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중국어“유(有)/무(無)+以VP”구조와 그 상관구조 분석

        이소동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7

        本文主要討論通過與“ 有/無+NP以VP”, “有/無+可/足以VP”結構的比較考察“有/無+以VP”結構的形成過程.根据古代漢語的指稱規律,“有/無+以VP”結構對應于“有/無+所以VP”結構對應于“有/無+以VP”結構, 有/無+可/足以VP”對應于“有/無+可/足以VP者”.因此,縱理論上和語義上來講,動詞‘有/無’后面的“以VP”和“可/足以VP”就是“所以VP”和“可/足以VP者”結構中指稱化(轉換)標記‘所’,‘者’省略而形成的無標記指稱化的結構.實際上,古漢語文獻中,“有/無+可足以VP”和“有/無+可/足以VP者”結構都已對等的出現頻率反映這兩者語義理論上的對應關係,但是“有/無+以VP”和“有/無+所以VP”結構則不是這樣.因爲“有/無+所以VP”結構的出現頻率흔低,所以흔難難以接受“有/無+以VP”與타形成對應關系. 爲什마“有/無+所以VP”的結構的出新頻率這마低니? 無論現代還是古代, 不可能沒有語義上表示(沒)有方法(原因等)~``的語法形式. 古漢語里這樣的語義結構大部分是以“有/無+以VP”結構來表示的. 呂叔湘等認爲“有/無+所以VP”,但是這因爲“有/無”+所以VP的出現頻率低而不能獲得廣泛的認定. 古代漢語里,我們常見一個‘有’字結構,就是”有+NP+VP”.對于”有+NP+VP”結構,學者們的看法不一致,比如빈語補助語,后置定語,兼語結構,連動結構等說法.雖然如此,我們可以認定的是“有+NP+VP”結構中與動詞‘有’直接發生語義關系的就是NP.古漢語里“有/無+NP以VP”結構也是“有+NP+VP”結構的一踵擴大形式.我們通過考察而得知:古漢語里“有/無+NP以VP”結構在語義上和形式上與“有/無+所以VP”結構沒有什마不同,而且比타使用的更廣泛.“有/無+NP以VP”結構里NP的語義一般取決于后邊的“以VP”,這織染帶來的NP的省略,幷産生“有/無以VP”結構.我們可以認爲古漢語里“有/無+所以VP”結構就被當時廣泛使用的“有/無+NP以VP”及其省略形式“有/無+以VP”結構代替.

