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식(唯識)의 "동시 지각의 필연성" 개념에 대한 요가 철학의 비판

        정승석 ( Seung Suk Jung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8

        요가 철학의 일부 주석자들은 『요가주』에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은 ``동시 지각의 필연성``을 유가행파에서 주장하는 유식(唯識)의 근간으로 간주하여 상당히 심도 있게 비판했다. 이 비판의 내용을 면밀히 고찰해 보면, ``동시 지각의 필연성``을 둘러싼 쟁론의 연원은 불교 논리학으로부터 전개되어 유식설로 비화된 불교학의 전통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요가 철학의 주석자인 Vacaspati Misra가 이러한 전통 중에서 참고 했을 가능성이 현저한 것으로는 Vasubandhu의 유식설과 Dharmakirti의 불교 논리학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후대의 문헌인 『전철학강요』는 불교학의 전통을 개설하는 과정에서 이허한 정황을 충분히 입증한다. 요가 철학에서 ``동시 지각의 핑연성``을 비판한 것은, 불교 내부의 쟁론을 끌어들여 상키야 및 요가 철학의 실쟁론, 특히 순수정신의 독자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Samkhya-sutra의 주석자인 Vijnana Bhiksu는 『요가주』를 해설하면서 Vacaspati Misra의 새헐을 수용한 점에서, 유식설을 비판하여 요가 철학을 옹호한 vACASPATI mISRA의 논의가 후대의 상키야 철학에도 적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KCI등재

        성스러움과 합리성의 교차점__수행 전통을 통해 본 인도 사유의 종교와 철학__

        성청환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5

        This paper illuminates the intersection between religious experience and philosophical thought by meditative practice, namely yoga practice. In Indian thought, religious practical performance is frequently referred with the term ‘yoga’ which is accepted by heterodoxy schools as well as orthodoxy schools. The scope of comparative in this paper is yoga practitioners in Buddhist logic-epistemology and Yoga School among orthodoxy Indian traditions. With analysis and comparative of the two schools how they define and illustrate the term ‘yoga’, there is common elements in terms of yoga practice. Even though each school has different aims both schools use the term of formal equivalences in proving it. The difference in contents and the similarities in forms in-between two schools is the intersection and convergence of religious experiences and philosophical thoughts according to each tradition. The wisdom of the state of meditative consciousness (Samādhi) in Yoga School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two attitudes of mind, namely, practical continuity and free from greed. Yoga practitioners described by Buddhist logic-epistemology can see the real objects which can be clearly manifested. In two schools there is in one common aspect that human experiences are not just limited in mere perceptual scopes but approved the hyper-sensory world of experience. Yogi perception in Buddhist logic-epistemology, however, is eventually recognized as truth only if it is eventually dealt with as truth in Buddhism. On the other side, perception of yoga practitioners in Yoga School can be achieved by the eight-steps that is the scope of beyond experience realms. It is said that both Schools use the same term in appearance, but stressing the unique religious experience within their own school. Despite proving this religious experience with philosophical rationality, the beliefs underlying it are religion. Both schools classify yoga practice as perception in epistemology and argue logical validity to it. Religious experience is the experience to interpret the experience, not just experience. In other words, religious experience is not a religious content that will interpret based on the person's religious beliefs. This is the reason two Schools not only deal religious discussion but pursuit of logical consistency and rationality in the realm of philosophy. 인도의 수행 전통을 흔히 요가라고 지칭하며, 주류와 비주류의 인도사상 전반에 승인되고 있는 것으로서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진다. 본 논문의 논의 범주인 요가철학에서 논의하는 수행과 불교인식논리학파가 강조하는 요가행자의 수행에는 내면의 내용은 다를지라도 형식의 동일성이 있다. 내용의 차이점과 형식의 동일성은 믿음의 종교 체험과 이성적 합리성의 철학적 정합성이 교차하는 지점이 된다. 요가철학에서 설명하는 삼매의 지혜와 이를 위한 수습과 이욕, 그리고 불교인식논리학에서 주장하는 실재하는 대상에 대해 선명하게 현현하는 요가행자의 수습은 그 구체적인 내용과 논리에 대한 논의를 제외하더라도, 모두 인간 경험의 종교적 체험을 단순한 지각 경험에 한정하지 않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불교인식논리학의 요가수행자의 지각도 결국은 불교에서 진리라고 인정하는 것을 대상으로 수습할 경우에만 참된 진리로 인정된다. 요가철학에서 요가행자의 지각은 이욕의 마음 상태로 8지의 요가 차제를 수습한 경우에 삼매의 특수 지각이 생겨난다. 두 학파 모두 외견상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할지라고, 자신의 학파 내의 고유한 종교적 체험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양측에 전제되어 있는 것은 종교적인 믿음이다. 즉 두 학파 모두 요가 수행의 결과를 인식의 범주,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각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을 논증한다. 종교적 믿음에 의한 실천 수행의 종교 경험을 이성에 기반한 철학적 담론을 통한 정당성을 주장한다.

