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오디자인의 이론적, 실천적 가능성과 한계

        김영민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4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Geodesign and clarifies its potentials and limit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desig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Geodesign can be summarized as four: synthetic process, digital technology, scale shifts, and participatory approach. Theoretically, the framework of Geodesign goes through three iterations of the set of six models of Representation, Process, Evaluation, Change, Impact, and Decision. The results of analyzing IGC projects, the case studies of recent Geodesign practice, are as following: 1) Geodesign seems to be most useful in dealing with urban issues in planning and larger scale projects. 2) Most of the IGC projects applied the synthetic process of Geodesign and recent digital technologies while working in multi-scales. 3)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participatory approach was well integrated into the projects. The multidisciplinary framework of Geodesign is expected to bridge the schism between policy makers and urban designers. Geodesign can also help to maximize use of big data in urban planning and design. However Geodesign present some disadvantages. In the Geodesign framework, it is hard to reflect aesthetic consideration and integrate qualitative data into the planning process. Discrepancies between the Geodesign framework and traditional design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are also evident. Despite of some limitations, Geodesign has great potential in providing universal planning methods that can applied to different planning contexts while being useful in finding out new site-specific solutions for local problems.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지오디자인의 이론과 방법론을 고찰하고 도시 계획ㆍ설계 분야에서의 이론적, 실전적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지오디자인의 체계는 표현, 과정, 평가, 변화, 효과, 결정모형으로 구성되고, 여섯 모형을 세 번의 반복적 과정을 거치며 진행된다. 지오디자인의 차별적 특징은 종합적 프로세스, 디지털 기술, 시공간적 스케일의 변주, 참여적 접근이다. 지오디자인의 실천적 양상을 보여주는 IGC 사례를 분석한 결과 지오디지인은 도시적 주제를 다루는데 가장 적합하였으며 큰 스케일의 프로젝트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프로세스, 디지털 기술, 스케일의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제시된 차별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적 접근의 특징이 실천에서 나타난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지오디자인은 정책과 설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융합적 체계를 제시하며 빅데이터에의 활용에 최적화되어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GIS에 기반을 둔 지오디자인은 정성적 성격의 인문적, 미적 정보를 다루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건축ㆍ조경 설계와 괴리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지오디자인은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을 보여주면서도 국내의 특수한 도시설계의 문제를 다루는데에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오디자인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그린인프라 중심 물순환 도시계획 평가 - 송산그린시티 서측지구를 대상으로

        이학송,김영민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s of the water circulation urban planning utilizing the urban green network system as a green infrastructure b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plan with the new alternative plan following the Geodesign Framework. The alternative plan for Songsan Greencity is proposed in three levels: land use, green infrastructure and park planning. According to the SWAT model analysis, the stormwater runoff is reduced noticeably in the alternative plan. Underground water runoff is reduced the most as 30.9% among other runoff indicators. The capabilities of water retention and absorption increases by 2.2%, and evaporation capability increases by 27.6%. The control effec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improves significantly. The plant absorption of N and S increases by 11.4% and 9.5%, respectively. The removal capability of N and S increases by 13% and 19%, respectively. These positive effects ar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green areas and improvement of green network quality to hold and absorb water in the alternative plan. In addition, the preservation of existing wetlands and forests with adding green buffers at the lake edge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overall water quality of the city. This study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new framework in the water circulation urban planning integrating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design process through Geodesign framework. 본 연구는 지오디자인 프레임워크에 따라 새로운 물순환 계획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존 계획안과 비교하여 그린인프라를 활용한 새로운 물순환 도시계획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상지는 송산그린시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토지이용, 그린인프라, 그리고 세부적인 공원녹지 공간의 수준에서 물리적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SWAT 모형을 통해 기존 계획안과 대안의 강우유출 및 비점오염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유출의 양의 경우 대안이 기존안과 비교하여 큰 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지하유출은 30.9% 감소로 가장 크게 개선되었다. 토양저류량과 식물의 흡수량, 잠재증발산력도 각각 2.2%, 27.6% 증가하였다. 비점오염의 통제로 인한수질개선 효과에서도 질소와 인의 흡수량이 11.4%와 9.5%, 유역의 질소와 인 제거량이 13%와19%로 향상되었다. 대안이 기존안과 비교하여 크게 개선되었다. 효과 검증의 결과 전반적으로계획안에서 제시한 그린인프라 체계가 전반적인 녹지량이 증가시키고 녹지의 질을 향상해 식물의 흡수량과 증발산력에 이바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 습지와 산림의 보존, 수문 경계부의 저류 녹지대의 계획이 잠재적인 수질 개선 효과에 기여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지오디자인의 틀을 활용하여 물순환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연구의 과정과 계획ㆍ설계의 과정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론적 가능성을 찾았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질적 가치 통합 계획 프로세스 매체로서의 지오디자인: 버지니아주 몽고메리 카운티 사례를 중심으로

