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 인장,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의 비교

        이춘봉,이승호,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5

        금속 브라켓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브라켓 기저부의 형태와 결합 부위에 적용되는 힘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형태가 다른 5종의 금속브라켓의 기저부와 결합강도 측정후 접착파절양상을 stere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를 통해 관찰하고 결합 부위에 적용되는 힘은 전단결합강도, 인장결합강도,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로 구분하고 결합강도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모든 군에서 전단결합강도(SBS)가 제일 컸으며, 인장결합강도(TBS)는 SBS의 50%정도 수준이었고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S/T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0%정도이었다. 2. 브라켓의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가 가장 크고(SBS:22.86±1.37kgf, TBS:11.37±1.43kgf, S/TBS:6.69±0.34kgf),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다(SBS:10.52±1.27kgf, TBS:4.27±1.08kgf, S/TBS:2.94±0.58kgf). 3. 단위면적당 결합강도 비교시,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고(p<0.05), 전단결합강도와 인장결합강도에서는 Micro- Loc과 Chessboard base간의 차이가 없었으며(p>0.05), Non-Etched foil Mesh와 Micro-Etched foil Mesh base 간의 전단결합 강도와 인장결합강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에서는 Micro-Etched Foil Mesh base가 Non-etched Foil Mesh base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전단, 인장,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 측정후 접착파절은 브라켓/레진 계면에서 일어나 ARI score가 작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ear, tensile and shear/tensile combined bond strenghts(SBS, TBS, S/TBS) in various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human teeth with chemically cured adhesive (Ortho-one, Bisco, USA). Five types of metal brackets with various bracket base configurations (Micro-Loc base(Tomy, Japan), chessboard base(Daesung, Korea), Non-Ethed Foil Mesh base(Dentarum, Germany), Micro-Etched Foil Mesh base(Ortho Organiners, USA), Integral base(Unitek, USA)) were used in this study. Shear, tensile and shear/tensile combined bond strength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force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bracket base surface after bond strength test were examined by stere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ssessment of resin remnant on bracket base surface was carried out by ARI(adhesive remnant index).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all brackets, SBS was in the greatest value(p<0.05), TBS was in 50% level and S/TBS was in 30% level of SBS. 2. In bond strength, Micro-Loc base bracket showed the maximum bond strength(SBS : 22.86±1.37kgf, TBS:11.37±0.42kgf, S/TBS:6.69±0.34kgf) and Integral base bracket showed the minimum bond strength(SBS : 10.52±1.27kgf, TBS:4.27±1.08kgf, S/TBS:2.94±0.58kgf) (p<0.05). 3. In bond strength per unit area, Integral base bracket showed the minimum value, Micro-Loc base and Chessboard base brackets were in similar value(p>0.05). Non-Etched Foil Mesh base and Micro-Etched Foil Mesh base bracket were similar in SBS and TBS(p>0.05), but Micro-Etched Foil Mesh base bracket was greater than Non-Etched foil Mesh base bracket in S/TBS(p<0.05). 4. Bond failure sites were mainly between bracket base and adhesive, therefore ARI scores were low.

