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박물관 교육의 국제적 동향 : 관람객의 학습을 위한 ‘맥락적 접근’과 ‘참여적 접근’ 탐구

        박연희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2 동원학술논문집 Vol.13 No.-

        이 글에서는 박물관 전시가 어떠한 방식으로 관람객에게 접근하여 교육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국외 박물관의 다양한 시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두 가지의 서구 박물관 학습이론에 기초한 실제적 접근을 통해 박물관 교육의 국제적 동향을 탐색해보았다. 이는 향후 관람객과 소통함에 있어서 박물관이 나아갈 방향을 개척하고 개선하는데 유의미한 지침이 될 것이다. 존 포크와 린 디어킹의 맥락적 학습 모형과 관련하여 그들에게 다양한 방식의 “맥락”을 제공함으로써 박물관 학습 경험을 더욱 풍성히 하고, 조지 하인의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연관하여 “참여”의 여지를 제공함으로써 관람객이 박물관의 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 이번 연구에서 소개한 두 가지 경향이다. 박물관에는 이미 헌신적이고 협력적이며 전문적인 인력과 타 기관의 추종을 불허하는 문화재와 지식이 있다. 하지만 앞으로 관람객의 학습하는 유형, 학습 장소로서의 박물관의 의미, 학습을 촉진하는 맥락적인 요소들은 더욱 잘 연구, 이해하여 박물관에 적용하는 것이 또 하나의 박물관 교육의 과제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to review various approaches employed by both domestic and overseas museums in order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ffects being produced from the exhibitions held at museums employing various approaches to visitors. In particular, the two practical approaches (the context-based approach and the participatory approach) based on two learning theories used by the museums in western countries shall be used for exploring international trends in museum education. They can be used as meaningful guidelines for exploring and improving the future directions of museums trying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fact that analyzing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ffects obtained from exhibitions, not to mention creating and producing programs from the education-purpose places at museums, are also critical, because the education experiences of visitors at museums give rise to rich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he aforementioned approaches.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studying,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patterns learned by visitors, in addition to the contextual factors allowing the visitors to find the meanings of museums on their own as places for learning, should be one of the main challenges of museum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Perspective to the Texas Accountability System

        양성관(Yang, Sungkwan),Maxcy Brend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3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각종 교육개혁 안들은 합리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한 신자유주의적 접근의 교육 책무성 강화와 이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진 일부 교육감들의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활동을 통한 책무성 확보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책무성을 해석하는 기존의 합리-기술적 접근법과 비판적 접근법을 통합하는 제 3의 접근법으로 참여적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부르뒤에의 저작과 프레이리의 저작을 토대로 구조영향 또는 개인주도의 이분법적 구도를 극복하면서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육자 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통해 미국의 텍사스 주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학업성취도 중심의 교육 책무성 시스템을 해석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구성원의 실질적 참여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교육부문뿐만 아니라 각 교육주체들이 포함된 지역공동체의 목소리와 참여를 강조함으로써 교육 책무성을 강화한다는 논리는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교육개혁 움직임-학교문화의 개선을 통한 발전 모형 탐색-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부가 주도하는 ‘창의경영학교’ 모형이나 일부 시도 교육감이 추진하고 있는 ‘혁신학교’ 모형 등의 공통점은 학교구성원들의 진정한 참여와 배움이 강조되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또는 학습조직이 핵심 요소인데 이런 요소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접근법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version of Texas style school accountability which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riginal version implemented in 1993, because of the "hope" of the Texas style school accountability impacting Obama administration in the US, and Lee administration in Korea. Texas accountability system was analyzed through two conceptual lenses, a rational-technical perspective and a critical perspective tending to emphasize the opposing sides of the structure-agency debate. This study attempts to outline another perspective, a participatory perspective, which attempts to grapple with the structure-agency problem by introducing a reflexive actor into a world of durable, but not permanently structured relationships. This study draws from the work of French sociologist Pierre Bourdieu and of activist Paulo Freire, who articulate the possibilities for resistance to dominating relationships through a deliberate linking of reflexivity and practice. It is this potential of praxis on the part of the individual that underpins this distinct perspective on accountability. Then, this paper provides insight into a particular contentious policy issue in Korea, a call for transforming into learning organization.