        한소영,권윤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6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dural concept of a qualitative value integration planusing geodesign by examining Montgomery County, Virginia case. To this end,among the six stages of the geodesign framework, a step-by-step approach focusingon the impact model and the decision model is presented. The geodesign approachis an attempt to apply systems thinking using geographic knowledge by reflectingsocial learning and collective action. In particular, it has potential in derivingalternatives that integrate social values as one of the planning support systems. Inthis study, demand analysis, alternative design, change impact analysis, and trade-offanalysis of conflicting values were conducted along with a contemplative process onthe future urban development potential of Montgomery County. Since the geodesignframework created on the premise of collaboration is also a tool created based on aseries of scientific foundations,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structure and formatfor qualitative value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its effectiveness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본 연구는 버지니아주 몽고메리 카운티를 사례로 지오디자인을 활용한 질적 가치 통합 계획의 절차적 개념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지오디자인 프레임워크의 여섯 단계 중 효과모형과 결정모형에 중점을 둔 단계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였다. 지오디자인 접근법은 사회적 학습과 집단행동을 반영하여 지리학적 지식을 이용한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계획지원 시스템 차원으로서 사회적 가치를 통합하는 대안 도출에 있어 가능성과 잠재력을 지니고있다. 몽고메리 카운티의 미래 도시개발 가능성에 대한 숙고적 과정과 더불어 수요 분석, 대안설계, 변화의 영향 분석 및 상충되는 가치의 절충 분석을 진행하였다. 협업을 전제로 만들어진지오디자인 프레임워크 역시 일련의 과학적 기반으로 만들어진 도구이다 보니 질적 가치 분석을 위한 구조와 형식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꾸준한 모니터링 통해 그 효용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참여형 공간설계방법론

        최재연,김은형,Choi, Jae-Yeon,Kim, Eun-Hyung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6 지적과 국토정보 Vol.46 No.2

        본 연구는 공간설계의 전반적인 참여를 위해서 가상현실을 적용시키는 방법론에 대한 논문이다. 현재의 공간설계의 참여는 일방적 정보전달의 과정, 정보이해의 어려움, 공간설계 단계의 제한적 참여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해 참여사다리의 마지막 단계로 제시되었던 PPGIS와 Geodesign의 비전인 가상현실은 참여의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가상현실을 설계과정에 활용시키는 참여형 설계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참여와 가상현실에 대한이론 고찰을 통해 가상현실이 참여를 지원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설계과정에서 가상현실이 수행해야 할 역할의 도출을 위해 설계과정과 참여과정을 비교하였다. 이 과정의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을 활용한 참여형 공간설계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방법론의 증명을 위해 설계과정에 적용하여 각 단계별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각 단계별 역할의 수행여부를 확인하여 방법론을 증명하였다. 증명의 결과로, 가상현실 체험을 통한 경험이 설계안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고 또한 가상현실을 통한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증명하였고 이는 설계과정에서의 전반적인 참여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This paper is on a participatory spatial design methodology using Virtual Reality, which can be applied to the overall spatial design process. Participation in the current spatial design has several limitations: one-sided communication process, difficulty of understanding the given information and partial participation in the design process. Virtual Reality can be an ideal visualization tool for Geodesign and PPGIS(Public Participation GIS), which is presented as a highest step at the participation ladder. A participatory methodology is proposed to take advantage of Virtual Reality. In order to support participation through Virtual Reality in spatial design process, theories about the participation are compared to derive the new roles of Virtual Reality and the roles are formulated in the participatory spatial desig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methodology to the design process and implementing each stage through Virtual Reality, the design performance of each step can be verified in the methodology. As a result, design ideas can be effectively understood through Virtual Reality experience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s in Virtual Reality and participation are possible in the entire design process.

