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야기치료의 재저작 대화: 기독교상담을 위한 적용 방안

        Kim, Jun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9 복음과 상담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to apply re-authoring conversation of narrative therapy in the context of Christian counseling. To achieve this goal, it first reviews previous studies on Christian counseling’s application of narrative therapy, and explores the possible ways to apply narrative therapy to Christian counseling. It then analyzes key concepts and therapeutic process of re-authoring conversation by investigating Michael White’s “Liam’s case,” which may be considered one of the best examples of re-authoring conversation. Based on the reviews on current Christian counseling’s approaches to narrative therapy and characteristics of re-authoring conversation, the study suggests four principles for using re-authoring conversation in Christian counseling context; it should be consistent with christian worldview, needs to focus on client’s problems in making an alternative narrative,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client’s Christian faith and biblical knowledge, and should master biblical themes related presenting problems. Guided by these principles, the study provides Christian perspectives on each step of re-authoring conversation, by employing biblical stories, God’s attributes, and God’s divine plan. Finally, it provides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which focuses on clinical invervention to solve presenting problems, and suggests empirical studies in future on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이 논문의 목적은 이야기치료의 핵심 기술인 재저작 대화를 기독교상담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이야기치료를 기독교상담에 적용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면서 적용의 방향성을 탐색한다. 이어서 재저작 대화가 이야기치료의 핵심임을 검증하며 관련된 이야기치료의 개념들을 기술하며 재저작 대화와의 연관성을 알아본다. 특히 재저작대화가 어떤 과정으로 전개되는지 Michael White의 대표적인 재저작 대화 사례 ‘라이엄 모자“ 사례를 분석하며 고찰하였다. 이야기치료와 기독교상담적 접근에 관한 연구들과 재저작 대화의 분석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관점의 재저작 대화를 위해 네 가지의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기독교적 가치를 지향해야 하며, 둘째, 내담자 문제의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셋째, 내담자의 신앙 수준에 맞는 창의적인 질문을 던져야 하고, 넷째, 문제와 연관된 주제들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숙지해야 한다. 이 네 가지의 원칙에 기초하여, ”라이엄 모자의 사례“의 각 단계에 기독교적 적용의 예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적관점의 재저작 대화가 내담자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하는 임상적 접근의 유익성을 언급하며, 이와 같은 접근의 효과를 경험적 연구로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기독교 상담적 돌봄: 이야기 치료를 중심으로

        김미경 ( Mi Kyung Kim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5 복음과 상담 Vol.23 No.2

        본 연구는 생애주기에서 가장 자살률이 높은 노년기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이야기치료를 중심으로 기독교 상담적 제언을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노인자살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자살의 원인과 치료적 개입을 개관하였다. 종교성 및 영성이 노인의 자살률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이라는 국내외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야기치료를 통해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기독교상담의 관점에서 개입을 시도해본 것이다. 노인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이야기치료를 적용한 기독교상담적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문제로 가득 찬 이야기가 대안적인 이야기로 새롭게 구성되도록 인도한다. 둘째, 이야기의 전환은 생의 의미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내담자의 아프고 막힌 이야기는 무너진 자존감이 회복되는 이야기로 재저작되어야 한다. 넷째, 예배와 같은 적극적인 종교활동을 통해 인간의 내러티브와 하나님의 내러티브를 연결되도록 한다. 다섯째, 노인에게 기독교적인 고유한 지혜와 실천을 제공하는 회원재구성을 통해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도록 한다. 여섯째, 이야기치료의 반영팀 활용을 통해 개인의 생애 경험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간다. 이와 같은 제언을 통해 본 연구는 기독교관점에서 이야기치료를 재구성하여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실천적이고임상적인 함의를 찾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hristian counseling suggestions based on narrative therapy in order to prevent elderly suicide whose rate is the highest in the life cycle. According to th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is the protection factor to lower elderly suicide rate. Based on the result, through the narrative therapy, this study tried to intervene to prevent elderly suicid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 Christian counseling suggests based on narrative therapy to prevent elderly suicide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tory saturated with elderly issues leads into an alternative story newly Secondly, story transition should bring about the creation of life meaning. Thirdly, a client’s sad and despairing story should be re-authored to a story to recover the client’s crushed self-esteem. Fourthly, it is required to connect human narrative with God’s narrative through active religious activities like church service. Fifthly, it is necessary to build cooperative relationship through re-membering service that provides the elderly with the unique wisdom and practice of Christianity. Sixthl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reflecting team of narrative therapy, it is needed to enrich individuals’ life experience. By making the sugges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reconstructs narrative therapy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and finds the prac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 to prevent elderly suicide.

