의 現狀과 당시 그려지던 해상군선도의 화풍상 특징을 파악하기에 높은 가치를 지녔다. 또한 ‘雲草’에게 그려준 작품이라는 점을 명시해 놓아 이 그림이 壽福의 의미를 담아 선물로 제작된 그림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운초’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玄檃이 현재로서 가장 유력한 인물로 추정된다.
      작품에서 보이는 도상과 양식을 분석한 결과 산수배경은 조석진이, 인물과 畵題는 안중식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상군선도>에는 장승업 및 해파 화풍이 반영되어 있으며, 특히 任伯年의 스승이자, 선배격인 任熊 화풍의 영향을 많이 받은 모습이다.
      한양대학교박물관 소장 <해상군선도>는 조선 중기이래로 후기, 말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제작되어 온 조선시대 해상군선도의 전통을 잇고 있는 작품이자, 한국적 특징을 반영한 도석인물화의 한 예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석, "한국의미.20: 인물화" 중앙일보사 1985

      2 이구열, "한국근대회화선집2: 조석진, 김규진외" 금성출판사 1990

      3 이구열, "한국근대회화선집1: 안중식" 금성출판사 1990

      4 홍선표, "한국근대기의 서화교육과 단체, In 근대서화의 요람, 耕墨堂" 고려대학교박물관 2009

      5 강민기, "학습과 교유의 공간: 안중식의 경묵당, In 근대서화의 요람, 耕墨堂"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9

      6 김현권, "청대해파화풍의 수용과 변천" 한국미술사학회 217·218 : 1998

      7 小林宏光, "중국의전통판화" 시공사 2002

      8 우현수, "조선후기 요지연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5

      9 金良洙, "조선전환기의 중인집안활동-玄德潤, 玄采, 玄楯 등 川寧玄氏 譯官家系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102 : 1988

      10 조선미, "조선시대 神仙圖의 유형 및 圖像的 특징, In 藝術과 自然" 미술문화 1997

      1 이종석, "한국의미.20: 인물화" 중앙일보사 1985

      2 이구열, "한국근대회화선집2: 조석진, 김규진외" 금성출판사 1990

      3 이구열, "한국근대회화선집1: 안중식" 금성출판사 1990

      4 홍선표, "한국근대기의 서화교육과 단체, In 근대서화의 요람, 耕墨堂" 고려대학교박물관 2009

      5 강민기, "학습과 교유의 공간: 안중식의 경묵당, In 근대서화의 요람, 耕墨堂"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9

      6 김현권, "청대해파화풍의 수용과 변천" 한국미술사학회 217·218 : 1998

      7 小林宏光, "중국의전통판화" 시공사 2002

      8 우현수, "조선후기 요지연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5

      9 金良洙, "조선전환기의 중인집안활동-玄德潤, 玄采, 玄楯 등 川寧玄氏 譯官家系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102 : 1988

      10 조선미, "조선시대 神仙圖의 유형 및 圖像的 특징, In 藝術과 自然" 미술문화 1997

      11 박은순, "정묘조 <왕세자책예계병>:신선도계병의 한가지 예" 미술사연구회 4 : 1990

      12 조정육, "심전안중식의 작품세계" 홍익대학교대학원 1987

      13 조정육, "심전안중식의 생애와 예술"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 : 1994

      14 박동수, "심전안중식 회화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5 김상채, "소림조석진 회화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1988

      16 조인수, "도교신선화의 도상적 기능" 한국미술사교육연구회 15 : 2001

      17 조인수, "도교 신선 유해섬 도상의 형성에 대하여" 한국미술사학회 225·226 : 2000

      18 진준현, "단원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19 김상엽, "경매된 서화" 시공사 2005

      20 장준구, "陳洪綬의 생애와 회화" 홍익대학교대학원 2006

      21 박은순, "純廟朝〈王世子誕降楔屛〉에대한圖像的考察" 한국미술사학회 174 : 1987

      22 이경희, "純·高宗時代道釋人物畵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1997

      23 박준영, "琳塘白殷培의繪畵硏究" 홍익대학교대학원 2007

      24 김현권, "淸末上海地域畵風이朝鮮末·近代繪畵에 미친 影響" 동국대학교대학원 1996

      25 송혜승, "朝鮮時代神仙圖硏究"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8

      26 金良洙, "朝鮮後期 譯官 집안의 연구-玄德潤·玄采 등 川寧玄氏家系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 : 1999

      27 吳幸洙, "小琳趙錫晉의 인물화 연구" 고려대학교 2006

      28 盧輔聖, "任伯年硏究" 上海書畵出版社 2002

      29 産興, "任伯年硏究" 天津人民美術出版社 1992

      30 馬書田, "中國道敎諸神" 團結出版社 2002

      31 李鑄晋, "中國現代繪畵史: 晩晴之部" 文匯出版社 2003

      32 石 莉, "中國名畵家全集: 任頤" 河北敎育出版社 2006

      33 周心慧, "中國古版畵通史" 學苑出版社 2000

      34 최정임, "三才圖會와 조선후기회화" 홍익대학교대학원 2003

      35 張康在, "『한국현대미술전집』1" 한국일보사출판국 1977

      36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상" 돌베개 2001

      37 윤세원, "『선문대학교박물관 명품도록』2" 선문대학교출판부 2000

      38 中國古畵譜集成編輯委員會, "『中國古畵譜集成』4" 山東美術出版社 2000

      39 劉玉成, "『中國人物名畵鑑賞』2·4" 九州出版社 2002

      40 최경현,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한국 인물화에 보이는 해상화파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256 (256): 37-69, 2007

      41 최경현,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상해지역 화단과 한국 화단과의 교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42 박은순, "17, 18世紀 朝鮮王朝時代의 神仙圖 硏究" 홍익대학교대학원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MUNHWA -> KOMUNHWA (Korea Antiqu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56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