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용운 민족사상의 연원

        김광식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본 고찰은 만해 한용운의 민족사상의 연원을 살핀 논고이다. 한용운 연구는 다양하게 전개되었지만 편 중된 연구, 실증적 자료에 의한 연구 부족, 신비화에 경도되었다. 이에 필자는 한용운 사상을 연구함에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려고 유의하였다. 한편 한용운 연구에서 미진한 분야는 한용운 사상이 다. 지금껏 한용운 사상을 언급한 고찰이 있었지만, 아직까지도 한용운 사상을 총체적으로 그려내지는 못하고 있다. 필자는 이런 학계의 연구 성과를 고려하여 한용운 사상 중에서도 민족사상을 다양한 측 면에서 검토하였다. 필자가 이 고찰에서 유의한 것은 한용운의 민족사상을 민족운동이라는 제한적인 분야에서만 다루지 않았다. 즉 한용운이 활동하였던 다양한 방면의 행적에서 민족사상을 찾으려고 하였다. 그리고 한용운 민족사상을 일차적으로 일제하라는 시공간에서의 내용과 성격을 추출하였다. 한용운의 사상은 보편적 , 동아시아적 측면도 배제할 수 없지만 일단은 그가 활동한 것은 근대기 한국이라는 공간임을 유의하 였다. 보편성보다는 한국, 근대라는 특수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이러한 전제와 배경하에서 필자가 한용운 민족사상의 연원의 근거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추출하였 다. 즉 그는 한용운 출신 및 고향에서의 유교적인 가풍, 민족운동에 나타난 민족사상, 불교활동에 나타 난 민족사상, 작가의 활동에 나타난 민족사상, 생활속에 드러난 민족사상 등이었다. 이런 분석을 통해서 필자는 한용운의 민족사상이 출가 이전의 고향(홍성, 내포)에서의 유교문화에서 연원하였고, 그것이 일생을 관통하였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런 연원에서 출발한 민족의식이 국가, 사회, 중생 등에 대한 애정으로 구현되었음도 알게 되었다. 나아가서 그가 전개한 다양한 활동에 민족 의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자각, 애정이 상당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존심이 민족사상의 근원이었다. This consideration is a treatise on Investigating the origin of Manhae Han Yong-Un's racial thought. Studying on Han Yong-Un laid before in various way, but its study was declined to mystification due to leaning too much towards, lack of an empirical material study. Therefor I kept in view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 in studying Han Yong-Un. On the other hand lack field of studying Han Yong-Un is Han Yong-Un's Thought. There is a consideration mentioned Han Yong -Un's Thought so far, no one has drawn Han Yong-Un's thought in general yet. I reviewed his racial thought among Han Yong-Un's thoughts in various flank on considering such academic research result. My paying on attention to this consideration is not to deal with the limited field of racial thought as racial movement. In other words I tried to find out racial thought in various whereabouts Han Yong -Un acted. And I extracted contents and character Han Yong-Un's racial thought in time and space under the Japanese Empire firstly. I paid on attention to the space of Korea in modern time he acted even if we can not exclude Han Yong-Un's thought in universal and East Asiatic flank. I considered distinctiveness preferentially as modernity and korea rather than universality. Under such premise and background I extracted the original basis of Han Yong-Un's racial thought. In other words his thoughts are Confucian family tradition, racial thought represented racial movement, racial thought represented buddhist activity, racial thought represented writer's activity and racial thought exposed in life. Through such analysis I apprehended Han Yong-Un's racial thought originated from Confucian culture of his home town(Naepo, Honsung) before renunciation and it penetrated into his whole life. And I have known racial consciousness started from such originality was realized as affection for state, society and people etc. Further more I have known there were a lot of self awareness and affection of racial history and culture in various activities which he spread out. In summary, his pride about racial history and culture is the origin of racial thought.

