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국제법상 민간기업의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책임의 성립요건

        정영진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8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3 No.1

        In traditional international law, a state was internationally responsible only for its activitie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 subjects of international law and with the expansion of state’s activities, however, bearing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by the state for its nationals or private enterprises has been recognised in international case law and states practices. Also, this was codified in 2001 by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finishing Draft articles on Responsibility of States for Internationally Wrongful Acts. Yet,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of state for private entities carrying out space activities including launching of satellites and space launch vehicles has been dealt with as an exception from state responsibility in general international law. As we have seen the successful launching of ‘Falcon Heavy’ by SpaceX which is an american private entity, the private activities in outer space are expanding to even as far as deep space such as Mars. In other words, the scope of the private activities is too enormous to deal with the activities, irrespective of general theories on state responsibility in international law. Therefore, it will be significant to see the constituent elements of state responsibility for private activities in outer space from the point of general international law, without prejudice to provisions related to international space law. 전통 국제법에 따르면 국제법의 유일한 주체인 국가만이 국제법상 국가책임을 질 수 있었다. 그러나 국제법의 주체가 점차 다양화되고 국가 활동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개인 및 민간 기업의 행위에 대해서도 국가가 국제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국제 판례와 국가 관행을 통해 인정되어 왔다. 이를 성문화한 것이 유엔 국제법위원회의 2001년 ‘국제 위법행위에 대한 국가책임 초안’이다. 그러나 민간 기업 등 사인에 의한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등의 발사 및 운영 등에 관한 국가책임은 일반 국제법상 국가책임의 예외로써 다루어져 왔다. 즉, 민간 기업의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책임은 항상 우주조약 등 국제우주법의 체계 내에서만 논의되어 왔다. 2018년 2월 6일 미국의 민간 기업인 스페이스엑스의 팰컨 헤비 발사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민간 기업의 우주활동은 통신위성 등의 제조와 운영, 우주발사체의 발사 등에 국한되지 않고 화성 등의 심우주탐사로 확대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일반 국제법상 국가의 국제책임의 예외로써 다루기에는 민간 기업이 매우 광범위한 우주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주활동에서 민간 기업에 대한 국가의 국제책임을 국제우주법의 관련 규정을 훼손하지 않고 일반 국제법의 시각에서 해석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은 ‘국제 위법행위에 대한 국가책임 초안’에 기초하여 사인의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책임의 성립 요건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아시아의 우주개발과 우주법