      • KCI등재후보

        교정용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른 결합강도의 비교

        이현정,이형순,전영미,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교정용 금속 브라켓에 다양한 방향에서의 복합적인 응력을 가하여 힘의 방향과 적용점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브라켓의 유지력을 평가하는데 기준이 되는 최소결합강도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일정한 표면특성을 갖는 금속봉에 Micro-Loc base, Chessboard base, Non-etched Foil-Mesh base 등 서로다른 기저면 형태를 가지는 3가지 종류의 금속 브라켓을 부착시키고, 0˚, 15˚, 30˚, 45˚, 60˚, 75˚, 90˚의 peel 결합강도(_(0)PBS, _(15)PBS, _(30)PBS, _(45)PBS, _(60)PBS, _(75)PBS, _(90)PBS 및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한 브라켓의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각 브라켓의 기저면 면적을 고려하여 단위면적당 결합강도를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 및 Non-etched Foil-Mesh base 브라켓 모두에서 전단결합강도(SBS)가 가장 컸다(p<0.01). 2. Peel 응력의 방향 변화에 따른 peel 결합강도(PBS)의 변화양상은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 Non-etched Foil-Mesh base 브라켓 모두에서 유사하였으며(p>0.05), peel 응력의 적용 각이 증가할수록 peel 결합강도(PBS)는 감소하였고 60˚에서 최저값을 보였다(p<0.05). 3. Micro-Loc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29%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2% 수준이었고, Chessboard base에서 최저 peel bond strength(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61% 수준이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5% 수준이었다. 4. 단위면적당 결합강도에 있어서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 및 75˚와 90˚ peel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았고(p<0.05), 0˚, 15˚, 30˚, 60˚ peel 응력을 적용한 결과 Chessboard base에서 가장 큰 peel 결합강도를,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metal bar with chemically cured adhesive (Ortho-one, Bisco Co, USA) in various types and directions of force application. Three types of metal bracket with different bracket base configurations; Micro-Loc base(Tomy Co, Japan), Chessboard base(Daesung Co, Korea), Non-etched Foil-Mesh base(Dentaurum, Germany); were used in this study. Peel, shear, tensile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compared each other. The peel force directions applied were 0˚, 15˚, 30˚, 45˚, 60˚, 75˚, 90˚. And then,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surface area of the bracket bases, the bond strength per unit area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bond strengths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 directions of the forces were greatest at the shear forces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 groups(p<0.01). 2. As the peel force direction grew higher in degree, peel bond strength decreased. The patterns of peel bond strength change according to force direction was similar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s. The minimum bond strength was 60 degree-peel bond strengths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s. 3. In Micro-Loc base group, minimum peel bond strength(_(60)PBS) was in 29%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52%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In Chessboard base group, _(60)PBS was in 34%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61%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In Non-etched Foil-Mesh base group, _(60)PBS was in 34%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55%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4. The bond strengths per unit area were lowest in Non-etched Foil-Mesh base group and highest in Chessboard base group(p<0.0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tensile bond strength, _(75)PBS and _(90)PBS per unit area between Micro-Loc and Chessboard base groups.

      • KCI등재

        지르코니아 세라믹의 표면처리에 따른 치과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김지혜,서재민,안승근,박주미,송광엽,Kim, Ji-Hye,Seo, Jae-Min,Ahn, Seung-Geun,Park, Ju-Mi,Song, Kwang-Yeob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2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표면처리에 따른 3종의 레진시멘트와 지르코니아의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143개의 디스크 모양의 지르코니아 블록(HASS Co., Gangneung, Korea) 시편을 제작하고 총 13개군(n=11)으로 나누었다. 그중9개군은 표면처리 방식(1. 알루미나 분사, 2. 알루미나 분사와 지르코니아 라이너의 도포, 3.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3M ESPE, Seefeld, Germany) 처리) 및 사용한 3종류의 레진시멘트(Bistite II (Tokuyama Dental Co., Japan), Panavia F2.0 (Kuraray Medical, Japan), Super-bond C&B (Sun Medical, Japan))에 따라 나누어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을 시행하였다.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은 위 3종류의 레진시멘트를 3가지 방법으로 표면처리한 지르코니아 시편에 접착하고, 상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열순환처리 후 접착강도 실험은,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에서 우수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인 지르코니아 표면처리군(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처리를 하고 3종류의 레진시멘트를 접착한 3개의 군)과 대조군으로 알루미나만으로 표면처리 후 Super-bond C&B를 접착한 1개의 군을 대상으로 $5^{\circ}C$와 $55^{\circ}C$사이에서 5,000회 열순환처리를 시행하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에서는 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처리를 한 지르코니아 표면에 Super-bond C&B를 접착한 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Super-bond C&B를 사용한 군이 다른 시멘트 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지르코니아 표면에 Rocatec 처리를 한 군이 다른 표면처리를 한 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열순환처리를 한 후에는, Rocatec 처리를 한 지르코니아 표면에 Super-bond C&B를 접착한 군만이 유일하게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며, 다른 모든 군에서는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실험에서는 Super-bond C&B 시멘트가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Rocatec 시스템은 레진시멘트와 지르코니아의 전단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zirconia ceramic to 3 resin cem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43 disk-shaped Zirconia blocks (HASS Co., Gangneung, Kore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1) only 50 ${\mu}m$ $Al_2O_3$ sandblasting, (2) 50 ${\mu}m$ $Al_2O_3$ sandblast and zircona liner, (3) 50 ${\mu}m$ $Al_2O_3$ sandblasting and Rocatec (3M ESPE, Seefeld, Germany). Bistite II (Tokuyama Dental Co., Japan), Panavia F (Kuraray Medical, Japan), and Superbond C&B (Sun Medical, Japan) were used to cement onto the zirconia. After 24h of storage in distilled water, shear bond strength was evaluated. High value group was re-tested after thermocycling at 5,000 cycles(5-$55^{\circ}C$). Shear bond strength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two-way ANOVA test and Post Hoc Test (${\alpha}$=.05). Shear bond strength data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sample T test (${\alpha}$=.05). Results: Super-bond C&B treated with Rocatec showed the most high shear bond strength. Super-bond C&B group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ement groups (P<.05). Rocatec group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surface treatment groups (P<.05). Shear bond strength has increased in Panavia F treated with Zirconia liner (P<.05). After thermocycling, shear bond strength was increased in Super-bond C&B treated with Rocatec but decreased in other groups (P<.05). Conclusion: Super-bond C&B cement result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Rocatec system enhanced the shear bond strength. After thermocycling, shear bond strength has decreased in most resin cements except Super-bond C&B treated with Rocatec.

