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조대 『포은집』 운각본(芸閣本)의 간행과 의의

        김보정(Kim, Boe-Jeo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포은집 은 고려 말 정몽주의 문집이다. 조선시대 가장 많은 판본을 갖고 있으며 아울러 가장 많이 간행된 문집이기도 하다. 특히, 세종 21년(1439)과 선조 18년(1585) 두 차례에 걸쳐 왕명에 의해 교서관에서 간행된 점은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고는 정몽주의 문집인 포은집 판본 가운데 선조 18년(1585)에 간행 된 포은집 운각본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선조 18년(1585)에 간행된 포은집 판본은 다양한 명칭을 갖고 있지만, 여기서는 운각본이라 칭하고자 한다. 포은집 운각본의 특징은 선조의 명에 의해 유성룡이 기존의 포 은집 을 바탕으로 하여 교정을 보았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산물이 주자의 「한문고이」를 본받아서 서술한 유성룡의 「연보고이」이다. 「연보고이」는 조선 전기 포은집 판본인 신계본, 개성본, 교서관본 등 세 본에 실려 있는 정몽주의 연보를 바탕으로 하여, 유성룡이 주자의 「한문 고이」의 예에 따라서 새롭게 정리한 것이다. 유성룡은 조선 당대 최고의 주자성리학자인 퇴계 이황의 문인이다. 그러므로 선조 18년(1585)에 간행된 포은집 운각본은 주자성리학의 대의명분에 바탕을 둔 판본으로서 그 내 용면에서 「연보고이」의 수록과 함께 기존의 포은집 에 수록되어 있는 정 도전의 글을 모두 삭제하는 것은 당연한 처사일 것이다. 포은집 운각본은 조선 후기 포은집 판본인 영천본, 봉화본, 숭양본 등의 저본이 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특히, 조선시대 선조대는 포은집 의 간행이 가장 많은 시기이다. 그 저변에는 정몽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찾을 수 있다. 중종대 정몽주는 문묘에 종사됨에도 불구하고, 재야에 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정몽주의 출처문제가 여전히 잔존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명종대 이황이 주자의 말을 빌어서 정몽주의 출처문제를 잠재웠으며, 선조대 이황의 문인인 유성룡은 주자의 「한문고이」를 빌어서 「연보고이」 를 서술하여 글로서 정몽주의 출처문제를 완전히 정리하고 있다. 이는 조선 후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계기가 된다. 현종대 송시열이 정몽주를 절의의 차원에서 그 위상을 찾기보다는 조선 성리학의 이학의 비 조로 인식하고, 여기에서 정몽주의 위상을 찾고자 한 점은 이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조대 포은집 운각본은 조선시대 정몽주 문집의 간행에서 조선 전기의 포은집 과 조선 후기의 포은집 을 구분하는 한 획을 긋고 있다. Poeunjib is the collected writings of Jeong Mong-Ju at the end of Korea dynasty. This book had the most edition and the most published book in Chosun dynasty. Especially, it has the meaning of being published in Kyoseokwan because of the command of king twice(21th year of King Sejong and 18th year of King Seonjo). This article is about one of those anthology’s edition, Poeunjib Ungakbon which was published in 18th year of King Seonjo. Althiough this edition had lots of names, we’ll call it ‘Ungakbon’ in this article. One of its feature was that Ryu Seong-Ryong corrected the original Poeunjib because of the order of King Seonjo. The result was shown by Ryu Seong-Ryong’s Yonbokoyi(年譜攷異) which emulated Zhuxi’s Hanmunkoyi(韓文攷異). Yonbokoyi was summarized by Ryu Seong-Ryong through the example of Hanmunkoyi, based on Jeong Mong-Ju’s chronology in three books which Poeunjib Shinkyebon, Poeunjib Kaesungbon, and Poeunjib Kyoseokwanbon. These books were the edition of Poeunjib in early Chosun dynasty. Ryu Seong-Ryong was one of Lee Hwang’s disciple who was the greatest Neo-Confucianism scholar in Chosun dynasty. Poeunjib Ungakbon was the edition based on Neo-Confucianism in 18th year of King Seonjo. Therefore, all articles of Jeong Do-Jeon in the contents of Poeunjib were deleted. Poeunjib Ungakbon had a signification that were the base of Poeunjib edition (Youngchunbon, Bonghwabon, Sungyangbon)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 King Sunjo of Chosun is the most popular period of publishing Poeunjib. On the other hand, we could find a change of recognition about Jeong Mong–Ju. Despite the fact that Jeong Mong-Ju is engaged in the temple in King Jungjong, the problem of Jeong Mong-Ju s source, which is constantly raised in the field, still remained. About these, Lee Hwang in King Myongjong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Jeong Mong-Ju s source by asking Zhuxi. Ryu Sung-Ryong, who was a disciple of Lee Hwang in King Seonjo, summarized the source of Jeong Mong-Ju s works by describing Yonbokoyi. This had lead to a shift in the recognition of Jeong Mong–Ju in the late Chosun Dynasty. Song Si-Yeol in King Hyunjong recognized as a juxtaposition of Chosun Neo-Confucianism rather than a term of Jeong Mong-Ju’s fidelity. Here, it have reflected the desire to find Jeong Mong-Ju s position.