      • KCI등재

        투고 논문 : 삶의 질적 향상과 요가 철학의 고행주의: 고전 요가 8지 중 권계를 중심으로

        안필섭 ( Pil Seop Ahn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4

        요가 철학의 고행은 속죄의 개념이라기보다는 물질 및 정신이 지니는 불순물에 대한 정화를 통해 청정을 이루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이며, 요가의 성취에 있어서 고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하는 점을 근거로 요가 철학은 고행주의적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가 철학의 수행 체계인 8지요가는 일련의 단계적 수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권계는 두 번째 지분을 이루고 있다. 권계는 다섯 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 청정, 만족, 고행 개념은 정화를 매개로 한 요가 철학의 고행주의와 맞물려 있다고 보았다. 요가 철학에 따르면 감각적 차원의 즐거움은 분명 한계가 있으며, 즐거움 이면에 고통이 수반된다. 신체적·정신적 고통의 제거가 결론적으로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고행주의의 이행은 그 정점에 서 있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A notion of tapas in the yoga philosophy is not an atonement for one`s sins but a positive action for cleanliness through the purification for impurities of matter and mind. The yoga philosophy has a tendency toward asceticism, because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pas, and yoga is not attained by except this. The system of yoga practice or Astanga Yoga is composed of 8 levels, and the second level is niyama. The level of niyama has five elements, and the concept of sauca, santosa, tapas is closely connected with asceticism of yoga philosophy. According to the yoga philosophy, sensual pleasure has limitation, so it also has suffering. If the removal of all the suffering is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yoga asceticism would reach its most exciting point.

      • KCI등재후보

        요가 심리학의 개념과 전망

        곽미자(Kwag, Mi-ja) 한국요가학회 2009 요가학연구 Vol.1 No.1

        요가를 심리학에 적용하려는 여러 연구들이 있지만 요가 심리학의 개념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가 심리학에 대한 개념과 전망을 다루고자 하였다. 요가 심리학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요가의 의미와 목적을 다루었으며, 심리학의 역사에 조명하여 요가 심리학의 개념을 철학적 요가 심리학과 과학적 요가 심리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철학적 요가 심리학은 요가의 의미와 목적과 일치하며 영혼을 다루는 영혼의 과학 또는 자기실현에 이르는 과학임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적 요가 심리학은 현대 심리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적 방법론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현대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을 전일적으로 다루는 홀리스틱(holistic) 관점을 제시하고 있어 현대 심리학을 포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요가 심리학 을 이해하기 위하여 심리학의 제 4세력인 자아초월 심리학을 함께 다루었으며, 요가 심리학은 자아초월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주제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가 심리학의 연구 방향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요가 심리학의 연구 방향에서는 기초심리학으로서 그리고 응용심리학으로서의 요가 심리학에서 다루게 될 연구 주제들을 제시하였다. 요가 심리학의 전망에서는 요가 심리학이 현대 심리학에 미치게 될 영향들을 살펴보았다. 논의에서는 요가 심리학은 요가의 궁극적인 목적인 자기실현을 위한 영적과학의 의미를 잃지 않으면서 현대 과학적 방법을 잘 조화시켜야 하는 과제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It seems that there is no articles dealing with the concept of yoga psychology though there are some articles about yoga applied to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oncept and vision of yoga psychology. In order to discuss the concept of yoga psychology, the meaning and purpose of yoga has been discussed. Yoga psychology was divided into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aspect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sychology. Yoga psychology in the aspect of philosophy corresponds to the purpose of yoga and is the spiritual science dealing with soul and Self realization. Yoga psychology in the aspect of science includes the scientific methods of modern psychology and deals with the issues of modern psychology as well as transpersonal psychology. Yoga psychology is similar to transpersonal psychology in the aspect of focusing on the transcendence of lower self. But it seems to be more systematic than transpersonal psychology in respect of the methods to Self realization. And the vision of yoga psychology was discussed in view of the fundamental psychology, applied psychology and its effects on modern psychology.

