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입학사정관전형의 유형 분석 -평등성과 수월성, 일원성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임진택 ( Jin Taek Lim ),김은혜 ( Eun Hye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2 입학전형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대학별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전형을 유형화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입학사정관전형의 설계 방향을 제시해보는데 있다.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 30개 선도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교육적 가치의 지향점에 따라 평등성(equity)과 수월성(excellence), 그리고 평가 역량이 단일적 차원이냐 다면적 차원이냐에 따라 일원성(singularity)과 다원성(pluralism)으로 나눠보았다. 본 연구 결과 현재 입학사정관전형은 그 강조점에 따라 4분면에 골고루 퍼져있어 학생선발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사분면은 ``수월성·다원성``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전형명칭에 주로 대학인재상을 반영한 대학인재, 미래인재, 창의인재, 글로벌인재, 자기추천인재 등이 해당된다. 2사분면은 ``평등성·다원성``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다문화가정과 북한이탈주민, 아동복지시설출신자, 조손가정, 국가유공자, 사회기여자 등의 출신 배경에 대한 배려와 지역 할당 개념의 지역균형·인재선발이 해당된다. 3사분면은 ``평등성·일원성``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기존의 정원 외 전형으로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가구학생, 특성화고출신자, 특성화고졸재직자, 특수교육대상자 등이 해당된다. 4사분면은 ``수월성·일원성``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1단계 학생부 교과 성적만으로 학생을 선발하거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하고 있는 전형이 해당된다. 학교생활우수자, 학업우수자, 전공특성우수자 등이 해당된다. 향후 입학사정관전형은 대입전형의 평등성과 수월성, 대입전형의 다양화와 대입전형의 단순화가 조화되는 방향에서 설계되어야한다. 즉,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인재 선발을 반영하면서 수험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대입전형이 설계되어야겠다. This study classifies and analyzes the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system in universities to suggest desirable design plan of those system. This study analyzed 30 leading universities for admissions officers system and classified types by applying equity and excellence, singularity & pluralism. As a result of this study, current admissions officer model is evenly spread to 4quadrants de pending on the point and finally reflects the variety of student selection. 1st quadrant is an admissions officer model of ``excellence/pluralism`` quadrant and includes university``s talent, future talent, creative talent, global talent, and self-recommended talent reflecting mainly right talent of university. 2nd quadrant is an admissions officer model of ``equity/pluralism`` quadrant and includes considerations to multicultural family, resident escaping from North Korea, student from child welfare institutio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y, person of national merit, contributor to society and regional balance/talent selection of regional allocation concept. 3rd quadrant is amodel other than existing quota as an admissions officer model of ``equity/singularity`` quadrant and includes student from farm village/fishing village, recipient of basic living/potential welfare recipient, student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 who takes special education. 4th quadrant is an admissions officer model of ``excellence/singularity`` quadrant and includes a model which selects students only with stage 1 high school records or establishes SAT lowest qualification. Student who is excellent in school life, student who is excellent in school records, and student who has excellent characteristic in major are included. The admissions officers system needs to be designed to harmonize between equity & excellence, and singularity & pluralism of admissions. Therefore, the system must consider the reflection of talented personnel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core values that future society required, and must be designed to reduce burden of students and parents.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특성 탐색: 수도권 소재 D종합대학 사례 연구 중심으로

