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의 제작기술 연구

        이승찬,배고운,정광용 국립문화재연구원 202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7 No.1

        In this study, a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Buddha statue and the production of raw material origin was conducted through scientific analysis on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of Goseongsa Temple, a treasure. As a result of microstructure analysis through a metal microscope, it was confirmed that the microstructure of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of Goseongsa Temple was a process-type dendritic structure, and the casting structure of bronze was well represented, so it was manufactured through casting. Subseque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lloy composition ratio through SEM-EDS, it was identified as a ternary alloy with 81.26 wt% of copper (Cu) and 16.42 wt% of tin (Sn) and 1.72 wt% of lead (Pb).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lead isotope ratios using a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TIMS) were substituted into the distribution of lead isotope ratios o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shown in corresponding to Jeolla-do and Chungcheong-do regions and North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is suggests that the raw materials used in their production were likely sourced from the mines around Goseong Temple in Gangjin. Despite the fact that the statue is a medium and large Buddha with a total height of 51 centimeters, 1.72 wt% of lead (Pb) was found as a result of alloy composition ratio analysis, which showed a similar composition to the lead content ratio of small bronze and gilt-bronze Buddha statues. Therefor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lloys of bronze and gilt bronze statues, which has been scientifically analyzed with a compositional age similar to that of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Statue of Goseongsa Temple. Comparison results,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Buddha statue as well as its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age of composition, may exist in determining the alloy composition ratio of the bronze and gilt bronze Buddha statu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lloy composition ratio or casting technology was properly adjusted when the Buddha statue was created.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a more comprehensive system of Buddha statue production technology should be investigated by conducting archaeological and art history studies on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age of composition, as well as scientific analysis results such as observation of internal structure, microstructur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alloy composition ratio using radiation transmission irradiation. 본 연구에서는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을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통해 불상의 제작기술 및 납 원료산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불상에서 수습한 극미량의 시료를 대상으로 미세조직 관찰결과 주조 공정을 통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SEM-EDS를 통한 합금조성비 분석결과 구리(Cu) 81.26wt% 주석(Sn) 16.42wt%, 납(Pb) 1.72wt%의 삼원계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를 이용한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대입한 결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 경상남·북도 지역에 도시되었다. 불상이 봉안된 강진 고성사는 해당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과학적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은 구리, 주석, 납을 합금하여 주조하였으며, 불상 제작 시 사용된 납 원료는 고성사 인근 지역에서 수급하여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주목할 점은 해당 불상이 높이 51㎝의 중·대형 불상임에도 불구하고 합금조성비 분석결과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소형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납 함량비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불상의 크기와 납 함량비 간의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고성사 청동보살좌상과 조성연대가 유사한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형태학적 특징 및 합금조성비 등 전반적인 제작기술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결과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합금조성비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불상의 크기 뿐만 아니라 양식적인 특징, 조성연 대 등 다양한 요인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상을 조성할 당시 합금조성비 또는 주조기술을 적절히 조절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즉, 불상의 제작기술 연구를 위해서는 방사선 투과촬영조사 등을 활용한 내부구조 관찰, 미세조직 관찰 및 합금조성비 분석 등의 과학적 분석결과 뿐만 아니라 양식적 특징 및 조성연대에 관한 고고·미술사학적 연구를 함께 진행함으로서 보다 종합적인 불상 제작기술체계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제작기법 및 납 원료 산지연구

        배고운,이상옥,범대건,정광용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보존과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manufacturing technique and provenance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Medicine Buddha) Statue of Janggoksa Temple. The statue had the following : Cu(68.8%)-Sn(10.4%)-Pb(17.1%), it is similar to other medium or large Buddha statue. As results of comparison lead isotope ratio of sample with the provenance data were plotted in zone 3 of the South Korean galena map. According to this result of Bronze Buddha could be made into galena of the located in same area the te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Bronze Bodhisattva statue of Goseongsa Templ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were differ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uddha statues and thus could be made into galena of the located in same area the temple.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을 대상으로 불상의 제작기술체계 및 납 원료산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결과 구리(Cu) 68.8%, 주석(Sn) 10.4%, 납(Pb) 17.1%의 삼원합금으로 납의 함량이 높은 중․대형 불상의 주성분 조성비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를 이용한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를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에 대입한 결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및 옥천변성대 영역(Zone 3)에 도시되었으며, 불상이 봉안된 사찰의 인근 지역에 위치한 광산에서 채취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어 유사시기에 제작된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의 제작기법 연구와 비교분석한 결과 불상의 크기 및 조성 시기, 양식적 특성 등에 따른 제작기법의 차이점을 확인하였으며, 사찰과 동일한 영역에 위치한 방연석을 사용하였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고대 소형 전불(塼佛)과 그 용도

