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한국 공간정보의 글로벌화 전략 연구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걸,Kim, Kirl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5

        1995년부터 추진한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으로 국가공간정보인프라의 활용수준은 높아졌으나, 국내시장 규모의 한계와 대기업의 시장진출에 대한 법률적 규제로 인해 한국의 공간정보 시장은 산업경쟁력 측면에서 정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과열된 국내의 레드오션 시장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공간정보의 블루오션 시장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해외 공간정보 시장은 2015년까지 연평균 10.5% 성장하고 150조원(1,25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아시아의 공간정보 시장은 커다란 성장 잠재력을 가지며, 한국에게는 새롭게 부상하는 블루오션 시장이 되고 있다. 핀란드, 독일, 스웨덴, 일본 등의 선진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므로 선진국과 발을 맞추기 위해서 신흥공간정보 시장으로의 진출 확대를 위한 한국 공간정보의 새로운 글로벌화 전략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공간정보에 대한 강점-약점-기회-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현황을 고찰하며, 한국 공간정보의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화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K-FBI 글로벌화 전략은 지식 플랫폼 구축전략, 신개척지 전략, 기본 공간정보 공략 전략, 현지 맞춤형 내재화 전략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향후 K-FBI 글로벌화 전략에 기반한 공간정보 로드맵의 수립과 시행은 우리 공간정보 기업의 아시아 개발도상국 진출에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roject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since 1995 and the utilization level of Korean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based on them has also developed. However, due to the limit to domestic market size and the legal regulation on prohibition of large sized companies' expansion into domestic spatial information markets, Korean spatial information markets are tied up in term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To overcome those problems and evade the domestic red oceans, it is necessary to find new one in overseas' blue ocean markets. It is estimated that overseas spatial information market will be grown to 125 billion-dollar size and the annual growth rate of it will be reached to 10.5% until 2015. Thus, Asian spatial information market has a huge growth potential and it is newly rising blue oceans for Korea. Advanced countries such as Finland, Germany, Sweden, and Japan have already expanded their market size into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To step with advanced countries, it is time to set up the new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newly industrializing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WOT of domestic spatial information, investigate the status on spatial information of Asian developing countries, and suggest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them. The globalization strategy can be labelled as K-FBI composed of 4 domains such as Knowledge sharing platform, Frontier, Back to the basic, and Internalization. In near future, the establishment and performance of road map based on the strategy will be the milestone for Korean spatial information companies' advance into Asian developing countries.

      • A Study on a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Model for Landscape Design

        김은형,Kim, Eun Hyung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6

        By combining the role of current GIS technology and design behaviors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spatial conceptualization can be extended efficiently and creatively for ill-structured problems. This study elaborates the model of a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 landscape design problem. Current information-oriented GIS technology plays a minor role in planning and design. The three attributes in planning and design problems describe how the deficiencies of current GIS technology can be seen as a failure of the technology. These are summarized: (1) Information Explosion/Information Ignorance (2) Dilemma of Rigor and Relevance (3) Ill-structured Nature of planning and Design. In order to implement the conceptualization idea in the current GIS environment, it will be necessary to shift from traditional, information-oriented GISs to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s. The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model reflects the key elements of six important theories and techniques. The six useful theories and techniques are as follows; (1)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2) Tool/Theory Interaction (3) The Sciences of the Artificial and Epistemology of Practice (4) Decision Support Systems (DSSs) (5)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6) Creative Thinking. The future conceptualization-oriented SDSS can provide capabilities for planners and designers to figure out some "hidden organizations" in spatial planning and design, and develop new ideas through its conceptualization capability. The facilitation of conceptualization has been demonstrated by presenting three key ideas for the framework of the SDSS model: (1) bubble-oriented design support system (2) prototypes as an extension of semantic memory, and (3) scripts as an extension of episodic memory in a cognitive pschology perspective. The three ideas can provide a direction for the future GIS technology in planning and design. 본 논문은 조경설계를 위한 창의적 개념화를 지향하는 공간 의사 결정 시스템 모델에 대한 연구이다. (1)정보의 폭발 및 무시 (2)원칙성과 융통성의 딜레마 (3)비구조화된 성격의 계획 및 설계라는 세가지 특징 때문에, 현재 정보중심의 GIS는 큰 역할을 못하고 있다. 이에 현재의 정보중심의 GIS에 대한 대안으로 공간 개념화를 지향하는 SDSS(공간의 사결정지원시스템)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의 공간 개념화 지향의 SDSS는 인지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공간개념화를 현재의 GIS기술과 연계시킴으로써 조경설계의 비구조적인 문제를 효율적이고, 창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공간개념화 지향의 SDSS 모델은 (1)인간정보처리 (2)도구 및 이론의 상호작용 (3)인지과학 및 실천인식론 (4)의사결정지원 시스템 (5)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6)창조적인 사고라는 핵심이론 및 기술을 반영한다. 향후 구현될 공간 개념화 지향의 SDSS는 설계자가 공간계획 및 설계상에서 "숨겨진 조직"을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생성 및 개념화 능력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다른 설계자와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공간개념화는 (1)버블다이어그램 지향의 설계지원 시스템 (2)어의적 기억의 확장으로서의 프로토타입 (3)삽화적 기억의 확장으로서 스크립트라는 세 가지 핵심 아이디어를 통해 공간 설계의 개념화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세 가지 아이디어는 계획 및 설계를 위한 GIS기술의 미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3D Cadastre Data Model in Korea ; based on case studies in Seoul