        이영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ge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tyle, emotional adaptation, and career of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two step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in 2016 at the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37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37 students by both of groups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exam as the first step of research in order to compare and contrast their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of students. The second step of qualitative research wa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 for the 6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in order to analyze their concret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ed. Overall,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tyle are similar in the two groups of students from both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exam, college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career are relative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First,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are influenced by their academic interest and needs when they applied for the university and deciding their majors. And they were active to participate in many kinds of activities in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fields in colleges. Second,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ink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try to be involved in the groups activities while they are in college. Third, the students also think that having a lot of experiences in the college life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competency which is critical to be prepared for the future career. Thus, they want to be involved in many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college. These findings are aligned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at was conducted previously by the researchers.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학업, 정서, 그리고 진로 영역에 대한 특성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6학년도에 입학한 대학 3학년 재학생들 대상으로총 2단계 걸친 분석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3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및 정시전형으로입학한 학생들로 구분하여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전형에 따른 학생들의 응답 특성 및 차이를분석하였다. 2단계 분석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재학생들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학생부종합전형입학생들이 보이는 구체적인 특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과 정시전형 입학생들은 학업 관련 부분의 특징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정서, 진로 영역에서 보이는특징들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재학생들의 대학생활에서의 주요 특징은 자신의적성을 바탕으로 학문적 호기심과 전공에 대한 관심을 갖고 대학 진학 및 전공 선택을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활에서의가장 큰 만족도 또한 자신들의 학문적 욕구에 대한 충족감이라는 점이었다. 둘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은 정서영역에 대한 주요 특징으로 대학생활 전반에서 다양하고 적극적인 교류와 활동 참여를 통하여 타인과 공감 및 소통하는인간관계를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이 보이는 진로 영역에 대한 특징은 전문 분야로 진출하고자하는 확고한 의지와 이를 위하여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통한 적극적 진로 준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양적 연구 방식으로 수행되었던 선행 기초 연구(임현정, 이영희, 2017)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로써, 질적분석을 통하여 결과에 대한 배경 및 이유, 그리고 변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 등의 맥락적 해석을 할 수 있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궁극적 취지를 살리고 전형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종단 연구를 통하여 학생부종합전형입학생들의 성장과 잠재력 발현에 대한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통한 학생부종합전형의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 분석 연구: K대학의 디자인계열 모집단위를 중심으로

        김혜경 ( Kim Hye-kyung ),박소연 ( Park So-yeon ),박여진 ( Park Yeo-jin ),박윤경 ( Park Yun-kyo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8 입학전형연구 Vol.6 No.-

        본 연구에서는 점점 다양화되고 있는 디자인계열의 대입전형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전형유형별재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현황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각 전형유형에 적합한 학교생활적응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주요대학의 디자인계열 대입전형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K대학 디자인계열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적응 만족도 설문조사와 소규모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통해 디자인계열 대입전형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졸업 후 진로계획’, ‘학교생활만족도’, ‘전공 외 학습’ 부분에서 전형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공 학업성취도(GPA)’의 경우 전형유형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가 디자인계열학과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대입전형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이를 향후 대입전형 설계에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재학생 대상의 사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diversification of applications and admissions categories regarding design school, this study is aimed at apprehending their current state in-work and seeking for appropriate school Life Adaptation Supports Program for each category respectively, through multi-perspective analysis on currently enrolled students’ status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To do this, It apprehended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admission system regarding design school of major universities and analyzed admissions system each category respectively regarding design school students of K university. The study showed there was meaningful distinction in terms of ‘Career planning after graduatio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learning other than major’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of major each admission system categories. This study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diverse college admission system that is run by design school and it expect it will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follow-up program aimed at enrolled students by utilizing it as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 KCI등재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종단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Jung-Hui Choi),이솔비(Sol-b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입학생들의 입학전형 유형이 입학 이후 학업성취도(GPA)와 학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 결과가 지닌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D대학교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입학전형에 따른 2020학년도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학전형을 학생부종합, 교과, 논술, 수능으로 세분하였으며, 입학전형에 따른 집단 간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입학전형에 따른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의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평균비교를 통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시 중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이어서 수시 교과전형 입학생의 성취도가 높았다. 반면에 수시 논술우수자전형 입학생의 성취도는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종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의 전체 평균은 모든 전형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서 수시와 정시 입학생 간에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수시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 교과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가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결과, 교과전형, 수능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상승한 반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입학전형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차원의 종단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dmissions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 their post-admission academic achievement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Methods D University, a four-year comprehensive university, was analyzed as a case stud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students enrolled in 2020 according to admissions was conducted. Admission screening was subdivided into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school subject, essay writing, and SAT, and one-way ANOVA and Scheffé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average GPA and departmental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dmission screening. Next,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current students in 2019 and 2020 according to the admissions proces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y admission processes,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which is a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creening for excellent school subjects showed high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achievement of students admitted with excellent essay writing skills was low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students with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mean increased in all types. In terms of department satisfaction, there was an overall difference between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occasional admiss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based on the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of departm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chool subject records, SAT, and essay screening increased, whil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did not chang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 longer-term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make a rational judgment on the effects of admissions typ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 학생부종합(입학사정관)전형의 변화 과정에 대한 전형 담당자 인식 조사: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유 ( Kim Sang-yu ),김대현 ( Kim Dae-hyun ),박여진 ( Park Yeo-jin ),정윤미 ( Jung Yoon-mi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9 입학전형연구 Vol.8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K대학교에서 2009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운영한 입학사정관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의 변화 과정을 살펴본 후, 그 변화 과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전형 운영 담당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집요강을 중심으로 한 문헌분석을 비롯하여 전형 운영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하였다. 입학사정관제 시행 초기부터 운영되었던 네오르네상스전형은 세부적인 면에서 변화는 있었지만 K대학교를 대표하는 전형으로 꾸준히 유지되었다. 반면, 오토피아전형, 고교교육과정연계전형, 창의적체험활동전형, 지역균형전형 등은 1~3년간 운영되다가 폐지되거나 다른 전형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시에 운영되었던 고른기회전형 유형은 모두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통합되었다. 과거의 전형 운영 결과, 현행 전형 운영, 향후 전형 운영 등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과거 운영과 관련된 대부분의 설문항목에 있어서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다. 현행 대입전형 운영과 관련하여, 학생부종합전형별 명칭의 적절성, 지원자격의 타당성, 전형방법과 모집인원의 적절성 등의 설문항목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다수였다. 다만 고른기회전형I 가운데 국가보훈대상자의 모집인원은 현행보다 줄여야 한다는 응답이 다수였다. 향후 운영과 관련하여, 면접평가에서 제시문 폐지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가 찬성하였고, 교사추천서 폐지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팽팽하였다. 그 외의 영역에 있어서는 현행 전형방법 및 운영을 유지하는 것에 동의하는 응답이 다수였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xamine the comprehensive School Record Screening(Admission Afficer System) of K university from 2009 to 2018. To do th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analysis of the management personnel including textual analysis centered on the application guidelines. The Neo-Renaissance Screening has been steadily maintained as a representative of K university, although there has been a change in detail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esults of past screening, current screening, and future screening, most of the responses related to the past operation were positive. Regarding the current selection process, there were many positive responses in th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the names of the selection systems,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qualifications, the method of selection, etc. However, there were many respondents who said that the number of recruits for national patriots should be reduced compared to current ones. Regarding future operations, most respondents agreed to abolish the setting exam questions of the interview, and the opinions of the pros and cons about the abolition of the teacher recommendation were tightened.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의 학교생활 추이 분석

