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어(高句麗語) 모음(母音)에 ‘’가 없었을까? -고구려어 표음자의 해섭자(蟹攝字) 분석

        李 丞 宰 ( Lee Seung-jae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글은 중세 한국어의 ‘’에 해당하는 모음이 高句麗語에도 있었는지를 논의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고구려어 전체 표음자 713자 중에서 陰聲韻尾/*-i/를 가지는 60여 蟹攝字를 대상으로 삼아, 이들 중에서 韻腹에서만 음가차이가 나고 나머지 음운론적 요소는 동일한 音韻對立 쌍을 찾아낸다. 이 음운대립 쌍은 운미 /*-i/의 바로 앞에 어느 모음이 올 수 있는지를 말해 준다. 그런데 蟹攝에 속하는 泰韻, 祭韻, 廢韻 등은 漢語 中古音의 성조가 항상 거성이다. 이 거성운모는 한어 上古音에서는 자음운미 즉 입성운미를 가졌지만 한어 중고음에서는 음성운미 /*-i/로 변화했다고 한다. 따라서 해섭자를 기술할 때에는 이 거성운모가 첫째로 자음운미를 가질 때와 둘째로 음성운미 /*-i/를 가질 때의 두 가지로 나누어 기술할 필요가 있다. 첫째의 기술에서는 해섭 운모의 운복이 二元對立을 이루므로 /*a/와 /*e/의 두 가지 모음이 설정된다. 그러나 둘째의 기술에서는 三元對立을 이루므로 이밖에도 제3의 모음이 필요하다. 이 제3의 모음은 중세 한국어의 ‘’에 대응하는 /*Λ/이다. 고구려어는 주로 전기 중고음의 시기에 기록되었으므로 고구려어 음운체계를 논의할 때에는 둘째의 기술 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세 한국어의 ‘’에 해당하는 모음 /*Λ/가 고구려어에도 있었다고 본다. At least sixty xieshe 蟹攝 phonographs containing the coda /*-i/ were used to transcribe proper nouns in the language of Goguryeo 高句麗 (BCE 37~CE 668). Pronunciations of these phonographs have minimal pairs that differ in their main vowel. By comparing these minimal pairs, we can determine how many phonologically opposed vowels can be reconstructed in front of a coda /*-i/. This paper examines these vowels and discusses whether the vowel corresponding to /Λ/ in Middle Korean should be listed in the phonemic inventory of the Goguryeon language. Phonographs in some xieshe rhymes such as taiyun 泰韻, jiyun 祭 韻, and feiyun 廢韻 are all pronounced with the qu tone 去聲 in Middle Chinese (MC). Many scholars argue that these rhymes must have been pronounced with the ru tone 入聲 in Old Chinese (OC), which is represented by a consonant ending. Therefore, xieshe phonographs in the Goguryeon language can be analyzed in two different ways based on their tones in MC and OC. First, if we classify taiyun, jiyun, and feiyun as a ru tone rhyme as in OC, there is no example of minimal pairs differing in the main vowel among haiyun 咍韻, taiyun 泰韻, jieyun 皆韻, jiayun 佳韻, jiyun 祭韻, and feiyun 廢韻 in the Goguryeon phonographs. Thus, a main vowel of all six of these rhymes can be reconstructed as an identical /*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minimal pairs between these rhymes and qíyun 齊韻, which leads us to reconstruct another vowel /*e/ as a main vowel of qíyun. In this binary opposition, only /*a/ and /*e/ can be reconstructed as a main vowel of xieshe rhymes. However, if taiyun, jiyun, and feiyun are classified as the qu tone rhyme as in MC, the third vowel is required for triple opposition. In this scenario, there are a couple of minimal pairs between these rhymes and haiyun that differ in the main vowel. This means that the main vowel of haiyun was phonologically distinct from the main vowel of taiyun, jieyun, and jiayun in the Goguryeon phonographs. Thus, another vowel opposing the /*a/ and /*e/ should be allotted to the main vowel of haiyun. High vowels or rounded vowels cannot be a main vowel of xieshe rhymes. However, described as [-high, +back, -round, -low], the third vowel /*Λ/ is qualified as one of the main vowels of xieshe rhymes. Because almost every Goguryeon phonograph borrowed MC pronunciation, this paper prefers the triple opposition to the binary one.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Λ/, which corresponds to Middle Korean /Λ/, should be listed in the phonemic inventory of the Goguryeon language along with /*a/ and /*e/.

