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용저수지의 홍수조절 영향인자 분석

        우재열 ( Jaeyeoul Woo ),최재희 ( Jaehe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농업용저수지 정밀안전진단에 적용하는 홍수량 기준은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필댐편), 2002.』에 따라, 저수지의 물넘이 설계에 사용되는 홍수량은 200년 빈도 홍수량, 기왕최대홍수량, 지역최대홍수량 중에서 큰 값을 선택하며 필댐의 경우 이 값에 20%를 가산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수로의 설계기준 홍수량으로 필댐의 경우, 200년 빈도의 저수지 유입홍수량의 120%를 채택하여 저수지 추적에 의한 방류량으로 적용하고 있다. 저수지 추적에 의한 방류량은 저수지의 저류효과로 홍수조절 기능을 하여 유입량보다 방류량이 적으며, 이 방류량은 저수지 단면검토 홍수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용저수지의 홍수조절 효과는 유입홍수량에 대하여 유역면적, 만수면적, 도달시간 및 저수지 규모 등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업용저수지 홍수조절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농업용저수지는 2015년 한국농어촌공사 기술안전품질원에서 자체 시행한 73개의 농업용저수지 정밀안전진단 지구를 선정하였으며, 홍수조절 효과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홍수조절량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총저수량, 유역면적, 만수면적, 도달시간, 여수토 규모 등)를 결정하고, 홍수조절 효과와 영향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 상관관계가 높은 인자를 대상으로 홍수조절량 사이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홍수조절량과 영향인자 사이의 최적의 관련식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reservoir routing factors (e.g., total storage, watershed area, area of full water, time of concentration, spillway size) for agricultural reservoir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servoir routing volume and reservoir routing factors (e.g., total storage, watershed area, area of full water, time of concentration, spillway size) were conducted. 2.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reservoir routing volume were expressed as the functions of reservoir routing factors.

      • KCI등재

        라틴댄스 활동이 비만여성의 혈관내피세포 변인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장용우,한소망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16 weeks of Latin dance activity on vascular endothelial cell variables and endothelial function regulators in obese women. To carry out this purpose, after examining the physical homogeneity of obese women collected through recruitment advertisements, 10 obese experimental groups and 10 obese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using the systematic sampling method in the population. As a result, the measurement of body fat percentage using In body 3.0 and the FMD test using pulse wave doppler, and the data shown in blood analysis for VEGF, NO, and ET-1 were processed by two-way repeated ANOVA.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vascular endothelial cell parameters in obese wom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rather high increase rate of 36.2% in the brachial artery blood flow-mediated vascular dilation(FMD), and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in the blood also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 found in 13.7% of cas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changes in vasomodulators in obese women, nitric oxide(NO) showed a high increase rate of 24.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endothelin 1(ET-1) showed a significantly high decrease of 46.7%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in body fat percentage, it was found that the body fat percentage decreased at a significantly higher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21.1% post-mortem than before. There was no statistical change in the control group for each variable. In summary, through changes in NO and ET-1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body fat percentage and an increase in FMD and VEGF in obese women, vascular endothelial cell variables adapted to long-term Latin dance activities are sensitive to changes in vascular regulators.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the Latin dance program in this study had a very beneficia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the regul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of vascular regulators, along with the relief of obesity in women. It is suggested as an effective aerobic exercise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blood pressure and vascular control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16주간의 라틴댄스 활동이 비만 여성들의 혈관내피세포 변인 및 내피기능 조절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모집광고를 통해 수집된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적 동질성 여부를 검사한 후 모집단 내의 체계적 표집(systematic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비만 실험군 10명, 비만 통제군 10명을 대상으로 In body 3.0을 이용한 체지방률의 측정과 pulse wave doppler를 이용하여 FMD를 검사하고 VEGF, NO 및 ET-1을 혈액 분석에서 나타난 자료를 이원반복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으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여성의 혈관내피세포 변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상완동맥의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FMD)에서 실험군은 36.2%의 다소 높은 증가 비율을 나타냈으며, 혈중의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도 실험군의 경우 13.7%로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만여성의 혈관조절인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화질소(NO)는 실험군은 24.4%의 높은 증가 비율을 나타냈으며, 엔도텔린1(ET-1)의 경우 실험군은 46.7%의 유의하게 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쩨, 체지방률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체지방률은 실험군의 경우 사전에 비해 사후 21.1%로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 별 통제군의 통계적인 변화는 없었다. 요약하면, 비만여성의 체지방율의 감소와 FMD 및 VEGF의 증가와 연관된 NO와 ET-1의 변화를 통해 장기간의 라틴댄스 활동에 적응된 혈관내피세포 변인은 혈관조절인자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연관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라틴댄스 프로그램은 여성들의 비만 해소와 함께 혈관내피세포의 개선 및 혈관조절인자들의 혈관 내피기능 조절에 매우 유익한 효과를 미친 것으로 해석되며, 이후 비만 인의 체내 지방조절과 더불어 혈관내피의 탄력성과 혈관조절인자의 기능적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제시된다.

