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환경선점을 위한 웹툰 혁신의 확산 방향성 연구

        이승진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9 애니메이션연구 Vol.15 No.3

        Since 2000,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webtoon development has been based on ‘technology’. As a variety of attempts, Webtoons are showcasing effecttoons, smarttoons, Moobingtoons, AR webtoons, VR webtoons and interactive webtoons using AI. Currently, VR webtoon platform appears and shows active progress and results on the bases of 5G wireless telecommunicati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webto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can preempt the future of the content market and spread it. Webtoons’ technology includes the technology of storytelling, the technology of composi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device technology in which webtoons are provided. The main focus here is that webtoons have expanded as the user’s environment shifts from the web to apps for smartphon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showing a convergence of webtoons, leading to diverse experiences. Webtoons have transcended the time constraints that writers are keen to achieve through infinite campuses, and can be used to express tension through home channels. In addition, the use of various effects and cinematic directing techniques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 leading webtoons in a spectacular way. It’s time for us to look at more advanced comics by producing new comics environments. The alteration in the environment is something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first. The times have changed and the advent of new media has forced comics in order to transform into web and apps. I’m convinced that it’s time to gain another upper hand in the new media market, just as it did when Korean comics were promoted by dominating the market with webtoons in the field of Web content. I think it’s time to gain another upper hand in the new media market, just as it did when Korean comics were promoted by dominating the market with webtoons in Web content. I assert that it’s a cartoon that fuses with technology that preoccupies the environment. 2000년 이후의 웹툰의 발전은 그 무엇보다 ‘기술’에 기반을 둔다. 웹툰은 다양한 시도로서 효과툰, 스마트 툰, 무빙툰, AR웹툰, VR웹툰,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웹툰 등을 선보이고 있다. 현재는 VR웹툰 전문 플 랫폼까지 등장하며 무선이동통신 5G를 기반으로 활발한 진행과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웹툰의 기술적 혁신은 콘 텐츠시장의 미래를 선점하며 확산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웹툰의 기술은 스토리텔링의 기술, 작화의 기술뿐만 아닌 무선이동통신의 기술과 웹툰이 제공되는 디바이스 기술의 발전까지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웹툰은 웹에서 스마트폰용 앱으로 사용자의 환경이 전환되면서 확장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디바이스의 발전과 무선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웹툰의 융합적 양상을 보이며 다양한 체험을 이끌어 내고 있다. 웹툰은 무한 캠퍼스를 통해 작가가 이루고자 하는 시간적 제약을 뛰어넘었으며, 홈통을 통한 긴 장감의 표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기술적 발전을 통한 여러 이펙트의 사용과 화적 연출기법은 웹툰을 스펙터클 하게 이끌어 가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새로운 만화 환경을 생산함으로써 더욱 발전적인 만화에 대한 고찰이 필요 한 시기이다. 환경의 변화는 먼저 선점하는 자가 지배할 수 있는 것이다. 시대는 변하고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웹 ’과 ‘앱’으로 한정되던 만화는 또다시 변형을 이루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웹 콘텐츠에서 웹툰으로 시장을 선점 하여 한국 만화의 위상을 높던 때와 마찬가지로 이제는 새로운 미디어 시장에서 또다시 선점을 하여야 할 시기라 생각한다. 웹 콘텐츠에서 웹툰으로 시장을 선점하여 한국 만화의 위상을 높던 때와 마찬가지로 이제는 새로 운 미디어 시장에서 또다시 선점을 하여야 할 시기라 생각한다. 새로운 환경, 미래만화의 방향성 바로 ‘환경을 선 점하는 기술과 융합되는 만화’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웹툰 사례조사

        이상화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4

        In the early 2000s, Korea gained fame as an IT powerhouse and achieved Internet-based technology development, one of which was a ‘webtoon’ that grew compared to other countries. Eighteen years later, Korean webtoons are emerging as a leading item in the global cartoon market compared to Japanese comics. There are two reasons why we were able to lead the world market in such a short time. One is that a state-of-the-art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built and a web-based media environment has been built on it. On the other hand, webtoons emerged as a new alternative as the existing publishing cartoon market collapsed, allowing them to grow without much resistance to the existing market. Considering that comics are a medium that adapts quickly to media changes, continuous changes can be expected depending on the technology-based media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future of comics based on innovative technologies, analyze research cases, and study futuristic webtoons that can satisfy sensitivity and technology to study next-generation webtoons that will lead the global market. 2000년대 초반 IT강국이라는 명성을 얻으며 인터넷 기반의 기술발전을 이루면서 대한민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인터넷문화가 성장하였고 그 중에 하나가 ‘웹툰’이었다. 그 후로 18년이 지난 오늘날, 한국의 웹툰은 일본의 망가와 어깨를 견주며 세계만화시장에서 트렌드를 선도하는 아이템으로 급부상하였다. 이토록 짧은 시간 안에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 있었던 이유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최첨단의 통신망이 구축되고 이를 바탕으로 웹기반의 미디어환경이 구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기존의 출판 만화시장이 붕괴하던 시기에 새로운 대안으로서 웹툰이 등장했고 기존의 시장에 별다른 저항 없이 성장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만화가 미디어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해가는 매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새롭게 등장하는 테크놀로지에 기반한 미디어환경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혁신적인 기술을 중심으로 만화의 미래를 연구하고, 연구사례를 분석하여 감성과 기술을 만족시킬 수 있는 미래형 웹툰을 연구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차세대 웹툰의 기술의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메타버스 시대에서의 웹툰의 상생방향

        한보라(Bo-Ra Han),권영희(Young-Hee Kw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6

        본 논문에서는 제한적이고 고정된 스토리와 환경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웹툰이 현 시대의 요구에 충족할 수 있는 메타버스의 실현이 가능할 수 있는지, 가능하다면 그 한계점은 어디까지인지, 그리고 메타버스와 웹툰의 접목을 시도해 이용자 니즈에 맞는 양방향적인 현실대입이 가능한 완성된 메타버스로의 실현성과 방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용자의 니즈를 중심축으로 설정하여 향후 메타버스와 웹툰시장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는 모형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메타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 메타버스와 웹툰의 접목 사례를 분석하며 이용자 니즈 중심의 메타버스와 웹툰의 접목에 대해 예측,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sed about to feasiblity of metaverse what it can be grantify the need of the current generation even though webtoon have limited environment and fixed story and if it possible, whether to some extent it possible. This study have direction it was set the needs of users centrically and was purposed to found a model for invigoration of webtoon market in metaverse to come. For this study,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etaverse, precedent study about metaverse and than analyzed it about based on grafted cases of metaverse and webt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