      • A Study on a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Model for Landscape Design

        김은형,Kim, Eun Hyung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6

        By combining the role of current GIS technology and design behaviors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spatial conceptualization can be extended efficiently and creatively for ill-structured problems. This study elaborates the model of a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 landscape design problem. Current information-oriented GIS technology plays a minor role in planning and design. The three attributes in planning and design problems describe how the deficiencies of current GIS technology can be seen as a failure of the technology. These are summarized: (1) Information Explosion/Information Ignorance (2) Dilemma of Rigor and Relevance (3) Ill-structured Nature of planning and Design. In order to implement the conceptualization idea in the current GIS environment, it will be necessary to shift from traditional, information-oriented GISs to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s. The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model reflects the key elements of six important theories and techniques. The six useful theories and techniques are as follows; (1)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2) Tool/Theory Interaction (3) The Sciences of the Artificial and Epistemology of Practice (4) Decision Support Systems (DSSs) (5)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6) Creative Thinking. The future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can provide capabilities for planners and designers to figure out some "hidden organizations" in spatial planning and design, and develop new ideas through its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The facilitation of conceptualization has been demonstrated by presenting three key ideas for the framework of the SDSS model: (1) bubble-oriented design support system (2) prototypes as an extension of semantic memory, and (3) scripts as an extension of episodic memory in a cognitive pschology perspective. The three ideas can provide a direction for the future GIS technology in planning and design. 본 논문은 조경설계를 위한 창의적 개념화를 지향하는 공간 의사 결정 시스템 모델에 대한 연구이다. (1)정보의 폭발 및 무시 (2)원칙성과 융통성의 딜레마 (3)비구조화된 성격의 계획 및 설계라는 세가지 특징 때문에, 현재 정보중심의 GIS는 큰 역할을 못하고 있다. 이에 현재의 정보중심의 GIS에 대한 대안으로 공간 개념화를 지향하는 SDSS(공간의 사결정지원시스템)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의 공간 개념화 지향의 SDSS는 인지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공간개념화를 현재의 GIS기술과 연계시킴으로써 조경설계의 비구조적인 문제를 효율적이고, 창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공간개념화 지향의 SDSS 모델은 (1)인간정보처리 (2)도구 및 이론의 상호작용 (3)인지과학 및 실천인식론 (4)의사결정지원 시스템 (5)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6)창조적인 사고라는 핵심이론 및 기술을 반영한다. 향후 구현될 공간 개념화 지향의 SDSS는 설계자가 공간계획 및 설계상에서 "숨겨진 조직"을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생성 및 개념화 능력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다른 설계자와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공간개념화는 (1)버블다이어그램 지향의 설계지원 시스템 (2)어의적 기억의 확장으로서의 프로토타입 (3)삽화적 기억의 확장으로서 스크립트라는 세 가지 핵심 아이디어를 통해 공간 설계의 개념화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세 가지 아이디어는 계획 및 설계를 위한 GIS기술의 미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a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Model for Landscape Design

        김은형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6

        By combining the role of current GIS technology and design behaviors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spatial conceptualization can be extended efficiently and creatively for ill-structured problems. This study elaborates the model of a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 landscape design problem. Current information-oriented GIS technology plays a minor role in planning and design. The three attributes in planning and design problems describe how the deficiencies of current GIS technology can be seen as a failure of the technology. These are summarized: (1) Information Explosion/Information Ignorance (2) Dilemma of Rigor and Relevance (3) Ill-structured Nature of planning and Design. In order to implement the conceptualization idea in the current GIS environment, it will be necessary to shift from traditional, information-oriented GISs to conceptualization- oriented SDSSs. The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model reflects the key elements of six important theories and techniques. The six useful theories and techniques are as follows; (1)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2) Tool/Theory Interaction (3) The Sciences of the Artificial and Epistemology of Practice (4) Decision Support Systems (DSSs) (5)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6) Creative Thinking. The future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can provide capabilities for planners and designers to figure out some “hidden organizations” in spatial planning and design, and develop new ideas through its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The facilitation of conceptualization has been demonstrated by presenting three key ideas for the framework of the SDSS model: (1) bubble-oriented design support system (2) prototypes as an extension of semantic memory, and (3) scripts as an extension of episodic memory in a cognitive pschology perspective. The three ideas can provide a direction for the future GIS technology in planning and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