        Park, So-Young,Lee, Ji-Yeong,Li, Hyo-Sang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4

        늘어나는 인구로 인한 토지의 효율적 이용요구 증가, 빠르게 성장하는 건축, 토목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생활 공간은 지표에서 지상, 지하로 확대되었다. 기존의 2차원 지적 시스템으로는 이러한 추세를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함을 인식하여, 3차원 지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소유권의 법적 안전 보장이라는 지적의 주요한 목적을 위해 한국의 현황에 적합한 3차원 지적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하는 3차원지적 데이터 모델은 3차원 지적 객체 모델과 3차원 지적 기하학적 모델로 구성되며, 데이터 구축 시 고려될 데이터 구조를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 객체 모델은 분석된 3차원 권리와 사례 연구로부터 도출된 객체들을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3차원 지적 기하학적 모델은 국제 표준인 ISO19107 공간 스키마를 기반으로 한국의 3차원 지적에 맞게 수정되었다. 3차원 지적 데이터 구조는 점, 선, 면, 입체 요소를 기본 요소로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유비쿼터스 입체지적 기반조성" 사업의 일부분으로 수행되었으며 전체 연구의 최종 목표는 1) 토지정보의 효율적인 제공 및 관리, 2) 지상 및 지하 공간시설물에 대한 권리 설정 및 범위 표시, 3) 유비쿼터스 기반의 지적정보 서비스, 4) 도시 개발 사업 등에 대한 유비쿼터스 지적 기반의 구축, 5) 토지공간의 권리관계 규정과 이에 따른 등록 및 관리 방안 마련이다. Due to the increasing demands on the efficient use of land and the fast growth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human living space is expanded from on the surface to above and under the surface. By recognizing that the current cadastre system based on 2D was not appropriate to reflect the trend, the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a 3D cadastre. This paper proposed the 3D cadastre data model that is appropriate to protect ownership effectively in Korea. The 3D cadastre data model consists of a 3D cadastre feature model and a 3D cadastre geometry model, and the data are produced by a 3D cadastre data structure. A 3D cadastre feature model is based on 3D rights and features derived from case studies. A 3D cadastre geometry model based on ISO19107 Spatial Schema is modified to be good for 3D cadastre in Korea. A 3D cadastre data structure consists of point, line, polygon and solid primitives. This study finally purposes 1) serving and managing land information effectively, 2) creating rights and displaying ranges about infrastructures above and under surface, 3) serving ubiquitous-based geoinformation, 4) adapting ubiquitous-based GIS to urban development, and 5) regulating relationships between rights of land and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s.

      • A Study on the Strategic NSDI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Korean Experiences

        김은형,Kim, Eun Hyung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6

        본 논문은 한국의 NSDI(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구축경험에 비추어, 개발도상국의 전략적인 NSDI 구축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 이래,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원조수혜국에서 원조공여국으로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끌어낸 한국의 NSDI 구축경험은 개발도상국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연구방법으로 한국에서 NSDI 구축관련 경험이 있는 전문가의견 조사 및 한국 NSDI관련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관련 문헌조사를 통해 SDI(Spatial Data Infrastructure)에 대한 개념 및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이론적 고찰을 배경으로, SDI의 6개 구성요소 관점에서 전문가조사결과 등의 시사점을 모았으며, 개발도상국을 위한 NSDI 전략적 구축 모델로 구성된다. 본 논문의 핵심인 구축모델은 (1) NSDI 구현전략: 지리데이터, GIS능력배양, 지리정보 플랫폼, 파트너쉽을 통한 비용효율적인 지리정보관리의 4가지 관점, (2) 3단계에 걸친 주요 NSDI 세부 역할과 활동들, (3) 성공적인 NSDI구축을 위한 조화로운 추진방법으로 구성된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trategic N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good practic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Republic of Korea is a unique country in the world, which has become a developed country from a recipient of international aid since the Korean War in 1950. The rapid economic growth can be mostly attributed to the IT technologies and the Republic of Korea's NSDI efforts as a good practice could provide useful lessons for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reviews, interviews of Korean NSDI experts, analysis for lessons learned, a summary of the lessons in terms of Six NSDI components and finally a strategic NSDI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NSDI model is structured by (1) implementation strategies suggested for geospatial data, capacity building, geospatial platform, and cost-effective management with partnership, (2) a roadmap of important NSDI tasks and activities, and finally, (3) a harmonized approach for successful NSDI implementation.