      • KCI등재

        高句麗語 母音에 ‘’가 없었을까? - 고구려어 표음자의 蟹攝字 분석

        이승재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글은 중세 한국어의 ‘’에 해당하는 모음이 高句麗語에도 있었는지를 논의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고구려어 전체 표음자 713자 중에서 陰聲韻尾 /*-i/를 가지는 60여 蟹攝字를 대상으로 삼아, 이들 중에서 韻腹에서만 음가 차이가 나고 나머지 음운론적 요소는 동일한 音韻對立 쌍을 찾아낸다. 이 음운대립 쌍은 운미 /*-i/의 바로 앞에 어느 모음이 올 수 있는지를 말해 준다. 그런데 蟹攝에 속하는 泰韻, 祭韻, 廢韻 등은 漢語 中古音의 성조가 항상 거성이다. 이 거성운모는 한어 上古音에서는 자음운미 즉 입성운미를 가졌지만 한어 중고음에서는 음성운미 /*-i/로 변화했다고 한다. 따라서 해섭자를 기술할 때에는 이 거성운모가 첫째로 자음운미를 가질 때와 둘째로 음성운미 /*-i/를 가질 때의 두 가지로 나누어 기술할 필요가 있다. 첫째의 기술에서는 해섭 운모의 운복이 二元對立을 이루므로 /*a/와 /*e/의 두 가지 모음이 설정된다. 그러나 둘째의 기술에서는 三元對立을 이루므로 이밖에도 제3의 모음이 필요하다. 이 제3의 모음은 중세 한국어의 ‘’에 대응하는 /*ʌ/이다. 고구려어는 주로 전기 중고음의 시기에 기록되었으므로 고구려어 음운체계를 논의할 때에는 둘째의 기술 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세 한국어의 ‘’에 해당하는 모음 /*ʌ/가 고구려어에도 있었다고 본다.

      • KCI등재

        韓國漢字의 一考察

        朴盛鍾(Park Seong Jong)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4 No.-

        이 글은 韓國漢字의 개념을 분명히 설정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韓國漢字의 유형을 설정하고 그 중 일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 보았다. 논의에 앞서 日本을 비롯하여 국내외에서 자주 사용되는 訓讀이라는 용어에 대하여, 訓과 釋의 개념과 실제 사용 양상을 위주로 살펴 보았다. 한국한자에 대하여 國義字, 國造字, 國變字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國義字는 기존의 漢字와 동일하되 뜻을 달리하여 사용하는 字로서, 한자 본래의 音대로 읽는 것과 아닌 것을 나누어 同音國義字와 異音國義字로 호칭하였다. 國造字는 漢字를 바탕으로 만들었으나 漢字와 전혀 다른 字로서, 釋과 音 중의 어느 것을 표기하기 위한 자인가에 따라 表音國造字와 表意國造字로 양분하였다. 國變字는 한자와 形은 다소 다르나 상호 연관성을 가진 字 즉, 한국에서 만든 漢字의 異字라 할 만한 것이다. 國變字에는 省劃字, 略字, 符號字, 異體字, 俗字, 訛字 등이 포함된다고 보았다. 이상의 분류에 따라 『韓國漢字語辭典』에 ‘國字’로 수록된 총 179자를 대상으로 國造字 중의 表音字 및 表意字, 그리고 國變字의 세 부류로 나누어 그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것은 表音字 및 表意字는 釋과 音중 어느 하나만이 유효하며, 國變字는 釋과 音을 모두 가진다는 점에 着眼한 것이다. Koreans learn each Chinese character by using its meaning and its sound(accurately speaking, its Koreanized sound). The meaning of a Chinese character is called s?k(釋), and the sound is called ?m(音). Nowadays most Koreans are using the word hun(訓) instead of s?k(釋), which for the most part belongs to native Korean but sometimes to word of foreign origin. Each Chinese character can have various meanings, namely many s?k(釋)s per one ?m(音). Among the various s?k(釋)s of a character there is the most typically and widely used one, which can be roughly named 'hun' (訓) of the character. S?k(釋) and hun(訓) on the whole look alike, but there exists something unlike between them So, Korean scholars are likely to prefer to use the term s?kdok(釋讀) rather than accept the term xundu-reading(訓讀), which we mean by a method of reading Chinese written texts according to one's language. Chinese characters of Korean origin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① the Korean-made pseudo-Chinese characters, ② Chinese characters whose usage is somewhat different in Korea from their own usages, and ③ Chinese characters of Korean origin which are not similar to the ones of their own in shape. In Korea, pseudo-Chinese characters usually lack either their meanings or their sounds, because they had been made to represent the peculiar things of Korea or the purposed sound. One type of pseudo-Chinese characters may be called 'logo-graphs', and the other type 'phonographs'.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韓國漢字語辭典) was compiled to gather 1) all the Korean-made pseudo-Chinese characters and 2) Chinese characters whose usage is somewhat different in Korea from their own usages, and 3) the compound words which had been made by Koreans with the medium of Chinese characters from the ancient times. Those characters which belong to the first group above mentioned are entitled with a mark "國字"(literally, characters made in our country). They amount to 179,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3 kinds of characters in this paper. These 3 kinds of characters are varia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phonographs, and also Korean logographs. The last two kinds of characters are Korean-made, so are not found in China or Japan or any other countries. Two elements, namely two graphs, are united to coin one Korean phonograph. In this case the upper graph is made of an Chinese character, whose reading is bound to s?k(釋) or ?m(音) of its own, and represents the onset and also the nucleus of one syllable. But the lower graph usually consists of either Korean alphabet, Han'g?l(한글), or Korean kugyol alphabet(口訣字). The lower graph represents the coda of one syllable. We can show, for examples, @(1-631, vol.l p.63l), @(2-249), @(2-681), @, @(1-716), @@(l-l72) as Korean phonographs. Korean-made logographs usually lack their own sounds, and if they had sounds their sounds work insignificantly. Logographs are coined to represent a thing or a thought or an institution and so on which is not found in China. Thus the sound of coined logograph is originally in accord with a word or a morpheme of one's language. @(l-292) is a good example. The typical and frequent type of Korean-made logographs are coined with one phonetic graph and with one signific graph. Examples are @(4-963), @(2-1101), @(2-1116). However, more and more Korean-made phonographs and logographs ought to be gathered together.