      • 상키야-요가 철학에서 3質의 기능(triguṇa-vṛtti)에 대한 考察

        김경춘(Kim Kyung-Cho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9 동서사상 Vol.6 No.-

        이 논문은 상키야-요가 철학에서 세계의 창조의 질료가 되는 3質의 기능(trigu?a-v?tti)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의 모든 철학 학파들과 마찬가지로 상키야-요가 철학은 세계가 본질적으로 고통이라는 것을 인정한다.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철학 학파인 상키야 철학은 정신원리인 自我(puru?a)와 물질원리인 原質(prak?ti)의 二元의 實在를 주장하면서 無神論을 표방한다. 상키야 철학에 의하면, 고통은 실재한다. 왜냐하면 고통은 세계 창조의 質料因인 原質에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상키야-요가 철학에 따르면, 原質은 3質인 純質(sattva), 動質(rajas), 暗質(tamas)로 이루어져 있다. 純質은 가벼움과 비춤을 본성으로 하고, 개념형성ㆍ자의식ㆍ결정의 특성이 있다. 動質은 자극과 움직임을 본성으로 하고, 전변과 떨림의 특성이 있다. 暗質은 본성상 무거움과 덮음이고, 일탈의 특성을 지닌다. 3質은 triad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세계에는 이 3質로 이루어진 무수히 많은 triad가 존재한다. 다양한 3質의 triad로 인해 인간 존재에서 무생물에 이르는 다양한 개체들이 現存한다. 3質은 triad로서 하나의 unit을 형성하면서 기능함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각자의 本性과 특성을 유지한다. 3質의 기능은 동시에 모두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다른 둘을 제압한 후 優勢하게 된 하나가 나타나거나, 둘이 하나의 쌍, 즉 서로의 배우자를 이루면서 출현한다. 3質 중 純質과 暗質은 스스로 나타나지 못한다. 비록 어떤 것이 純質이나 暗質이 우세한 것으로 드러날 지라도, 거기에는 반드시 動質이 존재한다. 3質의 기능의 의도는 自我를 위함(puru??rtha)일 뿐, 결코 다른 어떤 원인을 위해서가 아니다. 無始이래로 결합된 自我와 原質로 인해서 3質의 均衡이 깨지면서 그것의 기능이 시작되었다. 3質은 본성상 즐거움, 고통, 미혹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顯現된 세계에는 즐거움, 고통 등이 존재한다. 상키야-요가 철학에 따르면, 세계는 3質의 기능에 의해 出現할 뿐이다. 그것을 우리는 ‘나의 것’, ‘나를’과 같은 ‘나’와 관련시켜서 집착함에 의해서 그것들을 直視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즐거움이나 괴로움은 3質의 기능에 의해 顯現된 단순한 사실(fact)일 뿐이다. 결국 3質의 기능의 의도는 自我와 原質의 분리를 의미하고, 동시에 흐트러졌던 3質의 균형이 평형상태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자신에게 無益한 것처럼 보이는 3質의 기능은 自我뿐만 아니라 그 자신에게도 유익한 것으로 된다. This essay is to consider on the function of trigu?a-v?tti being the materials of the creation of world in the S??khya-Yoga philosophy. The S??khya-Yoga philosophy as all the Indian philosophical systems holds that the world is the suffering. The oldest S??khya philosophy in the India asserts the dual realism consisting of the Self as the spiritual principal and the Elementary substance (prak?ti) as the physical principal, and it claims to stand for the atheism. According to the S??khya philosophy, the suffering exists. Because the suffering is inherent in the prak?ti being the material cause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the S??khya-Yoga philosophy, the prak?ti consist of the trigu?a as is sattva, rajas, tamas. The sattva is the nature of light and illuminating, and it has the quality of concept-formation, self-consciousness and determination. The rajas has the nature of stimulus and motion, and it is the quality of mutation and tremor. The tamas is the gravity and covering in nature, and it has the quality of deviation. The trigu?a composes the triad's form and there is the numerous being composing this trigu?a in the world. Due to the triad of trigu?a, the various individuals from a human being to a inanimate thing is present. Although the trigu?a is the function forming a unit as the triad, each of them retains their nature and quality. The function of trigu?a is not to reveal itself at simultaneous and all. Generally it is to appear the one becoming a superior power after when it has dominated the other two. Or Two of trigu?a come out themselves in constituting a pair or a mutual spouse. The sattva and tamas of trigu?a does not appear by themselves. Though anything is the predominance of sattva or tamas, there are invariably a need of rajas. The purpose of trigu?a's function is not only for the Self(puru??rtha), is never for the anything else. Since timeless through combined the Self(puru?a) and the Elementary substance(prak?ti), the trigu?a's function begins over splitting it's equilibrium. For the trigu?a sustains pleasure, suffering and delusion in nature, the manifested world exist pleasure, suffering and delusion. In the opinion of the S??khya-Yoga philosophy, the world is only manifest by means of the trigu?a's function. We do not face up to the trigu?a's function because of our attachment relating it to mine, me and I. Thus the pleasure or suffering is just only the fact manifested by the trigu?a's function.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rigu?a's function means the separation between the Self(puru?a) and the Elementary substances(prak?ti), at the same time the having splitted trigu?a's balance represent to turn back it's equilibrium. The trigu?a's function looks like a vain to itself, but it is of use not only for the Self(puru?a) but also for itself.