      • SCOPUSSCIEKCI등재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 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의 유형

        박영철,유형석,오영근,이승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bracket 부착시 광조사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plasma arc licht의 임상적 유용성을 visible light 중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평가해 보는데 있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레진블럭시편에 광중합 접착제인 TransbondR를 사용하여 수종의 bracket을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부착한 후 만능 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양상을 stere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metal bracket과 ceramic bracket의 전단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resin bracket의 경우 다른 bracket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히 작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임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값을 나타내었다. 2.Visible light를 이용한 metal bracket의 광중합시 광조사시 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광조사 시 간에 따른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3.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접착제 잔류지수를 통해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metal bracket과 resin bracket의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ceramic bracket의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4.Metal bracket의 부착시 plasma arc light를 2초간 광조사한 군과 visible light를 10초간 광조사한 군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비교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광중합시 광조사 거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의 접착시 전단결합강도 저하의 우려 없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u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plasma arc light which can reduce the curing time dramatically compared by shear bond strengths and failure patters of the brackens bonded with visible light in direct bracket bonding. Some kinds of brackets were bonded with the TransbondR to the human premolars which were embedded in the resin blocks according to the various conditions. After bonding, the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in addition , the amount of residual adhesive remaining on the tooth after debonding was measured by the stereoscope and assessed with adhesive remnant index(AR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When plasma arc light was used for bonding the brackets, the shear bond strength was clinically sufficient in both metal and ceramic brackets, but resin bracke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bond strength but which was clinically useful. 2.When metal brackets were bonded using visible ligh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due to the light-curing time and the bond strength was clinically sufficient. 3.When the adhesive failure patterns of brackets bonded with plasma arc light were observed by using the adhesive remnant index, the bond failure of the metal and resin bracket occurred more frequently at bracket-adhesive interface but the failure of the ceramic bracket occurred more frequently at enamel-adhesive interface. 4.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between metal bracket bonded for 2 seconds by curing with plasma arc light and 10 seconds by curing with visible light. 6.When metal brackets were bonded using plasma arc light, the shear bond strength de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ncreased.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plasma arc light can be clinically useful for bonding the brackets without fear of the decrease of the shear bond strength.

      • KCI등재후보

        Self-etching primer를 이용하여 접착된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