      • KCI등재

        16, 17세기 유기아수양법과 민간의 전용(轉用) - 1661년 서원현 소송을 중심으로 -

        김경숙 ( Kim Kyeongsook ) 한국고문서학회 2020 古文書硏究 Vol.57 No.-

        이 논문은 16-17세기 유기아 정책의 방향과 민간 현장에서 유기아 수양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국가적 차원의 惠恤 규범이 민간에서 轉用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전통시대 동아시아 왕조에서는 ‘惠恤’의 차원에서 유기아 구제 정책을 시행하였다. 조선 왕조는 『경국대전』 예전 혜휼조에서 관련 규정을 마련하고 국가 주도의 정책을 지향했다. 개인의 수양과 사역은 10세 연한을 둠으로써 고려 이래 민간의 수양을 통한 사역을 제한하고 국가 기관에서 구제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국가 주도의 정책은 민간에서 유기아 구제를 기피하는 역현상을 불러왔다. 결국 1547년(명종 2) 수교를 통해 유기아 생명을 보존하기 위한 혜휼의 명분하에 연한 제한을 사실상 폐지하고 민간 수양을 전면적으로 허용하는 정책적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민간에서는 개정된 유기아 수양법에 근거하여 유기아 수양을 통해 노비를 확보하였고, 국가의 혜휼 규범은 민간의 수양이 행해지는 현장에서 노비를 확보하는 통로로 전용되었다. 여기에는 遺棄兒, 願育人, 유기아의 親生父母 또는 本主 등의 관계가 얽혀 유기아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과 노력들이 시도되었다. 1661년 서원현 소송은 노비가 유기아를 수양한 데서 비롯된 사건으로, 여기에는 노비, 노비주, 유기아, 본주 등 4자 관계가 얽혀있는 상황을 잘 보여준다. 소송의 발단은, 1621년에 노 장복룡이 비 논월을 유기아 수양으로 입안받아 양육했는데, 1659년에 양반 정승철이 본주를 주장하며 논월을 추심했다. 이에 대항하여 노 철생이 장복룡을 위하여 代訟人으로 나서서 유기아를 還推하는 소송을 제기했고, 소송에서 승소함으로써 논월 가족을 되찾을 수 있었다. 서원현 소송에서 노 복룡의 상전가는 소송 전면에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친송해야 하는 노비의 소송에 같은 상전가 소속의 노 철생이 대송하고, 노비소유권을 다투는 ‘相訟’에서 소송 논리로 내세운 것은 가족관계를 전제로 하는 ‘卽同己子’로 서로 어긋나는 점, 유기아 입안을 받은 주체가 복룡의 상전가로 확인되는 등 원육자와 소송자가 일치하지 않는 단서들이 확인된다. 이는 복룡의 상전가가 소송자로 개입되어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약 100년 후 안산관에서는 ‘收養父母主 양쪽이 쟁송할 경우에는 양측이 차지하는 것이 부당하므로 從良을 허락한다’는 『속대전』 규정을 소급 적용하여 서원현 결송 내용을 爻周 처리하고 노비들을 從良했다. 이 또한 서원현 소송을 노 복룡의 상전가 소송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결국 노비의 유기아 수양은 노비와 노비주의 긴밀한 관계가 바탕이 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노비의 입장에서는 본주 또는 친생부모가 나타나 추심할 가능성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유기아를 수양하기 위해 상전가의 사회적 위상과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했다. 상전가 입장에서도 소유 노비가 願育人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현실적인 양육 문제를 해결하고 구활 노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양자의 결합은 민간 수양의 현장에서 유기아를 확보하는 한 축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of people’s fostering a neglected child based upon the official policy on a deserted child in the 16<sup>th</sup>- and 17<sup>th</sup>-century Korea, showing people’s appropriation of the official relief work, legal and normative, to their interests. The Chosŏn dynasty legalized the relief of the deserted child under the age of three in the article of ‘hyehyul’(惠恤) literally meaning merciful relief in English, the section of Rites(禮典) at the Grand Rule of Laws(經國大典). The legalization was meant to initiate the royal relief work of mercy. The law allowed people to privately foster the neglected child until the age of ten upward, and then to have the child as a nobi, practically limiting their fostering itself and bringing about the popular unwillingness to foster a deserted child. The bad effect of the legalization brought forth the policy change in 1547 under the reign of king Myŏngjong, which permitted people to have a neglected child as a nobi by fostering him/her. The policy change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secure nobi (奴婢) by fostering neglected children based upon the revised law. This meant that the official norm and law on merciful relief came to be appropriated to people’s private interests. Yet, the appropriation was not so easy. It involved the concerned who were a deserted child, people avid for the fosterage, the child’s biological parent, and his/her original owner in the case that the child belonged to nobi, and sometimes entailed their competitions for the procurement of a neglected child. One of exemplary competitions was: the 1661 Sŏwŏn Prefecture case which was filed on the title to the fostered nobi. In 1621, Chang Pok-ryong who belonged to nobi discovered an abandoned child in front of house, naming her Nonwŏl, and then reared her after having an official notarization. In 1659 when more than three decades had passed, yangban Chŏng Sŭng-ch’ŏl recovered Nonwŏl by holding that he was Nowŏl’s original owner. In 1661, Chang filed the litigation aginst yangban Chŏng, which was represented by Ch’ŏl-saeng, and then won the case, resulting in Chang’s recovery of Nonwŏl. In appearance, Chang’s master could not be found in the legal disputes. The historical materials concerned, however, imply that he was involved in the disputes. Ch’ŏl-saeng who represented the 1661 litigation for Chang was the master’s another nobi, which suggests that his representation was made for master. Noteworthy is that the documents the plaintiff submitted to the official in charge of the 1661 litigation included the 1621 petition for the official notarization of Chang’s fostering Nonwŏl, which was made by Chang’s master. These things suggest that in reality Chang’s mas ter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case as a litigant even if apparently he did not appear in the litigation. This shows that nobi fostered a deserted child based upon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nobi and his/her master. The constant situation that an abandoned child’s biological parent or his/her original owner would make efforts to recover the child made it necessary for nobi to secure in advance the social prestiges and potentials his/her master held for nobi’s stable fostering of a neglected child. Also master’s close relationship with his/her nobi solved the his/her practical problem of nurturing the child and thereby securing nobi, which, ultimately, served the master. The clos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nobi based upon their common interests constituted one of the major ways of people’s securing a deserted child and fostering the child in the 16<sup>th</sup>- and 17<sup>th</sup>-century Korea.