      • KCI등재

        한용운의 불교사회주의

        김광식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5

        This is a review of the content and personality of Han Yong-un's Buddhist socialism. Han Yong-un has a multifaceted personality, a poet,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Buddhist priest. But his research was focused on literary and independence movements. Therefore, there are many aspects to consider about his ideological character. This thesis is written on this premise. There are many previous study by researchers on Buddhist socialism in Han Yong-un. He had a number of problems with the left-wing perception of the Buddhist socialism of Han Yong-un, the university. Han Yong-un announced his stance on ‘Buddism’ in a talk with a journalist at Zemchon Riemoon on December 9, 1931. In other words, Han Yong-un said that he has the idea of ‘Buddhistism’ and that he is thinking of writing about ‘Buddhistism.’ But since then, Han has not written about him. Therefore, his nature of Buddhist socialism is difficult to understand. So in this article, I want to critically examine existing researchers' claims. I will present my views after that. The view was first, the importance of objective records related to Han Yong-un, secondly, third in Buddhist history, fourth in view of Han Yong-un's view of society, and the fact that Han Yong-un criticized anti-rel movement. I hope that this review will serve as a guide to understanding Han Yong-un's ideology, socialism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anti-religious movements. 본 고찰은 한용운의 불교 사회주의에 대한 내용과 성격을 살핀 글이다. 한용운은 시인, 독립운동가, 불교사상가라는 다면적인 성격을 가졌다. 그러나 그에 대한 연구는 문학, 독립운동에 치우쳐 있었다. 때문에 그의 사상적인 성격에 대해서는 검토할 측면이 많다. 본 고찰은 이런 전제에서 집필되었다. 그런데 한용운의 불교사회주의에 대한 이전의 연구자들의 연구가 있었다. 그를 비판적으로 보건대 한용운의 불교사회주의를 좌파적으로만 인식하는 등 적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용운은 1931년 12월 9일, 『삼천리』 기자와의 대담에서 ‘불교사회주의’에 대한 입장을 개진하였다. 즉 한용운은 ‘불교사회주의’ 사상을 갖고 있고, ‘불교사회주의’에 대하여 저술할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발언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한용운은 그에 대한 글을 집필하지 않았다. 때문에 그의 불교사회주의의 성격은 이해하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이 글에서 기존 연구자들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그 연후에는 필자의 견해를 개진하겠다. 그 관점은 첫째, 한용운과 관련된 객관적인 기록의 중시 둘째, 한용운의 불교 사상 셋째, 한용운의 사회관에 대한 관점 넷째, 한용운이 반종교운동을 비판하였던 사실 등이다. 필자의 이 고찰이 한용운 사상, 일제하 사회주의, 반종교운동 등의 이해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 만해 한용운과 범어사

        김광식 ( Kim Kwang-sik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본 고찰은 만해 한용운과 범어사와의 상관성을 다룬 논고이다. 한용운은 승려이었기에 그의 활동, 행적은 사찰과 포교당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런 전제하에서 필자는 한용운과 인연이 많은 사찰에 있는 한용운 행적을 찾고, 그에 담긴 역사와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이 글은 한용운이 부산에 위치한 범어사에서 전개한 역사 및 내용을 정리하였다. 첫째, 임제종 운동(1911~1912)과 범어사 경성포교당(1914~1919, 1926~1931)에서의 한용운 행적을 조명하였다. 둘째, 한용운의 저작 『불교대전』(1914)의 발간처가 범어사이었던 연유를 찾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한용운이 임제종 운동의 좌절을 극복하기 위해 단행한 만주 탐방(1912년, 가을)의 성격, 추이를 살펴보았다. 한용운이 만주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직후 범어사에서 휴식을 취한 것을 그 단초로 보았다. 셋째, 범어사 3·1운동에서의 한용운 행적과 범어사 석가여래행적 비문의 찬술을 하게 된 한용운 행적을 찾고 정리하였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통하여 필자는 그간 베일에 쌓였던 만해 한용운과 근대기 범어사와의 상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범어사 출신 인물과 한용운과의 인연, 근대기 범어사 정체성 등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Manhae Han Yong-un and Beomeosa Temple. Han Yong-un was a Buddhist monk, so his activities and activities can be found in temples and cathedr Under this premise, I seek out the activities of Han Yong-un in a temple with a lot of ties to Han Yong-un and summarize the history and contents of the temple. From this background, this article summarizes the history and contents of Han Yong-un's history at Beomeosa Temple. First, Han Yong-un's activities in the Imjejong Movement(1911-1912) and a missionary of Gyeongseong Church in Beomeosa Temple (1914-1919, 1926-1931) were highlighted. Second, the publisher of Han Yong-un's book, 『Bulchondaejeon』(1914), found Yeonyu, which was a Beomeosa Temple. To this end, I looked at the nature and trend of Han Yong-un's Manchurian tour (1912, fall) to overcome the frustration of the Imjejong movement. Han Yong-un took a rest at Beomeosa Temple shortly after his life in Manchuria. Third, the activities of Han Yong-un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of Beomeosa Temple and Han Yong-un's acts of praise were found and arranged. Through this, I wanted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Manhae Han Yong-un and Beomeosa Temple in the modern era. In the future, we will hav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from Beomeosa Temple and Han Yong-un, and the identity of Beomeosa Temple in the modern era.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이라는 기념비