      • KCI등재

        사상철학과 차크라(Chakra) 체계의 몸·마음 이해와 그 상관성 고찰

        임병학(Lim, Byeong-Hak),최구원(Choi, Ku-W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8

        본 논문은 사상철학과 요가철학의 차크라 체계를 통해 인간의 몸과 마음에 대한 이해를 비교 고찰하였다. 차크라 체계에서는 몸과 마음․정신을 서로 연결하는 7가지 중요한 물라다라(mūlādhāra), 스와디스타나(svādhişţhāna), 마니푸라(maņipūra), 아나하타(anāhata), 비슈다(viśhuddha), 아즈나(ājñā), 사하스라라(sahasrāra) 차크라가 있다. 이들 차크라는 각각의 고유한 진동수를 가지고 있어서 해당되는 차크라 마다 신체기관이나 심리적 상태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사상철학의 구조를 차크라 체계에 연계하면, 사상인 장국의 대소는 제1차크라, 애노희락의 性氣와 情氣는 제2차크라, 사상인의 장리를 규정하는 폐비간신의 氣는 제3차크라, 함억제복과 두견요둔에 있는 性(邪心)과 命(怠心)은 제4차크라, 이목비구의 好善之心과 폐비간신의 惡惡之心은 제5차크라, 인간의 본성인 人事 有四는 제6차크라, 천도 운행의 기틀인 天機 有四는 제7차크라에 서로 상통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네 번째 아나하타 차크라는 일곱 차크라에서 上下를 연결하는 중요한 지점으로 사상철학의 함억제복과 두견요둔의 이중적인 마음작용과 연계되어 우리의 삶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상철학과 차크라 체계는 단순히 육체적 차원을 넘어 정신적․심리적․영적인 부분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건강을 정의하면서 종래의 육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에 덧붙여 영적 건강을 추가시킨 것과 일맥상통 한다. 한편 본 연구는 현대인의 몸과 마음의 치유에 활용되고 있는 차크라 체계와 상관성을 통해 사상철학의 본질적 가치를 드러내고, 사상철학이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데 새로운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사상철학과 요가철학의 상관성이 밝혀짐으로써 한국철학의 보편성이 확보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ody and mind through the Chakra system of Sasang philosophy and yoga philosophy. In the chakra system, there are seven important things that connect the body, mind and spirit together : muladhara, svadhisthana, mamipura, anahata, vishuddha, ajna, and the sahasrara chakra. Each of these chakras has their own frequency, so that each chakra interacts with the body organs or psychological states. When the structure of Sasang philosophy is linked to the chakra system, the size of Sasangin’s organ participate in the first Chakra, SungGi(性氣)와 JungGi(情氣) of all sorts of emotion is in agreement with the second Chakra, the spirit of Pyebigansin(lung, spleen, liver and kidney) that defines management of Sasangin is in agreement with the third Chakra, Sung(性) and Myeong(命) in the Chin·Chest·Umbilicus·Abdomen(頷臆臍腹) and the Head·Shoulders·Waist·Buttocks(頭肩腰臀) are with the forth chakra, mind of Hosun(好善之心)of the Ears·Eyes·Nose·Mouth(耳目鼻口) and mind of Oak(惡惡之心) of the Lung·Spleen·Liver·Kidney(肺脾肝腎) are with the fifth chakra, Insa(人事) that is human nature, is with the sixth chakra and Chongi(天機), the basics of the way of heaven running communicate with the seventh chakra each other. Especially the fourth Anahata chakra is an important point connecting up and down in seven chakras. This is linked to the double-minded function of the Chin·Chest·Umbilicus·Abdomen and the Head·Shoulders·Waist·Buttocks of the Sasang philosophy. This has a profound impact on our lives. The Sasang philosophy and the chakra system are pursuing ment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aspects beyond merely physical dimension. This is in line with that recent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finnes about health adding spiritual health in addition to traditional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Meanwhile, this study reveals the essential value of Sasang philosophy through correlation with the chakra system which is used for healing body and mind of modern man. It is expected that Sasang philosophy will become the new foundation for healing people"s mind and body. And the relativity of Sasang philosophy and yoga philosophy is revealed, the universality of Korean philosophy will be secured.