      • KCI등재

        鄭夢周與明人的交遊 - 以 ≪圃隱集≫ 為中心 -

        여국강(Yu Guojiang)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원나라부터 명나라까지 왕조가 바뀐 후에 명나라는 동아시아의 조공 체계를 신속하게 재건하였다. 하지만, 이 체계는 홍무(洪武) 연간에 결코 공고하지 않았고 건국 초기에 명나라와 고려의 관계가 여러 번 풍파를 겪은 것이다. 바로 이런 상황에 정몽주가 외교 사절로 명나라에 여러 차례 가서 두 나라 관계의 정상화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외교 사절로써 명나라에 가는 도중 정몽주는 매우 많은 시문을 지었는데 사행길에서 따라 보고 들은 모든 것을 매일 반드시 시문으로 기록하였다. 명나라의 사신이 고려에 갔을 때에 정몽주도 여러 차례 시로 화답하였다. 그 시문들이 당시 사람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예를 들면 이색(李穡)은 그 교유시들이 바로 시사라고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포은집(圃隱集)』에 수록된 시문들을 통해 정몽주가 교유했던 명나라 사람들을 확인한다. 이 사람들 중에는 고려에 간 명나라 사절도 있고, 정몽주가 외교 사절로 명나라에 갔던 도중에 지났던 지역의 군사장관, 문신, 고승, 사대부들도 있다. 이를 통해 정몽주가 명나라 인사들과 광범하게 교유한 것을 알 수 있다. 정몽주의 교유시 중에는 명나라와의 외교 정치 요구에서 비롯하여 명나라의 전국 통일, 화이(華夷)지서를 재건하기, 명나라 대신들의 문재무공, 자기가 성세를 친히 만나 보는 것들을 표현하는 작품들도 있고, 정몽주 자신의 기호와 취향을 표현하는 작품도 있다. 명나라 인사들의 인품과 덕성에 대한 흠복과 앙모를 표현한 것이다.『포은집(圃隱集)』중의 시문들을 통해 중국측 사료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도 있고, 고려 쪽의 관련 시문들과 함께 대조하면서 읽을 수도 있다. 특히 정몽주가 고손지 등 인사들과 사상에 대해 교류한 시문들은 정몽주의 생애과 사상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아주 특별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포은집(圃隱集)』이 시사로써도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fter replaced the Yuan Dynasty, the Ming government quickly rebuilt the tributary system in East Asia. However, this system was not stable enough. In the Hongwu (洪武) period, there were a lot of problems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Goryeo. In this case, Jeong Mong-ju was appointed to the Ming Dynasty as the envoy,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repai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way to the Ming dynasty, Jeong Mong-ju wrote a large number of poems. When the Ming dynasty envoys visiting Goryeo, Jeong Mong-ju also wrote many poems. At that time, people spoke highly of these works. For example, Ri-Sag (李穡) said these poems “can be called historical poetry (詩史)”. According to Puyin Ji (圃隱集), this paper has carried on the textual research of the figures in the Ming Dynasty who made a contact to Jeong Mong-ju. Some of these people is the Ming Dynasty envoy to Goryeo, another part is the Ming Dynasty military governors, ministers, buddhists and other hermits. We can find that Jeong Mong-ju had contact with a lot of people in the Ming Dynasty. These poem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 the one hand, Jeong Mong-ju wrote some poems for political needs. The contents include the unity of the Ming Dynasty, the reconstruction of Sino-foreign country system (華夷秩序), the great achievement of the Ming Dynasty, the joy of a golden age, and so on. On the other hand, Jeong Mong-ju also wrote some personal poems. He expressed his own likes and ambition, or admiration for the figures in the Ming Dynasty. These poems have great significance. They can make up for the inadequacy of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nd also prove the relative historical materials of Goryeo. Especially some of them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search on Jeong Mong-ju’s life and thought. Therefore, we think Puyin Ji (圃隱集) is of great value as a historical poetry (詩史).