        김익균 대각사상연구원 2016 大覺思想 Vol.25 No.-

        대일항쟁기를 경험했던 세대들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 만해의 70주기에 대일항쟁기의 역사를 기록하는 문제와 한용운을 기념하는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대일항쟁기를 경험한 세대가 모두 사라졌을 때 그 당시의 역사기록은 자칫 화석화될 수 있다. 70여 년간 반복되어 온 대일항쟁기에 대한 기념 행위는 대일항쟁기를 직접 경험한 세대가 사라져가는 오늘날 역사와 기억 사이를 떠돌고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다시 말해 해방 이후 40년이 지나면서부터 대일항쟁기를 경험한 세대는 급속히 노령화되었다. 대일항쟁기는 이들 세대에 의해서 역사이자 동시에 직접 기억으로 인정되어 왔지만 새로운 세대에게 그것은 차츰 추상적 기록으로서의 역사로 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용운이라는 표상이 역사와 기억 사이에 놓인 대표적 사례로 보았다. 한용운이라는 표상은 힘 있는 단수인 국민국가의 역사 만들기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었지만 그러한 역사화로 수렴되지 않는 집단기억의 가능성 역시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한용운 사후 70년 동안의 집단 기억들을 검토하면서 한용운에 대한 다양한 주체들의 기억을 재구성하여 추상화된 역사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한용운이라는 기억의 장소는 역사의 이름으로 우리를 억압하기보다는 살아 있는 기억으로 확산되어 왔다. 한용운과 임화, 혹은 한용운과 이광수라는 우리의 기억의 장소는 서로 충돌하고 확산되면서 ‘진짜 기억’으로 전승가능해질 것이다. The issues surrounding the Korean historiography fo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elebration of Manhae, Han Yong Woon, are faced with a new juncture, coinciding with the seventieth anniversary of Han’s decease as well as a near-to-complete loss of his contemporaries. Recording history may become a challenged task, when all members of the generation with colonial experiences leave us. Acts of Remembrance for the seventy years of Japanese colonization hover over the space between history and memory, with the disappearance of most of its witnesse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or in other words from the fortieth anniversary of the Liberation, the witnesses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were aging fast. The recording of this period has been recognized as a form of memory, as opposed to just history, held by its contemporaries; to younger generations, however, it is gradually turning into complete history, or merely abstract records. This thesis asserts as a prime example placed between history and memory, the representation we call Han Yong Woon; it could not be entirely independent from the history-making of the strong singular nation state, but reveals the potential of collective memory that will not become converged into such historicizing. We have endeavored to overcome the abstract historicizing, through examining collective memories from the seventy years after the death of Han and reconstructing those memories of various people. Our lieu de mémoire named Han Yong Woon has been diffused into a living memory, rather than imposing on us in the name of history. Our lieux des mémoire of Han and Im Hwa, or Han and Lee Kwang Soo, will become transmittable as ‘real memory,’ through their collisions and diffusions.

      • KCI등재

        대한불교청년회의 한용운 정신 계승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23 大覺思想 Vol.39 No.-

