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과 동물과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성찰과 동물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책임

        김은혜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Theological foundation ofphristian ecological ethics is ‘life’. And the specific place with numerous lives is the Earth. In the era of the climate crisis, I think the reconstruction of earth planetary ethics, which recognizes the sky and land that make up the life system, humans, animals, plants, and material environment as God’s world of creation, is an urgent mission of the church. In particular, thorough reflection on the anthropocentric theological tradition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that has been newly illuminated since the pandemic. This paper reflects on the absence of Christians’ awareness of animal rights and deep-rooted human superior thoughts inherent in traditional theology and proposes a theoretical alternative to Christian animal ethics. It aims to emphasize the intrinsic value of animals from the creation theological perspective by more fundamentally r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beyond the discussion of the moral status or severity of animals based on human perception. Therefore, this study will urge Christians to make a responsible decision on animals by reflecting on the reality of theological ethics of animals that are still too insignificant an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nimals and humans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modern theology and scientific progress. 기독교 생태윤리의 신학적 토대는 ‘생명’이며 수많은 생명을 품고 있는 구체적 장소는 ‘지구’다. 기후위기의 시대에 생명계를 구성하는 하늘과 땅, 인간과 동식물 그리고 물질적 환경 전체를 하나님의 피조세계로 인식하는 새로운 지구행성 윤리(earth planetary ethics)의 재구성이 교회의 긴급한 시대적 사명이라고 생각한 다. 특별히 팬데믹 이후 새롭게 조명 받고 있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의 신학적 정립을 위해 인간중심적 신학전통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번 코로나로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동물권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인식의 부재와 전통신학에 내재한 뿌리 깊은 인간 우월적 사유를 반성하고 기독교 동물윤리의 이론적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별히 창조신학적 관점에서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과 비인간 동물의 관계를 신학적으로 정립할뿐 아니라 동물의 본유적 가치를 강조한 고백자 막시무스의 신학을 통하여 동물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강화하는 기독교 윤리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전히 너무나도 미미한 동물에 대한 신학이론의 현실을 반성하고 근대 신학의 발전과 과학의 진보의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되어 온비인간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신학적으로 구축함으로 동물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을 촉구할 것이다. 이러한 동물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전환은 동물의 고통과 학대에 무관심하거나 무디어진 그리스도인들이 창조 시에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본유적 가치에 충실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인간만아 아니라 동료 피조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다종민족지: 환경 파국 시대의 생물문화적 희망한 민족지적 연구

        황희선 ( Heesun Hwa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1

        본 논문은 최근 많은 연구가 발표되며 주목받고 있는 분야인 ‘다종민족지(multispecies ethnography)’의 다양한 경향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소개하고, 역사적 전개 과정과 주요 이론적 함의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종민족지는 2010년에 처음으로 분야의 명칭이 제안된 이래로, 그보다 앞서 등장한 과학기술학연구 및 비인간 연구의 성과들을 활용하여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 및 ‘비인간 문화’를 이해하는 논의를 진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그 등장이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인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인간을 단독적으로 규정되는 존재로 바라보기보다는 다른 생물종들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 기술하는 특징을 지닌다. 글의 본문에서는 민족지를 넘어 보다 일반적인 다종연구의 기틀이 된 과학학자 도나 해러웨이의 관련 논의 및 인류학자 애너 칭의 연구를 간단히 소개하고, 다종민족지라는 표제로 출간된 여러 연구들을 생명정치, 행위력과 감응, 토착문화연구 및 민족생물학, 존재론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며, 분야 전반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간단하게 소개한다. This essay introduces the growing literature of ‘multispecies ethnography’ by reviewing its history of development over the recent years, as well as its critiques. The literature is classified here into four subject categories; biopolitics, agency/affect, indigenous culture/ethnobiology, and lastly, ontology. Coined in 2010, the term encouraged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nonhumans, and helped with setting up a groundwork for studies on ‘nonhuman cultures’ in sociocultural anthropology. As the concept emerged with the awareness on the ongoing environmental crisis, the approach is in many respects characterized by its taking of human as constituted in relation to other beings, through which alternative relationships may be formed.

      • KCI등재후보

        행성에게 사랑을

        에마누엘레 코치아(Emanuele Coccia ) 숙명인문학연구소 2023 횡단인문학 Vol.14 No.-

        이 논문은 사랑이라는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우리는 인간 사이의 관계가 기반이 되며, 관계를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다른 종도 사랑할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이종간에 이루어지는 관계, 예를 들면 인간이 개나 고양이와 맺는 관계에서 개별성이 불분명해지고 그럼으로써 보다 원초적인 형태의 사랑에 가까워진다. 이렇듯 가장 순수한 형태의 사랑은 생물학적 특성이나 고유한 정체성과 무관하게 서로 다른 종의 개체 사이의 종간 관계에서 비롯된다. 이로부터 우리의 사랑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변형시키는 ‘행성성애학’으로서 생태학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This paper begins by exploring some historical literature, including fairy tales, on “love” and debunks its most popular idea as a purely natural and spontaneous relationship between humans. It then shifts focus to human relationships with animals, particularly companion animals like dogs and cats. The paper argues that the human-animal bond diminishes one's individuality or identity, enabling the experience of affection in its truest sense, which is a deep, interconnected love between beings. It concludes that interspecies relationships exemplify love in its purest form, transcending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compassing all species on Earth, including the planet itself. The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reimagining ecology as “planetary erotics” to gain a fresh perspective on ou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love.

      • KCI등재

        Bearing Witness to the Pain of Animalist Others: Troubled Kinship in H. G. Wells’s The Island of Doctor Moreau

        ( Inhye Ha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20 근대 영미소설 Vol.27 No.2

        This essay examines the ways in which Moreau’s grafting and its outcome elicit sympathy, disgust, and horror from a handful of human subjects, including Edward Prendick―the main observer and (unreliable) narrator of The Island of Doctor Moreau―and Montgomery. To that end, I seek to place Moreau in conversation with theorists of emotion. Because every single emotion has its own history (or historical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the making of disgust and horror and transitory sympathy and pity, I contend, is informed by Darwin’s theory of evolu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roduction of the aforementioned emotions, I argue that Wells’s Moreau encapsulates the affective dimensions of contact zones between the human and nonhuman species at the dawn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predominantly negative emotions―disgust and horror―can actually be taken as an important index that marks the moment the kinship across the species divide is complic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