      • KCI등재

        요가철학의 이원론과 자각의 단계

        박선영(Park, Sun-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4

        요가철학은 이원론을 상키야 철학에서 받아들인 것이지만 이 이원론을 초월할 수 있는 실천 기법을 가지고 있다. 물질원리인 프라크리티의 진화과정은 순수의식(자아, 아트만)인 푸루샤가 아니기 때문에 주체가 아닌 경험의 과정이다. 거대한 우주에서 자신의 무한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개별화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처음의 순수한 개별의식은 자칫 ‘나’ 혹은 ‘내것’에 천착하는 에고의식으로 변형하게 된다. 복합적인 프라크리티의 전변 과정은 진행될수록 분리이며 고통이다. 이로 인해 인간은 분리감에 현혹되고 자신의 실재를 모르는 무지한 상태에 빠져 욕망의 노예가 되며 두려움을 느끼고 자기위축 등의 각종 심리현상으로 괴로워하는 고통을 겪게 된다. 이러한 고에서 벗어나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을 해탈, 혹은 독존이라고 부른다. 이는 푸루샤인 자신이 프라크리티라는 대상의 경험을 지켜보면서 스스로가 부분적인 존재가 아니라 온전한 존재임을 깨닫는다. 요가는 이러한 소아 대 대아, 개인 대 우주, 프라크리티 대 푸루샤, 부분과 전체라는 구도의 모든 이원론적인 것을 초월하는 기법이자 목표이다. 그러나 그 여정은 쉽지 않으며 단순하지 않다. 그래서 이 여정의 길을 가는 구도자들은 이원론적인 세계관의 강력한 힘에 좌절하기 쉽고 일탈하기도 하여 그동안의 노력의 결실을 맺지 못하기도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로지 최종적인 깨달음에 목표를 두는 거시적인 관점보다는 과정중심으로의 관점이동이 필요하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자각이자 각성이며 이는 주시자의 기능이다. 한계를 인식하며 인간이 살아가는 한 자신도 모르게 쌓을 수밖에 없는 부정적 면을 자각 및 각성이 표층적 의식뿐만 아니라 모든 의식층의 곳곳을 환히 밝혀줌으로써 그림자 부분까지 드러내어 전체론적 조화를 이루게 된다. 구도자가 푸루샤라는 참나와 합일하기 위하여 구도자의 자각의 단계는 점진적이기도 하나 또한 어느 순간 비약 내지 초월이 가능하다. 형이상학적인 요소와 형이하학적인 요소가 함께 공존하면서 지금의 자신을 초월하기 위하여 고대 전통의 신비주의적인 요소와 만나는데 여기가 자각의 최고의 단계인 직관의 영역이다. 인간존재의 진정한 자아초월은 이곳에서 이뤄진다. Yoga philosophy received dualism from Samkia philosophy but it has a practicing technique that surpasses the original dualism. Prakrti which is a principle of material is not a Prusha that is a pure consciousness(Self, Atman). For this reason, it is not a main subject but a process of experience. It undergoes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Parinama) in order to display its infinity in the vast universe. The initial pure individualistic consciousness transforms to the state of ego which means being strongly attached to "myself" or "min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complex Prakrti becomes separation and pain as it progresses. It causes people to be deceived by the sense of separation and to throw them into the state of ignorance where they do not know their true self. They become slaves of greed and feel fear and experience psychological pain such as losing self-esteem. Being free from this kind of pain is called Moksha or Kaivalya. During this process Prusha observes Prakrti"s experience it comes to realize that it is not just a part of something but a holistic being. Yoga is a technique and a goal that surpasses all kinds of dualism such as Prakrti vs Prusha, self vs Self, individual vs universe and part vs whole. However, this journey is not easy or simple. For this reason, seekers who are on this journey often easily feel frustrated and deviated by strong power of dualistic view, causing them not to get the outcome of their efforts.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focus from macroscopic view which focuses on the final goal that is ultimate realization to the view which focuses on the process itself. What makes this possible is self-awareness and awakening and it is the ability of an observer. Human beings who are aware of their limit in daily life come to have negative karma unconsciously. The ability of an observer exposes all the layers of consciousness, being in harmony with the holistic view. In order for seekers to be one with Real self that is Prusha, they experience steps of consciousness gradually but at one point dramatically or transcendently. Metaphysical elements and physical elements coexist, meeting the elements of traditional and ancient mysticism that surpass them. Where this happens is the area of intuition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self-consciousness. Human beings" true self-transcendence happens right in this area.

