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창수시를 통해 본 한일문사 초기교류의 양상

        허경진(Hur Kyong Jin),김성은(Kim Seong Eun)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3 No.-

        본 논문은 초기 한일문사교류를 대표하는 하야시 라잔(林羅山, 1583~1657)의 시집 속에 기록된 창수시를 통해, 조선통신사와 일본문사의 초창기 문학교류를 검토하였다. 하야시 라잔은 첫 사행에서부터 6차 사행에 이르기까지 조선통신사 일행과 교류하며 시를 지어 주고받았다. 이들의 문학적 교류는 사행시기가 지날수록 하야시 라잔의 일방적인 창화에서 본격적인 창수로 발전하며 점차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야시 라잔은 대부분의 시를 서찰로 주고받았는데, 이 역시 후대의 창수양상과는 다른 특징이다. 하야시 라잔은 삼사신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사 일행과 시를 지었는데, 그 기록의 일부는 조선 측 사행기록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하야시 라잔 시집에 언급된 시의 양에 비해 조선쪽의 기록은 훨씬 적다. 이는 일본문사에 대한 조선통신사의 태도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6차 사행에 이르면, 하야시 라잔은 문학적으로 조선에 이름을 알리며 초기 한일문학교류의 중심적인 축을 담당하였다. 이는 후에 조선통신사와 일본 문사 사이의 창수가 활발해지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early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hun Tongsinsa(朝鮮通信使) and Japanese intellectual. In treating their early literary exchange, I will be concerned with the advocated poems of Hayashi Razan(林羅山) who associated with Joshun Tongsinsa for about 30years. As times went by, the literary exchange had changed from one-way writing to interactive advocacy. Hayashi Razan exchanged poems by letters, and this is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e later period. He wrote poems with various members of Tongsinsa as well as Samsasin(三使臣). However, most poems which were mentioned in his collection couldn't be found in Joshun's records. This is because the members of Joshun Tongsinsa didn't set a high value on Japanese poems at that time. At the 6th trip, Hayashi Razan became a well known intellectual to Joshun so that he could play a important role in literary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