        조홍제 ( Hong Je Cho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8 No.2

        1957년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이후 세계는 우주활동에 대한 국제적 규범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유엔은 우주의 평화적 이용위원회를 설립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검토 하여 왔다. 1960년대는 미소가 군사적 우주활동을 중심으로 하여왔으나, 최근에는 민간의 우주활동들도 상당히 증가되고 있다. 특히, 우주활동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혜택은 더욱 가시화됨에 따라, 각국은 우주 활동에 대한 민간 지출을 계속 증가 시키고있다. 거의 모든 새로운 우주활동에 참여하는 국가들은 사회 및 경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우주기반 활동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위성 항법 및 지상관측과 같은 우주활동 들은 기존의 민간 우주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이와 더불어 달 탐사는 중국, 러시아,인도, 일본 등 우주력이 있는 국가들에게 우선순위가 되어가고 있다.최근 위성 및 지상 장비를 제조하는 회사들은 상당한 성장을 하고 있다.중국은 2012년 2월 25일 자체 개발한 지구항법 위성시스템을 위한 열한 번째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였다. 중국은 1986년에 중국 만리장성 산업주식회사에 부여된 우주 활동으로부터 발전하기 시작했다. 중국 항천공사는 1993년 중국의 국가우주국의 설립에 이어, 창설되었다. 일본의 민간우주활동은 1960년에 창설된 국가우주활동위원회에 의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활동은 동경대학, 국립항공 우주 연구소 항공과학연구소및 국립 우주 개발 기구에 의해 수행 되었다.2003년에 이 모든 활동들은 일본 우주항공개발연구기구(JAXA)로 통합되었다. 일본은 군사적인 우주개발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였다. 2012년 6월 일본은 우주기본법을 수정하여 JAXA을 포함한 일본의 우주 정책과 예산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과 조직을 개편하였다.과거 문화체육부에 소속되어 있던 우주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책임을 수상직할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JAXA를 규율하던 우주기본법 제4조의 “평화적인 목적으로만 사용” 한다는 조항을 삭제함으로써 비공격적인 군사적 우주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이로써 동아시아의 긴장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국가방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우주를 이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이러한 점에서 아시아의 상업적 우주활동을 발전시키기 위한 협력적 기구 창설이 필요하다. The Sputnik 1 launching in 1957 made the world recognize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space development and activities in outer space. The United Nations established COPUOS the very next year, and adopted the mandateto examine legal issues concerning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At the time, the military sector of the U.S.A. and the Soviet Union were in charge of the space development and they were not welcomed to discuss the prohibition of the military uses of outer space at the legal section in the COPUOS. Although both countries had common interests in securing the freedom of military uses in outer space. As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derived from space activities have become more apparent, civil expenditures on space activitie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several countries. Virtually all new spacefaring states explicitly place a priority on space-based applications to support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Such space applications as satellite navigation and Earth imaging are core elements of almost every existing civil space program. Likewise, Moon exploration continues to be a priority for such established spacefaring states as China, Russia, India, and Japan. Recently, Companies that manufacture satellites and ground equipment have also seen significant growth. On 25 February 2012 China successfully launched the eleventh satellite for its indigenous global navigation and positioning satellite system, Beidou. Civil space activities began to grow in China when they were allocated to the China Great Wall Industry Corporation in 1986. China Aerospace Corporation was established in 1993,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China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In Japan civil space was initially coordinated by the National Space Activities Council formed in 1960. Most of the work was performed by the Institute of Space and Aeronautical Science of the University of Tokyo, the National Aerospace Laboratory, and, most importantly, the National Space Development Agency.In 2003 all this work was assumed by the Japanese Aerospace Exploration Agency(JAXA). Japan eases restrictions on military space development. On 20 June 2012 Japan passed the Partial Revision of the Cabinet Establishment Act, which restructured the authority to regulate Japanese space policy and budget, including the governance of the JAXA. Under this legislation, the Space Activities Commis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wa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Japanese space program, will be abolished. Regulation of space policy and budget will be handed over to the Space Strategy Headquarter formed under the Prime Minister’s Cabinet. Space Strategy will be supported by a Consultative Policy Commission as an academics and independent observers. By revoking Article 4 (Objectives of the Agency) of a law that previously governed JAXA and mandated the development of space programs for “peaceful purposes only,” the new legislation demonstrates consistency with Article 2 of the 2008 Basic Space Law. In conformity with the principles laid down in the 1967 Outer Space Treaty JAXA is now free to pursue the non-aggressive military use of space. New legislation is the culmination of a decade-long process that sought ways to “leverage Japan’s space development programs and technologies for security purposes, to bolster the nation’s defenses in the face of increased tensions in East Asia.” In this connection it would also be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to create an Asian Space Agency(ASA) for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in the Asian space community towards joint undertakings.

      • KCI등재

        민간우주활동 촉진을 위한 미 정부의 “우주임무승인”(Mission Authorization) 입법제안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권희석(KWON Heeseok),김동욱(KIM Donguk),이진호(LEE Jinho),이은정(LEE Eunjung) 대한국제법학회 2016 國際法學會論叢 Vol.61 No.3

        우주자원탐사나 우주공간에서의 위성연료 재충전, 위성수리와 같이 민간에 의한 “비전통적” 우주활동이 새롭게 등장하고 계획됨에 따라 미 과학기술정책실(OSTP)은 2016년 4월 우주에서의 임무를 규율하기 위한 “우주임무승인”(Mission Authorization) 입법제안을 내놓았다. 현재 민간우주활동은 연방항공국(FAA)의 발사면허(launch license)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발사 이후 우주공간에서 벌어지는 우주활동을 규율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는 민간의 우주활동에 대해 정부의 승인과 지속적 감독을 규정한 1967년 우주조약을 위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번 제안에 따르면, “우주임무승인”은 기존의 절차와 관할부처를 그대로 이용하여 교통부(DOT) 장관이 발사면허 심사과정의 하나인 탑재체검토절차를 따르게 된다. OSTP의 이번 권고안은 미국의 조약상 국제의무를 다함과 동시에 민간의 우주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우주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리더십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s “non-traditional” space activities by non-governmental entities, such as exploration of space resources as well as satellite end-of-life extension by satellite refueling and repair in orbit, are emerging or newly planned, in April 2016, the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OSTP) of the United States released a legislative proposal on “Mission Authorization” to regulate their on-orbit mission after launch. At present, as the government’s oversight of civilian space activities is primarily made through launch licenses issued by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there should be limitations in regulating the activities occurring in outer space, which may possibly result in the U.S. being in breach of international obligations of the 1967 Outer Space Treaty to authorize and continuously supervise space activities undertaken by non-governmental entities. According to the proposal, the Mission Authorization” approach would use the existing regulatory authorities and process, whereby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DOT) reviews the proposed mission as part of the Payload Review process related to a launch license. The OSTP’s recommendation is intended to fill in the gaps in fulfilling the U.S. government’s treaty obligations as well as to promote civilian space activities, and it can be assessed that it has demonstrated the U.S. leadership in building a legal and organizational foundation for supporting newly emerging space activities.