      • Renovation of Korean Geodetic Control Points

        Choi, Yun-Soo,Kwon, Jay-Hyoun,Hong, Chang-Ki,Lee, Ji-Sun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측지기준점의 개선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개선의 내용은 기준점의 구조와 정확도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였으며, 구조의 경우 3차원 기준점으로 변화하면서 정확도, 포함 정보, 그리고 기준점의 위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정확도의 개선은 위성측지 기술의 발달과 정밀지오이드를 기반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기준점의 개념은 위치뿐 만 아니라 중력, 환경정보와 같은 다양한 공간정보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정보의 분석이 가능한 점이 강조되었다. 또한 RFID와 CDMA 기술을 이용한 공간정보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모든 노력으로 한국의 측지망은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이러한 개선이 측지 기준점의 역할과 미래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contribution, the renovation of the Korean geodetic control points is introduced. The renovation is described in terms of structure and accuracy. Mainly the establishment of the three-dimensional control points is the renovation on structure which leads many changes in accuracy, contents and hierarchy of the control points.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is being improved based on the satellite positioning technology and precision geoid being developed. Divers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gravity and environmental elements are considered to be measured at the position of the control points so that the related research is enhanced through the analysis of combined information. In addition, an access to the information of control points and service to the public with spatial information will be faster and more efficient through RFID and CDMA communication. With all these efforts being made currently, the Korean geodetic network will provide the most accurate and diverse spatial information in an efficient way. We hope that these activities lead the trends, role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geodetic control points.

      • A Study on Practicality of R&D Outcomes from the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

        Kim, Byung-Guk,Choi, Roon-Sung,Jung, Yeun-J.,Park, Ji-Man,Park, Jae-Min,Park, Dong-Yoon,Lee, Yong-Ik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 연구결과물들의 실용화 목표를 위해, "실용화를 위해 고려할 요소는 무엇이며, 어떻게 R&D과제를 관리해야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집중하였다. 이 연구 사업은 5개의 핵심주관기관과 협력적인 작업을 통해 대량의 실용적 결과물들을 적용한 지능형국토를 지향점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한 성공적인 R&D관리는 공동실험장, 실용적인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통합 서비스의 형태로서 유용성과 경쟁성에 집중하여 협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역할정립은 국토해양부에 위탁받아 진행되는 정부주도의 형태이며, 5개의 핵심주관기관과 연계하여 높은 실용화/상업화 목표 달성을 위해 R&D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GIS 기술과 공간정보의 실용화방안과 상업화방안을 지능형 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전략 분석을 통하여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Land Spatialization Group (KLSG) has controlled and managed its own R&D effectively and what particular elements have made it practical. Korean Land Spatialization Program (KLSP) has produced large amounts of practical outcomes for the intelligent land by collaborative 5 core research projects. The well-harmonized cooperations between proving ground, practical business model, and services oriented integration and others have driven the KLSG to an succeedable management. The active role for practicality is prominent with its usefulness and competitiveness. KLSP is financially and administratively supported fro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of Korea (MLTM). By investigating relationships between 5 core research projects involved in the R&D projects of KLSG, it has been found out that R&D projects of KLSG bring forth practicality and commerc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strategies of KLSP in conducting research for practicality and commercialization of GIS technology and integrated geospatial information.

      • FT-Indoornavi: A Flexible Navigation Method Based on Topology Analysis and Room Internal Path Networks for Indoor Navigation

        주건,이연,이순조,배해영,Zhou, Jian,Li, Yan,Lee, Soon Jo,Bae, Hae Young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2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실내에서의 위치 획득 기술이 용이해지면서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적화된 실내 내비게이션은 크고 복잡한 실내에서의 활동을 위해 빠른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실내 내비게이션 알고리즘 연구들에서는 공간 토폴로지 또는 실내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대략적인 경로를 도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토폴로지 분석과 실내 내트워크를 통합 분석하여 실내 경로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전문적인 실내지도가 아닌 간소화된 실내 지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내 네트워크와 공간 토폴로지의 혼합 분석을 통해 실내 경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성능평가를 통해 FT-Indoornavi 알고리즘이 기존의 엘라스틱 알고리즘과 iNav 알고리즘보다 더 빨리 실내 경로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Recently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indoor navigation system. An optimal indoor navigation method can help people to find a path in large and complex buildings easily. However, some indoor navigation algorithms only calculate approximate routes based on spatial topology analysis, while others only use indoor road networks. However, both of them use only one of the spatial topology or network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navigation method based on topology analysis and room internal networks for indoor navigation path. FT-Indoornavi (Flexible Topology Analysis Indoornavi) calculate internal routes based on spatial topology and internal path networks to support length-dependent and running-time optimal routing, which adapt to complex indoor environment and can achieve a better performance in comparison of Elastic algorithm and iNav.