      • KCI등재

        작업장참여에 관한 선진국의 경험과 시사점

        이선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法學論叢 Vol.15 No.-

        노동자가 생산과정의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작업장참여는 노동자의 몰입과 자아실현을 통해서 작업조직의 경쟁력과 노동자의 복지를 높일 수 있는 요건이다. 바람직한 참여적 작업조직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함께 노력하여야 하므로 작업장참여는 참여ㆍ협력적 노사 관계를 견인하기 위한 노사관계정책의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본고는 생산과정에서의 노동자의 참여로서 좁은 의미로 작업장참여를 중심으로 하여 선진국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작업장참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작업장참여는 노동자의 인간화와 아울러 조직의 효율화를 함께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어느 쪽에 중심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 노동의 인간화를 추구하는 접근과 조직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작업장참여의 유형은 경제사회적 여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1980년대 이후 국제적 경쟁이 격화되면서 효율화를 추구하는 유형이 증가되는 추세를 보여 왔다. 노사관계시스템이 작업장참여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다. 각국 또는 동일한 나라에서도 기업별 작업장참여의 유형과 참여의 수준 등은 노사관계시스템에 따라 특징이 지워진다. 작업장참여를 제고시키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은 지속되어 왔다. 1980년대 이후 효율화접근이 주도하며 작업장참여에 대한 노동조합의 대응은 소극적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를 거치면서 보다 적극화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작업장참여에 대한 일반의 인식이 아직은 낮은 수준이다. 노사관계의 발전과 아울러 산업의 경쟁력을 1높이고 노동자의 자아실현을 이끄는 작업장참여를 확산시켜나가기 위한 범사회적인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Workers' participation is a factor to increase productivity of organization and workers' welfare by enhancing worke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work. As desirable workers' participation can be designed with cooperation of labor and management, workers' participation is also a factor which should be pursued together with labor-management partnership of workplace. This paper analyses workers' participation of advanced countries and tries to draw suggestions searching for Korean model of workers'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the industrial relations system. Workers' participation has generally seeks for the humanization of work and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Two typology can be classified into 'humanization of labor approach' and 'efficiency of organization approach'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goals of introducing participation schemes. Since 1980s 'efficiency of organization approach' has gained strength as global competition has intensified in most of advanced countries. Industrial relations system has influenced to the typology of participation along with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a country's participation tend to be decided considerably by the country's industrial relations system. The tendency is also observed on the enterprises of a country. Government policies to promote workers' participation have been noted almost all of the countries. For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 approach' dominated in the 1980s labor union's policies concerning workers' participation were mostly negative, but social participations for workers' participation have increased gradually and the labor union's policies have turned to be more accommodative.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s been frequently indicated as a crucial factor increasing competitiveness of industries, however workers' participation has not been paid sufficient attention in Korea. Along with the policies of industrial relations to promote social partnership, the programs for workers' participation should be activated.

      • KCI등재후보

        풀뿌리 거버넌스와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

        정규호(Jeong Gyu-Ho) 한국환경사회학회 200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1 No.1