      • KCI등재

        유식(唯識)의 이유에 대한 요가 철학의 비판

        정승석(Jung Seung Suk) 한국불교연구원 2015 불교연구 Vol.42 No.-

        유식설의 관점에서는 인식 대상은 식(識)에 귀속된다. 그러나 요가 철학의 관점에서는 식(識) 또는 인식 작용은 '마음 작용'에 불과하며, 이것은 별개로 실재하는 대상에 의존하여 다양하게 변화한다. Vācaspati Miśra는 대상의 독자적 실재성을 입증하는 데 주력하면서, 유식설을 부정하는 요가 철학의 관점을 대변한다. 그가 여기서 결정적인 논리로 적용한 것은 상키야 철학의 3질설이다. 그는 먼저 동시 지각의 필연성과 소지성은 '결정적인 이유가 될 수 없다'는 부정인(不定因)을 적용하여 유식의 관점을 비판했다. 그는 또한 소지성(자기인식)의 전제로 간주되는 주장을 비판하는 데 주력했다. 즉, "외적 대상을 인식한 관념 속에 그 대상의 조대성과 외재성이 공존한다."라는 주장은 성립될 수 없으므로, 이에 의거하는 자기인식은 허위일 뿐이다. 끝으로 그가 대변한 요가 철학의 지론에 의하면, 대상에 대한 인식은 다양할 수 있지만 그 다양한 인식의 대상 자체는 동일하다. 하나의 동일한 대상에 대해 다양한 인식이 발생하는 것은, 모든 대상을 형성하는 3질의 기능과 작용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식(識)을 일으키는 원인도 3질로 이루어진 대상이다. 3질로 이루어진 대상이 식(識)을 야기한다면, '동시 지각의 필연성' 또는 소지성은 유식을 입증할 만한 결정적인 이유가 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유식도 부정될 수밖에 없다. Commentators on the Yogasūtra considered that the Yogācāra principle of vijñaptimātra(consciousness only) was based on 'theories of the co-occurrence of thought and object'(sahopalambha-niyama) and 'knowability of the object'(vedyatva). Their understanding of the Yogācāra posi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cognition and the object of the cognition are the same and occur at the same time, which is regarded as the co-occurrence of thought and object; (2) a cognition is consciousness's self-cognition(consciousness is actually perceiving itself), which is called knowability of the object. Therefore, there can be no object without consciousness, but there is cognition without its object. Thus, the Yogācāra maintains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belongs to the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Yoga philosophy, however, a cognitive activity or consciousness is a mere function of the mind; therefore, cognition should depend on real objects and vary from object to object. The Yogasūtra-bhāṣya shows the unshakable premise for Yoga philosophy to deny the position of the Yogācāra: "There may be an object of common interest to many minds; it is not figured by one mind, nor by many minds, but is grounded in itself." This premise affirms the independent reality of the external object. Vācaspati Miśra, representing the Yoga school's refutation of vijñaptimātra, focused on demonstrating the independent existence of the external object. His argument is based on the Sankhya's theory of three guṇas. In the course of elaborating his refutation of the Yogācāra idealism, Vācaspati Miśra first applied 'the deviant fallacious reason'(anaikāntika) to his claim that the co-occurrence of thought and object and knowability of the object could not be a decisive reason to support the Yogācāra's position. He appears to have made good use of the debates among Buddhist schools at that time. Secondly, he devoted to criticize the Yogācāra notion that a perception of an object contains both grossness and externality of the object. He seemingly considered that the Yogācāra took the notion as the prerequisite of knowability of the object(vedyatva). In other words, his criticism implies that knowability of the object, equivalent to Yogācāra's sva-saṃvedana(self-cognition), is a fallacy because an idea can never possess both grossness and externality of an object. According to him, it is not possible that an idea has extended into more spaces than one and yet co-existed separately in separate places. Lastly,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three guṇas, Vācaspati Miśra claims that even though many people perceive the same object, their cognitions of it are various. According to him, various cognitions of an object can be caused by the functions and actions of three guṇas that constitute everything but puruṣa; therefore, the cause of various cognitions is an object made up of three guṇas. Thus, if an object made of three guṇas causes a cognition, the Yogācāra notions of the co-occurrence of thought and object(sahopalambha-niyama) and knowability(selfcognition) cannot support the theory of vijñaptimātra.

      • KCI등재

        요가 철학에서 거론하는 소지성(vedyatva) 개념의 함의(含意)