        오성배(Oh Sung Ba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1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과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사이의 학업성취도 추이를 분석하고, 입학전형이 다른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목 적이 있다.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D대학교의 2013년도 입학생 총 4,662명의 자 료를 분석하였으며, 2014년도 입학생 총 1,07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 수 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 학기동안 일반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학점 평균은 학생부종합전형 으로 입학한 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나, 그 차이는 학기가 거듭될수록 꾸준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수업 만족도, 수업태도, 대학생활 만족도로 측정한 대학생활적응 수준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에 비해 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에 비해 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대학생활 적응, 진로준비행동 수준 등이 타 전형에 비해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므로 학생부종합전형의 지속적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dmission officer system selection enrolled in the student and the regular admissions selection enrolled in the student, admission process different student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order to confirm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to analyze the total 4,662 people data of 2013 freshmen of D University, by using the data of the total 1,071 people 2014 freshmen, and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tudent grade point average who entered in the regular admissions in three semesters, either to maintain a higher level than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election, the difference decreased steadily each overlapping the semester it was found to ha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of teaching, teaching attitude,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as measured by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admission officer system enrolled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regular admissions selection. Students als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enrolled in the student admission officer system selection has been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regular admissions selection. admission officer system selection enrolled in the student is constantly rising achievement, college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 compared to other typical.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inued expans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 자연계열 재학생의 전형유형별 학교생활적응 비교 분석 - K대학 재학생의 실제 경험을 중심으로

        박소연 ( Park So-yeon ),정다운 ( Jung Da-woon ),최혜림 ( Choi Hye-rim ),조민경 ( Cho Min-gyeo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9 입학전형연구 Vol.8 No.-