        이 고찰은 대한불교청년회의 한용운 정신의 계승 문제를 살핀 논고이다. 필자는 한용운의 정신 계승 및 실천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탐구 하고 있다. 이는 만해 한용운의 연구 외연을 확대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 이다. 현재, 한용운 사상의 계승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단체 중에서 대한불 교청년회는 그 중심에 있다. 그러나 그에 관련된 자료집 발간, 학술적인 정리는 부재하다. 이런 전제하에서 필자는 이 고찰에서 대한불교청년회 한용운 정신 계승 에 대한 문제를 몇 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대한불교청년회가 한용운을 대한불교청년회의 역사에서 어떻 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둘째,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대한불교 청년회에서 한용운의 인식, 계승에 대한 역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960 년대는 화랑정신, 조계종단의 이념, 임진왜란의 의용승군 정신은 계승하였 다. 그러나 한용운에 대한 인식은 부재하였다. 1970년 3월 서울 탑골공원 에 한용운 비석이 건립되자 일시적으로 한용운에 관심을 가졌다. 이때 대 불청 창립 50주년 기념사업으로 만해 강연회를 주최하였다. 셋째, 한용운 사상에 대한 계승실천이 구체적으로 대두된 시기, 구체적인 사정을 조사하 였다. 그는 1978년에 등장한 선진규 집행부의 대한불교청년회 역사 찾기 사업에서 비롯되었다. 선진규 집행부는 한용운 탄신 100주년을 기념하여 만해 묘소 참배, 만해의 세미나 및 강연회 개최, 백일장 대회를 추진하였 다. 이런 사업의 추진은 그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이런 사업은 기본적으로 민족주의 흐름에서 대두된 것으로 보고자 한다. 필자의 이 고찰은 대한불교청년회의 역사 정리, 한용운 연구의 확장, 한 용운 정신 계승 단체 연구의 촉진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view is an thesis examining the problem of inheriting the spirit of Han Yong-un of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The author is intensively investigating and exploring the issues of inheritance and practice of Han Yong-un's spirit. This came out of the intention to expand the scope of Manhae Han Yong-un's research. Currently, among the organizations that are promoting the succession of Han Yong-un's ideology,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is at the center of it. However, there is no publication or academic arrangement of related materials. Under this premise, the author classified and investigated the problem of the inheritance of Han Yong-un's spirit in this study by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He is: First, it was investigated how the current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recognizes Han Yong-u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Second, the history of recognition and succession of Han Yong-un was investigated at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in the 1960s and 1970s. As a result, in the 1960s, the spirit of Hwarang, the ideology of the Jogye Order, and the spirit of the Volunteer Victory of the Imjin War were inherited. However, awareness of Han Yong-un was absent. However, when the monument to Han Yong-un was erected in Tapgol Park in Seoul in March 1970, he temporarily took an interest in Han Yong-un. Third, the period and circumstances in which the succession practice of Han Yong-un's thought emerged in detail was investigated. He originated from the history finding project of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by Sun Jin-gyu's executive branch, which appeared in 1978.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Han Yong-un's birth, the executive branch of Sun Jin-gyu promoted visiting Manhae's graveyard, holding Manhae seminars and lectures, and holding a 100-day festival. Promotion of this project continued after that. This review by the autho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organiz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expanding the study of Han Yong-un, and promoting the study of the group that inherited the spirit of Han Yong-un.

      • KCI등재

        만해의 옥중선시(獄中禪詩)와 중도(中道) 사상 -미당 서정주의 번역과 풀이로 읽는

        박판식 한국근대문학회 202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서정주의 풀이(번역과 해설)로 한용운이 감옥에서 쓴 14편 선시(禪詩)의 중도의 의미와 가치를 분석한 것이다. 한용운의 선시(禪詩)중에서 이 14편만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한 이유는 우선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한용운의 시집 『님의 침묵』이 견성한 스님의 선시(禪詩)라는 연구자의 선행 연구를 증명하는 것이다. 『님의 침묵』의 사상적 근거를, 본 연구는 한용운이 깨달은 1917년 이후의 선시(禪詩)에서 그 근거를 찾고 있다. 만해가 깨달았다는 증거는 『十玄談註解』 보다 앞서 한용운이 감옥에서 쓴 선시(禪詩)에 표현되어 있었다고 보아야한다. 다만 현대적인 형식을 갖추지 않은 채 중세적인 언어로 그것이 구현되어 있을 뿐이다. 한용운 스스로가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모르지만 굳이 우리말로 옮기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에 기존의 한용운 선시(禪詩) 번역은 애국충정에 근거한 관념적이고 의지적인 축면의 감상적인 정조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미 깨친 승려인 한용운의 선시(禪詩)가 그렇게 호락호락한 표현과 내용을 갖고 있을 리가 없다는 사실은 누구라도 쉽게 알 수 있다. 다행히 서정주라는 뛰어난 시인이 한용운의 한시를 선별하여 우리말 시로 옮긴 것이 있어 한용운 선시(禪詩)의 의의와 그 불교적 가치를 되살리게 되어 다행이다. 한용운의 선시(禪詩)를 우리말로 잘 옮기기 위해서는 적어도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하는데 첫째는 한시에 관한 깊고 폭넓은 교양이 있어야하며, 둘째는 불교에 대해 일정 수준이상 체득하거나 이해하고 있어야하며, 마지막으로는 당대와 맞물려 돌아가는 현대시의 언어감각을 체득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서정주는 한용운 한시의 가장 우수한 한글 번역자가 될 수밖에 없다. 한용운의 선(禪) 에너지가 가장 밀도 있게 표출되고, 그 에너지의 정체가 불교의 가장 핵심적 이치인 중도라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용운이 감옥에서 쓴 선시(禪詩) 14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한용운은 그의 평생에 걸쳐 한시를 썼다. 『님의 침묵』 발간 이후로 한용운의 한국어 시는 거의 없지만 한시 창작은 말년까지 지속되었다. 한용운의 한시는 한용운의 전 인생에 걸쳐 다채로운 면모들을 보여 주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한용운의 문학이나 불교사상에 관한 총체적 연구는 『님의 침묵』보다 오히려 그의 한시에서 그 근거를 찾아야할지도 모르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Middle Path and value of 14 of Han Yong-woon's Seon Poetry( Zen Poetry) written by Han Yong-un in prison with Seo Jeong-ju's interpreta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The reason for intensive analysis by selecting only these 14 of Han Yong-woon's Seon Poetry( Zen Poetry) is to prove the researcher's prior research that Han Yong-woon's poetry collection "The Silence of Nim" was realized as mentioned earlier. This study finds the basis for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Silence of Nim in the post-1917 Seon Poetry(禪詩), which Han Yong-woon realize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evidence that Manhae realized was expressed in the Seon Poetry written by Han Yong-woon in prison before the 『禪玄註解談十』. However, it is only implemented in medieval language without a modern form. In order to translate Manhae's Seon Poetry into Korean well, at least three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first, a deep and wide culture of Chinese poetry, second,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or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finally, a sense of language in modern poetry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time. In this respect, Seo Jeong-ju is bound to be the best Korean translator of Han Yong-woon's Chinese poetry. In order to prove that Han Yong-woon's Seon energy is most densely expressed and that the identity of the energy is Middle Path, the most important logic of Buddhism,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d 14 Seon Poetry poems written by Han Yong-woon in prison. Han Yong-woon wrote Chinese poems throughout his life.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Silence of Nim, there have been few Korean poems by Han Yong-woon, but Chinese poetry creation lasted until the end of the year.