        국가 차원의 경제중심적 계획과 지방 차원의 물리적 공간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계획 패러다임이 지역주민들의 실질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생활권역을 단위로 한 종합적인 사회계획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이점에서 지역의 다양한 풀뿌리 조직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행정과의 파트너십을 유기적으로 매개하고 소통시킬 수 있는 풀뿌리 거버넌스의 역할은 중요하다. 지역에 기반을 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상향식 문제해결 전략을 강조하는 풀뿌리 거버넌스는 ‘지역사회의 공동의 비전 만들기’, ‘상향식 접근에 기반을 둔 문제 해결 지원’, ‘신뢰와 협력에 기반을 둔 집합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핵심적인 역할로 설정하고 있다. 이점에서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은 주민 자율적인 참여와 기획, 거버넌스에 기반을 둔 실천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의 모습을 보면 정책의 비전과 목표, 대상 영역, 그리고 추진 주체와 방식, 체계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공간의 질과 삶의 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풀뿌리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통해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를 위한 리더십 개발과 사회-제도적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정립하는 데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To overcome the limits of national level's economic planning and local level's physical planning, comprehensive social planning of community level needed on the side of paradigm shift of planning. This means that the means of grassroots governance that mediate and communicate of grassroots initiatives and partnership are very important. The roles of grassroots governance which emphasizes the community-bas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bottom-up problem solving strategy are as follows: making of community's common vision, support of bottom-up problem solving, and enhancement of collective problem solving capacity based on the trust and cooperation. Present government policy toward livable community making, therefore, exposes many lacks in vision, target area, promoting actor, process and system of policy implement. Activating of grassroots governance and participatory community development are very important for leadership development of residents and socio-institutional capacity building through grassroots initiatives, and these also suggest us relevant model of community-driven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원전 위험거버넌스 비교연구

        강윤재(Yunjae Ka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7 No.1

        이 글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안전한 에너지 공급을 위한 윤리위원회’의 활동과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과 독일의 원전 위험거버넌스를 비교하고 있다. 한국과 독일의 위험거버넌스의 형태는 각각 기술관료적 접근과 참여적 접근으로 유형화되는데, 윤리위원회를 통해 그 근거를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다. 독일의 사례는 한국의 원전 위험거버넌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또한, 윤리위원회를 사회적 맥락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윤리위원회가 던져주는 교훈을 보다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출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전 위험거버넌스에 대한 목표와 접근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 둘째, 원전 위험거버넌스의 실질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과학적 합리성에 매몰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사회적 합리성을 적극 배양해야 한다. 넷째, 선택력과 선택지의 공진화의 관점에서 선택력 못지않게 선택지의 강화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 This essay focuses on the activity and role of ‘the Ethics Commission for a Safe Energy Supply’ in the risk governance of nuclear power plants after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The type of risk governance of nuclear energy in Korea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technocratic approach, while risk governance in Germany into the participatory approach; mainly due to the existence of the ethics commission. Through analyzing the ethics commission, we might have a chance to identify some problems of risk governance in Korea and to find a way to reach to some solutions. Also, by contextualizing the ethics commission into Germany society and culture, we could get some more lessons. First, we need to change purposes and approaches of risk governance of nuclear energy. Second, we try to carry out the ways of improving credibilities of the process and the constituent of risk governance of nuclear energy. Third, we need to incubate social rationalities for weakening the dominance of scientific rationality. Finally, on the respect of the coevolution of selective forces and options, options might be considered as much important as selective forces.

      • KCI등재

        장애연구에의 지적장애인의 참여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고찰

        김진우(Kim Jin Woo)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은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하고 진술에의 진실성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과정에 이들을 포함시키는데 소극적인 입장에서 탈피, 지적장애인의 적극적인 참여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강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언어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능력의 부족’은 지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면접도구 개발과 대화분석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진술의 진실성’에 대해서는 사회적 실재의 재현(representation)을 둘러싼 다양한 질적연구방법을 개발하고 진술 의미를 재구조화함으로써, 그리고 무지에 따른 배제와 억압의 메커니즘은 지적장애인의 삶 드러내기를 통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 연구결과는 앞으로 장애정도별로 다양한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아울러 각종 정부연구용역에서 지적장애인이 연구과정에 포함되도록 하는 연구방법론의 변혁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play a role as 'meaningful informants' in research process in Korea, by challenging the existing paradigm which consists of suspicion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ruthlessness of their statements, which results in ignorance on the covered lif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is research, lessons which could lear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my research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ficits of communication ability can be supplemented with restructuring interview instruments such as research questions, visual aids etc and adopting conversation analysis methods. Secondly, Suspicion on the truthlessness of their statements can be restructured by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reinterpretation on the representation of social reality. Thirdly, the mechanism of exclusion and oppression according to the ignorance can be substituted by 'uncovering the lif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can be basis of reconstructing the contents of programmes in the disability service centers and disability policies in the government. With these research results it could be argued that there needs to includ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meaningful informants in the research projects funded by the government and also to provid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diverse roles in the research process by virtue of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이주 배경 아이들로부터 포용 교육을 배우기