        정승석 ( Seung Suk Jung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0

        Vacaspati Missra는 『요가주』를 해설하면서, 본 논문은 유식 사상과 푸코의 이론이 모두 인간의 욕망에 초점을 두고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두 이론을 비교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마음을 관찰하여 그 작용양상을 주로 분석한 유식 사상 속에서 타인과의 관계는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를 그려보고자 했다. 유식 사상은 알라야식에 존재하는 ‘공종자’를 개인이 타인과 공유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필자는 ‘공종자’를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욕망의 결과물로 보고 이것이 현현하여 사회적 담론이 된다고 보았다. 한편 푸코는 인간의 욕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권력이라는 개념에 의거해서 사회 속에서 담론이 형성되는 기제를 설명했다. 특히 배제작용을 통해 담론이 사회 속에서 수용된다고 본 것은 푸코의 독특한 관점이다. 유식 사상은 해탈에 이르기 위한 수행의 과정에서 관찰된 마음의 작용을 이론화 한 것으로서, 인간의 욕망을 소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반면 푸코는 현실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회현상 자체를 관찰하고 그것을 이론화했다. 두 이론이 인간의 욕망을 바라보는 관점은 이와 같이 다르다. 하지만 두 이론은 다음과 같은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다. 첫째, 두 이론은 담론을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의 욕망이 표출된 것으로 본다. 둘째, 두 이론은 담론이 체계적인 지식이 되기까지를 유사하게 설명한다. 즉 두 이론은 모두 담론이 기존의 규칙에 부합될 때 그 담론이 지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고 본다."동시 지각의 필연성"과 함께 소지성(vedyatva)을 거론하여 유식설을 비판했다. 그 중에서 특히 소지성은 유식설에서 통용되는 특정 개념을 요가 철학의 주석자들이 나름대로 이해하여 대체한 개념일 수 있다. Dharmakirti와 Santaraksita의 고찰에 의하면, ‘인식의 자기인식’은 ‘동시 지각의 필연성’과 불가피하게 연관되어 있다. 주관(인식 주체)과 객관(인식 대상)이 동일하다는 전제에서 성립된 주장이 ‘동시 지각의 필연성’이다. 여기서는 주관과 동일한 객관을 주관이 인식하므로, 결국 주관이 주관(=객관)을 인식한다는 자기인식의 논리가 성립된다. 그런데 자기인식은 유식의 동의어로 간주될 만큼, 유식설은 자기인식의 이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상적 발전을 전개했다. 그렇다면 유식설의 반론자에게 가장 대표적인 표적으로 간주된 것은 인식의 자기인식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유식설을 비판하는 Vacaspati Misra가 ‘동시 지각의 필연성’ 과 함께 유식론자의 주장으로 전제한 ‘소지성’은 결국 ‘인식의 자기인식’ 을 대체한 개념일 것으로 판명된다. Vacaspati Misra criticizes Yogacara school in the respect that sahopalambha-niyama (the necessity of being perceived simultaneously) and vedyatva(knowability) are the keywords of Yogacara doctrine in his comments on Yoga-Sutra. The two words, however, are rarely found as Yogacara system`s original terminologies to explain their own doctrine in their texts. If so, it is supposed that the commentators of Yoga-Sutra tried to understand certain conceptions of Yogacara`s system as their own terminologie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conception of vedyatva. According to my analysis in this thesis, vedyatva referred by Vacaspati Misra may clearly turn out to substitute with self-awareness (sva-samvedana) in Yogacara doctrine. Self-awareness to be commented by the great masters of Buddhist epistemology like Dharmakirti and Santaraksita has inevitable a correlation with the necessity of being perceived simultaneously. The conception of necessity of being perceived simultaneously is