      • KCI등재

        석독구결에 쓰인 구결자의 특성

        문현수 국어사학회 2020 국어사연구 Vol.0 No.30

        본고에서는 석독구결에 쓰인 구결자의 특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지금까지는 각 구결자의 원자와 독법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어 왔는데, 이를 문자 체계의 관점 에서 거시적으로 파악해 보면 흥미로운 현상이 관찰된다. 첫째, 독음이 겹치는 구결자 는 ‘’와 ‘’처럼 다른 형태소를 표기하거나 ‘’와 ‘’처럼 문헌에 따라 상보적 분 포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둘째, ‘’처럼 독음이 여러 가지인 구결자는 모음조화에 따라 자동적 교체를 보이는 하나의 형태소를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구결자 중 에는 ‘’처럼 특정 형태소를 나타내는 표어자도 존재한다. 넷째, 연결어미 ‘-아/어’가 ‘’로 표기되는 것과 달리 모음조화 대립형이 별도의 형태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와 ‘’처럼 별도의 구결자를 통해 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말음첨기 자는 ‘[ㄴ](<隱)’처럼 원자의 초성이 없고 핵모음이 [ㅡ]인 경우에 종성을 이용한 것과 ‘[ㄱ](<只)’처럼 원자의 초성이 있고 핵모음이 [ㅣ] 경우에 초성을 이용한 것 이 있다. 여섯째, 조사나 어미에 자주 등장하며 다른 문법 형태소도 나타낼 수 있는 음절구조를 위주로 구결자 체계가 구성되었다. In the article, Characteristics of Kugyol Characters in Seokdok kugyol have been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riting system. First, There are many Kugyol Characters of the same sound value that represent different morphemes such as [ri] and [ri], or have complementar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uch as [yə] and [yə]. Second, There are many Kugyol Characters having various sound values such as [a/ə] that represent morphemes which have automatic alternation according to vowel harmony. Third,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like [hʌj] that represent morphemes as a logogram. Fourth,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such as [do] and [du] that represent different morphemes because they don’t have automatic alternation according to vowel harmony. Fifth,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representing a coda such as  [n](<隱), of which the original character does’t have an initial consonant and has a nuclues of ㅡ[ɨ] and has a final consonant used to represent the sound value. There are also some Kugyol Characters representing a coda such as [k](<只), of which the original character has an initial consonant used to represent the sound value and has a nuclues of ㅣ[i]. Sixth, the writing system of Kugyol Characters consist of those that are used to represent particles and endings including other grammatical morphe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