      • KCI등재

        물질로서의 책과 유만주(兪晩柱)의 도서 구매 책주릅 조씨(曺氏)와의 거래를 중심으로

        김하라 ( Kim Hara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0 No.-

        본고에서는 서울 남촌의 독서인 兪晩柱가 책주릅[冊儈] 曺氏와의 서적 거래를 기록한 『欽英』의 자료를 분석해 18세기 조선에서 책이라는 재화가 갖는 물질성의 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유만주는 1784년 4월부터 1785년 7월까지 고가의 도서를 여러 종류 구매했다. 당시 그가 주로 거래한 책주릅 조씨는 조수삼과 정약용 등 동시대인이 목격한 ‘조신선’과 동일인이다. 1784년 4월 23일 유만주의 倉洞 집을 처음 방문한 조씨는 『珮文韻府』 등 4종의 책을 의뢰받았고, 유만주가 明洞의 고급주택으로 이주한 1784년 8월 이후로도 계속 그를 방문해 『文選』, 『패문운부』, 『人外脞史』, 『思辨錄輯要』, 『資治通鑑綱目』 및 그 시리즈에 해당하는 『續資治通鑑綱目』과 『資治通鑑綱目發明』 등 3종의 역사서 『合綱』까지 160냥 어치의 책을 차례로 판매했다. 한편 유만주는 책값을 융통하기가 쉽지 않은 처지였고, 조씨는 요청받은 도서목록집이나 중국본 역사서를 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두 사람의 거래가 갈등을 보인 1784년 11월 이래 유만주는 도서목록집 『浙江書目』을 소유한 ‘書客’과의 교유를 시작하며 호혜적 교환의 방식으로 원하는 책을 빌려 보기 시작했다. 이 서객은 『輸廫故人錄』과 『三朝要典』 寫本, 그리고 閔聖徽의 장서인이 압인된 서적들을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추후 『흠영』에서 ‘凜’으로 불리게 되는 교유인물 閔景涑이 확실하다. 유만주와 민경속 사이의 교유가 본격화되며, 유만주와 책주릅 조씨의 거래 빈도는 현저히 줄었다. 유만주는 1784년 12월 22일에 『西遊記』를 구매하고 『합강』의 잔금을 지불했으며, 1785년 2월 3일에 『汪南溟集』 등 1냥 어치의 책을 구입했다. 그가 조씨에게 마지막으로 산 책은 『松雪學士全集』인데 이때 그는 돈 대신 해주 먹 20개를 지불했다. 조씨는 1785년 7월 18일에 유만주의 명동 집을 마지막으로 방문했고, 유만주는 이틀 후인 7월 20일에 도로 창동으로 집을 옮겼는데 이 이주는 유만주 가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가 닥쳤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책주릅 조씨는 물질적 형편이 나빠진 유만주를 더 이상 찾아오지 않았다. This thesis tried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the materiality of books in Joseon in the 18th century by analyzing the transactions between Yu Man-ju兪晩柱, a passionate reader in Seoul, and Mr. Jo曺氏, a book salesman, recorded in Yu Man-ju’ diary Heumyeong 『欽英』.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784 to July 1785, Yu Man-ju purchased several kinds of expensive books. At that time, Mr. Jo, whom he mainly dealt with were the same person as the Immortal Jo曺神仙, witnessed by his contemporaries such as Jo Su-sam趙秀三 and Jeong Yak-yong丁若鏞. On April 23, 1784, Jo visited Yu's house for the first time and was commissioned for four books including Paemununbu 『珮文韻府』. Also, after Yu Man-ju moved to a luxury house in August 1784, Jo continued to visit Yu and sell 160 nyang worth of books, including the books he was commissioned for and the books in the series. It was not easy for Yu to pay for the books, so he paid for some books in installments. And Jo had difficulties in obtaining a separately commissioned catalog of Chinese books or Chinese history books. Since November 1784, when the two men's dealings were in conflict, Yu Man-ju met an anonymous book collector called ‘seogaek’書客 who owned a catalog of Chinese books and started borrowing books in a reciprocal way. The anonymous book collector is presumed to be Min Kyeong-sok閔景涑, as he possesses the legacy of Min Seong-hwi閔聖徽, a legendary collector of Joseon. The relationship between Yu and Min started in earnest, and the frequency of transactions between Yu and J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ast time Yu bought Jo a book, he paid 20 sticks of ink instead of money. Jo last visited Yu's luxury home on July 18, 1785, and Yu moved to a cheaper house on July 20, two days later. The move means that Yu is facing a difficult time economically. And Jo no longer came to visit Yu, who was in a bad economic situation.