      • KCI등재

        포은 시문학 연구의 과제

        홍순석(Hong, Soon-Seuk)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포은학에 관련된 연구는 대략 2백여 편에 달한다. 포은학회 창립이후 발표된 논문이 그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문 · 사 · 철(文史哲)의 제한된 연구범주에서 시작한 포은학 연구가 이제 다양한 인접 학문과의 융합으로 범주가 확대되었다. 그만큼 연구 영역이 확대된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다시금 강조되는 사항이 ‘텍스트’이다. 포은학의 텍스트인 ≪포은집≫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포은 정몽주의 문집은 초간본인 ≪포은시고≫가 1439년에 간행된 이후 14종의 판본이 간행되었다. 기존의 한적목록을 바탕으로 확인된 ≪포은집≫이 총 281종 691책이지만, 실상은 더 많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새로운 자료도 결코 적지 않다. 일본 봉좌문고(蓬佐文庫)에서 발굴된 포은의 <대책문(對策文)>은 더없이 중요한 자료이다. 중국문헌에서 발굴된 시작품도 3편(6수)이며, 아직 확인되지 않은 일조시의 시작품 2편을 포함하면 5편(8수)이다. 국내 문헌 가운데 ≪삼봉집(三峰集)≫에서 1편, ≪송은집(松隱集)≫에서 3편의 시작품과 <제포은문(祭圃隱文)>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포은학연구의 기본 자료인 ≪포은집≫은 형태서지의 정보사항만 제기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내용서지 연구와 함께 종합적인 판본조사가 필요하다. 초간본을 비롯하여 14종의 판본에 대한 교감작업도 시급한 상황이다. ≪포은집≫에 수록된 시제(詩題)와 시구(詩句)가 판본에 따라 상이한 곳이 적지 않다. ≪포은집≫이 창작 순서대로 편집하였다고 하나, 중국 사행시의 경우 배열에 오류가 있다. 국내외에서 편찬된 문헌 속의 포은 시작품을 대비한 결과 오류가 더 심하다. 포은 시문학의 연구를 위해서, 더 나아가 포은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국내외 포은관련 문헌자료의 발굴과 현장조사가 필수적인 과제이다. 본고에서 제시되지 않은 국내외 도서관에 산재한 자료와 개인 소장본으로 전하는 것이 수없이 많으리라 본다. 이에 대한 관심을 각별히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포은집≫의 증보 · 교감 사업도 더없이 중대하다. 포은의 시문학연구를 위해서 가장 선결 과제가 증보교감본의 간행이다. 이제까지 형태서지학적인 관심만 기울였을 뿐, 내용서지학 측면에서의 연구는 시도 된 바없다. 아울러 포은학의 세계화를 위해 국역은 물론, 영어 · 중국어 번역본의 간행사업도 깊은 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There have been about 200 researches on Poeun, and more than half of them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foundation of Association of Poeum Studies. Having begun within the range of humanities, philosophy and historical studies, the research on Poeun has extended its scope of study with the cross discipline with various related studie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extended range of study, the subject of ‘text’ is to draw substantial academic attention. Now it’s time to show a keen interest in Poeunjip, which is a vital text in the field of Poeun research. Since the publication of Anthology of Poeun’s Poems in 1439, 14 woodblock-printed books of Poeunjip have been published. The list of Poeun’s works shows that 691 books of Poeunjip have been published in 281 types, but it is widely believed that more books actually have been published. This paper too proposes a quite a few new references to prove the existence of unexcavated material. Poeun’s “Daechaekmoon(對策文),”discovered in Japan’s “Bongjoamoongo(蓬佐文庫),” has a great significance. Three poems by Poeun have been found in Chinese bibliography, in addition to two other unverified poems. In Korean bibliography, one poem of Poeun has been discovered in “Sambongjip(三峰集)” and three others in “Songeunjip(松隱集)” including “Chepoeunmoon (祭圃隱文).” Poeunjip has nothing but the record of material bibliography, an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study on the woodblock-printed books as well as on the content bibliograph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ach a consensus on the study of 14 kinds of woodblock-printed books. The themes and phrases in Poeunji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version of woodblock-printing. In the case of Chinese four-line verse, there are a lot of errors in terms of arrangement, especially compared with Poeun’s poems in Korean bibliography. The excavation of overseas and domestic literature on Poeun and the field study are essential to further study on Poeun’s poetry and the globalization of Poeun study. It is presumable that there are so many material concerning to Poeun including those offered in this paper, whether in public library or in private collection. The next academic step should be focused on those material that are not available at the moment. Another important thing to be done first is to lead a social consensus on the supplement of Poeunjip. Compared to the material bibliography, the content bibliography is still in its nascent stage. The translation of Poeunjip into English and Chinese as well as modern Korean is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globalization of Poeun study.