        본 연구는 K대학의 자연계열 입학생을 대상으로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학교생활 참여, 학교생활 만족도, 학습 성과 3가지 측면에서 전형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입학생들의 심층면담 결과 전형 유형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첫째 ‘학교생활 참여’ 관련 ‘수업 내 활동’에 대해서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은 타인과의 협력을 통한 집단 활동을 선호하는 반면, 논술과 수능전형 입학생은 대체로 개별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는 집단활동(팀프로젝트. 토론, 발표 등) 위주로 진행되는 교양수업을 선호하는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들과 달리, 개별활동 위주로 진행되는 전공수업을 선호하는 논술 및 수능전형 학생들의 ‘수업내용 선호도 결과’와도 상통하는 결과였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 관련 ‘학교(대학) 및 학과 추천의사’에서 학생부종합 전형학생은 대학 추천의사가 크다고 답변하였고, 논술과 수능전형 학생은 학과 추천의사가 크다고 답변하였다. 셋째, ‘학습 성과’와 관련하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경우 수학 및 과학 기초교과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자연계열 전공과목의 특성상 초기 학점 취득을 어려워 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고교 내신 관리처럼 꾸준한 노력으로 고학년이 되면 그 차이가 줄어든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비해서 수능 전형 입학생은 수학과 과학 등의 전공기초 과목에서 두각을 보인지만 수능 공부에 대한 보상심리 때문에 대학 진학 후 학업에 소홀히 하는 등의 성실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많이 나왔다. 이러한 사항은 전문가 자문에서도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들의 경우, 성실성과 리더십, 의사소통 등이 뛰어나며, 논술/수능전형 학생들의 경우 학업적성 면에서 수학과 과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의견과 동일한 내용이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K대학 전형 설계 및 학력 증진과 학생 참여 관련 사후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students pursuing typical majors at K University,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type of admission. We then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ypes of admission with regards to three aspects: participation in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learning performance. In-depth interview resul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ypes of admission. First, for 'in-class activities' related to 'in-school life participation', students with a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screening prefer group activities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s, while essay and CSAT admissions generally prefer individual activities. Second, in 'School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for Schools(University) and departments', the general student in the student division replied that the recommendation for universities is large, while the essay and CSAT students answered that the recommendation for departments is large. Third, some students stated, with regards to 'study performance', that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obtain grades in the early grade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of majors centered on basic math and science subjects, but there were opinions that the difference would decrease when high school grades were made due to continuous efforts such as high school records management. This was the same as the opinion in expert advice that students with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screening had excellent sincerity,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and that students with essay/CSAT admission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math and science as evidenced by their academic performanc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 University admission design, educational background enhancement and follow-up programs related to student participation.

      • KCI등재

        대입전형에서의 사교육 영향평가 연구: C대학을 중심으로

        류영철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tutoring and how it influences the admission centered on C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influences of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private tutoring and university admission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enrolled in regular admission were the ones who had the most private tutoring exper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 perceptions and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by the elementary factors, essay writing tutoring & high school grades & SAT were the highes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urden degree of the application documents, Personal Statement for university of the comprehensive admission type of the school record was the highest. For better admission system the current policy will need to work on relieving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who enter the school by taking the students’ curriculum, essay writing, and SAT. In addition, the comprehensive admission type of the school record should find ways to minimize burdensome require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dmission type of foreign language and examine the contraction or the abolition, the admission type of opportunity Equality and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본 연구는 C대학교의 재학생을 중심으로 대입전형에서의 사교육의 실태와 사교육 영향요소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사교육의 영향요소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전형별로 사교육 유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재학생의 경우가 사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다. 둘째, 전형요소별 재학생 인식과 사교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 수능 및 내신, 논술 전형요소가 가장 높은 사교육 비율을 보였다. 셋째, 입학전형 제출서류에 대한 부담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의 서류제출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었고,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중 자기소개서가 사교육을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입학전형 정책은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수능으로 입학하는 학생들의 사교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은 자기소개서를 받지 않거나 받더라도 자기소개서 문항 개수의 최소화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어학특기자전형은 폐지하거나 축소를 검토하고, 상대적으로 사교육비 부담을 느끼는 고른기회전형, 사회배려자전형 등의 정원 내 선발과 인원 확대 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자연계열 모집단위의 전형유형별 학교생활 적응 현황 분석