      • KCI등재

        儒学在当代韩国的流播与传承

        王涛,(Wang, Tao),金昌庆,(Kim, Chang-Kyong)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59 No.-

        起源于中国的儒学思想,很快传播到东亚近邻韩国。“儒学东渐”也顺势造就了韩国儒学的 兴盛,经韩国三国时代、统一新罗、高丽到朝鲜时期,发展至今,韩国现当代儒学依然得以较好地 发展与流播,在思想信仰、社会结构、民俗生活等诸方面广受其影响。以韩中文化比较的视角考 察,当代韩国儒学的流播和传承态势,既有早先历史上设立的官私教育机构在“中央-地方”的承 继之径,也有以成均馆大学为代表的焕然一新的现代大学儒学教育之式。而韩国各方对儒学文献和 儒学研究的合力,其间展现出的社会与学术的力量,确实是儒学在当代韩国得以良好的继承发展的 可贵之处和可持续动因。“安东文化现象”,则是儒学在当代韩国社会流播中“崇儒尚贤”的最好 诠释。在研习、继承和发扬中,儒学在当代韩国进行着卓有成效的本土实践,形成了韩国儒学的良 好发展之势和儒学研究的韩国特色。伴随儒学国际化,韩国儒学得以在本土良性承继和发展,既是 当代儒学流播与继承的表征,又是儒学现代价值的体现,还与韩国文化环境和土壤息息相关,自然 也离不了中国古典文化的博大精深和巨大影响。 Confucianism originated from China, spread to East Asia soon in history. Confucianism East have taken advantage of creating a flourishing Korean Confucianism, so far, from the Korean Three-Kingdoms Times, the Unified Silla, the Korea Times, Joseon Dynasty, to today, South Korea contemporary Confucianism still to better development and spread, in the aspects of ideology, social structure, folk life wide under its influence. The contemporary South Korean Confucianism spread and inheritance trend, as the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Cultures, not only inherits the official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ed in the earlier history of the path of central-local , but also to Sung Kyun Kwan University as a representative of the Confucian education take on an altogether new aspect of modern university. The efforts of Korean society in the study of Confucian literature and Confucianism, showing the social and academic power,and it is indeed the valuable and sustainable cause of Confucian s good inheritance and development in contemporary Korea. And An-dong cultural phenomenon is the best “ChongRu-ShangXian“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spread. In the course of study、inheritance and development, Confucianism carried out fruitful local practice in Contemporary Korea, forming the good development trend of Korean Confucianism and the Korean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studies.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onfucianism,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Korea to local benign succession, characterized both contemporary Confucianism spread and inheritance, and embodies the modern value of Confucianism, not only closely linked with the Korean cultural environment and soil, of course , but also cannot leave Chinese classical culture broad and profound and tremendous influence.