        류영휘,장인실 한국교육과정학회 2023 교육과정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이주 배경 아이들의 목소리를 들음으로써 한국 맥락에서 포용 교육의 요소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주 배경 아이들이 소속감을 강하게 표현하는 한 학급에 대한 아이들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연구자들은 참여적 접근의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해당 학급에 대한 아이들의 견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 배경 아이들은 자신들의 언어적 특성을 고려한 학 습 지원, 놀이성이 풍부한 수업, 학급 내에서 발전된 집단적 정체성, 그리고 자신들의 언어적 문화적 실천이 인정되고 수용되는 환경을 자신들이 소속감을 느끼는 학급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해, 연구자들은 이주 배경 아이들에게 포용적인 학교를 위해서는 이들의 복합적인 요구에 대한 섬세한 인식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수준을 넘어 학교 교육 전반, 특히 교수 법(pedagogy)에서의 변화가 필요함이 강조되었다. 이주 배경 아이들의 소속감과 정서적 안녕을 지원하기 위 해, 이들의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이 적극적으로 인식되고 지원될 필요가 있다는 점 또한 강조되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포용 교육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의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at aspects are critical for inclusive education in the Korean context by listening to migrant children’s school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a group of children's experiences in a class where the children strongly express their sense of belonging. Drawing on a participatory approach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e engaged with the children to understand their perspectives on this class. The findings revealed that children consider four key features essential to the class: academic support tailored to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 playful nature, efforts to foster collective identities, and an environment that acknowledges and accepts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practi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s argue that schools must recognize the complex needs of migrant children in a nuanced manner for inclusive schooling. Additionally, we stress the importance of transforming the entire schooling system, beyond the mere addition of a few programs, and, particularly, evolving teachers' pedagogy. We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and supporting the potential of migrant children's communities in fostering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emotional well-being. In conclusion, we provide several suggestions for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o promote inclusive schooling.

      • KCI등재

        참여와 학습을 통한 작업장 혁신

        박상언(Sang Eon Park) 한국경영학회 2008 Korea Business Review Vol.12 No.1

        1996년 (주)코오롱과 일본 도레이(Toray)사가 70:30의 비율로 합작투자하여 설립된 (주)KTP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수지 사업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이다. 제조원가 중 감가상각비가 약 30%를 차지할 정도로 초기 설비 투자비가 매우 큰 사업이었고, 또 합작파트너 기업으로부터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파이로트(pilot) 기술을 도입하여 양산체제를 구축했기 때문에, (주)KTP는 공정안정화 및 효율화를 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창사 이래 계속 적자경영을 면치 못해왔다. 그 결과, 2003년 이래 무려 3년간 연속으로 임금마저 동결되어, 사원들의 사기와 조직 분위기 역시 침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영위기를 타개하고자 회사는 외부의 컨설팅 지원 사업을 계기로 활용하여 작업장 혁신을 추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혁신은 경영진이 일방적으로 주도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이 아니라, 철저히 현장사원 중심의 참여적인 접근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주)KTP는 사원들이 주도적으로 이루어낸 작업장 업무 프로세스 개선에 힘입어 2006년 11월부터 추가적인 인원증가 없이 3조3교대제였던 기존의 근무교대제를 4조3교대제로 전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근무교대제 개편으로 교육훈련을 위한 시간 확보가 가능해 지자, 사원들의 역량 및 숙련 제고 를 위한 학습체계를 구축한 뒤 사실상 처음으로 프로그램화된 체계적 교육훈련을 실시해 갈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장 혁신이 추구된 지 만 1년여 만에 (주)KTP는 2007년도 말 사실상 처음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하여, 전 사원들이 경영성과 향상의 인센티브를 공유하는 놀라운 변화를 이루어냈다. 본 사례는 (주)KTP의 이러한 작업장 혁신이 추진된 과정과 그 내용을 심층 해부해 보임으로써, 이러한 혁신을 성공으로 이끈 핵심 요인들을 추정하고 그 시사점을 토론해 볼 수 있게끔 작성되었다. KTP Industries Inc.(KTP) was established in 1996 by KOLON group as a joint venture in alliance with Toray, a Japanese firm. It was growing in a POM (polyoxymethylene) business which produced various types of polyacetal products. Because a POM business needed heavy investments in production facilities and a pilot technology has been imported from the joint partner at first, KTP has experienced very low productivity in production and suffered a continuous loss in its early business years. Faced with this cumulative crisis, KTP adopted some innovative work practices in November 2006. These new workplace transformation practices consisted of a restructuring of work team shift and carrying out a new training program for the increase of the skill and competence of the employee. But what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was that KTP has implemented its workplace innovation by the participative and bottom-up approach. Although top management and external consulting institution gave some critical advices and supporting, most transformation programs were initiated by the employee themselves. As this workplace transformation has successfully been execut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changed drastically. Finally KTP has relieved from deficit and generated actual profit in the 2007. As a result, it could share an incentive according to the profit sharing program of KOLON group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By providing an account of the firm’s workplace transformation process, this case study attempts to give the readers a chance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caused the success of workplace innovation.