        안윤표,김효영,전영미,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6세대 교정용 접착 시스템인 Transbond Plus Self-Etching Primer(3M/Unitek Dental Products, Monrovia, Calif)를 이용하여 법랑질면에 브라켓을 접착하는 방법과, 통상적인 산부식 방법에 의해 브라켓을 접착한 경우의 전단결합강도 차이를 비교·평가하고, self etching primer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때 치면에 존재하는 수분이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37% 인산용액과 Self-Etching Primer를 잉용하여 법랑질을 표면 처리하고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치면에 부착하였다. 또한 수분의 존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인공타액을 치면에 도포후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부착한 후 30분과 24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elf-etching primer군에서 건조군과 습윤군의 전단결합강도는 37%인산처리군의 결합강도보다 낮았다(p<0.05). 그러나 Self-etching primer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수준의 이상이었다. 2. 모든군에서 24시간군의 전단결합강도가 30분군의 전단결합강도보다 높았으며(p<0.05), 이는 브라켓 접착후 일정시간의 경과가 결합강도를 증가시켜 줌을 알 수 있었다. 3. Self-etching primer군에서 습윤군의 전단결합강도는 건조군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p<0.05). 4. ARI 점수의 비교결과 인산처리군에서는 0점과 1점의 빈도가 높았으며, Self-etching primer 건조군과 습윤군에서는 2점과 3점의 빈도가 높아(p<0.05) Self-etching primer군이 인산처리군보다 법랑질-레진 접착계면부위에서의 파절이 많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caluate the effects of a self-etching primer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and on the failure pattern of bracket-adhesive interfaces in dry or wet condition. Brackets were bonded to extracted human teeth according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protocols. In the Group P, teeth were 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After the Transbond XT Primer was applied onto the etched surfaces, the brackets were bonded with Transbond XT(3M, Unitek, Monrovia, Calif) and light cured for 40 seconds. In the Group SD, a self-etching primer(3M, Unitek, Monrovia, Calif) was placed on the enamel for 3 seconds and gently evaporated with air, as suggested by the manufacturer. The brackets were then bonded with Transbond XT as in the Group P. In the Group SW, artificial saliva was applied to the enamel surface for 10 seconds to allow complete hydration of the surface before application self-etching primer. The brackets were then bonded following the procedures of Group S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2 sub-groups(0.5h, 24h) according to debonding tim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fter debonding, the teeth and brackets were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ssessed with the adhesive remnant index.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high enough to use clinically in all testing groups, but the shear bond strengths of group SD and SW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Group P(p<0.05). 2. With respect to comparison of debonding time, 24h debonding samples exhibited he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0.5h debonding samples in Group P, SD and SW(p<0.05). 3. In the self etching primer groups(Group SD and Group S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hear bond stredifference in mea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under dry and wet state(p>0.05). 4. There was a greater frequency of ARI score of 0 and 1 with the Group 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higher frequency of ARI scores of 2 and 3 with Group SD and Group SW(p<0.05).,

      • SCOPUSSCIEKCI등재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현,윤영주,김광원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위해 최근에 발거된 소구치 65개를 대상으로 발거직후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에 담구어 보관한 후 법랑질을 퍼미스 및 38%인산으로 표면처리하고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로는 광중합형 FluoroBond, 광중합 접착제로는 Transbond, 화학중합 접착제로는 Mono-Lok 2를 선정하여 1차 부착 및 재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를 만능강도시험기로 측정함으로서, 치아우식 예방 및 진행억제효과를 지닌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를 규명하고, 광중합형 접착제와 화학중합형 접착제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2차 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Mono-Lok2군(11.84MPa), Trans bond군(10.75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2군(9.69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9.39MPa)순이었다. 2.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Transbond군(7.40MPa), Light cured FluroBond+Transbond군(6.48MPa), Mono-Lok2군(5.89MPa), Light cured FoluroBond+Mono-Lok2군(5.15MPa)순이었다. 3.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화학중합형 접착제가 광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재부착된 광중합형 접착제가 재부착된 화학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5. 1차 부착된 군에 비해 재부착된 군에서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01).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볼 때 임상적으로 브라켓의 전란결합강도에 경향을 미치지 않는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치아 협면에 적용하여 불소의 유리에 의한 치아우식 예방 및 억제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luoride relasing orthodontic seala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and chemical-cured orthodontic resin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th with light-and chemical-cured orthodontic resins, and to identify the changes of shear bond strength by rebonding in vitro. The brackets were divided into eight groups. Each group of metal brackets had different bonding mechanisms with adhesives. Group A: Transbond only Group B: Mono-Lok 2 only Group C: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 Group D: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2 Group E: Transbond only(rebonded) Group F: Nomo-Lok2 only(rebonded) Group G: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rebonded) Group H: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rebonded) 65 extracted human premolars were prepared for bonding and 65 metal brackets for each group were bonded to prepared enamel surfaces of buccal surfaces as the above prescription. 24 hours bonding after, th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test the shear bond strength of metal brackets to enamel. After debondling, same kind of metal brackets for each group were rebonded to prepared enamel surfaces of buccal surfaces to test the shear bond strength at the rebondling to enamel. Statistical snalysis of the data was carried out Student's t-test ANOVA test, and Scheffe test using SPSS/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rder of shear bond strength was Group B(11.84MPa), Group A(10.75MPa), Group D(9.69MPa), and Group C(9.39MPa) in 1st bonded groups. 2. The order of shear bond strength was Group E(7.40MPa), Group G(6.48MPa), Group F(5.89MPa), and Group H(5.15MPa)in rebonded groups. 3. The shear bond strength of chemical cured orthodontic resins had higher than that of light-cured orthodontic resins in all group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p<0.05). 4. In rebonded groups,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 cured orthodontic resins had higher than that of chemical cured orthodontic resins, but there we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p<0.05). 5. The shear bond strength of all rebonded groups progressively decreased than that of 1st bonded groups,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p<0.05, p<0.001).