      • KCI등재

        울산지역 삼국시대 유·소아묘에 대한 검토 - 김해 예안리고분군 유·소아묘의 사례를 기준으로 -

        최수형(Su-hyoung, Choi) 부산고고학회 2011 고고광장 Vol.- No.9

        본 글은 인골이 확인되지 않는 삼국시대의 공동묘역을 대상으로 유·소아묘를 추출해 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작성되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인골이 양호한 상태로 출토된 예안리고분군의 유·소아 목곽·석곽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분 내부 공간 장축 길이가 200cm이하, 피장자 매장 공간 장축 길이가 140cm이하라는 객관적인 기준이 설정되었다. 그리고 이 기준을 울산지역의 4~6세기 단일고분군 유적에 적용하여 유·소아묘로 추정되는 유구들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울산지역 유·소아묘의 규모는 목곽묘보다 석곽묘에서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하나의 단일고 분군 내에서 유·소아묘는 약 20% 전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목곽묘보다 석곽 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유·소아묘와 성인묘의 배치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독립적 배치, 병렬상 배치, 반원상 배치 총 3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관계는 병렬상의 배치(목곽묘-석곽묘)에서 점진적으로 반원상의 배치(석곽묘-석실묘)로 변화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다양한 철기 유물 중에서 철촉, 철겸, 철도자만이 한정적으로 유·소아묘에 부장된 다. 또한 철촉, 철겸은 소아묘(6~11세)에만 부장되는 유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 막으로 유·소아와 관련된 특정한 전유물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일부 무덤에서 유·소아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측되는 토구가 출토되었다. 이 토구의 용도와 쓰임새에 대해 몇 가지 예를 들어 어린이용 놀이 도구(장난감)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the ways in sampling the infant and children tombs among joint tombs having unidentified bone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 For this work, bones in a good condition from‘ Yean-ri ancient tombs’were analysed. As a result, the objective standard is created, which is the horizontal length in the inner space is below 200cm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buried person is below 140cm. After that, the standard was applied to the single-ancient tomb in Ulsan province during 4~6 centuries and the archeological marks from considered infant·children tombs were studied. The size of the stone chamber infant·children tombs has more variety than the on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In addition, infant·children tombs occupied around 20% in a specific ancient tomb’s group. In general, the rate of stone chamber tombs is relatively higher than wooden chamber tombs.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infant·children and adult tombs, it consists of independent, parallel, and semi-circle forms. It is considered that the arrangement gradually changed from parallel forms(wooden chamber tomb-stone chamber tomb) to semi-circle ones(stone chamber tomb-stone room tomb). Iron-arrowheads, iron-sickles, and iron-knifes were limitedly buried as grave goods. Also, it is regarded that Iron-arrowheads and iron-sickles are grave goods only for the children tombs(age 6-11). Finally, special remains related to infants and children were not identified. In some tomb’s groups, soil-tools presumed for infant·children were excavated. With the examples for tool’s use and service, it is supposed as children toys.