      • KCI등재

        1930년대의 문화지형과 한용운의 삶

        배경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4 불교문예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서울이라는 특정한 공간과의 상관관계와 교우관계를 중심으로 한용운의 사회활동과 삶의 의미를 고찰했다. 정치적·사회적 지향이 강했던 한용운에게 서울은 사회적 실천의 무대이자 핵심적 공간이었다. 한용운의 서 울에서의 활동은 심우장 시기를 전후로 두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북촌시 대 한용운은『유심』이나『불교』발간을 통해 여러 방면의 저명인사와 교류하 면서 3·1운동 참여, 불교청년운동, 신간회 참여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이 기간 동안 한용운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사회활동에 매진했고, 그 결과 몸 과 마음이 극도로 쇠약해졌다. 1933년 한용운은 결혼을 계기로 성북동 심우장이라는 곳에 난생 처음으로 자신의 명의로 삶의 공간을 소유하게 되었다. 심우장에 거처를 마련하면서 한용운은 처음으로 주거공간과 사회활동(업무)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었다. 불교도로서 초심을 잃지 않고 끊임없이 참된 구도를 통해 사회적 실천을 이 어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이 심우장 이사의 중요한 동기였다. 성북동 심우장은 한용운의 주활동 무대였던 북촌지역과 도보로 왕래가 가능할 정도로 서울 도 심과 가까우면서도 참선 수행이 가능한 조용하고 인적이 드문 곳이라서 한용 운은 지론인 생활선의 실천공간으로 안성마춤이었다. 심우장시대는 한용운의 자유로운 영혼을 더 이상 허락하지 않았다. 일제의 협박과 회유로 많은 민족지도자들이 변절하고 전향했으나 한용운은 일제의 어떠한 유혹이나 협박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지조를 지켰다. 한용운은 변절자들과 공개적으로 절교를 선언하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한 김동삼의 유해를 모셔와 장례를 지내는 등 소극적인 저항을 계속했다. 그런가 하면 일 제의 온갖 회유와 협박에도 민족의 지조를 지킨 소수의 지사들과 마음을 열 어놓고 교류하면서 엄혹한 시기 민족의 앞길에 희망을 던져주었다. 그런 의 미에서 심우장은‘전시총동원체제기’라고 불리는 일제의 마지막 수탈과 발 악의 시기에 민족지조의 상징적 공간으로서 기억되고 있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Yongun Han’s social activity and the meaning of his life, focusing on correlation and association with the specific place, Seoul. Yongun Han’s activity in Seoul can be devided into two periods around the time of Simujang. Yongun Han, in the northern village time, expanded his activities, including participation for March, 1st Movement, Young men’s movement, and participation for Shingan association etc, making an exchange with famous figures from various circles through the publication of‘ Yusim’ (Only Mind) or 'Bulgyo'(Buddhism). During this time, he was striving into social activities both by day and by night, so his body and mind were emaciated by this result. With his marriage as a momentum in 1933, he could have his own living space at the first time of his life at Simujang in Seongbuk-dong. Getting his space at Simujang, Yongun Han could separate his living place from the space of social activities(work) at the first time. The significant motive of moving to Simujang was the will expression that he would keep his social activities through the practice to seek to the truth without losing his first mind as a buddhist. Since Simujang was the place which was close to downtown of Seoul, silent and unfrequented, so possible to practice Zen, it was the best spot for activities of living Zen that was Yongun Han’s main opinion. The time of Simujang didn’t permit Yongun Han’s free spirit any more. Many ethic leaders turned their coats and converted But Yongun Han did not change his mind by any temptation or threat of the Japanese Empire, and kept his own fidelity. Yongun Han proclaimed breaking up with turncoats publicly, and kept his passive resistance, for example taking Dongsam Kim’s ashes who was dead in Seodaemun prison etc. And also, he gave a hope message to the future road of Korean ethnic group during the brutal period making an exchange with a minority of patriots who kept their fidelities of ethnic group despite every and any conciliation and threat of the Japanese Empire. In such a meaning, Simujang is remembered as a symbolic place of Korean ethnic’s fidelity during the time of the Japanese Empire’s last exploitation and ditch effort, called 'Landsturm period'.