        김경수 ( Kim Kyungsoo ),박소연 ( Park So-yeon ),정다운 ( Jung Da-woon ),최혜림 ( Choi Hye-r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8 입학전형연구 Vol.7 No.-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형을 통하여 학생을 선발하고 있는 자연계열 입학생의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자연계열 학생들의 수월한 학교생활 적응과 향후 대입전형 설계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11개 종합 대학과 2개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자연계열 대입전형 운영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여러 대학에서 공통적으로 운영하는 학생부, 논술, 수능 전형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전형유형별 자연계열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바탕으로 정리한 학생부전형, 논술전형, 수능전형 학생들의 현황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학생부전형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생활 적응도가 높았다. 대부분의 요인에서 다른 두 전형 학생들보다 평균이 높았으며, 이는 학생부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에 익숙하며, 다양한 대상에 대한 적극적이면서 열린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논술전형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생활 적응도가 수능전형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자연계열 임에도 읽기 또는 쓰기와 관련된 활동에서 다른 두 전형 학생들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이는 논술전형 학생들의 논술 수준이 다른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를 설명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수능전형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생활 적응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전공에 대한 교수·학습만족도는 타 전형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진학을 위해 다양한 영역의 활동 보다는 ‘학업’을 위주로 고교생활을 하였을 수능 전형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수능전형 학생들이 전공 외의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the various admission types for departmen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easy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future design direction of admission system. We surveyed and analyzed current admission systems for departmen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 11 universities and 2 science and engineering specialized universities. We analyzed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grade, essay, and scholastic ability test (SAT) types, which are common in various universities. We could summary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or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 The grade-type students were highly adaptable to university life. Most factors showed higher averages than those of the essay-type and SAT-type students. This result could be observed because the grade-typ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majors, were familiar with self-directed learning, and had an active and open attitude toward various subjects. The essay-type students generally showed higher adaptation level than the SAT-type students. In addition, they scored higher averages in factors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than the grade-type and SAT-type students. This result could explain why the essay writing ability of essay-type student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students. The SAT-type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adaptation level, but had higher satisfaction in factors fo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ir majors than the grade-type and essay-type students. This resul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T-type students who focused on ‘academics’ rather than various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Programs for the SAT-type students to participate in might b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ir adaptation level.

      • 대학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대학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을 중심으로

        남궁경현 ( Kyung Hyun Nam Gung ),이승아 ( Seung A Lee ),정다운 ( Da Woon J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본 연구는 2009년부터 확대 실시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입학년도별 입학생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이 점차 졸업생으로 사회에 배출되는 현시점에서 GPA분석을 통해 전형운영의 전체적인 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입학전형 유형, 입학사정관전형 유형별로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의 GPA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입학전형의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을 6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입학사정관전형은 다시 5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틀을 만들었다. 입학전형 유형에 따라서는 학생부교과유형 입학생의 GPA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는 모든 계열에서 동일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계열별로 볼 때, 인문, 자연, 예·체능계열에 비해 한의과대학에서 전형유형 간 GPA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전형 내에서는 일반유형과 학생부교과 유형, 학교장추천유형이 GPA가 높았으며, 고른기회유형과 특기자유형이 낮은 GPA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GPA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재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대학 적응도를 점검하고, 차후 입학전형 설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newly enrolled students based on their year of entrance as part of an analysis of the Admission Office System(AOS), which has been executed extensively since 2009. An overall examination of the system is now possible as the students who had enrolled through the AOS are now graduating, and their GPA can be analyzed. This study analyzed the GPA of students who have enrolled from 2009 to 2014,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s. To form the analysis framework, stud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more specific subcategories, six from the Admission type and five from AOS. In the AS category, the Grade Type students had the highest GPAs consistently across all majors. Compared to Humanities, Natural Sciences, Arts, and Athletics,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howed the biggest GP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dmission system. In the AOS category, the highest GPAs was in the Regular Type, the Grade Type, and the Principal`s Recommendation Type while Equal Opportunities System and Talented Students System showed the lowest GPAs Through multilateral analysis of the GPA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s, this study inspects student adaptability in relation to their attributes, and seeks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further admission systems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