      • KCI등재

        閩方言與普通話“V有”結構中“有”的結果體功能分析

        HUANCHANG CHEN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3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40

        Both Min dialect and Mandarin have the ‘V+有’ structure, but the verbs that can appear in the structure are different. In Mandarin, the verbs that can appear in this structure are mainly verbs that express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possession’. General verbs such as ‘寫, 買, 聽, 找’ cannot appear in this structure. In Min dialect, the verbs appearing in this structure can be general action verbs such as ‘寫, 買, 聽, 找’. Although the verbs that can appear in the ‘V+有’ structure are differ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ssence of the structure, 有’ in the ‘V+有’ structure in Min dialect has the same functional identity as in the Mandari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ecific type of resultative aspect, ‘有’ in Mandarin means a continuous result state after an action occurs, and it belongs to the generalized resultative aspect in function. However, ‘有’ in Min dialect can be used after general active verbs, indicating that actions and behaviors have produced certain results, and its function is in the narrow resultative aspect. 閩方言與普通話都存在著“V有”結構,但是從“V有”結構來看,能夠出現在“V有”結構中的動詞是不同的。在普通話中,能夠出現在該結構的動詞主要是表示“存在”和“領有”義的動詞,“寫、買、聽、找”等一般動詞是不能夠出現在該結構的。而在閩方言中,出現在該結構的動詞可以是“寫、買、聽、找”等一般動作動詞。雖然能夠出現在“V有”結構中的動詞不同,但是,從結構的本質來看,閩方言“V有”結構中“有”與普通話“V有”結構中的“有”具有功能上的同一性,從體研究的角度來看,都可以分析成結果體,只是在結果體的類型上存在差異。從結果體的具體類型來看,普通話的“有”主要出現在表示領有、存在義動詞之後,表示動作發生後所產生的一種持續結果狀態,功能上屬於廣義結果體。而閩方言的“有”則可以用於一般活動動詞之後,表示動作行爲產生了某種結果,功能上於狹義結果體。從類型學的角度來看,閩方言“V有”結構中的“有”在動作產生了某種結果的語義上,發展出了完成體、完整體的用法,而普通話的“有”只是表示結果狀態持續,並未進一步發展出進行體的功能。

      • 유사보험의 서비스 품질 평가 모델 연구 : -전문건설공제를 중심으로-

        이종관, 김용덕 숭실대학교 2009 숭실경영연구 Vol.1 No.1

        Under social system performing all kind of insurance function, the quasi-insurance is a kind of insurance behavior which is not fit for insurance law in daily life, it is called a mutual-aid project in common. There are more than 30 financial institutions run the quasi-insurance in Korea, which market shares are 20% of civil insurance on the commission and fee base. Although the share are increasing gradually, the studies of quasi-insurance are much less than the studies of civil insurance, and specially it is hard to find studies of service quality and its evaluation in quasi-insurance. Nowadays the quasi-insurance is standing up major portion of civil insurance and even competing with civil insurance at the same market.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competitiveness of insurance institution is the service quality. Through the studies of the relations among the service quality,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corporation competitiveness, it is helpful for the quasi-insurance to develop the service quality model of the quasi-insurance. On this study, I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corporation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lients interview survey. The quasi-insurance can develop under the protection by the law , but by the market changes such as the liberalization and open market of insurance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the quasi-insurance and the civil insurance have to compete at the same market and prepare the new domestic comer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or. I hope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developing of the quasi-insurance competitiveness. Keywords: quasi-insurance, mutual-aid, service quality,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類似保險이란 우리 생활에서 각종 보험기능을 하는 여러 가지 사회제도 중에서 보험업법 적용이 배제된 보험 행위를 말하는데, 민영보험과 대칭되는 말로 주로 共濟라고 불리어진다. 우리나라 유사보험 운영기관은 약 30개 이상이며, 그 규모도 수입료 기준으로 약 20%에 달하고 있다. 그 규모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발전을 위한 연구가 미흡하며, 특히 유사보험의 서비스 측정부분에 대한 연구는 선례를 찾을 수가 없다. 이제 유사보험은 민영보험과 같은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보험시장의 한 축으로서 자리를 잡았다. 보험사업자의 경쟁력은 여러 가지 요소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서비스품질이다. 따라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과 기업 경쟁력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유사보험고유의 서비스품질향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보험산업은 물론 유사보험의 발전을 위해서 큰 의의가 있겠다. 본 연구는 고객이 지각하는 유사보험의 서비스 품질차원을 환경품질,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부수적 품질로 구분하고, 각 요인들과 고객만족과의 상대적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고객만족과 재 구매, 미래경쟁력간의 명확한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유사보험부분의 경영성과 개선과 향후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유사보험은 제도적인 보호 속에서 성장을 하였지만, 시장 환경의 요구로 인하여 민영보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동일한 시장에서 경쟁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향후 유사보험의 발전과 대외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주제어: 유사보험(quasi-insurance), 공제(mutual aid),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측정