      • KCI등재

        고혈압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2011)

        이은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6

        Hypertension is known a risk factor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trol in Korean adults with diagnosed hypertension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Among subjects aged ≥4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1, subjects with a previous diagnosis of hypertension were analyzed. The hypertension control rate was 65.7%. However, the hypertension control rate was very low among subjects aged <50 years (55.0%). Factor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 control of hypertension included male, basic likelihood security,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hypertension medication and dyslipidemia. These findings show that moderation in drinking, physical activity and hypertension medication are important to control of hypertension. And interventions for female, basic likelihood security, and middle aged people is needed for hypertension control. 고혈압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뇌심혈관질환과 같은 주요 사망 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분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고혈압 유병률을 파악하고 고혈압 조절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전국규모로 시행되고 있는 2011년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40세 이상 고혈압 대상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고혈압 조절은 보정된 혈압 수치를 이용하여 140/90mmHg를 기준으로 고혈압 조절군과 비조절군으로 분류하였다.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분석지침에 따라 복합표본분석설계요소인 가중치, 층화변수, 집락변수를 지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중치는 표본 추출률을 반영한 설계가중치 계산, 무응답률 조정, 사후층화, 극단가중치 처리 단계를 거쳐 최종 산출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의 65.7%가 고혈압이 조절되고 있었으며 40대의 고혈압 조절률이 다른 연령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분석결과 남성, 기초생활 비수급자, 신체활동량, 고혈압 약물 복용, 고지혈증 있는 군에서 고혈압 조절률이 높았으며 한번에 5잔 이상 음주를 하는 경우 고혈압 조절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혈압 조절을 위해 절주와 신체활동량 증가, 고혈압 약물 복용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여성과 저소득층, 중년층을 위한 고혈압 조절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애기장대 GATA12에 의한 식물 이차 세포벽 형성 주요 유전자의 조절