      • KCI등재

        한용운 시의 창작환경과 민족정서 형상화 방식

        구명숙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ems by Han, Yong-Wun, a poet, a pioneer, a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a national rights campaigner.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his idea of buddhism or an ideology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study, several of his works that represent his nationalism are analyzed to show how his stream of nationalist sentiments is formulated. Through this, we can analyzed how these poems encapsulates the ideology of national independence consciousness. His poem, ‘Silence of the Lover,' is taken as an example. There are several unique ways of configuration. First, he expresses 'the lover' as a metaphor of a country or a nation. The expression of 'waiting' is a metaphor of palpable sense of loss, over tones of despair. But at the same time, these expressions also possess confidence, a broad mind, and fearless emotions. Second,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of 'the lover' was expressed by metaphysical imaginations. He overcomes the realities of life by using metaphysical speculations and paradox. A women's acquiescent nature but strong confession are shaped to add the effect of an aesthetic sense. Third, readers can reconnect innumerable thoughts through his open-ended imaginary metaphor. Fourth, paradoxical question draws ideal thoughts or the realities of life. Finally, he provides a framework and space for generalization of the world and its people.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he lived as a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literature and he successfully captured the spirit of nationalism through poems, which makes it possible for Korean people of that era to share the spirit in secret ways. 한용운은 아름답고 섬세하며 쉬운 언어로 민족의식을 ‘님’의 존재로 말한 시인이다. 한용운은 삶의 방식의 한 방범으로 시를 썼고, 그 시는 어떠한 기교나 감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 아니었다. 따라서 한용운의 시에 대한 이해는 한용운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그의 생애를 짚어보고 그가 시를 창작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시 속에서 가장 크게 자리했던 ‘님’을 어떻게 형상화 해 냈는가를 고찰하였다.한용운의 시는 ‘님’과 ‘역설’에 의해서 그 전체를 아우를 수 있다. 님의 부재에 대한 인식을 형이상학적인 상상력에 의한, 부정과 역설에 의한 변증법적인 세계관으로 그린 그의 기법은 현실의 인식 이상의 사용을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세계는 여인의 순종적이면서도 강인한 고백으로 이루어지기에 더욱 아름답게 읽힌다. 한용운에게 님은 ‘민족’이라는 강렬한 존재로 남아 있지만, 그의 시가 가지고 있는 열린 상상력을 활용한다면 독자들은 그 님의 의미를 무수한 세계와 연관 지을 수 있다. 한용운은 현실에 대해 올곧은 정신으로 응전한 신념과 지조 높은 시인으로 ‘부재하는 님’을 끊임없이 노래함으로써 ‘부재’를 존재차원으로 끌어올려 보여준다. 즉 ‘님의 부재’를 감정이나 탄식으로 희석시켜 버리는 것이 아니라, ‘님의 부재’와 ‘임재해야 할 님’을 기다리며 쉬임없이 노래하여 민족의식과 정서를 고취시켰다.한용운은 민족 운동가로서의 삶을 문학으로 실천함으로써, 민족정신과 시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하여 우리 민족과 은밀한 소통을 주도해 온 독창적인 시인이었다. 한용운은 그의 시「님의 침묵」에서 조국과 민족을 ‘님’으로 설정하고 상실감과 절망감을 ‘기다림’에 의해서 다스리고 있다. ‘기다림’ 속에는 우리의 민족정서가 켜켜이 어우러져 있다. 즉, 여유와 자신감과 당당함이 내재되어 있으며 반드시 님을 다시 만난다는 희망을 담고 있었다. 한용운이 그의 시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님의 침묵과 부재를 통한 상실의 정서이다. 그는 님의 부재, 즉 상실에서 오는 슬픔과 한, 그리고 허무의식을 한국인의 기다림의 정서로 형상화함으로써 민족적 동질성을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한 관점에서, 그의 시는 개인적 삶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민족공동체적 서정을 노래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정신분석 치료에서는 머리로만 아는 지적 통찰만으로는 치유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더 중요한 것은 가슴으로 아는 정서적 통찰인데 그것을 얻어야만 치유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한용운의 시에서 끊임없이 노래하는 ‘님’을 통해 가슴으로 아는 정서적 통찰을 얻어당대의 민족의 한을 풀어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용운의 시는 당대를 넘어서고 세속을 뛰어넘는 초월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시는 현재에도 큰 효용성을 갖는다. 따라서 그의 시가 가진 현재적인 해석이나 가능성 또한 계속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문학(文學) ; 한용운 시의 창작환경과 민족정서 형상화 방식