      • Utilizing Spatial-data to Provide for U-Service Based on U-GIS

        Lee, Seok-Ho,Lee, Ji-Yeong,Kim, Hyong-Bok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4

        도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u-City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만 2009년 5월을 기준으로 54개 지역에서 u-City가 구축되고 있다. 이렇게 급증하는 u-City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u-City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u-서비스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의 u-서비스는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 관리 위주의 모니터링 서비스가 대부분이다. 유비쿼터스의 본질적 의미인 '언제 어디서나'의 u-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공간정보와 센서정보의 결합은 공간인지(spatial awareness) 를 가능케 하여, 모니터링서비스에서 보다 나아가 공간분석이 가능한 서비스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u-서비스에서 spatial awareness는 어떤 의미 인지를 명확히 하고, 2) spatial awareness를 가능케 하기 위해 공간정보, 센서정보, 기타 정보들이 어떻게 융합 (Spatial Embedding) 되어야 하는지 논하고, 3) U-GIS를 기반으로 한 u-서비스 시나리오 4가지를 제안하고, 4) 현재의 기술개발 현황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city's paradigm, the demand on u-City increases rapidly. u-City has been built at 54 areas in Korea (as of May 2009). One of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success or failure in the increasing of u-City is how to provide u-Services. Most current u-Services are Sensor Network-based monitoring services to manage urban infrastructure. u-GIS is one of fundamental requirements to implement 'any time and any where' u-Service which covers the essential meaningful term "ubiquitous". Hence, in this paper, we 1) describe the definition of the spatial awareness, 2) discuss how to converge (Spatial Embedding) among different spatial data : topographic spatial data, sensor spatial data, and more, 3) bring forth an advanced form of u-Service, 4) analyze the state-of-the-art u-GIS techniques.

      • Eurasian Otter (Lutra lutra)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Using GIS; A case study on Soraksan National Park

        Park, Chong-Hwa,Joo, Wooyeong,Seo, Chang-Wan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0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0 No.4

        Eurasian otter (Lutra lutra) is one of endangered wildlife species whose population size is declining in Korea. To manage and conserve habitat for Eurasian otter, it is crucial to understand which habitat components affect otter habitat qualiti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habitat suitability model of Eurasian otter in Soraksan National Park, to validate the model in Odaesan National Park.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race data and characters of Eurasian otter habitat were collect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s between 2000 and 2002. Second, the habitat use factors were identified as habitat characteristics of Eurasian otter and classified with habitat use and availability analyses. Third, significant factors of habitat model were extracted by Chi-square test. The last, Eurasian Otter Habitat Suitability Model (EOHSM) was employed by logistic regression method. Otter habitat us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eds and shrubs areas adjacent to streams, the size of boulders, and low human disturbance in Soraksan National Park by EOHSM. This model had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74.4% at cutoff value of 0.5. Model validation showed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86.6 % at cut off value of 0.5 for otter habitat in Odaesan National Park.

      • Comparative Study on Advanced NSDIs for the Future NGIS Implementation in Korea

        Kim Eun-Hyung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0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3 No.4

        국가공간데이터기반 개념은 국가공간데이터기반의 발전과 더불어 변화한다. 초기의 국가공간데이터기반은 개별적이고 공간데이터기반 자체에 초점을 두었지만, 최근 국가공간데이터기반은 세계, 지역 및 지방공간데이터기반 간의 위계구조에서의 역할이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국가공간데이터기반의 특성과 미국, 영국, 캐나다 국가공간데이터기반 등 각 국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의 차세대 국가공간데이터기반, 즉 국가GIS의 정책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The NSDI concept has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SDI. While the NSDI was initially established as a separate entity, recently mor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DI hierarchy, from a local level to a global level. As an advanced NSDI, the USA, the UK and Canada emphasize more on better citizen services through an e-Government GIS portal such as the USA's Geospatial One-Stop.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SDIs can be different from each nation in terms of vision, structure, evolution stages and a degree of integration with the e-Government. Rather than to describe differences just fur comparison, more characteristics of NSDIs are identified and the comparisons are developed a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