      • KCI등재

        미국 우주법상 민간우주활동에 관한

        유인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2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7 No.3

        우주활동(space activity)의 중심이 국가에서 민간으로 재편되는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에 있어서는 민간기업의 창의력과 혁신을 바탕으로 우주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민간과 정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장중심의 분권형 우주활동의 모델이 대두되고 있다. 이 경우 다양한 형태의 민간기업의 수익모델을 국가안보에 부합되도록 시장을 형성하고 규제정책을 펼치기 위해서는 우주에 관한 조약들을 단순히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규제정책의 방향과 형식, 규제기관의 권한배분과 예산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규제행정법적 방법론이 필요하다. 미국의 민간우주활동에 관한 규제 거버넌스를 살펴보면, 우주조약 등 국제우주법과는 큰 상관없이 미국의 국익을 우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ⅰ) 연방헌법에 기초한 ⅱ) 의회의 제정법(statutes)과 예산승인(authorization), ⅲ) 대통령의 행정명령(executive order) 및 각종의 우주정책(policies)과 지침들(directives), ⅳ) 그에 따른 연방기관의 규정(regulations)과 규제권한(licensing)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민간우주활동을 우주산업으로 장려하기 위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되, 정부의 후견적 규제역할을 위하여 연방기관의 역할과 권한을 배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우주법학(宇宙法學)의 방향은 비교공법적 방법론으로 미국 연방우주법을 연구하고, 새롭게 조성되는 우주규제의 거버넌스에 있어 법경제학적 방법론(규제이론)에 입각하여 규제의 형성과 집행에 있어 이해관계를 적절하게 조율하는 절차주의적 방법론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 KCI등재

        우주손해책임협약의 해석과 비판 -손해와 책임의 개념을 중심으로

        김효권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8

        As spaceflight-related accidents or incidents hardly occurs,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Liability for Damage Caused by Space Objects adopted in 1972 had been left unattended for a while. In precious few cases, there was a chance for a state to invoke the Convention in response to certain damage caused by space incidents but interpretation thereof throughout international courts never happened. Due to the significant increase of space activities conducted by both public and private entities, however, this article raises a question whether the Convention adopted half a century ago could effectively regulate contemporary issues derived from modern space activities such as transboundary environmental harm and liability of private companies. The article points out that not only the definition of ‘damage’ is too narrow, thereby excluding indirect and consequential environmental harm caused by space objects, but also there is inconsistency between the definition of damage and the form of reparation therefor. The article also provides a critique of the Convention introducing a legal term of ‘liability’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of international law. Albeit the instrument uses the term to distinguish with the term of ‘responsibility’ in law of state responsibility, it seems that the treaty somehow confuses both terms; there is imprecision in the terminology used as the Convention stipulates that a launching state, who violates international law including the UN Charter, has liability to pay compensation. Finally, the article points out that state-centered approach taken by the Convention could not subsume current privatization of space activities since this old and outdated treaty did not postulate such privatization at the very beginning. By way of such interpreta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onvention should be amended to adequately and effectively deal with contemporary issues of environment and space privatization. 1972년 채택된 ‘우주물체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에 대한 국제책임에 관한 협약(이하 ‘우주손해책임협약’이라 한다)’은 조약이 상정하는 우주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인류의 우주활동은 우주손해책임협약의 존재 이유를 다시금 환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조약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반세기 동안 사실상 방치되어 왔던 우주손해책임협약이 과연 현대 우주활동에서 제기되고 있는 일련의 문제를 적절히 대처하고 규율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 있다. 논문이 제기하는 세 가지 쟁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주손해책임협약은 손해의 개념과 범위, 손해배상형식, 손해배상책임의 원칙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협약 내 법적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협약은 손해의 개념을 지나치게 좁게 정의하여 방사능오염과 같은 초국경적 환경피해를 협약의 적용 범위에 포섭하지 못하고 있다. 다음으로, 우주손해책임협약은 국가책임법상 국가가 부담하는 책임(responsibility)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우주사고로부터 손해를 입은 타국에 대한 당사국의 책임(liability)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협약은 UN 헌장을 비롯한 국제법 위반을 저지른 당사국이 그에 대한 책임(liability)을 진다 규정하여 양자의 개념을 혼동하고 있다. 이는 국제법 위반을 수반하는 우주사고에 대하여 국가책임초안에 따라 피해국이 행사할 수 있는 일련의 권리를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주손해책임협약은 국가중심적 관점에서 우주활동 주체와 손해배상책임 주체를 오로지 국가로 한정하는바, 오늘날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민간기업의 우주활동을 적절히 규율할 수 없다. 이상 손해와 책임의 개념을 둘러싼 조약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문은 우주손해책임협약이 환경오염, 민간 우주활동과 같은 현대사회의 문제 혹은 실정을 적절히 포섭하고 반영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조약의 합목적성 관점에서 비판하고 있다.