        임기환,김원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7 No.-

        The secondary cell wall is composed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and some of the genetic pathways responsible for their synthesis have been elucidated. In the secondary cell wall biosynthesis pathway, there are downstream genes that can synthesize each component, hub genes that can regulate these genes, and master regulators that control genes at the top of the pathway. AtGATA12, a member of the GATA family, is a gene that is highly expressed in plant stems, but its role has not been clearly studied.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role of AtGATA12 in the plant secondary cell wall biosynthesis pathway involves the regulation of master regulators. AtGATA12 functions as a transcription factor in Arabidopsis,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secondary cell wall genes and directly controlling master regulators such as ANAC012, NST1, and VND7. Additionally, the secondary cell wall of the interfascicular fiber in the Arabidopsis stem was thickened. Therefore, we demonstrated that AtGATA12 has the ability to regulate secondary cell wall biosynthesis in Arabidopsis and can directly control several master regulators. 식물 이차 세포벽은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그리고 리그닌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합성에 관여하는 몇몇 유전 경로들이 밝혀져 있다. 이러한 경로에는 식물 이차 세포벽의 각 구성 요소를 합성할 수 있는 하위 유전자, 이러한 유전자들을 조절할 수있는 허브 유전자, 그리고 경로의 최상단에서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마스터 조절자가 존재한다. GATA 패밀리의 일원인AtGATA12는 식물 줄기에서 높은 발현을 보이는 유전자이지만, 그 역할은 명확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이차 세포벽 생합성 경로에서 A tGAT A12의 역할이 이제까지 최상단이라 여겨지던 마스터 조절자들의 상위에서 이들의 조절에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AtGATA12는 애기장대에서 전사 인자로 기능하며, 이차 세포벽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고ANAC012, NST1, VND7과 같은 마스터 조절 자들을 직접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했다. 추가로, 애기장대 줄기에서 이차 세포벽이 두꺼워지는 것을 확인하여, AtGATA12가 애기장대에서 이차세포벽 생합성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여러 마스터조절 자들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 KCI등재

        스마트 온실의 현장조사 분석

        이종구(Jong Goo Lee),정영균(Young Kyun Jeong),윤성욱(Sung Wook Yun),최만권(Man Kwon Choi),김현태(Hyeon Tae Kim),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우선, 농작물의 생육 및 환경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에 앞서 현재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 온실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7가지의 유형별 스마트 온실 농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서 전하는 유형별 스마트 팜 선도 사례의 주목적을 보면, 지능형이나 첨단형 정도가 스마트 팜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령대를 보면, 상대적으로 40대 및 6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하가 21개 농가로서 전체의 약 70.0%정도를 차지하였고, 재배경력은 10년 이하가 가장 많았다. 온실의 형태로는 1-2W형이 전체의 50.0%정도이고, 연동형이 전체의 80.0%정도로서 24개 농가였다. 재배작물의 경우, 화훼류는 3개 농가뿐이고, 나머지 농가는 채소류 중에서도 과채류만 재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채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토마토와 파프리카가 전체 중에 약 63.6%를 차지하였다. 제어시스템은 약 77.4%정도인 24개 농가가 국산제품을 사용하고 있었다. 제어시스템의 제어방식의 경우, 3개 농가는 제어패널만을 사용하여 온습도 등을 조절하였고 나머지 농가는 패널과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제어방식이었다. 디지털 제어의 경우, 휴대폰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원격조절도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고, 대부분 농가에 CCTV도 설치되어 있었다. 계측 및 조절 대상 환경인자는 온도를 포함하여 9개 정도이며, 온도는 전체 조사대상 농가가 계측하고 있었지만, 환기 및 공기유동 팬이나 탄산가스 농도 등의 경우는 다른 인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난방시스템의 경우, 대상 농가 중에 46.7%가 전기보일러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온수보일러, 히트펌프 및 등유보일러 등으로 나타났다. 제어시스템에 투자한 규모의 경우, 1,000만 원에서 1억원까지로 투자규모가 농가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a field survey with smart greenhouse-based farms in seven types to figure out the actual state of smart greenhouses distributed across the nation before selecting a system to implement an optimal greenhouse environment and doing a research on higher productivity based on data related to crop growth, development, and environment. The findings show that the farms were close to an intelligent or advanced smart farm, given the main purposes of leading cases across the smart farm types found in the field. As for the age of farmers,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and sixti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ercentage, but those who were in their fifties or younger ran 21 farms that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0.0%. The biggest number of farmers had a cultivation career of ten years or less. As for the greenhouse type, the 1-2W type accounted for 50.0%, and the multispan type accounted for 80.0% at 24 farms. As for crops they cultivated, only three farms cultivated flowers with the remaining farms growing only fruit vegetables, of which the tomato and paprika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3.6%. As for control systems, approximately 77.4% (24 farms) used a domestic control system. As for the control method of a control system, three farms regulated temperature and humidity only with a control panel with the remaining farms adopting a digital control method to combine a panel with a computer. There were total nine environmental factors to measure and control including temperature. While all the surveyed farms measured temperature, the number of farms installing a ventilation or air flow fan 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was relatively small. As for a heating system, 46.7% of the farms used an electric boiler. In addition, hot water boilers, heat pumps, and lamp oil boilers were used. As for investment into a control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vestment scale among the farms from 10 million won to 100 million won. As for difficulties with greenhouse management, the farmers complained about difficulties with using a smart phone and digital control system due to their old age and the utter absence of education and materials about smart greenhouse management. Those difficulties were followed by high fees paid to a consultant and system malfunction in the order.