      • SCOPUSSCIEKCI등재

        Acidic primer를 이용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의 전단결합강도

        김진희,진훈희,오장균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1

        Acidic primer는 하나의 용액으로 conditioning과 priming을 동시에 시행하는 새로운 접착 시스템으로 치질의 손상이 적고 처리 과정이 간단한 특징을 지닌다. 본 실험은 acidic primer를 이용하여 치면처리를 시행한 후 기존의 접착제로 브라켓을 접착할 때 적절한 결합강도를 지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50개의 사람 소구치를 5개군으로 나누어 4개군은 acidic primer로 법랑질을 처리한 후 Clearfil Liner bond 2R(1군), Transbond XTR(2군), Panavia 21R(3군), Fuji Ortho LCR(4군)로 브라켓을 접착하였고 1개군은 Transbond XTR를 통상적인 산부식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5군)한 후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파절의 양상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cidic primer로 처리한 4개의 군 가운데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군(4군)의 전단결합강도(9.72 ± 3.16 MPa)와 Panavia 21R을 사용한 군(3군)의 전단 결합 강도(8.69 ± 2.72 MPa)는 37% 인산으로 처리한 후 광중합형 레진(Transbond XTR)을 사용한 군(5군)의 전단결합강도(10.48 ± 2.60 Mpa)와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2. Acidic primer로 처리한 4개의 군 가운데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군(4군)과 Panavia 21R을 사용한 군(3군)의 전단 결합 강도는 Clearfil Liner bond 2R를 사용한 군(1군)의 전단 결합 강도(1.09 ± 0.53Mpa)와 광중합형 레진(Transbond XTR)을 사용한 군(2군)의 전단 결합 강도(2.70 ± 1.46Mpa)에 비해 유의하게 큰 강도를 보였다 (P〈0.05). 3. 접착제 잔류지수 측정 결과 4군(2.1 ± 1.1)과 5군(2.9 ± 0.3)의 경우 1군(0,2 ± 0.4), 2군(0.3 ± 0.9), 3군(0.2 ± 0.4)에 비해 접착제 잔류지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5). 4. 4군과 5군의 접착제 잔류 지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따라서 acidic primer로 치면을 처리하는 방법은 시용되는 접착제에 따라 기존의 산부식 접착법과 유사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어 교정용 브라켓 접착시 산부식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Acidic primer is the bonding agent which combines the conditioning and priming agent into the single solution and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dentin bonding system. It is less harmful to the tooth structure and more convenient to manipulate than the traditional etching proced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various bonding materials when the enamel is treated with acidic primer for the bracket bonding procedure. Fifty recently extracted human premolars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five groups : Group I using Clearfil Liner Bond 2 adhesive system to the enamel treated with acidic primer, Group II using Transbond XT adhesive system to the enamel treated with acidic primer, Group III using panavia 21 adhesive system to the enamel treated with acidic primer, Group IV using Fuji-Ortho LC adhesive system to the enamel treated with acidic primer, Group V using Transbond XT adhesive system to the enamel treated with 37% phosphoric acid. The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fter storing in 37℃ water bath for 48 hours. After debonding, the teeth and brackets were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assessed with the adhesive remnant index (AR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group III (8.69 ± 2.72 MPa), group IV (9.7 ± 3.16 MPa), and group V (10.48 ± 2.60 Mpa) (p〉0.05). 2. The shear bond strength of group III and group IV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I (1.09 ± 0.53 Mpa), and Group II (2.70 ± 1.46Mpa) (p〈0.05). 3. The ARI of group IV (2.1 ± 1.1) and group V (2.9 ± 0.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I (0.2 ± 0.4), group II (0.3 ± 0.9) and group III (0.2 ± 0.4) (p〈0.05).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RI of group IV and group V (p〉0.05).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acidic primer and some bonding adhesive can provide sufficient shear bond strength for clinical orthodontics.