proved under the condition of acceptance of the two aspects of cognition;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are identified coming from sameness. In the other words, the subjective aspect grapes the objective aspect that must be the same as the subjective, therefore, logically, it is ac ceptable that the subjective after all figures out its own aspect. Critics against Yogacara doctrine may consider self-awareness as their main target to denounce. Because Yogacara school have consistently insisted their original doctrines as developing the thought of self-awareness which is regarded as much as synonymy to vijnapti- matrata (Consciousness-only). Vacaspati Misra is deduced that he understood clearly the traditional ideas or views of Yogacara by considering the fact he was one of opponents against Yogacara doctrine. Consequently, the meaning of vedyatva in Vacaspati Misra`s context is undoubted to describe the meaning of Yogacara`s sva-samvedana. It is also indirectly proved through Bahyarthasiddhi- karika of Subhagupta to criticize the epistemology of both of Sautrantika and Yogacara school as deeming the both sects are undifferentiated.

      • KCI등재

        요가수행과 땃뜨와의 관계

        계미량(Kye, Mi-Ry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5 남아시아연구 Vol.21 No.1

        인도철학체계에서 땃뜨와는 세계의 전개원리와 존재의 본성을 드러내는 궁극의 원리 또는 일자의 다른 모습 등 다양한 개념과 의미가 있다. 상캬철학은 세계전개의 요소와 인간내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의식을 25땃뜨와를 사용해 설명한다. 요가철학에서 땃뜨와는 대상이 되기도 하고 존재의 본질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땃뜨와의 상호작용을 이용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의식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마음의 작용과 싸마디에 이르는 길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과 실질적인 수행을 바탕으로 까쉬미르 샤이비즘은 일자이며 최상의 땃뜨와인 쉬바를 통해 세계전개를 설명하고 있으며 개별적 자아와 쉬바의 동일시를 강조한다. 따라서 땃뜨와는 서로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바라보게 하여 자아의 근원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In the system of Indian philosophy, tattvas have the various meanings and concepts which indicate the ultimate principle or the diverse aspects of the One. S??khya philosophy explains 25 tattvas the elements of evolution as well as the consciousness occurred within the human beings. Tattvas becomes objects and reveals the true nature of existence in Yoga philosophy. Therefore it explains the layers of various conscious and mind fiel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through the tattva. Also it explains the paths of reaching to sam?dhi through the operations of each tattva. Kashmir ?aivism explains the revolu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attvas and emphasizes identity the individual self with ?iva. As a result we know that tattva is the element which can look into inner self and then return to the source of 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