      • KCI등재

        아시아 우주개발과 우주법

        조홍제(Cho Hong Je)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3

        1957년 이후 우주개발은 군사적 목적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최근에는 상업적 우주개발시장이 더욱 확대되어가고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는 중국, 일본, 인도가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군사용 뿐만 아니라 상업적 개발에도 새로운 주자로 나서고 있다. 아시아는 항공우주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이다. 중국, 일본, 인도를 선두로 동남아시아 각국도 우주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한반도에서는 북한이 로켓 발사, 미사일 실험과 더불어 우주개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은 위성항법시스템인 베이두우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독자 유인우주비행에 성공하는 등 전 세계의 이목을 끌며 우주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은 유인발사 뿐만 아니라, 우주 궤도에서의 랑데부 및 도킹기술, 우주유영기술 등도 획득하였다. 이들 기술을 바탕으로 2020년까지 독자 우주정거장(천궁)을 완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은 1950년대 말부터 우주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가고시마와 다네가시마에 우주센터를 건설하고 우주강국의 대열에 진입하고 있다. 일본은 최초에는 평화헌법 정신에 따라 1967년 우주의 평화적 이용원칙 공표, 우주의 군사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2008년 우주기본법을 제정하여 방위목적을 위한 우주 이용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또한 우주기본계획, 방위계획대강 등에 우주의 군사적 이용을 위한 방침 등을 표명하였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를 수상 직할로 두고 국가적으로 우주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과 발전에 힘입어 우주인 선발, 위성 발사, 우주센터 건설 등을 통해서 새로운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국제사회의 우주질서와 규범 창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국내적으로는 우주개발진흥법, 우주활동에 따른 손해배상법 등을 제정하였다. 또한 일본과 인도는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법을 제정, 운영함으로써 우주활동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우주의 안보적 활용과 상업적 활동을 강화하면서도 여전히 국내적 입법조치를 취하지 않음으로서 투명성과 신뢰성을 의심케 하고 있다. 일본은 2008년 제정된 우주기본법을 통해 안보적 목적의 우주활용을 천명하고 있다. 한국의 우주개발진흥법은 우주개발에 대한 장려와 진흥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바,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적, 안보적 차원의 통합적이고 통일적인 기준이 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주활동에 관한 국가적 방향과 지침을 제시할 우주위원회의 위원장은 미래창조과학부장관으로 되어 있다. 국가안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도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위원장이며, 단지 국방부장관은 위원으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우주개발진흥법은 진흥에 중점을 두고 있어 국가안보를 위한 우주개발과 활용을 위한 법령체계와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외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우주활동과 개발에 관한 원칙과 국가적 지원체계에 관한 내용을 규정할 우주관련 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의 우주개발진흥법은 민간 및 산업용 우주개발 진흥과 장려를 위한 법률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우주개발의 주축이 되고 있는 항공우주연구원의 직제와 통제권을 명확히 함으로서 국가우주산업의 효율화와 지속성을 유지해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아시아에서도 유럽과 유사한 협력모델을 만들어 내야 할 것이다. 아시아 국가들 모두가 참여하는 가칭 ‘아시아 우주개발기구(Asian Space Development Agency : ASDA)의 창설도 고려해볼 만 하다. 역시 우주개발 선두주자인 중국, 일본, 인도, 한국과 우주개발 후발주자인 여타 아시아 국가간 불균형이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과 같은 우주개발의 중간자적인 위치에 있는 국가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가교역할을 할 수 있다면 아시아 우주개발 협력체 창설은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재난경감, 상용우주개발 확대, 우주기술 확산, 우주법과 제도적 협력 등을 강화해 나간다면 아시아의 경제발전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각국의 우주개발과 탐사에 대한 폐쇄성을 극복하고 투명성을 강화해 나간다면 그 시너지 효과는 매우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The Sputnik 1 launching in 1957 made the world recognize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space development and activities in outer space. The United Nations established COPUOS the very next year, and adopted the mandate to examine legal issues concerning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As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derived from space activities have become more apparent, civil expenditures on space activitie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several countries. Virtually all new spacefaring states explicitly place a priority on space-based applications to support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Such space applications as satellite navigation and Earth imaging are core elements of almost every