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중 ‘越墻密愛型’ 고전애정소설 兩性關係 서사구조의 특성에 관한

        최병규(Choi, Byeong-Gyu)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28 No.-

        본고는 한중 양국에서 유행한 애정류 소설의 한 유형인 ‘越墻密愛型’ 소설에 나타난 兩性關係의 특성에 대한 고찰이다. 이런 월장밀애형 소설은 한중 양국의 고전애정소설의 한 주요 형태로서 이들 소설들의 서사구조는 대단히 유사한 몇 가지 주요 특징들을 드러내고 있는데, 본고는 그 중 이들 작품 속에 나타난 양성관계의 특징들에 주목해 논의하고 있다. 이들 작품들은 인간의 情欲을 정당시하는 基調아래 사랑과 효도(혹은 출세)의 갈림길에서 방황하는 당시 사대부 가문 젊은 남성들의 무기력함과 이런 무기력한 남성과 대조적으로 사랑에 전념하는 정과 의리가 충만한 열정적이고 당찬 여성에 대한 찬미, 그리고 자식의 연애와 결혼문제에 절대적인 권력으로 개입하는 엄한 부친의 행태와 이에 무조건적으로 복종하는 아들의 모습 등 유교적 예법문화를 배경으로 빚어진 청춘남녀의 사랑과 욕정, 갈등과 좌절, 그리고 이별과 비애 등을 다각도로 조명하고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relations with regard to a form of ‘secret love affairs by scaling wall’ -type novels within Korean and Chinese classics. This type of novel has been very popular in both Korea and China, and they have some similar narrative structures. This article studies the similar characteristics in narrative structure in the scope of sexual relations. They include the praise of sexual desire, description of fiery and faithful women and pathetic and helpless men who sometimes fail to decide between love and success (or loyalty to their parents). The paper also talks about some problems with Confucian culture being reflected on the family institution in which parents interfere in their son’s love affairs as well as the son having to conform to their parents wishes.

      • KCI등재

        신자료 의 특징과 이본의 계열및 정본화

        엄태식(Eom Tae-sik)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8

        본고를 통해 처음 소개된 엄태식본 은 ??전등신화구해??의 뒤에 과 함께 필사된 자료이다. 낙장이 없는 완질 한문본으로, 필사 시기는 20세기 초로 추정되며 나주 지역에서 유통된 것이다. 엄태식본에는 필사자(筆寫者)가 임의로 변개한 글자가 많다. 지금까지 알려진 의 이본 가운데 선본(善本)은 정명기본?간호윤본?엄태식본이며, 이본의 전승 과정에 따른 계열을 살펴보면, 정명기본과 엄태식본이 동일 이본에서 파생된 것이다. 의 정본화(定本化) 작업은 현존하는 이본을 두루 참고하면서 이본 간의 공통분모를 찾아가되, 한문의 문리, 인용된 전고, 작품의 문맥 등을 두루 고려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The Eom Taesik version Wisaengjeon, which is first introduced in this thesis, is a piece of work that is transcribed in the margin of Jeondeungsinhwaguhae with Choecheokjeon. The Eom Taesik version is a complete set of books written in Chinese with no missing page; it is expected to have been transcrib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 is distributed in Naju area. There are many letters in the Eom Taesik version that are modified at the discretion of the transcriber. The most well-preserved version of Wisaengjeon among many versions known so far is the Jeong Myeonggi version, the Gan Hoyun version and the Eom Taesik version. According to the genealogy of transmission process, the Jeong Myeonggi version and the Eom Taesik version are derived from the same version of Wisaengjeon. The operation of making critical edition of Wisaengjeon should look for the common denominator between many other existing versions, considering quoted authentic precedents and context of literary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