      • KCI등재

        $Carisolv^{TM}$의 사용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대업,Kim, Dae-Eop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본 연구는 영구치와 유치의 상아질 표면에 상품화된 화학기계적 우식치질 제거용액인 $Carisolv^{TM}$(MediTeam, Sweden)를 사용하고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함으로써 $Carisolv^{TM}$의 사용이 복합레진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하여 발거된 상, 하악 소구치 80개와 정상적으로 탈락한 손상이 없이 건전한 상악 유전치 80개의 순, 협면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Carisolv^{TM}$를 실험군은 60초 적용하고 대조군은 $Carisolv^{TM}$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아질 접착제는 Scotchbond Multi-Purpose(3M, USA), Single Bond(3M, USA), Clearfil SE Bond(Kuraray, Japan), AQ Bond(Sun Medical, Japan)를 각각 제조사의 지시대로 적용하였고 광중합형 복합레진은 Z100(3M, USA)을 사용하였다. $5^{\circ}C$와 $55^{\circ}C$에 각 30초씩 계류시켜 1,000회 열순환시키고 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 Z020, Zwick Co., Germany)을 사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군간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유치에 비해 영구치의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영구치에서는 Clearfil SE Bond만 사용한 군에서 가장 높았고 $Carisolv^{TM}$와 AQ Bond를 병용한 군에서 가장 낮았다. 2. $Carisolv^{TM}$ 사용하지 않은 군과 사용한 군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Carisolv^{TM}$를 사용한 군이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1). 3.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AQ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chemomechanical caries removal agent $Carisolv^{TM}$(MediTeam, Sweden) for composite resin adhesion to sound human permanent and primary dentin. The buccal/labial surfaces of 80 permanent molars and 80 primary incisors were used. Four types of adhesives and one composite resin were used; AQ Bond(Sun Medical, Japan), Clearfil SE Bond(Kuraray, Japan), Single Bond(3M, USA), Scotchbond Multi-Purpose(3M, USA) and Z100(3M, USA). One drop of $Carisolv^{TM}$(MediTeam, Sweden) was pretreated on the dentin for 0 second(control) and 60 seconds. The specimens were thermocycled for 1,000 times in baths kept 5 degrees C and 55 degrees C with a 30 seconds dwell time. Shear bond strengths were tested and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with subsequent post hoc Scheffe test at p<0.05. $Carisolv^{TM}$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hear bond strength. Shear bond strength of permanent dent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imary dentin. Clearfil SE Bond treatment groups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AQ Bond treatment groups showe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

      • KCI등재

        Carisolv™의 사용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대업 大韓小兒齒科學會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chemomechanical caries removal agent Carisolv´(MediTeam, Sweden) for composite resin adhesion to sound human permanent and primary dentin. The buccal/labial surfaces of 80 permanent molars and 80 primary incisors were used. Four types of adhesives and one composite resin were used: AQ Bond(Sun Medical, Japan), Clearfil SE Bond(Kuraray. Japan), Single Bond(3M, USA), Scotchbond Multi-Purpose(3M, USA) and Z100(3M, USA). One drop of Carisolv´´(MediTeam, Sweden) was pretreated on the dentin for 0 second(control) and 60 seconds. The specimens were thermocycled for 1,000 times in baths kept 5 degrees C and 55 degrees C with a 30 seconds dwell time. Shear bond strengths were tested and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with subsequent post hoc Scheffe test at p(0.05. CarisolvTM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hear bond strength. Shear bond strength of permanent dent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imary dentin. Clearfil SE Bond treatment groups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AQ Bond treatment groups showe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 본 연구는 영구치와 유치의 상아질 표면에 상품화된 화학기계적 우식치질 제거용액인 Carisolv^(TM)(MediTeam, Sweden)를 사용하고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함으로써 Carisolv^(TM)의 사용이 복합레진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하여 발거된 상, 하악 소군치 80개와 정상적으로 탈락한 손상이 없이 건전한 상악 유전치 80개의 순, 협면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Carisolv^(TM)를 실험군은 60초 적용하고 대조군은 Carisolv^(TM)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아질 접착제는 Scetchbond Multi-Purpose(3M. USA), Single Bond(3M, USA), Clearfil SE Bond(Kuraray, Japan), AQ Bond(Sun Medical, Japan)를 각각 제조사의 지시대로 적용하였고 광중합형 복합레진은 Z100(3M, USA)을 사용하였다. 5℃와 55℃에 각 30초씩 계류시켜 1,000회 열순환시키고 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 Z020, Zwick Co., Germany)을 사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군간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유치에 비해 영구치의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영구치에서는 Clerfil SE Bond만 사용한 군에서 가장 높았고 Carisolv^(TM)와 AQ Bond를 병용한 군에서 가장 낮았다. 2. Carisolv^(TM) 사용하지 않은 군과 사용한 군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Carisolv^(TM)를 사용한 군이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1). 3.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AQ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