existing civil space program. Likewise, Moon exploration continues to be a priority for such established spacefaring states as China, India, and Japan. Asia is now heading into the space commerc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legal mechanisms to advance space activities in Asian countries. First, after studying the Asia’s development of space, it will be concluded that certain harmonization of national space legislation or mechanisms is a prerequisite. Then, areas for harmonization that could also be applied to the leading Asian space faring nations would be examined. Areas to be harmonized include the registration of space objects in line with the recent developments made at the Legal Subcommittee (LSC) of the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COPUOS), and finally the guaranteed governmental indemnification on the third-party liability and the export control considerations. China successfully launched the eleventh satellite for its indigenous global navigation and positioning satellite system, Beidou on 25th February 2012. Civil space activities began to grow in China when they were allocated to the China Great Wall Industry Corporation in 1986. In Japan civil space was initially coordinated by the National Space Activities Council formed in 1960. Most of the work was performed by the Institute of Space and Aeronautical Science of the University of Tokyo, the National Aerospace Laboratory, and, most importantly, the National Space Development Agency.In 2003 all this work was assumed by the Japanese Aerospace Exploration Agency(JAXA). South Korea has participated in the ranks of space development countries with confidence. Korea succeeded its launching and the first Korean astronaut KOMPSAT-2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in 2006. Korea is fast reaching to the space commerce and it is the first country in this region to have enacted a national space law in 2005 to promote the space industry. Asia’s space powers are largely isolated from one another, do not share information, and display a tremendous divergence of perspectives regarding their space goals and a tendency to focus on national solutions to space challenges and policies of self-reliance rather than on region wide policies or multilateral approaches8). Asia, China, Japan, South Korea and India are the leading countries as far as the space exploration is concerned. It would also be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to create an Asian Space Development Agency(ASDA) for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in the Asian space community towards joint undertakings.

      • 미래 상업 항공우주 활동을 위한 ICAO-UNOOSA의 협력

        안진영(Ahn, Jin-young),최우영(Choi, Woo-youn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6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4 No.1

        최근 민간항공과 우주활동에 있어서 산업 역량의 변화시점(tipping point)을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래 항공우주 운송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정의할 필요가 생겼다. UNOOSA와 ICAO가 전례없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작년 3월 ICAO-UNOOSA 항공우주 공동 심포지엄이 몬트리올에서 처음 개최되었고 이어 올해 3월에도 두바이에서 제2회 심포지엄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항공과 우주 분야는 그동안 각각 매우 성숙하고 오랜시간 증명된 국제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으나 이제는 두 분야 사이의 공통부분에놓여 있는 성공의 키를 함께 추구해야 할 때라고 보인다. 이에 새로운 지평의 문이 열리기에 앞서, 상기 심포지엄을 통해 항공과 우주 두 분야의 대표 국제기구인 ICAO와 UNOOSA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으며, 어떠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Emerging Civil Aviation and Space Activities are standing on the tipping point of industry capability. With recognizing of it, we need to define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the future aerospace transportation. That’s why ICAO and UNOOSA concluded to make efforts all together. In March, 2015, ICAO-UNOOSA Aerospace Symposium was held in Montreal and the 2nd Symposium was successfully held in Dubai of this year. This paper looks into the efforts between ICAO and UNOOSA relating to the Aerospace symposium for the successful key of the future commercial aerospace transportation.