      • KCI등재

        전사 인자의 결합되는 위치의 통계적 모형화에 관한 연구

        황성희,손인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6

        To predict over-represented transcription factors from a set of known co-regulated gene promoters will provide insight into the mechanism that underlies the interaction among the co-regulated genes. Several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used to identify of over- represented transcription factors in a set of coexpressed genes. There has been no report on the systematic comparison of these methods in identifying over-represented transcription factors. In this study, we extensively compare fisher-exact test, Chi-square test, hyper- geometric method, and Audic-Claverie method using both two microarray data and two transcription factor regulated data. We also provide the guidelines for finding the most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under various situations. Through our comparison study, Audic-Claverie method has the best power. 상호 발현되는 유전자들은 공통적인 조절 기작을 수행할 것으로 보고 이러한 상호 발현되는 유전자들에서 over-represented TFBS를 선택하는 것은 생물학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비표적 유전자들에 비해 표적 유전자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포함하고 있는 특정 전사 인자들을 선택함으로써 이 전사 인자들로부터 over-represented TFBS를 발견할 수 있다. 상호 발현되는 유전자들에서 over-represented TFBS를 선택하는 몇 가지 통계 검정 방법들이 사용되어오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을 비교한 연구는 보고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over-represented TFBS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피셔의 정확 검정, 카이제곱 검정, 초기하 방법과 Audic- Claverie 방법에 대해 두 개의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와 두 개의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의 비교 연구에서 Audic-Claverie 방법이 가장 좋은 검정력을 보였다.

      • KCI등재

        비만치료를 위한 기초실험분야에서의 새로운 타겟

        이성규 대한비만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1 No.3

        Change in either energy intake or energy expenditure alone will meet resistance as compensatory adjustments occur,because body fat seems to be regulated homeostatically. Therefore, combined therapy targeting the multiple aspects of body weight regulation mechanism will solve this resistance. Some of the recent basic medical experiments attracting considerable attention as targets for obesity treatment in the complex mechanism of body weight regulation are as followings: intranasal leptin, peripheral cannabinoid-1 receptor inverse agonism reversing leptin resistance and hypothalamic autophagy acting on food-intake regulation; gut microorganism serving as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targets for treating obesity and obesity -associated diseases; PRDM16, NAD-dependent deacetylase SirT1, Fibroblast growth factor 21, Retinaldehyde dehydrogenase, PGC-1α dependent myokine irisin, Pten,Thioesterase superfamily member 1, and study on exposure to cold temperature which target on energy expenditure,thermogenesis and brown adipose tissue as therapeutic means for obesity treatment. Also, the cytoplasmic domain of tissue factor (the initiator of the coagulation cascade) and protease-activated receptor 2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as a new therapeutic target for reducing body weight gain in obese individuals and treating obesity-associated type 2diabetes. 체지방은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조절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너지 섭취 혹은 에너지 소비 한 쪽의 변화는 보상적인 적응으로 다시 저항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체중 조절 메카니즘의 여러 곳을 타겟으로 하는 복합적인 요법이 이러한 저항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복잡한 체중 조절 메카니즘에서의 비만 치료의 타겟으로 연구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최신 기초실험 연구의 일부를 소개하면, 식이 조절 기전에대한 연구로 렙틴의 비강 투여, 렙틴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말초 cannabinoid-1 수용체의 역 효현제(inverse agonist), 시상하부의 자가포식 연구가 있고;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영양 및 약리학적 표적으로 장내 미생물이 있으며; 에너지 소비, 열생산 및 갈색 지방조직을 비만 치료의 타겟으로한 PRDM16, NAD-의존적 deacetylase SirT1, Fibroblast growth factor 21, Retinaldehyde dehydrogenase, PGC-1α의존적 myokine인 irisin, Pten, Thioesterase superfamily member 1, 추위 노출에 대한 연구가 있다. 그리고 혈액응고의주요한 개시인자인 조직인자(tissue factor)의 세포질 도메인과protease-activated receptor 2가 비만인에서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고, 비만 관련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타겟으로 주목받고 있다.