      • KCI등재

        <포은집> 교감본 간행을 위한 선행연구

        홍순석 포은학회 2020 포은학연구 Vol.25 No.-

        본고는 『포은집』의 교감본을 간행하기 위한 선행연구이다. 필자는 「포은시고 판본의 고찰」에서 책제가 ‘포은시고’로 표기된 초간본(봉좌문고), 신계본(가람문고·부산시립도서관·만송문고), 개성본(장서각), 황주병영본(국립도서관)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영천구각본을 저본으로 『포은집』 12종의 판본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작업으로 원문의 소주(小注)에 첨기된 사항을 검토하고, 원문에 사용된 중첩자(重疊字)‧이형동자(異形同字)‧이자동의(異字同意)‧이자이의(異字異意)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포은집』 교감본의 저본으로 선정한 영천구각본에 수록된 시제(詩題)는 권1에 120제, 권2에 132제, 권3에 6제 모두 258제이다. 『포은집』 판본 12종을 대상으로 포은의 시 258제를 대비해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 보이면 다음과 같다. 1.포은집』 판본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금성역회송경제우(金城驛懷松京諸友)>(1021:0), <용수편이공봉운(用首篇李供奉韻)>(3251;0) 2건은 일부 판본에서 시제(詩題)가 달리 표기되어 있으나, 영천구각본 이후의 판본에서는 변개된 사실이 없으므로 저본대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2.초간본‧신계본‧개성구각‧황주병영본에서 사용된 중첩자(重疊字)‧이형동자(異形同字: 俗字‧古字‧異體字)‧이자동의(異字同意)의 사례는 저본인 영천구각본의 정체자로 교감하는 것이 타당하다. 3.이자이의(異字異意)의 사례에서 특정 판본 1종에서만 달리 쓰인 경우는 오류로 처리해도 무리가 없다. 저본인 영천구각본에서만 쓰인 3216:2의 ‘不材’는 해당 시구의 의취에 부합하지만 다른 판본에서는 모두 ‘不才’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저본을 수정해야 되는 사례이다. 4.<표 6> 이자이의의 사용례에서 거론한 사례 가운데, 초간본・신계본・개성구각본에서 표기한 ‘地闊’ ‘虎距’ ‘遼太路’ ‘季扎’ ‘儀刑’ ‘盛朝’ ‘聖世’는 저본인 영천구각본의 표기 ‘地闢’ ‘虎踞’ ‘遼左路’ ‘季札’ ‘儀形’ ‘聖朝’ ‘盛世’를 따르는 것이 타당하다. 5.이외의 다음 사례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 교서관본 간행시 교정되고, 이후의 판본에서 다시 교정된 사례이며, 여러 판본에 각각 다르게 표기되어 있기 때문이다. 1044:1의 ‘重過’ ‘重遊’에서는 영천구각본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의 판본에서 달리 표기도고 있는데, ‘遊’자가 대구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므로 ‘重遊’보다는 ‘重過’로 표기함이 무리가 없다. 1046:1의 ‘不勝淸’은 교서관본・봉화각본에서만 ‘不勝情’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표기에 따라 시상(詩想)이 달라지기 때문에 교감이 난해해진다. 2138:6의 ‘人間’ ‘人閒’은 여러 판본에서 혼용하고 있다. 이 역시 표기에 따라 시상이 달라진다. 2152:3 ‘纖埃’는 봉화각본 이후의 판본에서는 ‘塵埃’로 표기되어 있다. 이 역시 표기에 따라 시상이 달라진다. 그동안 포은 정몽주의 시문에 대한 연구는 타 연구자들에 비해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다시금 강조되는 사항이 ‘원전자료’이다. 포은학의 텍스트인 『포은집』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is paper is a Prior study for publishing a basic text of Poeun’anthoiogy(圃隱集). After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Poeun’anthoiogy is added fourteen tims until Okssan-edition(玉山本) published in 1903. It is unusual for one type of works to be fourteen tims. In the previous study, I analyzed the edition of Poeun Sigo. In this paper, I analyzed 12 kinds of Poeun’anthoiogy using the Yeongcheon’first edition(永川舊刻本) as the base. Specifically, the matter recorded in a small comment in the original text was reviewed. And the case of duplicate characters(重疊字), Characters with different shapes but the same meaning(異形同字), A character that has the same meaning as another character(異字同意), Characters with different forms and meanings(異字異意) used in basic text was analyzed. Poeun’anthoiogy(圃隱集) contains 258 title poems. Specifically, 120 poems are listed in the first volume. The second volume contains 132 poems. There are 6 poems in the third volume.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1.Two such as <金城驛懷松京諸友>(1021:0), <用首篇李供奉韻> (3251;0) have different titles in some editions. However, nothing has changed in later versions of the basic text.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process it in the basic text notation. 2.It is advisable to modify the case of duplicate characters(重疊字), Characters with different shapes but the same meaning(異形同字), A character that has the same meaning as another character(異字同意), Characters with different forms and meanings(異字異意) in the first edition(初刊本), Singye-edition(新溪本), Gaiseung’ first-edition (開城舊刻本), Hwangju barrackst-edition(黃州兵營本) by the notation of the basic text. 3.The case of Characters with different forms and meanings(異字異意)is found only in one edition, so there is no problem in handling it as an error. ‘不材’(3216:2) recorded only in Yeongcheon’first edition(永川舊刻本)was recorded as ‘不才’ in other’s edition.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modify it to ‘不才’. 4.In the case shown in <Table 6>, Characters with different forms and meanings(異字異意)is reasonable to modify ‘地闊’ ‘虎距’ ‘遼太路’ ‘季扎’ ‘儀刑’ ‘盛朝’ ‘聖世’ to ‘地闢’ ‘虎踞’ ‘遼左路’ ‘季札’ ‘儀形’ ‘聖朝’ ‘盛世’ of the basic text. 5.The following cases need further discussion. This is because it was corrected when the Gyoseoguan-edition(校書館本) was published, and revised again in later editions, and it is written differently in different editions. As a specific example, ①‘重過’ ‘重遊’(1044:1)is written differently in the previous and subsequent editions starting from the Yeongcheon text. It is reasonable to write ‘重過’ rather than ‘重遊’. ②‘不勝淸’(1046:1)is recorded as ‘不勝情’ in Gyoseoguan -edition(校書館本)・Bonghwa-edition(奉化刻本), but it is difficult to correct because the poetic sensibility varies according to the notation. ③‘人間’ ‘人閒’(2138:6) is mixed in several editions. Even in this case, the poetic sensibility varies according to the notation. ④‘纖埃’(2152:3) is written as ‘塵埃’ after the Bonghwa -edition(奉化本). Even in this case, the poetic sensibility varies according to the notation.