        임영애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2 美術史學 Vol.- No.44

        한국 고대의 소형 전불은 남아있는 사례가 많지 않다. 그렇지만 전불을 제작하는데 쓰였던 <화엄사 청동불상틀>이 화엄사 서오층석탑 기단에서 실생활용품과 함께 발견되었고, 전라북도 김제시 대목리에서도 4점의 <판불>이 발견된 바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대목리에서 발견된 4점의<판불>을 전불과 판불을 제작하는데 쓰였던 불상틀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도금의 흔적이 육안으로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 판불의 뒷면에 촉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경상북도 경주 갑산사지에서 발견된 실물 <전불>도 있는데, 갑산사지에서 20㎞ 가량 떨어진 인왕동사지에서도 같은 거푸집에서 떠낸 전불이 발견된 바 있어 한국 고대에 소형 전불이 꽤 제작됐을 가능성을 알려주었다. 이 글에서는 세로×가로 크기가 10㎝를 넘지 않는 작은 크기의 이들 사각형 전불이 도대체 어디에 쓰인 것인지 그 용도에 대해 알아보려 했다. 7세기 중엽 중국 장안에서 유행했던 전불은 고대 한국으로 전달되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신라 출신 승려 원측(613-696)을 주목했다. 원측은 중국에서 현장과 함께 공부했으며, 전불이 다량으로 출토된 장안 서명사(西明寺)의 승려였기 때문이다. 658년 서명사가 완공된 후 원측은 대덕으로 초대되어 서명사에 머물렀지만 이후 원측은 신라로 돌아오지 못했다. 통일신라 제31대 신문왕(재위 681-692)이 685-688년 무렵 여러 차례 원측의 귀국을 요청했으나 측천무후(재위 690-705) 가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원측은 신라로 귀국하지 못했지만, 그의 제자 도증(620?-700?)은 692년 천문도(天文圖)를 가지고 신라로 돌아왔다. 이때 도증은 그가 머물던 장안의 사찰에서 전불을 가지고 돌아왔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전불은 당시 장안에서 크게 유행하고 있었던 데다가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이다. 크기가 작아 이동이 편리한 소형 전불은 위와 같은 사례 외에도 수많은 경로를 통해 한국 고대로 전달되었을 것이다. 이 글은 크기도 작고 모양도 보잘것없지만, 종교미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한국 고대 소형 전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소형 전불은 불교 신자가 불상을 ‘직접 소유’할 수 있고, 몸에 지님으로써 부처를 늘 ‘기억’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불교미술품이다. 죽은 이나 자신이 지은죄를 소멸하고 나아가 공덕을 쌓아 더욱 잘살 수 있다고 믿었다. 불교입장에서는 최소 비용으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 불상틀로 불상을 찍어낼 때 여러 불교신자가 모여 함께 한다는 점에서 공동체 의식도 생겨나게 할 수 있다는 점, 나아가 이동이 간편하여 포교의 수단으로도 유용했다. 소형 전불은 불교가 성행한 지역이라면 어디서나 제작되었다. 어찌 보면 이 자그마한 전불은 비록 흙으로 만든 보잘것없는 것이지만, 종교미술품으로서의 보편적 역할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There are very few miniature clay tablets from ancient Korea that still survive today. However, a Buddha mold used in the production of miniature clay tablets was uncovered in the base of the western five-story stone pagoda at Hwaŏmsa Temple. Another important discovery is the set of four Panbul (plaquettes with Buddhist images) excavated from the Taemok-ri region of Kimje, North Chŏlla Province. Based on the absence of any visible traces of gilding and the knob attached to the back of the panbul, the Taemok-ri plaquettes were not Buddhist images themselves but rather employed in a similar capacity to the Hwaŏmsa Buddha mold, which was used to stamp small Buddhist images. An actual example of a miniature clay tablet was found at the Kapsansa Temple site in Kyŏngju, North Kyŏngsang Province. Approximately 20 kilometers away, another example of a miniature clay tablet that had been detached from a mold was unearthed at Inwang-dong Temple site. These discoveries indicate that miniature clay tablets were mass produced in ancient Korea. As such, these small rectangular clay tablets, which do not exceed 10 centimeters in neither length nor width, are seemingly important objects of religious art. Their applications and larger significance in Buddhist art are examined in this paper. Miniature clay tablets prevalent in mid-seventh century China made their way to ancient Korea. A notable figure in this phenomenon is the monk Wŏnch’ŭk 圓測 (613-696) of Silla. Wŏnch’ŭk studied with Xuanzang in China and sojourned at Ximingsi Temple in Chang’an where large quantities of miniature clay tablets have been excavated. After Ximingsi was completed in 658, Wŏnch’ŭk was offered the title of daeduk 大德 (great virtuous) as well as an invitation to the temple where he established residence. Though Unified Silla’s thirty-first king, Shinmunwang 神文王 (r. 681-692) requested Wŏnch’ŭk’s return several times, Empress Wu Zetian 武則天 (r. 690-705) of China did not grant the required permission. Ultimately, Wŏnch’ŭk was unable to return to Silla but his disciple Tojŭng 道證 (620?-700?) returned to the peninsula in 692 with a celestial map in his possession. It is probable that Tojŭng also had with him some miniature clay tablets from Ximingsi where he had stayed with his teacher. Such tablets were not only immensely popular in Chang’an at the time, but they were also portable and easily transported to Korea through a variety of different routes. The miniature clay tablets are small and relatively plain artifacts. Nevertheless,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ligious art, and are thus worthy of our attention. For followers of Buddhism, clay tablets were useful objects that they could personally possess and carry on their person as a constant reminder of Buddha. Buddhists also believed that such objects extirpated all sins committed by themselves or the deceased while also providing a way for the believer to cultivate goodness for an improved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ddhist religion, the clay tablets were an ideal vehicle for missionary work as an individual’s desired religious, personal, or visual objective could be achieved at a minimal cost. The tablets also facilitated a sense of community among believers who gathered together to participate in the shared experience of creating Buddhist images from a single mold. Furthermore, the production of clay tablets served as a means for propagating the Buddhist religion in any and all regions where Buddhism was prevalent. Although these miniature Buddha tablets were made from the humblest of materials and presented a modest appearance, these artifacts are unparalleled examples of Buddhist art that demonstrate the universal role of religious ar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