      • KCI등재

        한국의 공식적 빈곤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조성한 한국국정관리학회 2010 현대사회와 행정 Vol.20 No.3

        한국의 빈곤선에 대한 연구는 최저생계비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이 중심이 되고 있다. 한국은 공식적 빈곤선으로 최저생계비 개념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들은 최저생계비라는 개념에 집착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빈곤선에 대한 연구는 방법론과 개념에 있어서 다차원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인 절대적 빈곤선과 상대적 빈곤선을 대립관계보다는 상호보완적 차원으로 연구하고 있다. 한국의 공식적 빈곤선도 다차원적인 개념의 도입을 바탕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던 자의성이나 조사대상에 대한 갈등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기 연구(self-study)”를 통한 미술교육 연구에의 적용 및 가능성

        서제희(Jae-Hee Seo)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과 교육 Vol.16 No.1

        최근 교육 연구에서 교사에 대한 관심은 현장과 이론 사이의 괴리를 좁혀줄 수 있는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교사나 연구자들이 처한 현장을 기초로 한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법을 사용 한 연구물들은 방법론적 논의와 함께 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의 국내외 타 학 계의 많은 “자기 연구(self-study)”의 경향들이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연구의 주제와 폭을 넓혀가는 데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심에 비해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법론적 논의나 수준에 관한 논의는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 법을 올바르게 활용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논의와 함께 “자기 연구 (self-study)” 방법의 몇 가지들 중 미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 방법들을 정리하여 보고자 한다. 미술교육연구에서 “자기 연구(self-study)”를 중심으로 한 “자기 연구(self-study)” 방법의 활용은 교 사를 이해하고 현장에 대한 관심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자기 연구 (self-study)” 방법으로 자문화기술지, 자전적 생애사 연구, 참여적 실행연구, 연행적 접근 방법의 네 가지를 통해 미술교사 연구에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연구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 다른 연구기법들과 구분되는 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올바른 자료 수집과 분석에 대해 살펴보 았다. 마지막으로 “자기 연구(self-study)”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가장 많이 비판받고 있는 타당성 및 신뢰성 논의를 통해 “자기 연구(self-study)”의 성격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Research using “self-study” has expanded rapidly in discussions regar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leading to the emergence of various research issues and fields, and an enlargement in the depth of research and the range of topics. This article presents a “self-study” for art education in order to u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roperly. I focus on fou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autoethnography, auto life history,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performative approaches to research. This study also pays attention to differences between positivism and “self-study” techniques, and the proper uses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out this article, I attempt to maintain the nature of “self-study” in discussion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are often critic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