      • KCI등재

        『圃隱集』을 통해 본 文集의 刊行動因

        崔彩基(Choi, Chae-Gi) 한국고전번역원 2007 民族文化 Vol.- No.30

        포은 정몽주는 한국 역사상 충절과 성리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인식 되어 왔다. 이에 따라 그의 문집인 포은집은 조선시대 500년 동안 14회에 걸쳐 간행이 이루어졌다. 포은집의 간행에는 褒忠, 道統, 興學, 崇祖라는 네 가지 動因이 작용하였다. 즉, 국왕과 사림, 지방관과 후손들이 각자 자신들의 목적에 따라 적극적으로 포은집의 간행에 나선 것이다. 국왕은 그의 충절을 선양하기 위해 포은집을 간행하였고, 사림은 자신들이 성리학적 도통을 계승했음을 과시하기 위해 간행하였으며, 지방관은 문교를 진흥하기 위해서, 그리고 후손은 조상을 현양하기 위해 간행에 참여하였다. 이들 네 주체는 포은집 간행을 위해 서로 연대하기도 하고 경쟁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 문집 가운데 최다의 판본을 보유한 포은집의 간행 동인을 분석함으로써, 조선시대 문집 간행의 배경과 동기를 고찰하는 하나의 분석틀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Poh-Eun(Jung Mong-Joo) historically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typical Neo-Confucian scholar who devoted his life to the country in Korea. Accordingly the collected writings of Poh-Eun were published as many as 14 times for 500 years of Cho-Sun Dynasty. We can take account of four main causes which resulted in so many publications ; the praise of his loyalty by the country, the inheritance of Neo-Confucianism by the following scholars, the promotion of education and culture by the local officials, the veneration of their ancestor by his descendants. That is to say, the country, the following scholars, the local officials and his descendants eagerly published the collected writings of Poh-Eun each on purpose to gain their own ends. Those four groups worked separatedly, unitedly or competitively for the publication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offer an approach to the background and the motive of publications of the collected writings in Cho-Sun Dynasty by analyzing four main causes which brought about so many publications of Poh-Eun’s collected writings.

      • KCI등재

        「포은집」에 나타난 정몽주의 시 세계 고찰– 경북지역에서의 생애와 음악적 내용을 중심으로 –

        정윤희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2023 대구경북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선생의 문집에 수록된 시 작품 중 경북 지역과 관련된 내용을 토대로 그의 시 세계와 심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포은의 사후부터 현재까지 많은 분야에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므로 포은에 대한 연구는 하나의 학문 분야를 형성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에는 연구의 진행 양상이 포은 개인에 대한 관점으로까지 확대되어 그의 작품에 관한 문학적 탐구를 비롯하여 제례와 영정 등과 같은 분야에서도 성과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학문 분야로서 포은에 관한 연구를 더욱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포은선생문집(圃隱先生文集)」에 나타난 작품을 통해 그의 생애에 대한 재인식을 시도하였다. 특히 이러한 검토 과정에서 드러난 음악적 내용을 아울러 검토해 봄으로써 고려말 사회문화 및 포은 개인의 음악문화에 대한 개별적 이해와 감상을 추론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시 작품의 분석 범위를 그의 고향인 경상북도(慶尙北道) 지역으로 한정하여 관련 내용을 주요 검토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본고의 검토를 통해 도출된 유의미한 결과들은 새로운 시각으로 포은의 생애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 고려말 경북지역의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기 때문이었다. 검토 결과 드러난 사실은 두 가지로 구별되는데, 첫째, 경북지역과 관련된 포은의 시 작품들은 영주(永州) 지역을 중심으로, 안동(安東), 칠곡(漆谷), 의성(義城), 경주(慶州) 등과 연계된 폭넓은 지역적 분포를 보여주며, 「포은집」에 수록된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 볼 때, 작가의 개인적 감상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특징이 주목되었다. 둘째, 경북지역과 관련된 포은의 시 내용 가운데, 고려시대(高麗時代) 사회문화를 살필 수 있는 작품들을 통해, 경북지역 내 지방관리(地方官吏)의 민요채집(民謠採集) 활동을 비롯하여, 태평소(太平簫), 옥적(玉笛), 비파(琵琶) 등과 같은 당(唐)·향악기(鄕樂器)에 대한 음악적 내용들이 확인됨으로써, 고려말 경북지역 상류층에서의 음악문화를 엿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etic world and imagination of the scholar Chŏng, Mongju (1337-1392), also known as Poŭn, based on the content related to the Gyeongsangbuk-do region found in his collection of poems. Research on Poŭn has continued in various fields since his passing, making it an established academic discipline. Recently, the focus of research has expanded to include a perspective on Poŭn as an individual, leading to significant achievements in literary exploration of his works and in areas like rituals and ancestral worship. However, to further solidify research on Poŭn as a distinct academic field, ongoing evalu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s necessary. From this standpoint, this paper attempted to reevaluate his life through the works found in the Poŭn's Collected Works(hereafter PCW), called Poŭn-jip,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usical elements that emerged during this review. This approach allowed for a deep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cultural aspects of the Koryŏ era society and Poŭn's personal music culture.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his poetic works is limited to his hometown of Gyeongbuk area, selecting the relevant content as the primary subject of examination. This limitation was chosen because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paper not only provide new insights into Poŭn's life but als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Koryŏ dynasty in the Gyeongbuk regi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wo main points: First, Poŭn's poetic works related to the Gyeongbuk region exhibit a wide geographical distribution, with a focus on the Yeongju area and connections to Andong, Chilgok, Uiseong, and Gyeongju. These works stand out for their more concrete expression of the author's personal sentiments when compared to other works found in the PCW. Second, among Poŭn's poems related to the Gyeongbuk region, certain works shed light on the culture of the Koryŏ era, such as the activities of local officials in the region and musical elements related to tang-ak and hyang-ak instruments. These elements include the t’aepyŏng-so, ok-jŏk, and bip’a, providing insight into the musical culture of the upper class in the late Koryŏ dynasty in the Gyeongbuk region.