      • KCI등재

        학교현장에서의 새로운 상담 : 내러티브 상담으로의 전환

        임보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3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narrative therapy as a new approach to school counseling. Narrative therapy is a collaborative, decentralized,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The therapy process unfolds in the order of deconstructing the problem and unique outcomes, and constructing an alternative stories. Methods for creating alternative stories include reauthoring and scaffolding, re-membering, and using definitional ceremony and outsider witnesses. In the case, the identity in the problem story appeared as ‘an immature, happy childhood,’ and the alternative identity was confirmed as ‘a happy childhood because I was able to protect my family.’ In addition,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case through story reauthoring were presented from a neurophysi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counseling would continue in school settings where narrative thinking processes are emphasized. 본 연구에서는 학교 상담에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내러티브 상담을 논의하였다. 내러티브 상담은 내담자와 협력적으로 탈중심적이면서 영향력 있는 관계를 구축한다. 상담의 과정은 문제의 경청과 해체, 독특한 결과의 해체, 대안적 이야기를 구축하는 순서로 전개된다. 대안적 이야기 구축 방법은 행동 영역과 정체성 영역 두 차원에서 이야기 내러티브를 통한 재저작과 스캐폴딩, 회원재구성, 정의예식과 외부증인집단 등이 있다. 내러티브 상담을 적용한 사례에서 문제 이야기에서 정체성은 ‘철없는, 행복한 유년기’로 나타났고, 이야기 다시 쓰기를 통한 대안적 정체성은 ‘가족을 지킬 수 있어서 행복한 유년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야기 다시 쓰기를 통한 사례에서 나타난 변화를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내러티브 사고 과정이 강조되는 학교 현장에서 내러티브 상담 적용 연구가 이어지기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우울증에 대한 이야기 치료의 재저작 대화 단일사례연구 : 기독교 상담적 접근

        이후주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에 대한 이야기치료의 재저작 대화를 기독교 상담적 관점 으로 접근하여 이야기의 변화과정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를 통해 우울증에 대한 이야기치료의 활용방안과 기독교 상담에 대한 적용의 방향성 을 탐색한다. 이어서 이야기치료의 기독교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단일사례를 통해서 우울증의 지배적 이야기가 기독교적 관점의 재저작 대화를 통해 어떻게 변화 되어 가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 질적 연구로서 우울증 진단을 받은 기 독교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마이클 화이트의 재저작 대화 모델과 김준의 기독교적 적용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분석의 범주로 세 가지 영역인 우울증의 지 배적 이야기, 기독교적 관점의 재저작 대화, 기독교적 관점의 대안적 이야기를 사용하 였으며, 이와 같은 분석에 기초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에 대한 지배적 이야기는 현실 생활의 어려움, 부정적인 정체성, 희망 없는 미래이다, 둘째, 기독교 관점의 재저작 대화는 ‘행동 영역’, ‘정체성 영역’, ‘신앙적 영역’으로 구성되며 ‘신앙적 영역’에서는 하나님의 개입과 하나님의 자녀 됨, 예수님의 돌보심과 하나님의 선하심, 위로하시는 하나님, 하나님의 계획과 소망의 주제를 도출 하였다. 셋째, 기독교 관점의 대안적 이야기는 고통과 함께하신 하나님을 발견함, 하 나님 자녀로서의 정체성의 변화, 동행하시는 하나님, 미래를 소망하며 나아감으로 정 리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적 관점의 재저작 대화가 임상적 효 과와 성경적 변화를 가져오는 유익성이 있음을 언급하며 연구결과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story changes by approaching the re-authoring conversation of narrative therapy for depression from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tion plan of narrative therapy for depression and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to Christian counseling through previous studies. Next, the necessity of a Christian approach to narrative therapy is asserted and, through a single case, studies how the dominant narrative of depression is changed through narrative therapy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is study is a single-case qualitative study targeting Christians diagnosed with depression, and was conducted based on Michael White's re-authoring conversation model and Kim Jun's Christian application model. There are three domains as the categories of analysis, the dominant stories of depression, the re-authoring conversation from Christian perspective, and the alternative story from Christian perspective,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su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inant narrative about depression are of difficulties in real life, negative identity, and a hopeless future. Second, the re-authoring conversation from Christian perspective consists of 'landscape of action' , 'landscape of identity' and 'religious landscape'. In the ‘religious landscape’, themes of God’s intervention and becoming a child of God, Care of Jesus and God’s goodness, God’s comfort, and God’s plan and hope were derived. Third, the alternative story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is summarized by discovering God with suffering, changing identity as a child of God, walking with God, and hoping for the futur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a follow-up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results is suggested, stating that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re-authoring narrative therapy has clinical effects and benefits of bringing about biblical changes.