      • KCI등재

        벤치스텝운동이 비만여고생의 체조성과 에너지대사 조절 인자에 미치는 영향

        김윤정(Kim, Yoon-Jeong),김기봉(Kim, Ki-Bong) 대한운동학회 2008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0 No.1

        본 연구는 벤치스텝운동이 비만여고생의 체조성과 복부비만 및 에너지대사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만 여고생 26명을 대상으로(운동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 12주간 벤치스텝운동을 실시하여 운동 실시전과 후의 각 요인의 변화를 측정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체조성 요인에서 운동집단은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내장지방 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제지방체중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 후 운동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체중과 요위둔위비가 유의하게 낮았다. 에너지대사 조절 인자 중에서 운동집단은 인슐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통제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운동 후에 운동집단보다 통제집단이 인슐린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면 지속적인 벤치스텝운동이 비만해소와 생활습관병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bench step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visceral fat and energy metabolism in obese high school girls. The subjects were 13 obese girls composed of the Bench step exercise group for 12-weeks and 13 obese girls composed of the Control group. The variables of body composition and energy metabolism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12-week Bench step exercise in all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Bench step exercise group were as follows; weight, TBF, BMI, WHR, VFA had significantly decreased and LBM had increased. Insulin had significantly decreased, but leptin, GH and glucose had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Exercise group. Therefore, the regular and continuous Bench step exercise will be effective for decreasing wight, TBF, BMI, %BF, WHR, VFA and insulin, and for preventing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youth.