      • KCI등재

        『포은시고』 판본에 대한 고찰

        홍순석(Hong, Soon Seuk)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After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Poeun’ anthology is added fourteen times until Okssan-edition was published in 1903. It is unusual for one type of works to be published fourteen times. The fact that a collection of Jeong Mongju’s works was published before an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n confusing ti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meant a lot. Currently, there are 206 types and 481 volumes of Poeun’anthology(圃 隱集) housed in all of the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The most remarkable thing among them is a two-volume book of Poeunsigo(圃隱詩 藁) housed in the Pusan city library. This edition is designated as tangible cultural assets No. 49. since it is later printing, which is a revised edition in 1439(Sejong21). Even though it has been discussed about Poeun’anthology(圃隱集) , it has not tried to take demonstration of the first edition.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in Housa Bunko which is the title of the first volume is marked as Poeunsigo, Singye-edition(新溪本: Garammungobon·釜山市立圖書館 本·晩松文庫本), Gaiseung-edition(開城本), and Hwangju barracks– edition(黃州兵營本). As a result, the following several facts are determined. First of all, the first edition which has been known for being destroyed remains in Housa Bunko(蓬佐文庫)of Japan. Also, Singye-edition and the first edition were expected for the same one, but it turns out that those edition are not identical. Poeunsigo(圃隱詩藁) which is housed in Bongjwa library is a printed book as the first edition. Whereas it is very well preserved, the preface is destroyed and someone touched the end of the first volume and second volume PartⅠand PartⅡ(page4) of the draft of Poeunsigo. Works in the first volume of Poeunsigo and in the second one are 120 and 134 respectively. Lee sack s three works, 〈圃隱齋記〉 〈題圃隱記後〉 〈憶鄭散 騎〉, are added at the end of the second volume and marked as ‘校記’ in pansim(板心). Poeunsigo which is designated as Pusan cultural asset No.46 is not a second volume of the first edition but a second volume of Singye-edition(新溪本). There are seven kinds of Shingye-edition in the country: Garam paperback in Kyujanggak, a paperback of paperback of Korea University and so one. Those were printed at different times. The edition in City library of Pusan is published in 1632(Injo 10) in that the period of publication, ‘大明崇禎五年 三月 日’, is engraved in the end of a book. Shingye-edition included 120 poems in the first volume and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first edition. The second volume included 135 poems, which is one poem is added in the first edition. 