      •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 관점에서 본 이야기치료

        노원석 ( Won Suk Roh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8 성경과 상담 Vol.8 No.-

        본 논문에서는 상담학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이야기치료의 내용들을 살펴보고 성경적 상담 관점에서 이를 다루어보았다. 사람의 삶은 이야기를 떠나서는 살 수 없을 만큼, `이야기`는 개인, 문학, 영화 등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사람의 마음을 흡입하고 공감할만한 `스토리`가 없는 드라마가 성공할 수 없듯이 어떤 `이야기`를 소유하고 있느냐에 따라 모든 개인이나 물건의 가치가 상승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야기는 상담 가운데에서도 자연스럽게, 그리고 필수적으로 드러난다. 누구나 생활 속에서 벌어지는 문제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문제의 이야기를 통하여 그 사람의 삶의 정황들이 소개되어지고 아픔이 드러나고 또 다른 이야기를 통해서 치유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야기치료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탄생과 맥을 같이 한다. 절대적 주권이 강조되어진 모더니즘에 반발하여 절대 가치의 추구를 반대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언제나 타자를 인정하고 겸손한 태도 가운데 상대의 이야기를 존중한다. 이야기치료는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피상담자의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피상담자의 판단과 선택을 존중하는 쪽으로 상담이진행된다. 상담자는 피상담자에 대한 정보와 선택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태도`(notknowing position)를 지닌다. 피상담자의 입장을 `전문가`로서 인정하고, 그들의 판단을 전적으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상담태도는 절대 권력의 위치가 퇴색되어지는 현대 사회 분위기에는 환영받을만한 일이지만 성경적 상담의 관점에서는 점검할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절대적인 기준이 희박해지는 세태 속에서도 여전히 `유일한 절대 가치`로 인정해야 하는 것이 `성경`이기 때문이다. 세상의 기준과 규칙은 변하지만, 성경은 우리 인간 삶의 표준이요 규례로서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치료에서 말하고 있는 `인간중심`의 상담 자세는 `하나님 중심`의 성경적 상담의 태도와는 맥을 달리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치료의 정의, 사상적 배경 및 이야기치료를 구성하는 요소 및 과정들을 다루어진다. 그 가운데 상담진행에 있어서 이야기치료가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부분을 논의되어진다. 이야기를 통한 상담의 적용과 이야기를 통해 권력계급의 해체를 이끄는 역할 등이 그것이다. 또한 성경적 관점에서 이야기치료가 품고 있는 인간관과 성경관, 그리고 상담자의 역할 등이 연구되어진다. This thesis looks into the content of Narrative Therapy, which is a new experiment in the counseling field, and deals with it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Counseling. A `Narrative` is used efficiently in many fields: personal history, literature, movies and so on, because people cannot live without stories. There is not a successful drama without a `narrative` that captivates and sympathizes the audience. We live in an era, when person`s or good`s value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having certain `narrative`. A `narrative` is emerged naturally and essentially in the course of counseling. Everybody has his problems and difficulties happening in his life. Through the `narrative` of a problem, the situation of a man`s life is introduced, and his pain is also revealed. After that, there is a cure through another `narrative`. Narrative Therapy is in line with the birth of Post Modernism. Modernism emphasizes absolute sovereign authority. On the other hand, Post Modernism, which is against Modernism, always recognizes others and respect the others` story with a humble attitude. Narrative Therapy is processed toward to accept counselee`s story and respect his judgement and choice under any circumstances. A Counselor has the `not knowing position` about his counselee`s information and choice. As an expert, a counselor`s counsel attitude that recognizes counselee`s position is very welcomed in the atmosphere of modern society, where the position of absolute authority has been tarnished. However, there must be a reality check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Counseling. Because the Bible should be regarded as `the only absolute value` despite the social condition weakening of absolute standard. The world`s standards and rules have changed, but the Bible still exists as the standard and rules and regulations in our lives. From that point, the counseling attitude of `people-oriented` in Narrative Therapy is differ from it of `God-oriented` in Biblical Counseling. This study looks through the definition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Narrative Therapy, and examines the components and the process of Narrative Therapy. Also the positive side of Narrative Therapy is discussed in the course of counseling. It is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through a `narrative` and also it takes the role to dissect of the power of ruling class through a `narrative`. Furthermore, a viewpoint of human beings and the Bible in Narrative Therapy i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counseling. So is the role of counsel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