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심은정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1

        대부분의 기독교 교회에서는 기독교인들 간 결혼을 할 것을 가르치고 장려한다(본논문에서 기독교는 개신교를 지칭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이 종교적 배경이 다른 사람과 데이트를 하거나 결혼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종교적 이종혼(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사이의 결혼)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살펴보고,종교적 이종혼이 종교적 동종혼(기독교인과 기독교인 사이의 결혼)과 비교해 볼 때부부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리학적 실증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토대로 성경적 관점과 심리학적 관점을 통합하여 목회 상담과 기독교 상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종교적 이종혼이 종교적 동종혼에 비해 부부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이종혼이 의미 중에는 종교활동 공유의 제약이 있는데, 이는 결혼에 대한 신념과가치의 공유를 제한하고 나아가 부부 간 종교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 체계의 차이를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상담을 하는 상담자가 타종교인과의 결혼을 고려하는 기독교 내담자를 상담할 때 상담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Most Protestant churches tend to teach and encourage marriage in the same faith. In reality, however, a great number of Christians(i. e., Protestants) date or marry those who are from a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religious heterogamy(marriage between a Christian and non-Christia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heterogamy and marital qualit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and psychological findings, the discussion of how the Christian counseling should approach the interreligious marriage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religious heterogamy have a greater possibility of negative impact on martial relationship than religious homogamy. When a couple have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they have limited opportunities in sharing religious activities, which further creates discrepancies in marital beliefs,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system. Christian counselors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utilizing these results when seeing a Christian client who considers religious heterogamy.

      • KCI등재

        종교성과 타종교와의 결혼 허용도

        한내창(Nae Chang Han)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1

        본 연구는 개인들의 종교(성)이 ‘타종교 결혼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 자료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개인들의 종교(성)은 신봉종교, 종교적 배타성, 종교활동 참여, 기타종교활동 참여, 기도 빈도, 주관적 종교성, 본질적 종교성, 비본질적 종교성 등의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타종교 결혼 허용도’는 ‘친척(가족포함)이 다른 종교 신봉자와 결혼한다고 하면 허용하겠는가’라는 한 개 문항에 의해 측정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2008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가 사용되었다. 이 자료는 전국 성인 남녀를 확률표집(다단계 지역표집)에 의해 표본 추출한 대표성 있는 자료로서, 결과의 일반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한다. 다중회귀 분석결과 불교 집단은 모든 종교성 변인들과 심지어 통제변인들까지 타종교 결혼허용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개신교 집단에서는 종교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본질적 종교성 정도가 높을수록, 종교적 배타성 정도가 높을수록 낮은 타종교 결혼 허용도를 보였다. 천주교 집단에서는 본질적 종교성만이 타종교 결혼 허용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개신교 집단은 종교적 정체감이 강하고 이러한 경향이 타종교 결혼 허용도와 같은 태도에 제법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천주교인들도 본질적 종교성이 강할수록 낮은 타종교 결혼 허용도를 보였다. 그리고 분석결과의 함의 및 변수의 측정 문제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plan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s religiosity on ‘interreligious marriage permissiveness’ based on empirical data. The religiosity was measured in multi-dimensional scales: religious affiliation, religious exclusiveness, participation in religious service, participation in extra-religious activities, frequency of prayer, perceived religious commitment, intrinsic religiosity, and extrinsic religiosity. Also, ‘interreligious marriage permissiveness’ was measured by one item: ‘how much will you permit if your relatives(including family) are going to marry the person with other religious background.’ The “200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 set was used to test the model. The data are soundly representative in that they were collected from the subjects sampled by probability sampling(multi-stage area sampl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It is likely that religion acts as a secondary factor rather than a primary criterion in marriage-related decision making. ⒝ Compared with Buddhists and Catholics, Protestants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all religiosity variables and the lowest in interreligious marriage permissiveness. ⒞ Multiple regression: In the Buddhist sample all religiosity variables(8 IVs) and control variables(gender, age, and years of education) have no effect on interreligious marriage permissiveness. In the Protestant sample, three variables such as religious activity participation, intrinsic religiosity, and religious exclusivism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ermissiveness. That is, the more actively the person participated in religious services, the more intrinsic and the more exclusive, the less permissive in interreligious marriage the Protestants are likely to be. In the Catholic sample, the intrinsic religiosity only has a significant negative net effect on permissiveness. Finally, some issues such as measurement of interreligious marriage permissiveness and some related correlate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research are briefly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