      • KCI등재

        세라믹 브라켓의 재접착이 전단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

        성지영,강경화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세라믹 브라켓 제거 후 재접착 시에 브라켓의 종류, 브라켓의 제거 방법, 브라켓 베이스의 처리방법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를 평가하여 임상에서 적절한 전단 결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세라믹 브라켓의 재접착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이었다. 총 312개의 치아로, 144개는 재접착을 위한 브라켓을 만들기 위해 이용되었고, 나머지 168개는 재생 브라켓의 베이스 처리 후 접착을 위해 사용되었다. 브라켓의 종류(단결정 세라믹 브라켓, 다결정 세라믹 브라켓), 브라켓의 제거 방법(만능 시험기를 이용한 전단력에 의한 제거, 레이저에 의한 제거), 브라켓 베이스의 처리 방법(저속 라운드 버로 선택적 삭제, 샌드블라스팅 처리, 샌드블라스팅 후 실란 처리)에 따라 12개의 실험군과 2개의 대조군(단결정, 다결정 새 브라켓)으로 분류하여 각 군당 12개의 치아를 할당하였다. 각 실험군의 조건에 따라 브라켓을 재접착한 후에 전단 결합 강도와 접착제 잔류 지수를 평가하고 베이스 처리 방법에 따른 브라켓 베이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군은 샌드블라스팅 처리하고 재접착한 군에서만 다결정 세라믹 브라켓군보다 전단 결합 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전단력으로 브라켓을 제거하고 재접착한 군과 레이저로 브라켓을 제거하고 재접착한 군 간에 전단 결합 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브라켓 종류와 제거 방법에 관계없이 샌드블라스팅 후 실란 처리하고 재접착한 군은 저속 라운드 버로 선택적 삭제하고 재접착한 군과 샌드블라스팅 처리하고 재접착한 군보다 전단 결합 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베이스 형태는 전단력으로 제거한 군보다 레이저로 제거한 군에서 더 잘 유지되었으며, 재접착을 위해 베이스 처리된 모든 브라켓에서 새 브라켓보다 부드러운 표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제거된 세라믹 브라켓에 샌드블라스팅 후 실란을 처리하고 재접착는 것이 전단 결합 강도를 증가시켰으며, 저속 라운드 버를 이용한 선택적 삭제나 샌드블라스팅만 처리하여 재접착하는 방법도 임상적으로 수용 가능한 결합 강도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bonded ceramic brackets according to each condition and find an appropriate method to rebond ceramic brackets with proper shear bond strength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12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types of brackets, debonding methods, and treatment methods of the bracket base.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and adhesive residues left on the tooth surface were assessed. The base of the bracket was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monocrystalline ceramic bracke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of the polycrystalline bracket group with only sandblasting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groups that used rebonded brackets which were debonded with shear force and debonded with laser (p > 0.05).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sandblasted/ silan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electively grinded group with a low-speed round bur and the sandblasted only group (p < 0.001). The retentive structure was more presented in groups where laser was applied than in groups where shear force was applied to debond brackets prior to rebonding. The bracket bases which were treated before rebonding presented smoother surfaces than new brackets. Conclusions: Shear bond strength could be increased by applying a silane coupling agent after sandblasting before rebonding. Also, the bond strength of the selectively grinded group with a low-speed round bur and the sandblasted group showed acceptable bond strength for clinical orthodontic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