        구명숙 ( Myong Sook K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한용운은 아름답고 섬세하며 쉬운 언어로 민족의식을 ``님``의 존재로 말한 시인이다. 한용운은 삶의 방식의 한 방범으로 시를 썼고, 그 시는 어떠한 기교나 감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 아니었다. 따라서 한용운의 시에 대한 이해는 한용운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그의 생애를 짚어보고 그가 시를 창작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그의 시 속에서 가장 크게 자리했던 ``님``을 어떻게 형상화 해 냈는가를 고찰하였다. 한용운의 시는 ``님``과 ``역설``에 의해서 그 전체를 아우를 수 있다. 님의 부재에 대한 인식을 형이상학적인 상상력에 의한, 부정과 역설에 의한 변증법적인 세계관으로 그린 그의 기법은 현실의 인식 이상의 사용을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세계는 여인의 순종적이면서도 강인한 고백으로 이루어지기에 더욱 아름답게 읽힌다. 한용운에게 님은 ``민족``이라는 강렬한 존재로 남아 있지만, 그의 시가 가지고 있는 열린 상상력을 활용한다면 독자들은 그 님의 의미를 무수한 세계와 연관 지을 수 있다. 한용운은 현실에 대해 올곧은 정신으로 응전한 신념과 지조 높은 시인으로 ``부재하는 님``을 끊임없이 노래함으로써 ``부재``를 존재차원으로 끌어올려 보여준다. 즉 ``님의 부재``를 감정이나 탄식으로 희석시켜 버리는 것이 아니라, ``님의 부재``와 ``임재해야 할 님``을 기다리며 쉬임없이 노래하여 민족의식과 정서를 고취시켰다. 한용운은 민족 운동가로서의 삶을 문학으로 실천함으로써, 민족정신과 시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하여 우리 민족과 은밀한 소통을 주도해 온 독창적인 시인이었다. 한용운은 그의 시 「님의 침묵」에서 조국과 민족을 ``님``으로 설정하고 상실감과 절망감을 ``기다림``에 의해서 다스리고 있다. ``기다림`` 속에는 우리의 민족정서가 켜켜이 어우러져 있다. 즉, 여유와 자신감과 당당함이 내재되어 있으며 반드시 님을 다시 만난다는 희망을 담고 있었다. 한용운이 그의 시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님의 침묵과 부재를 통한 상실의 정서이다. 그는 님의 부재, 즉 상실에서 오는 슬픔과 한, 그리고 허무의식을 한국인의 기다림의 정서로 형상화함으로써 민족적 동질성을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한 관점에서, 그의 시는 개인적 삶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민족공동체적 서정을 노래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정신분석 치료에서는 머리로만 아는 지적 통찰만으로는 치유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더 중요한 것은 가슴으로 아는 정서적 통찰인데 그것을 얻어야만 치유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한용운의 시에서 끊임없이 노래하는 ``님``을 통해 가슴으로 아는 정서적 통찰을 얻어당대의 민족의 한을 풀어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용운의 시는 당대를 넘어서고 세속을 뛰어넘는 초월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의 시는 현재에도 큰 효용성을 갖는다. 따라서 그의 시가 가진 현재적인 해석이나 가능성 또한 계속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ems by Han, Yong-Wun, a poet, a pioneer, a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a national rights campaigner.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his idea of buddhism or an ideology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study, several of his works that represent his nationalism are analyzed to show how his stream of nationalist sentiments is formulated. Through this, we can analyzed how these poems encapsulates the ideology of national independence consciousness. His poem, ``Silence of the Lover,`` is taken as an example. There are several unique ways of configuration. First, he expresses ``the lover`` as a metaphor of a country or a nation. The expression of ``waiting`` is a metaphor of palpable sense of loss, over tones of despair. But at the same time, these expressions also possess confidence, a broad mind, and fearless emotions. Second,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of ``the lover`` was expressed by metaphysical imaginations. He overcomes the realities of life by using metaphysical speculations and paradox. A women`s acquiescent nature but strong confession are shaped to add the effect of an aesthetic sense. Third, readers can reconnect innumerable thoughts through his open-ended imaginary metaphor. Fourth, paradoxical question draws ideal thoughts or the realities of life. Finally, he provides a framework and space for generalization of the world and its people.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he lived as a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literature and he successfully captured the spirit of nationalism through poems, which makes it possible for Korean people of that era to share the spirit in secret ways.