〈圃隱齋記〉 〈題圃隱記 後〉 〈憶鄭散騎〉 which are marked as ‘校記’ in the first volume are contained in 「Japjeo(雜著)」 and added Leesack s 〈書江南紀行詩藁後〉, Yubangseon s 〈訪圃隱先生舊居小賦〉. Ultimately, Shingye-edition added a Poeun s work, a Mokeun s work, and a Yubangseon s work. Gaiseung-edition(開城本) is a wooden printing which is published in 1575 when sungyang seowon received a framed picture from the King. 포은집 은 초간본이 간행된 후, 1903년 옥산본이 간행될 때까지 14차례에 걸쳐 판각이 이루어졌다. 1종의 문집이 14차에 걸쳐 간행된 것은 드문 일이다. 더욱이 임진왜란이나 조선말기의 혼란 시기를 전후하여 포은 정몽주의 문집이 간행된 사실은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 전국 36개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포은집은 206종 481책이다. 이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부산광역시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포은시고 2권 1책이다. 이 판본은 1439(세종21)에 개판한 초간본의 후쇄본이라고 하여 시도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동안 최채기, 양진조, 홍순석 등에 의하여 포은집 판본에 대해여 논의된 바 있으면서도. 초판본에 대한 변증은 시도된 바 없다. 최채기는 실전 되었다고 하였으며, 양진조는 부산시 문화재 49호로 지정된 포은시고 가 초간본의 후쇄본이라고 소개하였다. 필자는 일본 봉좌문고본이 초간본이라 고 소개만 하였을 뿐이다. 그동안 포은집 판본에 대한 연구에서 미흡했던 점이 바로 이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권수(卷首)의 제목이 ‘포은시고’로 표기된 초간본(봉좌문고본), 신계본(가람문고본·부산시립도서관본·만송문고본), 개성본(장서각본), 황주병영본(국립도서관)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포은시고 판본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음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우선, 최채기․김기빈 등이 일실된 것으로 간주한 초간본이 일본 봉좌문 고에 현존하고 있으며, 최채기는 신계본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였 으나, 초간본과 신계본을 대조해 본 결과 동일한 판본이 아니다. 일본 봉좌 문고에 소장된 포은시고 는 초간본으로 활자본이다. 현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권채의 서문이 소실되었고, 시고의 권지상 말미와 권지하1~2장(4면)은 누군가가 보필하였다. 시고 권지상에 수록된 작품은 120제, 권지하에는 134제이다. 이색의 작품 〈포은재기〉 〈제포은기후〉 〈억정산기〉 3편을 권지하 말미에 추각하였는데, 판심에 ‘校記’로 표기하였다. 부산문화재 46호로 지정된 포은시고 는 초간본의 후쇄본이 아니고 신계 본의 후쇄본이다. 국내에 소장된 신계본은 규장각 소장 가람문고본(가람貴 819.4J464P)과 연세대도서관본(貴237-1, 貴237-2),관, 고려대 만송문고본 (晩貴345) 등 7종이 있으나, 쇄출한 시기는 각각 다르다. 만송문고본은 일휴 당 금응협(琴應莢:1526-1586)의 소장인으로 보아 판각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쇄출한 판본이다. 유부의 중간 발문도 있어 현존 신계본 가운데 주목되는 자료이다. 부산시립도서관본은 권미에 ‘大明崇禎五年 三月 日’이라는 간 기가 추가로 판각되어 있음을 볼 때 1632년(인조10)에 간행한 판본인 셈이다. 신계본은 권상에는 시 120제를 수록하였는데 초간본과 차이가 없다. 권 하에는 시 135제를 수록하였다. 초간본에다 〈척약재명(惕若齋銘)〉 1편이 추가된 것이다. 초간본에서 판심에 ‘校記’로 표기하여 수록한 〈포은재기(圃 隱齋記)〉 〈제포은기후(題圃隱記後)〉 〈억정산기(憶鄭散騎)〉는 ‘잡저(雜 著)’라는 편목 하에 수록하였다. 그리고 이색의 〈서강남기행시고후(書江南 紀行詩藁後)〉, 유방선의 〈방포은선생구거소부(訪圃隱先生舊居小賦)〉를 추가하였다. 결국 신계본은 초간본에다가 포은의 작품 1편과 목은의 발 문 1편, 유방선의 작품 1편을 추가한 셈이다. 개성본은 1575년 개성의 숭양서원 사액 당시에 간행한 목판본이다. 한호 의 글씨로 판각된 것으로 이전의 판본인 신계본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시문 의 표기체계에서 초고본과 신계본에서 쓰인 고자(古字), 이자(異字)를 정자 체(正字體)로 바꿔서 썼으며, 오탈자를 바로 잡았다. 이후의 판본에서는 개 성본의 표기를 그대로 쓰고 있다. 개성본 간행시 증보된 작품은 〈용이공봉 운(用李供奉韻)〉 3수와 〈송송정랑안경상도〉 1수, 〈청물영원사소(請勿迎 元使疏)〉 〈제김득배문(題金得培文)〉이다. 황주병영본은 교서관본 영천초각본 이후에 간행된 판본임에도 개성본 (1575)을 모본(母本)으로 복각한 때문인지 수록된 내용은 개성본에 가깝다. 개성본에 노수신의 서문이 추가되었으며, 시문은 〈제동포맹사문희도시축점 민자(題東浦孟斯文希道詩軸占民字)〉 〈김해산성기(金海山城記)〉 2편 이 증보되었으며, 그리고 포은화상과 포은유묵이 추가되었다. 포은연보의 기사는 개성본과 같다. 포은시고 판본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서제교역벽상(書諸橋驛壁 上)〉(上005), 〈소금성역회송경제우(小金城驛懷松京諸友)〉(上021), 〈제요동방진무선(題遼東龐鎭撫扇)〉(上048) 등은 이후 간행된 판본에서 시제가 바뀌어 있다.