      • KCI등재

        `유소사(有所思)` 제재의 연변(沿變)에 대한 분석적(分析的) 고찰(考察)

        김영주 ( Kim Young-ju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9

        This paper studied the korean acceptance and variations of Yusosa(有所思) which GochwiGoksa(鼓吹曲辭) in Han(漢) Dynasty as chinese poem`s topic. The origins of Chinese 「Yusosa(有所思)」 is based on military ballads of the Han Dynasty and Akbu music when hunting. The content of Yusosa(有所思) depicts a change in the intense emotions of a young woman who was disappointed. Yusosa(有所思) repeatedly with the same title ever created from Gor-yo Dynasty to the Late Period of Chosun. A form and content creation of Yusosa(有所思) that appear in the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differ with its fundamental form. It has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a great literary value by different in the period and by the author. It approves that Yusosa(有所思) is an important creation of sanctions in the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The work of Yusosa(有所思) in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did not affect the effect of military music and hunting. Yusosa(有所思) use a parting and the falling of blossoms as a material for the works. But also, use the beauty of Yusosa(有所思) was used in various ways. as a material in poem. Especially, Chinese Yusosa(有所思) consists of three things : longing, friendship, and agony. But Korean Yusosa(有所思) consists of three things : longing, a passive act(Behavior in one`s dreams), and loneliness. There is a work expressed unwavering loyalty and patriotism to the dead king in Korean Yusosa(有所思).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Yusosa(有 所思). Especially, BaekKyeongHae(白慶楷) accepted the work in the Confucian sense, and his work evoked respect for Confucianism and a true attitude of study.

      • KCI등재

        1598년 유성룡 실각과 主和誤國論 인식 분석

        김한신(Kim, Hanshin)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5

        1598년 명의 軍門贊畫主事 丁應泰의 조선 탄핵이 있었고, 선조는 유성룡이 명 조정으로 직접 사행하여 변무하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유성룡은 북경에 사행하지 않았다. 이후 삼사의 탄핵이 계속되어 유성룡은 주화오국의 비판을 받게 되었다. 유성룡은 宋代 秦檜에 비유되었다. 이는 조정에서 강화를 주도한 행위가 국가를 그르쳤다는 공격을 역사적 사실로 뒷받침하는 작업이었다. 유성룡이 이에 대한 반박을 시도하면 할수록 그는 진회와 같은 인물로 낙인이 찍힐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1594년(선조 27) 이래 대신들 대부분은 조선에서 강화 교섭을 부득이하게 수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무엇보다 명 측의 군사 지원이 필요한 상황에서 명군 지휘부와 갈등을 겪게 된다면 군사 지원을 받기 어려워질 수 있었다. 또한 조선군의 대오를 정비하고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간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주화오국론은 이러한 사정을 도외시한 비판이었다. 이러한 비판이 왜 유성룡에게 집중되었는가도 중요한 문제이다. 유성룡은 1598년까지 영의정과 도체찰사를 겸임하며 내정과 함께 군사 정책을 총괄하고 있었다. 따라서 유성룡을 공격한다는 것은 지금까지의 군사정책을 집행한 수장을 끌어내린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유성룡 공격을 발판으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이전과는 정반대의 정책을 펼쳐 보이겠다는 의도이기도 했다. 당시 유성룡을 비판하면서 조정의 요직으로 진출하는 北人 勢力의 움직임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성룡이 시행한 정책의 실상과 그에 대한 평가가 부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차이가 일어난 원인과 평가의 전개 과정이 분석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전란기와 전란을 마감하는 시기 사이에 나타난 유성룡 실각이라는 현상의 의미를 반추할 수 있는 것이다. In 1598 Ding Yingtai(丁應泰), zanhuazhushi(贊畵主事) of Ming China, brought a charge against Joseon to the emperor that Joseon had cheated Ming. Seonjo(宣祖) wanted Yu Seong-ryong to go Beijing(北京) to clarify the misunderstanding in front of the emperor. But Yu did not. Thus the censorate(三司) of the Joseon Court continued to impeach that he was disroyal to his king, expanding the blame forward the crime of spoiling the state by advocacy of Peace Negotiation(주화오국). In this impeachment, Yu Seong-ryong was compared to Qin hui(秦檜), Chancellor of Song(宋) China who was regarded as traitor claiming advocacy of peace negotiation with Jin(金). The case of Qin hui was used as historical evidence to make attack Yu seriously. So it framed Yu not to refute their criticism. If Yu Seong-ryong refuted the censorate was false, it would make the situation worse for him. It is natural that Yu’s military contribution during the wartime did not receive good estimation from the Joseon Court. There is no particular reason why he had to get compliment from the court. Here, the issue we should pay attention to arises. It is quite important to analyze the gap between his contrbution and bad estimation. Through this analyzing we could think over the meaning of Yu Seong-ryong’s being out of office happened at the time the war is about to end.