      • KCI등재

        딸기재배 온실의 현장조사 분석

        정영균(Young Kyun Jeong),이종구(Jong Goo Lee),윤성욱(Sung Wook Yun),김현태(Hyeon Tae Kim),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생육 및 환경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딸기 재배 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서부 경남 지역 중 딸기 재배로 유명한 지역의 온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상대학교 내에 딸기 재배용 테스트 베드 온실을 설치하여 연구를 실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재배농가의 연령대를 보면, 상대적으로 50대 및 6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하가 27개 농가로서 전체의 약 67.5%정도이었고, 60대 이상은 32.5%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경력의 경우, 10년 이하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30년 이상인 경우도 있었다. 대상농가 모두가 단동온실로서 대부분이 아치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액재배 농가가 약 75%정도로 토경재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액재배의 경우, 전체 농가가 고설재배를 하고 있었다. 단동온실의 폭, 측고 및 동고는 조사지역에 관계없이 각각 7.5~8.5m, 1.3~1.8m 및 2.5~3.5m정도 이었다. 서까래 간격도 0.7~0.8m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설재배의 경우, 고설재배 베드의 폭, 높이 및 간격은 각각 0.25m전후, 1.2m전후 및 1.0m전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딸기 품종의 경우, 국산이 약 97.5%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 중 설향이 약 65.0%로서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부 환경요인으로 38개 농가가 온도와 상대습도만 계측하였다. 2개 농가는 최근에 국산 제품인 스마트 팜 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도 있었다. 양액재배의 경우는 양액제어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관비기를 사용하거나 환기 및 유동 팬을 사용하고 있는 농가도 있었다. 온습도 조절은 스마트 팜 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를 제외하고 약 85%인 34개 농가에서 측창이나 환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패널만을 이용하여 조절하였고, 수동으로 측창을 개폐하고 있는 농가도 10%정도인 4개 농가가 있었다. 보온 및 난방의 경우, 전체 대상 농가가 수막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 필요에 따라 기름 및 전기보일러, 방열 램프 및 부직포 등을 병행하여 이용하는 농가도 다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select a system to realize an optimal environment for strawberry cultivation greenhouses based on data abou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rawberry and its enviro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of its improved productivity.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field survey with greenhouses for strawberry cultivation in western Gyeongnam. The findings show that farmer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in the age groups of strawberry farmers. While those who were under 50 were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7.5%, those who were 60 or older accounted for 32.5%. As for cultivation experiences, the majority of the farmers had ten years of cultivation experiences or less with some having 30 years of cultivation experiences or more. All the farmers built an arch type single span greenhouse. Those who used nutrient solutions were about 75.0%, being more than those who used soil. All of the farmers that used a nutrient solution adopted an elevated hydroponic system. The single span greenhouses were in the range of 7.5~8.5m, 1.3~1.8m and 2.5~3.5m for width, eaves, and ridge height, respectively, regardless of survey areas. The rafters interval was about 0.7~0.8m. In elevated hydroponic cultivation, the width, height, and interval of the beds were about 0.25m, 1.2m and 1.0m, respectively. As for the strawberry varieties, the domestic on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7.5% with Seolhyang being the most favorite one at about 65.0%. As for the internal environment factors of greenhouses, 38 farmers measured only temperature and relatively humidity. As for hydroponics, the farmers used a hydroponics control system. Except for the farmers that introduced a smart farm system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pproximately 85.0% controlled temperature and humidity only with a control panel for side windows and ventilation fans. As for heating and heat insulation, all of the farmers were using water curtains with many farmers using an oil or electric boiler, radiating lamp or non-woven fabric, as well, when necessary.

      • KCI등재

        유사생물학적 대상 함수를 이용한 IMRT 최적화 알고리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병용,조삼주,안승도,김종훈,최은경,장혜숙,권수일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1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6 No.4

        세기 조절 방사선 치료 최적화 대상 함수로 이용하기 위하여 유사 생물학적 대상 함수를 고안하여,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치료 계획 장치는 본 연구진이 개발한 RTP Tool Box(RTB)를 사용하였다. 수학적으로 생물학적 대상 함수와 비슷하나, 사용하는 상수들은 물리적인 인자를 사용한 유사 생물학적(Pseudo-biologic) 대상 함수를 도입하였다. 치료하고자 하는 표적에 대하여는 표적 포함인자(TCI, Target Coverage Index) 개념을 도입하였고, 정상 장기에 대해서는 조직성적 인자(OSI Organ Score Index)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TCI와 OSI 개념을 사용하여 대상함수 S를 정의하였다. 어떤 종류의 대상 함수를 사용하든 표적 선량의 분포는 비슷한 추세를 보였으나, 유사 생물학적 대상 함수를 사용한 경우 정상 조직의 선량 분포가 물리적인 대상 함수를 사용한 치료 계획보다 낮게 나와 세기조절 방사선 치료의 대상 함수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The pseudo-biologic objective function has been designed for the IMRT optimization. The RTP Tool Box (RTB)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seudo-biologic function is similar to the biological objective function in mathematical shape, but uses physical parameters. The concepts of the TCI (Target Coverage Index) and the OSI (Organ Score Index) have been introduced for the target and the normal organs, respectively. The pseudo-biologic objective function s has been defined using these TCI and OSI's. The OSI's from the pseudo-biological function showed better results than from the physical functions, while TCI's showed similar tendency. These results revealed the feasibility of the pseudo-biologic function as an IMRT objective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