      • KCI등재후보

        한용운의 불교 근대화 기획과 승려결혼 자유론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08 大覺思想 Vol.11 No.-

        본고찰은 한국 근현대 불교의 가장 뜨거운 담론의 하나인 한용운의 승 려 결혼에 대한 제반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지금껏 이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찬반 양론의 감성적인 접근이 주된 정서였다. 이에 필자는 그 같은 접근을 참고하면서도 한용운이 승려결혼을 자유스럽게, 선택케 하자는 주장을 한 고뇌, 이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한용운을 승려결혼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선 근현대 승려 결혼 에 뒤엉킨 제반 문제를 냉정하게 바라보아야 한다. 즉 승려결혼의 도입 배경, 수용 과정, 결과, 문제점 등을 우선적으로 살펴야 한다. 그리고 해 방직후 불교개혁, 1950년대 비구승, 대처승의 정화운동, 정화운동 이후 의 변화, 현재 불교계 내부에서의 변질 등도 간과할 수 없다. 필자는 이 같은 근현대 불교계의 승려결혼의 문제, 흐름, 정서를 바라 보고, 한용운의 주장, 논리, 이념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필자는 한용 운의 불교근대화 기획의 핵심이 승려결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한용운의 그 논리는 조선불교유신론, 조선불교 개혁안, 한용운의 개혁론인 대중 불교론에 관철되었다. 한용운의 승려결혼 자유론에는 승려의 인권론과 불교사회화론이 강하게 개재되었다고 필자는 본다. 추후에는 한용운의 주장이 어떤 과정을 거쳐 불교계에 수용되었는가를 살펴야 된다고 본다. 그리고 현재 불교계에서 아직도 생명력을 갖고 있 는 한용운의 논리 중에서 한용운의 강조한 불교사회화론의 수용, 변질, 영향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This dissertation reviews the general discussion about Han Yong Woon's advocacy of clerical marriage of monks, which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modern Korean Buddhism. The emotional approach to this issue, where only the pros and cons are weighed, has been the major focus on this.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analyse Han's thinking process and reasoning behind his opinion about free marrage of monks as well as the general discussion related to this topic. In order to understand Yong-Woon's opinion about clerical marriage, we need to understand overall patterns of monk's free marriage in modern era. The first thing that needs contemplating is the circumstances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the process, results and problems from its acceptance in Korean monasticism. It should be followed by contemplation of the Buddhist movement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rification movement in the 1950s, the changes made from it, degeneration inside the Buddhist society. I made an attempt to contemplate the current concerns about free marriage of Buddhist monks in modern society as well as general responses to it, and to analyze Han's opinion, reasoning, and ideology behind it. As a result of this attempt, I confirm that the essence of Han Yong Woon's claim about Buddhist socialization is free marriage of Buddhist monks. His reasoning is consistent throughout his writings such as [Choseon Buddhist Yusinlon(朝鮮佛敎維新論)], Choseon Buddhist plans for reform, and Buddhism for the general public. I also suggest that Han Yong-Woon's advocacy of clerical marriage of monks strongly presents his passion about human rights for monks and Buddhist socialization. The process in which Han's opinion about marriage of monks were accepted to the Buddhist society need to follow all the discussions regarding to this issue.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can further look into Han's emphasis on the establishment, changes, and influences of Buddhist socialization, which still has its vial influence in the Korean Buddhist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