      • KCI등재

        現代漢語“有VP”的三個特殊句式

        CHEN HUAN CHANG 중국어문학회 2022 中國語文學誌 Vol.- No.78

        This study analyzed three special phrases of ‘有VP’ in modern Chinese. These are ‘有VP’, which forms sentences independently, ‘有VP’ for habitual meaning, and ‘有VP’ to express anti-actual assumptions. First, in the answer to the question, all the subject and VP components in front of the ‘有VP’ structure can be deleted, and only ‘有’ can form a sentence independently. This means that ‘有’ still retains the practical meaning of ‘being' to some extent and is not grammatically used as a aspect mark. Second, ‘有VP’ generally expresses an event that has already occurred in the past, but it can also indicate habitual behavior, so it also functions as a habitual marker. Considering that it is usually an auxiliary verb, an adverb, or an end-of-sentence investigation that indicates habit in Chinese, the possibility that ‘有’ is an auxiliary verb. Third, ‘有VP’ can refer to the anti-realistic assumption, which is an upward additive anti-factual thought, with a kind of ‘regret’, It can represent the function of the modality. Therefore, the property of ‘有’ is highly likely to be a multifunctional word formed by adding various grammatical functions while still retaining the meaning of the ‘being’. 本文主要对“有VP”的三个特殊句式“独立成句的‘有VP’,表达惯常义的‘有VP’以及表达反事实假设的‘有VP‘进行了分析。首先,在应答句中,‘有VP’句式前面的主语成分,以及VP成分都可以删除,只保留“有”独立成句。从这点可以看出现代汉语里“有”还某种程度保留着实际语义,还不能看成是一个体标记。第二,从‘有VP’除了能够表示一次性的已然事件以外,还能够表达惯常义,从“有”的出现位置来看,存在着“助动词”和“副词”两种可能。第三,‘有VP‘可以表示反事实假设,当‘有VP’用于假设句中,‘有VP’是一种上行式的,加法式的反事实思维,表达了话者的情感,这些情感可能是“遗憾”、“惋惜”、“不满”、甚至“责备”,这是一种情态体现。通过这些,本文推断“有VP”中“有”的性质有可能是表示存在意义的助动词,但是该助动词汉语里的“着”,“了”,”过”单纯表示语义意义的助动词不同。“有”是“有”在保留“存在”本义的同时,增加了一些语法功能,从而成为了多功能词。将“有”看成表达体意义功能词,或者看成“体标记”的主张,从现阶段来看,还值得商榷。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