      • KCI등재

        Enhanc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the Space Industry of the Republic of Korea: NASA’s Space Act Agreements as a Procurement Model with the Emergence of the “NewSpace” Era

        안영신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8 No.2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has demonstrated commendable progress in space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itself as a global leader in the field.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space program, spanning three distinct periods, in order to comprehend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faced by South Korea. With the advent of the “NewSpace” era, the paper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robust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fulfilling the evolving demands of the space sector. Specifically, the paper focuses on NASA’s Space Act Agreements (SAAs) and their relevance to the Korean space program. It highlights the advantages and unique features of SAAs in foster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distinguishing them from traditional procurement methods. Drawing insights from successful SAAs in the United States, the analysis provides valuable perspectives for South Korea. By identifying key considerations for an efficient and effective transactional approach, the paper aims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foster the growth of the Korean commercial space industry. Given South Korea’s impressive progress in space research and development, particularly since 2020,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n optimal transactional approach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entities as the industry continues to evolve and witnesses increased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SAAs, exemplified by their flexibility and ability to facilitate cost-sharing, emerge as advantageous procurement models. SAAs empower contractors, promote safety, and offer numerous benefits including cost savings and enhanced collaboration. Comprehending the examples of SAAs is crucial for South Korea’s forthcoming agency, KASA, as it prepares for upcoming ambitious missions in deep space. This paper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South Korea’s aspirations in the global space community. By capitalizing on public-private collaborations, South Korea has the opportunity to propel its space program to new heights and establish itself as a leading force in space exploration for the betterment of humanity.

      • KCI등재

        Space Development and Law in Asia

        조홍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8 No.2

        The Sputnik 1 launching in 1957 made the world recognize the necessity ofinternational regulations on space development and activities in outer space. The United Nations established COPUOS the very next year, and adopted themandate to examine legal issues concerning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At the time,the military sector of the U.S.A. and the Soviet Union were in charge of the space development and they were not welcomed to discuss the prohibition ofthe militaryuses of outer space at the legal section in the COPUOS. Although both countrieshad common interests in securing the freedom of military uses in outerspace. As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derived from space activities havebecome more apparent, civil expenditures on space activities have continued toincrease in several countries. Virtually all new spacefaring states explicitly place a priority on space-basedapplications to support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Such space applicationsas satellite navigation and Earth imaging are core elements of almost every existingcivil space program. Likewise, Moon exploration continues to be a priority for suchestablished spacefaring states as China, Russia, India, and Japan. Recently,Companiesthat manufacture satellites and ground equipment have also seensignificant growth. On 25 February 2012 China successfully launched the eleventh satellite for itsindigenous global navigation and positioning satellite system, Beidou. Civil spaceactivities began to grow in China when they were allocated to the China Great WallIndustry Corporation in 1986. China Aerospace Corporation was established in1993,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China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In Japan civil space was initially coordinated by the National Space ActivitiesCouncil formedin 1960. Most of the work was performed by the Institute of Space and AeronauticalScience of the University of Tokyo, the National AerospaceLaboratory, and, mostimportantly, the National Space Development Agency. In 2003 all this work was assumed by the Japanese Aerospace Exploration Agency(JAXA). Japan eases restrictions on military space development. On 20 June 2012Japan passed the Partial Revision of the Cabinet Establishment Act, whichrestructured the authority to regulate Japanese space policy and budget, includingthe governance of the JAXA. Regulation of space policy and budget will be handed over to the Space StrategyHeadquarter formed under the Prime Minister’s Cabinet. Space Strategy will besupported by a Consultative Policy Commission as an academics and independentobservers. By revoking Article 4 (Objectives of the Agency) of a law that previously governedJAXA and mandated the development of space programs for “peaceful purposes only,”the new legislation demonstrates consistency with Article 2 of the 2008 Basic SpaceLaw. In conformity with the principles laid down in the 1967 Outer Space Treaty JAXA is now free to pursue the non-aggressivemilitary use of space. New legislationis the culmination of a decade-long processthat sought ways to “leverage Japan’sspace development programs andtechnologies for security purposes, to bolster thenation’s defenses in the face ofincreased tensions in East Asia.” In this connectionit would also be very importantand necessary to create an Asian Space Agency(ASA)for strengtheningcooperation within the Asian space community towards joint undertak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