      • 『圃隱集』 序文등에 보이는 圃隱觀考察

        徐大源 포은학회 2008 포은학연구 Vol.2 No.2

        서문 등에 보이는 포은관의 분석을 통해 왜 정몽주는 고려말의 다른 진충 열사(盡忠烈士)들 보다 높이 평가 받으며 조선초기의 이학자 그리고 공로를 세운 관료들보다 강렬한 인상을 주는지를 알 수 있다. 그것은 이미 앞에서 말한 대로 정몽주의 의미와 위상은 단순한 충신이나 능신(能臣) 차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정몽주를 바라보는 층차는 세 가지이다. 충절(忠節), 공업(功業), 문명(文明)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관점 혹은 각도를 이해해야 지만 조선시대 학자들이 바라보는 정몽주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과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현재의 입장에서 합리적으로 새롭게 평가하는 것이 과거를 접근하는 정도(正道)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위의 세 가지 층차는 시사해 주는 바가 매우 크다.

      • 圃隱集의 國內外 現存 現況 및 課題

        梁鎭潮(YangJinJ) 포은학회 2008 포은학연구 Vol.2 No.2

        포은집은 1439년 초간본이 발간된 이후 1903년 진주 옥산서원에서 목판본이 발간될 때까지 개성을 중심으로 한 황해도 지역과, 영천․봉화․진주의 서원을 중심으로 한 경상도 지역에서 총 14종이 발간되었다. 이렇게 발간된 포은집이 현재 소장되어 있는 곳은 아무래도 대학도서관이 압도적인 수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 36개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포은집은 206종 481책이다. 이중 주목 할만 것은 부산광역시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포은시고』2권 1책으로, 세종 21년(1439)에 개판한 초간본의 후쇄본이라고 하여 시도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개인 소장본의 경우, 38종 108책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주로 1585년 이후의 간본들임을 알 수 있다. 지역적으로는 경상도가 87%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국외에 흩어진 포은집 중 가장 많은 소장하고 있는 나라는 일본이다. 모두 26종 78책의 포은집이 일본에 현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중 관심을 끄는 것은 초간본이 확실시되는 봉좌문고에 소장 『포은시고』이다. 이외의 국가의 경우, 중국에 3종 8권, 미국에 4종 12책이 버클리대학과 미의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이한 것은 북한에 소장된 4종의 책이다. 따라서 지금 국내외 현존하는 포은집은 총 281종 691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oeun collection have been found 14 kinds in the following area, near Kaesung around Hwanghaedo, and around KyangSangdo like Youngchen, Bonghwa, auditorium of Jinju between 1439 publishment of original copy and 1903 the issue of block book in Jinju Oksan auditorium. Those Poeun collections which have been published are mainly collected in university libraries. There are 206 kinds 481 books of Poeun collection possessed in 36 institutions on a national basis. One of above can be focused, 'Poeun Sigo' 2 document and 1 book. It has been known as the later version of original publishment which was issued the 21st year of Saejong's ruling(1439), and is appointed as Provincial 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49. We could confirm 38 kinds 108 books which are owned by private, and there are mostly printed books after 1585. There are about 87% of books in Kyoungsangdo. Japan is the country that has the most Poeun collections abroad. We could confirm that there are 26 kinds, 78 books in Japan. 'Poeun Sigo' contained in Bongjwha library is the one attracts our interest, which is guessed to be the original publishment certainly. Other nations which collected books are as followed, China has 3 kinds 8 books, US has 4 kinds and 12 books in Berkeley University and Library of Congress. Therefore total Poeun collections confirmed domestic and abroad are 281 kinds 691 books.

      • KCI등재

        죽유 오운의「포은집」교정에 대하여

        김순희 한국서지학회 2005 서지학연구 Vol.32 No.-

        오운은 조선 중기(中宗 35~光海 9)에 활약한 인물로 이 시기에 있어서 주목해야할 도서편찬자이다.오운은 圃隱集의 교정을 하는 과정에서 원문의 오류를 수정하는데 있어서 치밀하고도 숙련된 솜씨를 보였으며, 체재의 구성이나 배열에 있어서도 확실한 주관을 갖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편집의 체재, 구체적인 내용의 오자 교정 등에 관심을 집중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실상을 밝힘으로써 오운이 도서의 저술 및 편찬은 물론 교정에 있어서도 일가견이 있는 인물로서 조선 중기의 주목할 만한 도서 편찬자임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Ow-Un was a remarkable compiler of the middl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A.D. 1540~1617). In correcting the errors of the originals, he was very careful and diligent. He had his own ideas on the rearrangement or reconstruction of sentences. Especially, he concentrated his attention on the system of compiling and correcting of typos in the characters meaning. This article tries to prove he was good at writing and correcting and he was a good compiler of the middle years of the Chosu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